KR101723577B1 - 와이어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77B1
KR101723577B1 KR1020160105959A KR20160105959A KR101723577B1 KR 101723577 B1 KR101723577 B1 KR 101723577B1 KR 1020160105959 A KR1020160105959 A KR 1020160105959A KR 20160105959 A KR20160105959 A KR 20160105959A KR 101723577 B1 KR101723577 B1 KR 101723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rotary cover
cover
mol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기호
하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16010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품의 생산성 및 조작정밀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조임대상물에 고정되되, 래칫형 기어가 형성된 원통형 내면을 갖는 몸체부의 외곽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후크단턱부가 돌설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후크단턱부와 후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방향으로 돌설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금형관통공이 형성된 상면부를 포함하는 회전커버; 상기 래칫형 기어에 물림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이 구속되되, 상기 회전커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임대상물의 양측에 연결된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조임수단; 및 상기 회전커버의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금형관통공에 삽입 및 결합되는 연장돌기부가 하향 돌설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조임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의 생산성 및 조작정밀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조임장치는 현재 다양하게 활용되어 물품을 조이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다양한 활용방법 중에서 발에 착용하는 운동화의 맥락에서 설명하지만,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는 운동화뿐만 아니라 모자를 포함하는 머리 착용구, 벨트, 장갑, 가방, 스노우 보딩 및 수상 스키 등 와이어를 통해 착용되는 물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운동화 등의 신발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밀착되도록 신발끈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신발끈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과 사용자 발의 밀착성을 높여 쾌적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선택되어야 하고, 신고 벗고에 적당하도록 신발끈을 다소 느슨하게 묶은 상태에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행시에 신발이 발을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발이 헐렁이지 않도록 신발끈을 조여주는 것이 발의 건강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당히 묶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신발끈이 풀어져 걸음을 멈추고 다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기도 하고, 풀어지지 않은 상태라도 신발끈의 양단부가 고정되지 않아 단정치 못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
더욱이, 초등학교 저학년 내지는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등산, 경륜 등과 같은 운동을 하고 있는 선수들이나 사람들의 경우 고정되지 않은 신발끈의 양단부나 매듭이 격렬한 움직임에 의해 외부 물체에 걸려 풀리게 되는 경우에 기록 저하나 안전사고의 발생 등 결과가 초래되기 때문에 신발끈의 풀림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식 중에는 꽉 조여진 신발끈을 풀어야만 충분히 쉴 수 있기 때문에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조여진 상태를 견고하게 지속시키는 동시에 필요시 손쉽게 신발끈을 느슨하게 풀 수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서로 상반되는 신발끈의 조임과 풀림을 도와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와이어 조임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세히,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 조임장치(A)는 래칫형 기어(4a)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신발끈이 권취되는 릴부(3)와 상기 래칫형 기어(4a)에 맞물리되 상기 릴부(3)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기어부재(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릴부(3)와 상기 기어부재(2)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신발끈(w)을 조일수 있도록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재(2)와 상기 릴부(3)가 분리되면 상기 릴부(3)가 독립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신발끈(w)을 풀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부재(2)와 상기 릴부(3)는 신발에 부착되는 하우징(4)과 상기 회전커버(1)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커버(1)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술한 구성요소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조임장치(A)는 상기 회전커버(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4)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5a)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5,5a)은 금속재질의 공지된 볼트(5a)와 상기 볼트(5a)의 나사산이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부(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w)를 조이기 위해 상기 회전커버(1)를 반복적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고정수단(5,5a)의 고정상태가 헐거워지거나, 반대로 과도한 힘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상기 기어부재(2)가 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1), 하우징(4) 및 상기 체결부(5)는 사출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나 상기 볼트(5a)는 일반적인 금속재질의 볼트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수단(5,5a)이 상호 과도한 힘으로 체결될 경우 상기 회전커버(1), 하우징(4) 및 상기 체결부(5)의 나사홈부가 마모 내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회전커버(1)와 하우징(4)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5,5a)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공수 및 제조비용이 증가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하우징의 외주면과 회전커버의 내주면 사이에 각각 대향 돌설되어 후크 결합되는 후크돌기가 더 구비되도록 제조하였다. 즉,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커버는 상기 각 후크돌기가 상호 후크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안정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후크돌기는 외주면의 외측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금형을 이용한 사출이 용이하나, 상기 회전커버에 구비되는 후크돌기는 내주면의 내측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일반적인 금형으로는 사출성형이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회전커버에 상기 후크돌기를 형성하도록 슬라이드 금형이 사용되었다. 