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541A -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541A
KR20160130541A KR1020150062416A KR20150062416A KR20160130541A KR 20160130541 A KR20160130541 A KR 20160130541A KR 1020150062416 A KR1020150062416 A KR 1020150062416A KR 20150062416 A KR20150062416 A KR 20150062416A KR 20160130541 A KR20160130541 A KR 20160130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terminal
teacher
electronic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택
Original Assignee
(주)웅진씽크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씽크빅 filed Critical (주)웅진씽크빅
Priority to KR1020150062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0541A/ko
Publication of KR2016013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학습자와 교사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전자도서에 대한 양방향 학습을 수행하고, 교사의 학습자 모니터링 및 학습자의 질의 응답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도록 한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전자도서를 표시하고, 상지 전자도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학습자 단말; 복수의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복수의 학습자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일 대 일로 연결되어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복수의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과 교사 단말을 포함하는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고, 학습 환경 점검이 완료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을 연결하여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수행을 요청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E-BOOK}
본 발명은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학습자와 교사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출판 업계는 기존의 실물 도서(즉, 활자 책)를 대신하는 전자도서(E-book)를 주요 대상으로 출판하고 있다.
전자 도서는 실물 도서에 포함된 콘텐츠를 디지털 정보를 가공한 출판물이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톱 등을 통해 다운로드하면, 어느 곳에서는 손쉽게 독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 단말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전자 도서의 이용률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 도서는 소설, 수필, 시집, 만화책 등과 같이 사용자들이 교양을 쌓거나, 취미 생활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자녀의 교육에 관심이 많은 한국에서는 온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교육 방법에 개발되고 있다. 온라인을 이용한 교육 방법의 일례로는 인강(인터넷 강의), 이스쿨(인터넷 학교), 사이버 대학 등이 있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온라인을 통한 교육 방법은 강의 영상을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영상을 시청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교육업체는 강사(교사)의 강의 상황을 녹화한 영상을 디지털 콘텐츠로 변환하여 서버에 저장한다. 학습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교육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즉, 강의)를 시청한다.
하지만, 종래의 온라인을 통한 교육 방법은 대부분 강사는 강의하고 학습자는 시청하는 단방향 교육 방식이다. 이에, 학습자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내용이 있는 경우 교육업체에서 운영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문의를 등록하고, 강사가 해당 문의에 대한 답변을 등록하기까지 대기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해당 내용에 대한 검색을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2728호(명칭: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학습자와 교사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전자도서에 대한 양방향 학습을 수행하고, 교사의 학습자 모니터링 및 학습자의 질의 응답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도록 한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전자도서를 표시하고, 상지 전자도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학습자 단말; 복수의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복수의 학습자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일 대 일로 연결되어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복수의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과 교사 단말을 포함하는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고, 학습 환경 점검이 완료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을 연결하여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수행을 요청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교사 단말은, 일 대 일로 연결된 학습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중인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고, 일 대 일로 연결된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자의 판서 및 음성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교사 단말은,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들의 학습 상태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한다.
