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449A - 발포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포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449A
KR20160130449A KR1020167027495A KR20167027495A KR20160130449A KR 20160130449 A KR20160130449 A KR 20160130449A KR 1020167027495 A KR1020167027495 A KR 1020167027495A KR 20167027495 A KR20167027495 A KR 20167027495A KR 20160130449 A KR20160130449 A KR 20160130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able
cosmetic product
solid cosmetic
product accord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콘스탄틴
마가렛 조안 콘스탄틴
헬렌 엘리자베스 앰브로센
Original Assignee
코스메틱 워리어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메틱 워리어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스메틱 워리어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3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4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33Distinct layers, e.g. core/shell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non-effervescent) 내부물질(여기서 고체 담체 물질은 분말이고, 비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발포성 외부물질(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고)을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envelop)된 고체 화장료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포성 조성물{EFFERVESC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제품, 상기 화장료 제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특히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와의 접촉하여 사용하는 계면활성제에 관한 것이다.
Bath BombRTM 또는 BallisticRTM은 점점 인기를 얻고 있는 입욕 제품이다. 이러한 제품들은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임의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디자인된다. 이 제품들은 중탄산나트륨과 시트르산을 함유하여 물과 접촉 시 이산화탄소를 발생한다. 이러한 기포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제공한다. 이 제품은 또한 일반적으로 오일 및/또는 착향제를 함유하고, 이것은 기포와 함께 방출된다. 이러한 방출은 사용자의 감각적 경험에 추가된다.
계면활성제 제품, 예컨대 거품입욕제(bubble bath), 샴푸, 샤워젤 및 치약은 잘 알려진 화장료 제품 및 개인위생용품이다. 거품입욕 제품은 일반적으로 액체 형태로 제공된다. 이 제품들은 최종 사용자에게 용기 형태로 판매되어 최종 사용자가 덜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포장의 필수적 사용이라는 단점이 있다. 환경적 관점에서 포장 폐기물은 재활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문제이다. 적어도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입욕 거품을 만드는 고체 물질이 점점 더 선호되고 있다. 고체 계면활성제 물질은 Bubble BarRTM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O00/47181에서는 고체이고 정제 또는 막대 형태의 계면활성제 제품 버블바(bubble bar)를 기술하였다. 필요한 경우, 고체 제품의 일부를 바에서 떼어 사용할 수 있다. WO00/47181의 제품은 타르타르 크림, 중탄산나트륨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이 제품은 환경문제를 해결하였지만 다른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시 사용자가 목욕물에 필요한 양의 제품을, 예를 들어 흐르는 물에 고체 제품을 유지하여 적용해야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필요량의 거품이 생성된다. 또한, 일부 사용자들은 이 제품들이 배쓰 발리스틱(Bath Ballistic)이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체험'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WO2011/154727의 요지로 해결되었다. 이 문헌에서는, 2개의 기포발생층, 즉 발포층(effervescent layer)을 갖는 이중층 배쓰 발리스틱 타입 제품을 기술하였다. 외부층(outer layer)은 물과 접촉 시 격렬하게 발포하는 배쓰 발리스틱 타입 물질이고, 내부층은 버블바 타입 물질과 배쓰 발리스틱 물질의 혼합물이다. 내부층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물과 접촉 시 외부물질보다 서서히 발포하여 계면활성제와 물이 혼합되면 거품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향상된 경험의 목욕을 제공하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i)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non-effervescent) 내부물질(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발포성 외부물질(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을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envelop)된 고체 화장료 제품을 제공한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b)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발포성 외부물질로 봉입(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된,
(i)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non-effervescent) 내부물질(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발포성 외부물질(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을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envelop)된 고체 화장료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득하거나 수득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한다.