즉, 상기 회전커버의 내주면을 성형하는 금형의 단부에 반경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 또는 회전되는 슬라이드 금형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후크돌기가 내측방향으로 돌설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슬라이드 금형은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어려우며, 그 자체로도 고가이므로 제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후크돌기가 상호 안정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공차를 정밀하게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금형의 반복적인 사용시 금형의 단부가 마모되거나 변형됨에 의해 공차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대량으로 생산되는 상기 회전커버 및 하우징의 결합상태가 불량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기어부재 및 릴부가 구동 가능한 위치에서 고정되지 못하여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의 오작동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986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성 및 조작정밀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임대상물에 고정되되, 래칫형 기어가 형성된 원통형 내면을 갖는 몸체부의 외곽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후크단턱부가 돌설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후크단턱부와 후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방향으로 돌설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금형관통공이 형성된 상면부를 포함하는 회전커버; 상기 래칫형 기어에 물림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이 구속되되, 상기 회전커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임대상물의 양측에 연결된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조임수단; 및 상기 회전커버의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금형관통공에 삽입 및 결합되는 연장돌기부가 하향 돌설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커버의 상면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단차지게 돌설된 단턱부가 외곽테두리를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의 측면부 내주면에는 상기 조임수단의 외주가 걸림 고정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원주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교번되어 돌설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금형관통공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측에 각각 관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돌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홈이 절개되며 단부에는 상기 금형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장돌기부는 상기 금형관통공을 관통하되 단부에 상기 조임수단의 외주가 걸림 고정되는 구속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부품간의 조립을 위해 상기 회전커버의 내주면에 돌설되는 각 돌기가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상면부를 관통하는 금형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금형관통공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덮개부가 상기 회전커버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프로파일로 체결되어 커버함에 따라 시각적인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덮개부는 상기 회전커버의 상면부에 단차지게 돌설된 단턱부에 삽입되며 하면부에 하향 돌설된 연장돌기부가 상기 금형관통공에 삽입 및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돌기부에 의해 상기 금형관통공의 빈 공간이 채워져 외부 압력 및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금형장치가 상기 회전커버의 상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단순한 구조로 구비되더라도 상기 하우징과 후크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조임수단이 걸림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상호 엇갈리게 교번되어 돌설되므로 제조성 및 조립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에서 회전커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투영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에서 회전커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하우징(10), 회전커버(20), 조임수단(130) 및 덮개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은 조임대상물에 고정되는 안착부(15)와 내주면을 따라 래칫형 기어(14)가 형성된 원통형 내면을 갖는 몸체부(1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11)의 내측에는 상기 조임수단(130)이 수용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되며 외곽테두리를 따라 후크단턱부(13)가 반경방향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임대상물이라 함은 운동화를 포함하는 신발류, 모자를 포함하는 머리 착용구, 벨트, 장갑, 가방 등 와이어를 통해 착용되는 물품을 포괄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단부에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10)의 몸체부(11) 외주면을 감싸는 측면부(21)와 상기 측면부(21)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부(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면부(21)에는 상기 후크단턱부(13)와 후크 결합되도록 내측방향으로 결합돌기(2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23)는 상기 측면부(21)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3개소 이상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회전커버(20)는 상기 결합돌기(23)가 상기 후크단턱부(13)에 후크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3)와 상기 후크단턱부(13) 간의 후크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몸체부(11) 내지 상기 회전커버(20)의 측면부(21)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슬롯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23)와 상기 후크단턱부(13)의 후크 결합시 상기 슬롯부에 의해 탄발변형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돌기(23)와 상기 후크단턱부(13)의 대향되는 일면측은 상호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타면측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20)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면부(21)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그립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커버(20)의 상면부(22)에는 상기 결합돌기(23)와 대응하여 관통되는 금형관통공(2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커버(2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장치(90)는 상기 회전커버(20)의 상면부 외주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제1금형(90a)과 상기 회전커버(20)의 측면부 및 내주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제2금형(90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금형(90a)에는 상기 회전커버(20)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돌기의 돌출된 타면을 형성하는 연장금형부(9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금형(90b)에는 상기 연장금형부(92)와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며 상기 결합돌기의 경사진 일면을 형성하는 돌기금형부(9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금형(90a)과 상기 제2금형(90b)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주입부(91)를 통해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에 용융된 합성수지 재질을 주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회전커버(20)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출품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금형부(92)와 상기 돌기금형부(93)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결합돌기(23)가 상기 측면부(21)의 내주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설되는 형상이 손쉽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사출성형 방법은 상기 각 금형(90a,90b)을 밀착시키는 단순한 방법만으로도 상기 결합돌기가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며 동일한 형상의 회전커버(20)를 대량으로 제조하더라도 상기 하우징(10)과의 조립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회전커버(20)의 사출성형시 상기 결합돌기(23)의 성형을 위하여 형성된 상기 금형관통부(24)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베이스부(41)와 연장돌기부(4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41)는 상기 회전커버(20)의 상면부(22) 상측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돌기부(42)는 상기 베이스부(4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금형관통공(24)에 삽입 및 결합된다.