서비스 서버는, 교사 단말과 학습자 단말의 전자도서 학습이 완료되면 학습자 단말에게로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을 요청하고, 학습 마무리 단계를 수행한 학습자 단말의 학습 결과 및 보상을 저장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은, 서비스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를 연결된 학습자 단말을 대상으로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교사 단말을 대상으로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한 학습 클래스의 담당 교사를 설정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 의해,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한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 및 교사 단말을 연결하여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 의해,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학습자 단말에게로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서비스 서버에 의해, 학습 마무리 단계를 수행한 학습자 단말의 학습 결과 및 보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학습자 단말에 의해, 학습 진도에 관련된 전자도서를 표시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에 의해, 전자도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교사 단말에 의해,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들에서 모니터링한 학습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학습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교사 단말에 의해,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한다.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교사 단말에 의해,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들 중에서 하나의 학습자 단말과 일 대 일로 연결하는 단계; 교사 단말에 의해, 일 대 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연결된 학습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중인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교사 단말에 의해, 일 대 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연결된 학습자 단말에게로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교사 단말에 의해, 일 대 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연결된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학습자의 판서 및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학습자의 학습이 느린 경우 학습자와 교사의 일 대 일 연결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이해되지 않는 내용에 대해 즉각적인 교사의 개입이 가능하여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은 학습 시간 전에 미리 학습자 단말로 학습 공지를 전송하여 학습 시간을 학습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종래의 인터넷 강의 등에서 학습자 홀로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학습자의 규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은 유사한 학습 진도를 갖는 학습자들이 포함되는 학습 클래스에 담당 교사를 설정하고, 학습자들과 담당 교사 간의 실시간 연결을 통해 전자도서를 학습함으로써, 학습자 간의 경쟁을 유도하고, 학습 상태 및 질문에 대한 담당 교사의 개입을 통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의 학습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도 11의 학습 클래스 생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도 11의 전자도서 학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의 학습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100), 복수의 교사 단말(200),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자도서는 텍스트 및 이미지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전자도서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상태 확인을 위한 디지털 문항, 동영상 강의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에 가입한 학습자들에 대한 학습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이름, 학습자 아이디, 비밀번호,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에 가입한 학습자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사들에 대한 교사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교사명, 담당 분야 등을 포함하는 교사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과 복수의 교사 단말(200)에게로 학습 공지를 전송한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스케줄, 학습 정보, 공지 사항 등을 포함하는 학습 공지를 학습자 단말(300)과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 설치되는 앱을 통한 푸쉬 메시지, 휴대 단말을 통한 문자 메시지 등으로 학습 공지를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개시 시간 이전에 미리 학습 공지를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과 복수의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즉,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학습 클래스 설정, 담당 교사 배정,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의 점검 등의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는 준비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학습 개시 시간의 설정시간 이전에 학습 공지를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과 복수의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학습 클래스 설정, 담당 교사 배정,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 점검 등의 학습 환경 점검에 대략 30분 정도가 필요하고, 학습 개시 시간이 오후 1시인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12시 30분에 학습 공지를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학습자 및 교사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전송받은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기저장된 학습자 정보 및 교사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복수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 클래스를 생성한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인증에 성공한 학습자들로부터 학습 진도를 포함하는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를 전송받는다. 서비스 서버(100)는 전송받은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학습 진도를 근거로 복수의 학습자를 포함하는 학습 클래스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된 학습진도를 학습 클래스의 학습진도로 설정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교사 정보를 근거로 학습 클래스를 담당하는 담당 교사를 설정한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교사 정보에 포함된 담당 분야를 근거로 생성된 복수의 학습 클래스 각각에 담당 교사를 설정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들의 학습진도를 근거로 담당 교사에게 요구되는 담당 분야를 추출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추출한 담당 분야를 포함하는 교사 정보에 해당하는 교사를 해당 학습 클래스의 담당 교사로 설정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클래스가 설정된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즉, 와이파이) 연결, 스피커, 마이크, 충전기 연결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환경 점검이 완료된 학습자 단말(300)들과 교사 단말(200)들을 학습 클래스별로 연결한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학습 클래스에 담당 교사로 설정된 교사 단말(200)과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교사 단말(200) 및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학습 종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종료 메시지와 함께 수신한 학습 결과를 학습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들과 연계하여 퀴즈 배틀, 학습 결과에 대한 보상(연속 출석 보상, 칭찬 도장, 별점 결과, 퀴즈 배틀 보상)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는 저장부(110), 인증부(130),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 학습 관리부(170), 통신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10)는 학습자 정보 및 교사 정보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110)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에 가입한 학습자들에 대한 학습자 정보 및 학습자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사들에 대한 교사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10)는 학습자 이름, 학습자 아이디, 비밀번호,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저장하고, 교사명, 담당 분야 등을 포함하는 교사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10)는 학습자 정보와 학습 결과 및 보상을 연계하여 저장한다. 즉, 저장부(110)는 학습 관리부(170)로부터 학습자별 학습 결과 및 보상을 수신하여 기저장된 학습자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한다.