참고하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상기한 측면들 및 추가적 측면들을 이하 적절한 섹션 제목 하에 기술하였다. 그러나, 각 섹션 하의 교시는 각각의 특정 섹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점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색소와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분말인 비발포성 내부물질과,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된 내부층을 봉입하고 있는 발포성 외부물질을 함유하는 제품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입욕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매우 쾌적한 입욕감을 창출하는 제품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일단 입욕이 실행되면 제품이 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자신을 욕조에 담그기 전 또는 후일 수 있다. 이후, 제품이 물에 투입된다. 제품 외부층의 중탄산나트륨과 시트르산은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이것이 제품의 초기 발포를 야기한다. 일정 기간 후에 물은 물질의 외피에 침투하여 제품의 코어물질(core material)로 유입된다. 코어물질은 착색된 비발포성 물질 분말인 고체 담체 물질로 이루어진다. 물이 착색된 코어와 혼합되고, 또한 외피 물질의 안쪽면과 접촉된다. 이러한 발포성 외피 물질과의 접촉으로 외피 내부에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 이산화탄소가 물, 색소 및 담체의 혼합물을 제품 내부에서 욕조로 방출한다. 비발포성 물질의 분말 성질로 인하여 비발포성 물질이 물에 의해 용이하게 용해 및/또는 분산될 수 있다. 배출된 색소는 물(욕조)에서 시각적으로 즐거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험을 향상하는 패턴을 생성한다. 또한, 비발포성 코어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물이 외피 물질의 내부 표면과 용이하게 반응할 수 있다. 이로써 색소를 배출하는 가스의 특별히 신속한 발생이 일어난다. 이것은 코어물질과 물이 반응하는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된다.
조성물
본 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i)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non-effervescent) 내부물질(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발포성 외부물질(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을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envelop)된 고체 화장료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체 제품은 예를 들어 포장재 등의 외부 수단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도 그 물리적 형태를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조성물이다. 따라서, 이들 제품은 실온에서 고체, 고체 유사, 고체 형태 또는 고체-유사 형태인 것으로 고려된다.
고체-유사라는 것은, 어떤 물질들, 예를 들어 유리 등의 무정형 물질은 하루하루를 기준으로 보면 고체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극히 장기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형태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충족하는 목적에 있어서 이들은 고체이기 때문에, 그것들은 고체-유사로 여겨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의 고체 형태로 인하여 조성물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외부 포장재는 필요하지 않다.
본 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발포성 외부층은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봉입한다.
비발포성 물질(Non-effervescent Materl )
비발포성 물질(Non-effervescent Materl)은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한다.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비발포성 물질"이 물과 접촉 시 발포하지 않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체 담체 물질은 분말이고,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다. 당업자들이 이해하는 바와 같이, 분말은 함께 접착되지 않는 입자들로 구성된 고체 물질이다. 따라서, 비발포성 물질은 연속성 고체 덩어리를 형성하기 위해 압축이나 다른 수단으로 함께 접착된 분말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분말은 자유 유동(free flowing) 분말이다. 자유 유동 분말의 성질과 특성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자유 유동 분말은 중력의 작용 하에서 분말로서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비발포성 분말 물질의 바람직한 분산을 제공하기 위해, 분말은 사용 시 물과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분말 입자 간 접착이 없거나 거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측면에서 접착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비발포성 물질은 바인더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이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5wt% 미만,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2wt% 미만,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1wt% 미만,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5wt% 미만,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wt% 미만,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05wt% 미만,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01wt% 미만의 양을 의미한다.
또한, 비발포성 분말 물질의 바람직한 분산을 제공하고, 특히 분말 입자 간의 접착을 감소 또는 방지하기 위해 비발포성 물질은 케이킹 방지제(anti-caking age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케이킹 방지제를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 내지 8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 내지 6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 내지 4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1 내지 4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1 내지 4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1 내지 3 wt% 의 양으로 포함한다.
분말의 밀도는 비발포성 분말 물질의 요구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분말의 밀도가 겉보기 밀도(bulk density)로서 측정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3 g/cm3 미만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2.6 g/cm3 미만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2.5 g/cm3 미만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2 g/cm3 미만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1.5 g/cm3 미만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1.3 g/cm3 미만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0.7 g/cm3 미만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상기한 것을 청구하고, 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0.6 g/cm3 미만의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3 내지 0.4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2.6 내지 0.4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2.5 내지 0.4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2 내지 0.4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1.5 내지 0.4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1.3 내지 0.4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0.7 내지 0.4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상기한 것을 청구하고, 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0.6 내지 0.4 g/cm3의 밀도를 갖는다.
발포성 외부물질은 일반적으로 분말의 접착으로 형성되어 고체(비-분말) 물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발포성 물질은 적어도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중탄산나트륨 및 시트르산이 이후에 함께 압축되어 고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포성 물질이 비발포성 물질보다 더 큰 밀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외부물질 밀도의 90% 이하의, 겉보기 밀도로 측정된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외부물질 밀도의 80% 이하의, 겉보기 밀도로 측정된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외부물질 밀도의 70% 이하의, 겉보기 밀도로 측정된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외부물질 밀도의 90% 내지 60%의, 겉보기 밀도로 측정된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외부물질 밀도의 80% 내지 60%의, 겉보기 밀도로 측정된 밀도를 갖는다.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발포성 외부물질 밀도의 70% 내지 60%의, 겉보기 밀도로 측정된 밀도를 갖는다.