즉, 상기 금형관통공(24)이 관통된 상기 회전커버(20)의 상면부(22)가 상기 덮개부(40)에 의해 실질적으로 커버되므로 외적인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으며, 상기 금형관통공(24)을 통하여 상기 수용부(12)측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돌기부(42)가 상기 금형관통공(24)의 내주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부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금형관통공(24)의 빈 공간이 상기 연장돌기부(42)에 의해 채워지면서 외부 압력 내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20)의 파손 내지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수명이 현저히 연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커버(20)의 상면부(22)에는 상기 덮개부(40)가 삽입되되, 상기 덮개부(40)의 외주면(41b)을 감싸도록 단차지게 돌설된 단턱부(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턱부(25)는 상기 덮개부(40)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상기 덮개부(40)가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돌설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턱부(25)의 단부면(25a)과 상기 덮개부(40)의 상면(41a)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20)와 상기 덮개부(40)가 시각적으로 일체화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턱부(25)의 돌출된 형상에 의해 상기 덮개부(40)의 측면이 감싸져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외부 충격 및 압력으로 인한 상기 덮개부(4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품의 고급화된 미감을 제시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구매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사용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40)의 상면(41a) 및 외주면(41b)이라 함은 상기 베이스부(41)의 상면(41a) 및 외주면(41b)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단턱부(25)의 내측에 실질적으로 형합되되, 상기 덮개부(40)로부터 하향 돌설된 상기 연장돌기부(42)가 상기 금형관통공(24)에 삽입 및 결합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40)가 상기 회전커버(2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돌기부(42)가 상기 덮개부(40)로부터 하향 돌설되었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부(41)로부터 하향 돌설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돌기부(42)는 상기 금형관통공(24)을 관통한 단부가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42a)와, 상기 연장부(42a)의 중앙부를 따라 형성된 슬롯홈(42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장부(42a)의 단부에는 상기 금형관통공(24)의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돌기(42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금형관통공(24)의 내주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부피의 상기 연장돌기부(42)가 상기 금형관통공(24)에 삽입시 상기 탄성돌기(42c)가 돌출된 두께만큼 상기 슬롯홈(42b)의 내측간격이 협소해지면서 손쉽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돌기(42c)가 상기 금형관통공(24)을 관통하여 돌출되면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롯홈(42b)의 내측간격이 복원되면서 상기 금형관통공(24)의 단부에 상기 탄성돌기(42c)가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덮개부(40)가 상기 회전커버(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커버(20)의 심미감 및 내구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덮개부(40)의 상면에는 다양한 기호 내지 문양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부(40)의 상면에는 상호, 로고 내지 캐릭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형광 내지 발광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를 통한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고급화된 외관을 통한 사용자의 만족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커버(120)의 측면부(121) 내주에는 상기 조임수단의 외주가 걸림 고정되되 상기 결합돌기(123)와 원주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교번되어 돌설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26)가 더 돌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관통공(124,127)은 상기 결합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26)의 상측에 각각 관통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결합돌기(123)는 상기 회전커버(120)의 측면부(121)의 외곽테두리 내주면 단부에 돌설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외곽테두리를 따라 돌설된 상기 후크단턱부(113)에 후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126)는 상기 회전커버(120)의 상면부(122) 내측에 인접하되 상기 조임수단의 외주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상면부(122) 내측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돌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120)는 