인증부(130)는 학습자 단말(300) 또는 교사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부(130)는 수신한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저장부(110)에 저장한 학습자 정보 또는 교사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는 통신부(190)를 통해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학습 클래스를 생성한다. 즉,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는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로부터 학습 진도를 검출한다.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는 복수의 학습자들 중에서 동일한 학습 진도를 설정한 학습자들을 묶어 동일한 학습 클래스로 설정한다. 이때,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는 학습 효율을 위해 하나의 학습 클래스에 포함되는 최대 인원을 설정하고, 최대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동일한 학습 진도가 설정된 다른 학습 클래스를 생성한다.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는 생성한 학습 클래스의 담당 교사를 설정한다. 즉,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는 학습 클래스의 학습 진도 및 저장부(110)에 저장된 교사 정보를 근거로 학습 클래스의 담당 교사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는 학습 클래스의 학습진도를 근거로 담당 교사에게 요구되는 담당 분야를 추출한다.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는 추출한 담당 분야를 포함하는 교사 정보에 해당하는 교사를 해당 학습 클래스의 담당 교사로 설정한다.
학습 관리부(17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로 전송할 학습 공지를 생성한다. 즉, 학습 관리부(170)는 학습 스케줄, 학습 정보, 공지 사항 등을 포함하는 학습 공지를 생성한다. 학습 관리부(170)는 생성한 학습 공지를 통신부(190)로 전송한다. 이때, 학습 관리부(170)는 준비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학습 개시 시간의 설정시간 이전에 학습 공지를 통신부(190)로 전송한다.
학습 관리부(170)는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로 전송할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학습 관리부(170)는 네트워크(즉, 와이파이) 연결, 스피커, 마이크, 충전기 연결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90)로 전송한다.
학습 관리부(170)는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교사 단말(200) 및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학습 종료 메시지와 함께 수신한 학습 결과를 학습자별로 구분하여 저장부(110)로 전송한다.
학습 관리부(170)는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90)로 전송한다. 학습 관리부(170)는 학습자 단말(300)들과 연계하여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에 따른 보상을 학습자별로 설정하여 저장부(110)로 전송한다. 이때, 학습 관리부(170)는 퀴즈 배틀, 학습 결과에 대한 보상(연속 출석 보상, 칭찬 도장, 별점 결과, 퀴즈 배틀 보상)을 학습자별로 설정한다.
통신부(190)는 학습 관리부(170)에서 생성한 학습 공지를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19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 설치된 앱을 통한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학습 공지를 전송한다.
통신부(19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통신부(190)는 수신한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인증부(130)에게로 전송한다.
통신부(190)는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통신부(190)는 수신한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를 학습 클래스 생성부(150)에게로 전송한다.