고체 담체 물질은 수용성이거나 수 불용성일 수 있다. 고체 담체 물질은 수용성 분말이거나 수 불용성 분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체 담체 물질은 수용성 분말이다. 수용성이란 30℃에서 물 100g 당 적어도 10g의 용해도를 의미한다.
적합한 고체 담체 물질은 염, 당, 솔비톨, 타르타르 크림,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점토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분말이다. 바람직한 점토는 카올린, 풀러토(fullers earth) 및 벤토나이트 점토이다. 일 측면에서 고체 담체 물질은 염, 당, 솔비톨, 타르타르 크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염은 바다 소금(sea salt)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당은 정제당(castor sugar)이다. 실제로 이것들이 바람직한 고체 담체 물질이다. 일 측면에서 고체 담체 물질은 염, 당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일 측면에서 고체 담체 물질은 바다 소금, 정제당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일 측면에서 고체 담체 물질은 바다 소금이다. 일 측면에서 고체 담체 물질은 정제당이다.
또한, 염은 입욕 제품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유익하다. 염은 물의 삼투압 밸런스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물이 삼투를 통해 피부 세포에 의해 거의 흡수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일부 입욕용 염, 예컨대 인산염은 세정작용을 가지며, 이것은 굳은 피부를 연화하고 각질제거에 도움을 준다. 일부 입욕용 염은 물 연화제로 작용하여 비누가 씻겨 나가는 경로를 변경한다. 염의 높은 농도는 물의 밀도를 증가시켜서 부력을 증가시킨다. 이는 욕조에서 몸이 더 가볍게 느껴지도록 만든다. 수중에서 매우 고농도의 염은 수많은 격리탱크요법(isolation tank therapies)뿐만 아니라 관절염의 치료에서도 사용된다.
비발포성 물질은 본질적으로 계면활성제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들은 제품이 물과 접촉할 때 발색을 손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1 wt% 미만의 양으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 wt% 미만의 양으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01 wt% 미만의 양으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실질적으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1 wt% 미만의 양으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 wt% 미만의 양으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01 wt% 미만의 양으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실질적으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합하여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합하여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합하여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실질적으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1 wt% 미만의 양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1 wt% 미만의 양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001 wt% 미만의 양으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비발포성 물질은 식물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식물성 물질은 허브, 곡물, 과일, 꽃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꽃, 특히 꽃잎을 더 포함한다.
비발포성 물질은 추가로 색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비발포성 물질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wt%의 양으로 색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비발포성 물질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 wt%의 양으로 색소를 포함한다.
비발포성 물질은 고체 담체 물질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비발포성 물질은 고체 담체 물질을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50 내지 95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60 내지 95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65 내지 95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70 내지 95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75 내지 95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80 내지 95 wt% 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85 내지 9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고체 담체 물질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2 내지 2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비발포성 물질은 고체 담체 물질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5 내지 20 wt%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wt%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10 내지 1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식물성 물질을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5 내지 30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비발포성 물질은 식물성 물질을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10 내지 30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10 내지 25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15 내지 25 wt%의 양으로, 예컨대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15 내지 2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비발포성 물질은 식물성 물질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1 내지 1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비발포성 물질은 식물성 물질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wt%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1 내지 8 wt%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1 내지 6 wt%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1 내지 4 wt%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1 내지 4 wt%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1 내지 4 wt%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1 내지 3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발포성 물질(Effervescent Material)
발포성 물질(Effervescent Material)은 물과 접촉했을 때 발포하는 적절한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적어도 중탄산나트륨과 시트르산을 포함한다. 발포성 물질들은 발포를 하는데 적합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당업자들이라면 목적하는 발포 속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물질들을 조합할 수 있다. 중탄산나트륨의 대체물질은 세스퀴탄산나트륨(sodium sesquicarbonate)이다. 시트르산의 대체물질은 타르타르산이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40 내지 8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40 내지 7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45 내지 7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50 내지 7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55 내지 7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60 내지 7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대략 6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35 내지 7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40 내지 7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45 내지 7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50 내지 7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55 내지 7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60 내지 7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중탄산나트륨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대략 6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20 내지 5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25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25 내지 4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25 내지 3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10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20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30 내지 5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30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시트르산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30 내지 40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색소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포성 외부물질은 색소를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 wt%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임의의 적합한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라우릴 베타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존재할 경우 적합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계면활성제를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2 내지 10%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본질적으로 계면활성제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실질적으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실질적으로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합하여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합하여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합하여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실질적으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코카미드 디에탄올아민 및 라우릴 베타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계면활성제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계면활성제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계면활성제를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0.001 wt% 미만의 양으로 함유한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외부물질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착향제(fragrance)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착향제는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5 내지 4 wt%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착향제를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1 내지 4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착향제를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2 내지 4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착향제를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2.5 내지 3.5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은 착향제를 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대략 3 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발포성 물질 성분들과 이들 조합물의 밀도는 발포성 물질의 필요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의 밀도는 3 g/cm3 미만이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의 밀도는 2.6 g/cm3 미만이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의 밀도는 2.5 g/cm3 미만이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의 밀도는 2 g/cm3 미만이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의 밀도는 3 내지 1.5 g/cm3이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의 밀도는 2.6 내지 1.5 g/cm3이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의 밀도는 2.5 내지 1.5 g/cm3이다. 일 측면에서 발포성 물질의 밀도는 2 내지 1.5 g/cm3이다.