상기 조임수단이 상기 고정돌기(126)에 걸림 고정되어 실질적으로 일체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커버(120)에 제공되는 회전력이 상기 조임수단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구동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26)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상기 금형장치에 상기 결합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26)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연장금형부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금형부는 상기 회전커버(120)의 측면부(12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상기 결합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26)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되기는 실질적으로 어렵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26)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돌기(126)는 상기 결합돌기(123) 사이에 교번되도록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26)는 상기 회전커버(120)의 측면부(121)의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교번되어 돌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40)에는 상기 결합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26)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커버(120)의 상면부(122)에 형성된 금형관통공(124,127)에 각각 삽입 및 결합되는 상기 연장돌기부(142,143)가 하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연장돌기부(142,143)는 상기 결합돌기(123)와 상기 고정돌기(126)와 대응되는 각 금형관통공(124,127)의 내주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부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100,150)는 부품간의 조립을 위해 상기 회전커버(20,120)의 내주면에 돌설되는 각 돌기(23,123,126)가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상기 상면부(22,122)를 관통하는 금형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금형관통공(24,124,127)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덮개부(40,140)가 상기 회전커버(20,12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프로파일로 체결되어 커버함에 따라 시각적인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형장치가 상기 회전커버(20,120)의 상면부(22,122)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단순한 구조로 구비되더라도 상기 하우징(10,110)과 후크 결합되는 결합돌기(23,123)와 상기 조임수단이 걸림 고정되는 고정돌기(126)가 상호 엇갈리게 교번되어 돌설되므로 제조성 및 조립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덮개부(40,140)는 상기 회전커버(20,120)의 상면부에 단차지게 돌설된 단턱부(25)에 삽입되며 하면부에 하향 돌설된 연장돌기부(42,142,143)가 상기 금형관통공에 삽입 및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돌기부에 의해 상기 금형관통공의 빈 공간이 채워져 외부 압력 및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조임수단(130)은 와이어(w)가 권취되는 릴부(132)와, 상기 릴부(132)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래칫형 기어(114)와 맞물려 회전 조작되는 기어부재(13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기어부재(131)와 상기 릴부(132)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커버(120)가 회전 조작되면 상기 릴부(132)가 연동되면서 상기 와이어(w)가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부재(131)는 상기 래칫형 기어(114)에 맞물려 일방향 회전됨에 따라 상기 릴부(132)에 상기 와이어(w)가 권취되어 조여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기어부재(131)가 상기 릴부(132)와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커버(120)의 회전조작 유무에 상관없이 상기 릴부(132)가 상기 수용부(112)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여진 와이어(w)를 느슨하게 풀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w)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상기 기어부재(131)와 상기 릴부(132)가 맞물리도록 재조작하여 착용자의 발 사이즈 및 상황에 맞게 상기 와이어(w)가 조여진 상태를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임수단(130), 특히 상기 기어부재(131)는 그의 외주가 상기 회전커버(120)의 내주면을 따라 돌설된 상기 고정돌기(126)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120)의 조작시 안정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부(131)의 외주에는 상기 고정돌기(126)와 걸림 고정이 용이하도록 걸림단턱부(131a)가 반경방향으로 돌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재(131)가 상기 릴부(132)와 분리되도록 상기 회전커버(120)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결합돌기(123)가 상기 후크단턱부(113)에 걸림 고정되어 구속되므로 상기 회전커버(120)가 임의로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조임수단(130)의 세부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249420호 내지 등록특허 제10-1438572호에 개시된다.