통신부(190)는 학습 관리부(170)에서 전송받은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 및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 요청 메시지를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통신부(190)는 교사 단말(200) 및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학습 종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부(190)는 학습 종료 메시지와 함께 학습 결과를 수신하여 학습 관리부(170)에게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교사의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 이용을 위한 교사용 앱이 설치된다. 교사 단말(200)은 교사용 앱을 통해 푸쉬 메시지 형태의 학습 공지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교사 단말(200)은 교사에 의해 푸쉬 메시지(즉, 학습 공지)의 확인이 처리되면 교사용 앱을 실행한다. 여기서, 교사 단말(200)은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 이외에도, 랩톱, 데스크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교사 단말(200)은 교사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교사 단말(200)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 교사 단말(200)은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학습 환경 점검을 수행한다. 즉, 교사 단말(200)은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즉, 와이파이) 연결, 스피커, 마이크, 충전기 연결 등의 학습 환경을 점검하기 위한 화면을 교사용 앱을 통해 화면 표시한다. 교사 단말(200)은 모든 학습 환경에 대한 점검이 완료되면 학습 환경 점검 완료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담당 교사로 설정된 학습 클래스의 학습자 단말(300)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교사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자기 주도 학습 단계의 학습 상태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즉,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들이 전자도서를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을 수행함에 따른 학습 상태(즉, 학습 진행 상태)를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영상, 전자도서의 진행 상황 등을 포함하는 학습 상태를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다. 교사 단말(200)은 수신한 학습 상태를 다수의 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상태를 근거로 학습자 단말(300)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즉, 교사 단말(200)은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거나, 학습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일 대 일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교사 단말(200)은 학습 상태가 다른 학습자 단말(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거나, 학습에 이용되는 전자 도서의 특정 페이지에서 머무는 시간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거나, 학습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교사 단말(200)은 일 대 일로 연결된 학습자 단말(300)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을 이용하는 학습자의 이해를 돕거나, 학습을 독려하기 위한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입력받아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전송한다. 여기서,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과의 일 대 일 연결시 학습자 단말(300)과 서로 간에 입력된 판서 및 음성을 공유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학습자 단말(300)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교사 단말(200)은 일 대 일로 연결된 학습자 단말(300)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의 질의 요청에 대한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입력받는다. 교사 단말(200)은 입력된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연결된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교사 단말(200)은 다른 학습자 단말(300)과 일 대 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대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질의 요청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어 이전에 연결된 학습자 단말(300)과의 연결이 종료되며, 다음 질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학습자 단말(300)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여기서, 교사 단말(200)은 동일한 질의 내용을 포함하는 질의 요청 메시지를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일 대 다수 연결을 통해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들과 연결되어 질의 내용에 대한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들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과의 일 대 일 연결시 학습자 단말(300)과 서로 간에 입력된 판서 및 음성을 공유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들에게로 학습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교사 단말(200)은 학습 종료 시간의 설정 시간 이전에 질문 접수 마감 안내 및 학습 종료 안내를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교사 단말(200)은 학습 종료 10분 전에 학습자 단말(300)들에게로 질문 접수 마감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교사 단말(200)은 학습 종료 1분 전에 학습 종료 안내 메시지를 학습자 단말(300)들에게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이 종료되면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학습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의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 이용을 위한 학습자용 앱이 설치된다.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용 앱을 통해 푸쉬 메시지 형태의 학습 공지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에 의해 푸쉬 메시지(즉, 학습 공지)의 확인이 처리되면 학습자용 앱을 실행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학습자 단말(300)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 학습자 단말(300)은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학습 진도를 입력받는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진도를 과목, 단계, 호수를 각각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출력하고, 각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 진도를 입력받는다. 학습 진도를 입력하는 화면을 학습자용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입력받은 학습 진도를 포함하는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클래스 생성이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학습 환경 점검을 수행한다. 즉,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즉, 와이파이) 연결 점검 화면, 스피커 점검 화면, 마이크 점검 화면, 충전기 연결 점검 화면 등을 학습자용 앱을 통해 화면 표시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모든 학습 환경에 대한 점검이 완료되면 학습 환경 점검 완료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환경 점검이 완료되면 동일한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 앱을 통해 학습 준비 단계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 즉,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들 간의 채팅, 학습 관련 영상 재생, 학습 관련 영상에 대한 토론 등에 관련된 화면을 학습자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들의 영상(또는 프로필 사진)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들간의 채팅 또는 토론을 위한 채팅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준비 단계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담당 교사로 설정된 교사 단말(200) 및 학습 클래스의 학습자 단말(300)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학습자 단말(300)은 자기 주도 학습 단계의 수행을 위해 기설정된 학습 진도에 관련된 전자도서를 학습자용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즉,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진도에 따른 문항이 포함된 전자도서를 학습자용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진도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후,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진도에 해당하는 전자도서를 선택하는 화면(도 7 참고)을 표시하고, 선택한 전자도서 이용하여 자기 주도 학습을 수행하는 화면(도 8 참고)을 표시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300)은 카메라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촬영한 영상, 학습 진도 등을 포함하는 학습 상태를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화면 표시된 전자도서에 포함된 문항에 대한 응답을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다. 학습자 단말(300)은 입력된 응답과 해당 문항의 정답을 비교하여 문항별로 채점을 수행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 영상, 질의 요청 버튼 등을 포함하는 자기 주도 학습 관련 인터페이스를 전자도서와 함께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에 의해 질의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질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 단말(200)과 일 대 일로 연결되며, 출력중인 화면(즉, 문항을 포함한 전자도서)을 교사 단말(200)과 공유한다(도 9 참고).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 단말(200)로부터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전송받는다. 즉, 학습자 단말(300)은 질의 요청 버튼인 선택될 때 출력되는 화면에 포함된 문항에 대한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교사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판서 및 음성을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 단말(200)로부터 요청에 따라 교사 단말(200)과 일 대 일로 연결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화면을 공유하고, 판서 및 음성을 교환할 수도 있다.