제품
발포성 물질과 비발포성 물질을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한다. 제품은 당연히 발포성 물질과 비발포성 물질 이외의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일 측면에서 제품은 발포성 물질과 비발포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발포성 물질과 비발포성 물질은 임의의 적합한 비율로 조합되어 목적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발포성 물질 대 비발포성 물질의 바람직한 비율은 (중량 기준) 9:1 내지 1:9, 9:1 내지 1:4, 9:1 내지 1:2, 9:1 내지 1:1, 9:1 내지 2:1, 9:1 내지 4:1, 9:1 내지 6:1, 및 9:1 내지 6:1이다.
당업자라면 발포성 및 비발포성 물질에 대한 물질의 양과 상기한 비율을 기초로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품의 성분들은 최종 제품의 밀도가 3 g/cm3 미만, 예컨대 2.5 g/cm3 미만, 2 g/cm3 미만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발포성 물질과 비발포성 물질은 각각 임의로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색소를 함유할 수 있다. 양 물질이 색소를 함유하는 경우 외부물질의 색상이 사용시 물에 분산되도록 색상이 선택될 수 있다. 물이 내부물질에 침투하면 무색(non-colour)이 분산될 수 있다. 비발포성 색상이 발포성 색상과 다른 경우, 발포성 색상과 조합하여 물의 색 변화를 제공하게 된다.
방법
본 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발포성 외부물질로 봉입(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된, 본 원에 기술된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일 측면에서, 방법은:
i) 비발포성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ii) 비발포성 물질을 발포성 물질로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하나를 초과하는 섹션의 발포성 외부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반구(hemi spherical)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섹션 내에 리세스(recess) 또는 압입(indentation)이 제공되어 비발포성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양 반구 섹션 안으로 압입이 반구의 원형면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비발포성 분말 물질이 리세스 또는 압입 내에 위치한다. 섹션들은 나중에 통합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반구 섹션은 함께 접착되어 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i) 다수의 발포성 외부물질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
(ii) 하나 이상의 발포성 외부물질 섹션 내에 비발포성 물질의 리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iii) 발포성 외부물질 내의 리세스에 비발포성 물질을 삽입하는 단계;
(iv) 다수의 발포성 외부물질 섹션을 조합하여 발포성 외부물질로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단계 i)의 비발포성 물질은 미리 정해진 형태로 응고된다. 단계 i)의 비발포성 물질의 응고 후에 발포성 물질은 고체 주위에 위치하여 이를 봉입한다. 단계 ii)의 발포성 물질은 또한 전형적으로 미리 정해진 형태로 응고된다. 가능한 형태는 구, 정육면체, 직육면체 및 원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품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제품은 심미적으로 좋은 형태 및/ 또는 제품의 사용에 도움이 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인체공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형태로 응고시키는 방식으로 고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한 일 구현예에서, 단계 ⅰ) 및/또는 단계 ⅱ)의 혼합물을 몰드 안으로 압축시키고, 응고시키고, 그 후 뒤집어서 고체 제품을 생산한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체 제품은 하나 이상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단계 ⅰ) 및/또는 단계 ⅱ)의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본원에서 정의되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와 결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 방법으로 다음 조성물이 제조된다.