더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릴부(132)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w)가 관통되는 경유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커버(220)와 상기 덮개부(24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돌기부(242)는 상기 금형관통공(224)를 관통하되 단부에 상기 조임수단(230)의 외주가 걸림 고정되는 구속돌기(2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덮개부(240)가 상기 회전커버(220)의 상면부(222) 상측에 형성된 상기 단턱부(225)의 내측에 삽입 체결되면, 상기 연장돌기부(242)는 상기 금형관통공(224)을 관통하여 상기 상면부(22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수단(230)은 상기 연장돌기부(242)의 단부에 돌설된 상기 구속돌기(24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220)의 상면부(222)는 상기 덮개부(240)와 상기 조임수단(230) 사이에 클램핑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부(240), 회전커버(220) 및 상기 조임수단(230)이 실질적으로 일체로 고정되므로 상기 회전커버(220)의 회전 조작시 상기 조임수단(130)의 구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임수단(230)의 외주가 걸림 고정되는 상기 구속돌기(244)가 상기 연장돌기부(242)의 단부에 일체로 돌설됨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220)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후크단턱부(213)에 후크 결합되는 상기 결합돌기(223)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커버(220)에도 상기 결합돌기(223)에 대응되는 금형관통공(224)만 형성되므로 상기 회전커버(220) 자체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22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 형상도 단순화됨에 따라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하우징 11 : 몸체부
13 : 후크단턱부 14 : 래칫형 기어
20 : 회전커버 21 : 측면부
22 : 상면부 23 : 결합돌기
24 : 금형관통공 25 : 단턱부
126 : 고정돌기 130 : 조임수단
131 : 기어부재 132 : 릴부
40 : 덮개부 41 : 베이스부
42 : 연장돌기부 100 : 와이어 조임장치
w : 와이어

Claims (5)

  1. 조임대상물에 고정되되, 래칫형 기어가 형성된 원통형 내면을 갖는 몸체부의 외곽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후크단턱부가 돌설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후크단턱부와 후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내측방향으로 돌설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금형관통공이 형성된 상면부를 포함하는 회전커버;
    상기 래칫형 기어에 물림되어 선택적으로 회전이 구속되되, 상기 회전커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임대상물의 양측에 연결된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조임수단; 및
    상기 회전커버의 상측을 커버하되 상기 금형관통공에 삽입 및 결합되는 연장돌기부가 하향 돌설된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커버의 측면부 내주면에는 상기 조임수단의 외주가 걸림 고정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원주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교번되어 돌설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금형관통공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돌기의 상측에 각각 관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버의 상면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단차지게 돌설된 단턱부가 외곽테두리를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돌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홈이 절개되며 단부에는 상기 금형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돌기부는 상기 금형관통공을 관통하되 단부에 상기 조임수단의 외주가 걸림 고정되는 구속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KR1020160105959A 2016-08-22 2016-08-22 와이어 조임장치 KR10172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59A KR101723577B1 (ko) 2016-08-22 2016-08-22 와이어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959A KR101723577B1 (ko) 2016-08-22 2016-08-22 와이어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577B1 true KR101723577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959A KR101723577B1 (ko) 2016-08-22 2016-08-22 와이어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03B1 (ko) * 2020-10-23 2021-02-16 정완기 카테터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27B1 (ko) 2005-06-27 2006-07-1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기
KR101025134B1 (ko) * 2010-10-11 2011-03-31 유디텔주식회사 동작 성능이 향상된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KR101249420B1 (ko) * 2012-12-17 2013-04-0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US20140359981A1 (en) * 2013-06-05 2014-12-11 Boa Technology Inc.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KR101648816B1 (ko) * 2016-02-11 2016-08-17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627B1 (ko) 2005-06-27 2006-07-1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기
KR101025134B1 (ko) * 2010-10-11 2011-03-31 유디텔주식회사 동작 성능이 향상된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KR101249420B1 (ko) * 2012-12-17 2013-04-0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US20140359981A1 (en) * 2013-06-05 2014-12-11 Boa Technology Inc.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KR101648816B1 (ko) * 2016-02-11 2016-08-17 하영호 와이어 조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03B1 (ko) * 2020-10-23 2021-02-16 정완기 카테터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204B2 (en) Wire tighten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for
US9486039B2 (en) Wire clamping device
EP3549473A1 (en) Wire tightening device
KR100953398B1 (ko) 신발끈 조임장치
JP5618244B2 (ja) 靴紐の締め装置
US2673381A (en) Quick lace shoelace tightener
KR101028468B1 (ko) 신발끈 조임장치
CA2875129C (en) Interchangeable strap closure system for footwear
KR101871890B1 (ko) 와이어 조임 장치
US20230140509A1 (en) Shoelace loosening prevention device
TWM507670U (zh) 繩索調整扣具
KR101707484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723577B1 (ko) 와이어 조임장치
US20030221334A1 (en) Link shoelace replacement
KR20160131296A (ko)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JP5818536B2 (ja) 靴紐通し具
KR200428163Y1 (ko) 신발끈 고정구
KR102143929B1 (ko) 끈 조임장치
KR10184413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KR101853083B1 (ko) 신발끈 고정장치
KR200440027Y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821302B1 (ko) 커버 교체가 가능한 와이어 조임장치
KR200408028Y1 (ko) 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식 신발 끈장식
KR101315194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763868B1 (ko) 와이어 조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