학습자 단말(300)은 질의 요청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교사 단말(200)과의 일 대 일 연결을 종료한 후, 교사 및 학습자의 판서 및 음성이 포함된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 단말(200)로부터 학습 종료 메시지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즉, 학습자 단말(300)은 질문 접수 마감 안내 및 학습 종료 안내를 포함하는 학습 종료 메시지를 교사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이 종료되면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학습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의 학습 결과(즉, 자기 주도 학습의 결과)를 포함하는 학습 종료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학습자 앱을 통해 학습 마무리 단계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다. 즉, 학습자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100)와 연계하여 퀴즈 배틀(도 10 참고), 학습 결과에 대한 보상(연속 출석 보상, 칭찬 도장, 별점 결과, 퀴즈 배틀 보상)에 관련된 화면을 학습자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학습 클래스 생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전자도서 학습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서비스 서버(100)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학습 공지를 전송한다(S100). 즉,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스케줄, 학습 정보, 공지 사항 등을 포함하는 학습 공지를 학습자 단말(300)과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개시 시간 이전에 미리 학습 공지를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과 복수의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 설치되는 앱을 통한 푸쉬 메시지, 휴대 단말을 통한 문자 메시지 등으로 학습 공지를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S200). 즉,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 교사 단말(200)은 교사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다.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기저장된 학습자 정보 및 교사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을 대상으로 학습 클래스를 생성한다(S300). 이를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학습 진도를 포함하는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310). 즉, 학습자 단말(300)은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학습자에게 학습 진도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은 학습 진도를 포함하는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한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학습자 단말(300)을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한다(S320). 즉,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클래스 생성 요청 메시지로부터 학습 진도를 검출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진도가 동일한 학습자 단말(300)들을 그룹으로 분류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동일 그룹에 속한 복수의 학습자 단말(300)들을 묶어 학습 클래스를 생성한다(S330).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효율을 위해 하나의 학습 클래스에 포함되는 최대 인원을 설정하고, 최대 인원을 초과하는 경우 동일한 학습 진도가 설정된 다른 학습 클래스를 생성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교사 정보를 근거로 학습 클래스를 담당하는 담당 교사를 설정한다(S400). 즉, 서비스 서버(100)는 교사 정보에 포함된 담당 분야를 근거로 생성된 복수의 학습 클래스 각각에 담당 교사를 설정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들의 학습진도를 근거로 담당 교사에게 요구되는 담당 분야를 추출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추출한 담당 분야를 포함하는 교사 정보에 해당하는 교사를 해당 학습 클래스의 담당 교사로 설정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들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학습 환경 점검을 요청한다(S500). 즉,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 클래스가 설정된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즉, 와이파이) 연결, 스피커, 마이크, 충전기 연결 등의 항목을 포함하는 학습 환경 점검 요청 메시지를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은 학습 환경을 점검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 및 교사 단말(200)의 학습 환경 점검이 완료되면 학습자 단말(300)들과 교사 단말(200)들을 학습 클래스별로 연결한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학습 클래스에 담당 교사로 설정된 교사 단말(200)과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한다.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300)들과 교사 단말(200)이 연계하여 전자도서 학습을 수행한다(S600). 이를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학습자 단말(300)은 자기 주도 학습 단계의 수행을 위해 기설정된 학습 진도에 관련된 전자도서를 학습자용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S610). 즉,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진도에 따른 문항이 포함된 전자도서를 학습자용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학습자 단말(300)은 전자도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S620). 이때,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 영상, 전자도서의 진행 상황 등을 포함하는 학습 상태를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한 학습 상태를 교사용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S630). 즉,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들이 전자도서를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을 수행함에 따른 학습 상태(즉, 학습 진행 상태)를 학습자 단말(300)들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교사 단말(200)은 수신한 학습 상태를 다수의 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의 학습 상태 또는 질의 응답 요청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근거로 학습자 단말(300)의 일 대 일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교사 단말(200)은 학습 상태를 근거로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거나, 학습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질의 응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학습자 단말(300)의 일 대 일 연결로 판단한다. 학습자 단말(300)의 일 대 일 연결로 판단하면(S640; 예),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일 대 일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650).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 단말(200)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에서 현재 출력중인 화면을 공유한다(S660). 즉, 학습자 단말(300)은 현재 출력중인 화면을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화면을 출력하여 학습자 단말(300)과 동일한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교사 단말(200)은 다른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질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대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이전에 연결된 학습자 단말(300)과의 연결이 종료되면 일 대 일 연결을 대기중인 다음 학습자 단말(300)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교사 단말(200)은 교사로부터 입력되는 판서 및 음성을 일 대 일로 연결된 학습자 단말(300)에게로 전송한다(670).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판서 및 음성을 출력한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판서 및 음성을 교사 단말(200)에게로 전송하고, 교사 단말(200)은 학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학습자의 판서 및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학습자 단말(300)은 교사 및 학습자의 판서 및 음성이 포함된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교사 단말(200) 및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학습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S680). 즉, 교사 단말(200)은 학습 종료 시간의 설정 시간 이전에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들에게로 질문 접수 마감 안내(즉, 질문 접수 마감 안내 메시지)를 학습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은 학습 종료 시간이 도래하면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300)들에게로 학습 종료 안내(즉, 학습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사 단말(200) 및 학습자 단말(300)은 학습이 종료되면 서비스 서버(100)에게로 학습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들 및 교사 단말(200)로부터 학습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학습자 단말(300)들에게로 학습 만무리 단계 수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학습자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100)와 연계하여 퀴즈 배틀, 학습 결과에 대한 보상에 관련된 화면을 학습자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하여 학습 마무리 단계를 수행한다(S700).
서비스 서버(100)는 학습자 단말(300)들과 연계한 학습 마무리 단계 및 학습 결과에 대한 보상을 저장한다(S800). 즉, 서비스 서버(100)는 퀴즈 배틀 등의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에 따른 보상, 학습 결과에 대한 보상(연속 출석 보상, 칭찬 도장, 별점 결과, 퀴즈 배틀 보상) 등을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학습자의 학습이 느린 경우 학습자와 교사의 일 대 일 연결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가 이해되지 않는 내용에 대해 즉각적인 교사의 개입이 가능하여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은 학습 시간 전에 미리 학습자 단말로 학습 공지를 전송하여 학습 시간을 학습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종래의 인터넷 강의 등에서 학습자 홀로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학습자의 규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은 유사한 학습 진도를 갖는 학습자들이 포함되는 학습 클래스에 담당 교사를 설정하고, 학습자들과 담당 교사 간의 실시간 연결을 통해 전자도서를 학습함으로써, 학습자 간의 경쟁을 유도하고, 학습 상태 및 질문에 대한 담당 교사의 개입을 통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서비스 서버 110: 저장부
130: 인증부 150: 학습 클래스 생성부
170: 학습 관리부 190: 통신부
200: 교사 단말 300: 학습자 단말

Claims (9)

  1. 전자도서를 표시하고, 상지 전자도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학습자 단말;
    상기 복수의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학습자 단말 중 어느 하나와 일 대 일로 연결되어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복수의 교사 단말; 및
    상기 복수의 학습자 단말과 상기 교사 단말을 포함하는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고, 학습 환경 점검이 완료된 교사 단말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을 연결하여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수행을 요청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사 단말은,
    일 대 일로 연결된 학습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중인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일 대 일로 연결된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자의 판서 및 음성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사 단말은,
    상기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들의 학습 상태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교사 단말과 학습자 단말의 전자도서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학습자 단말에게로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을 요청하고, 상기 학습 마무리 단계를 수행한 학습자 단말의 학습 결과 및 보상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5. 서비스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를 연결된 학습자 단말을 대상으로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교사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한 학습 클래스의 담당 교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학습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한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 및 교사 단말을 연결하여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학습자 단말에게로 학습 마무리 단계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학습 마무리 단계를 수행한 학습자 단말의 학습 결과 및 보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에 의해, 학습 진도에 관련된 전자도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전자도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교사 단말에 의해,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들에서 모니터링한 학습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학습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교사 단말에 의해,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복수의 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교사 단말에 의해, 상기 학습 클래스에 포함된 학습자 단말들 중에서 하나의 학습자 단말과 일 대 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교사 단말에 의해, 상기 일 대 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연결된 학습자 단말에서 현재 출력중인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교사 단말에 의해, 상기 일 대 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연결된 학습자 단말에게로 교사의 판서 및 음성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교사 단말에 의해, 상기 일 대 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 연결된 학습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학습자의 판서 및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1020150062416A 2015-05-04 2015-05-04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0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16A KR20160130541A (ko) 2015-05-04 2015-05-04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16A KR20160130541A (ko) 2015-05-04 2015-05-04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541A true KR20160130541A (ko) 2016-11-14

Family

ID=5752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416A KR20160130541A (ko) 2015-05-04 2015-05-04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05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728A (ko) 2011-12-15 2013-07-22 메가스터디(주)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728A (ko) 2011-12-15 2013-07-22 메가스터디(주)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rokova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education
KR101460090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32964A (ja) 教育指導システム
CN101218616A (zh) 语言学习的系统和方法
Honda et al. Teledebriefing in medical simulation
Lyken-Segosebe et al. Boundary Crossing for Education Continuity: Exploring WhatsApp's Potential in Botswana During and Beyond the Pandemic.
Rizzardini et al. An open online course with accessibility features
KR20130089962A (ko) 앱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영상 교육시스템
Ma et al. Ubiquitous learning for distance education students: The experience of conducting real-time online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through mobile technology
CN112767759A (zh) 一种直播网课的互动方法、互动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JP2016040591A (ja) スマートフォンを利用した学習能力開発システム
KR102528509B1 (ko) 양방향 소통형 온라인 교육환경 제공 방법
KR20130109510A (ko) 자동 생성 스케줄로 관리되는 복수의 멘토에 의한 전화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30541A (ko) 전자도서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9424A (ko) 전자도서 학습을 위한 학습 클래스 생성 장치 및 방법
Sediyaningsih et al. Communication challenges in distance learning
Annku Technology-enhanced teaching and learning: a case of the faculty of art in Kwame Nkrum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fendi Types of Learning Media in Primary School during Covid-19
Hummel et al. 5.1 E-Pedgaogy and Digitally Enhanced Learning Environments
Senevirathne et al. Review of the prevailing trends in online learning amidst the Covid-19 pandemic: empirical study of the higher education sector in Sri Lanka
Pesek et al. Students'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University in COVID-19 Constrained Education
JP5833280B1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学習支援方法
Race Lectures, seminars and academic advising
Tunjera et al. Mobile Technologies Revolutionizing Teacher Preparation for Effective Education 4.0 Outcomes in Marginalised Communities
Salunkhe et al. Smart Classroom Using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