Figure pct00001
방법
1. 중탄산염 상(Bicarbonate Phase)을 색소 및 착향제와 균일한 분포를 얻기 위해 혼합한다.
2. 산 상을 중탄산염 상에 체질하고 완전히 혼합한다.
3. 중탄산염:산 믹스를 몰드에 충전하고 몰드의 중심을 비운다.
4. 비어있는 중심을 코어 믹스로 충전하고 함께 가압한다.
바람직한 조성물 & 추가적인 성분
본 발명의 고체 제품은 또한, 하나 이상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분야 기술자는 상기 조성물에 혼입하기에 적합한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의 범위를 알고 있다. 과일 및 허브 추출물과 쥬스, 식물성 오일 및 에센셜 오일은 모두 조성물과 화합할 수 있다. 과일 및 허브 추출물 및 즙, 식물성 오일 및 에센셜 오일은 모두 조성물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색소는 천연적으로 유래된 색소와 합성 색소 모두를 제품의 착색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탄산나트륨 또한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에센셜 오일, 비타민, 착향제, 색소, 점토, 식물성 버터, 장식용 아이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중 약 0.2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에센셜 오일은 원하는 향, 다루어지는 피부 타입 및 에센셜 오일의 주지한 성질을 기초로 하는 다른 희망되는 효과를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에센셜 오일의 첨가는, 코로 가져가면 기분을 전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예를 들어, 에센셜 오일은 나른함을 불러일으키거나 또는 감각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에센셜 오일의 사용으로 여러 기록에 의해 충분히 입증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고체 제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에센셜 오일은 사철쑥(Tarragon), 레몬 머틀, 자스민, 일랑일랑, 랍다넘, 레몬그라스, 로즈 오토, 자몽, 파촐리, 로즈마리, 아르무아즈(Armoise), 레몬, 네롤리, 향제비꽃(Sweet violet), 라벤더, 오렌지 50 폴드, 바닐라, 페퍼민트, 안식향(Benzoin), 수국(Hydrangea), 메이창(Litsea cubeba), 카더몬, 통카 및 카모마일 블루 중에서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고체 제품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에센셜 오일은 사철쑥(Tarragon), 레몬 머틀, 랍다넘, 및 레몬 중에서 선택된다.
비타민, 특히 비타민 B, C 및 E는 피부에 아주 유익하다. 또한, 윗점(Wheatgerm) 오일 같이 비타민이 풍부한 성분은 피부에 비타민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비타민은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비타민이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비타민은 합성 공급원 또는 고 비타민 함량을 갖는 천연 물질과 같은 물질의 고체 제품으로의 혼입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분은 화장료 보존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화장료 보존제의 사용은 피부 자극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품에 존재할 수 있는 장식용 아이템은 글리터, 라이스 페이퍼와 같은 종이, 시퀸(스팽글), 건조 또는 신선한 꽃, 허브, 식물, 이들의 일부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아이템을 포함한다. 다른 강화 물질, 예컨대 팝핑 캔디(popping candy)도 혼입될 수 있다.
상기 범위들은 각각의 성분의 바람직한 양을 제공한다. 각각의 이들 범위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성분 범위와 조합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을 제공한다.
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원에서 정의된 제품이 용해되어 있거나, 본원에서 정의된 제품이 용해되는 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전형적인 방법에서, 물은 허용가능한 온도로 욕조에 부어진다. 사용자가 그들의 신체를 물에 담그고, 제품을 물에 적하한다. 이후 사용자가 물 표면에서 또는, 표면 아래에서 제품이 발포할 때 제품의 효과를 관찰한다. 이후 사용자는 물에서 목욕을 한다.
추가 포괄 측면
제1 포괄 측면에서, 본 발명은 (i)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non-effervescent) 내부물질(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발포성 외부물질(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을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envelop)된 고체 화장료 제품을 제공한다.
제2 포괄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b)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발포성 외부물질로 봉입(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된,
(i)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non-effervescent) 내부물질(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발포성 외부물질(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을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envelop)된 고체 화장료 제품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3 포괄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원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득하거나 수득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하였다.
다음 조성의 제품을 제조하였다.
사용비율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방법
중탄산염 믹스:
1. 중탄산나트륨을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였다.
2. 착향제와 색소를 첨가하고 완전히 혼합하였다.
염 믹스:
3. 염을 계량하여 믹서에 투입하였다.
4. 색소를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하여 고르게 피복될 때까지 분산하였다.
5. 시트르산을 체질하고, 상기 중탄산(Bicarb) 믹스에 첨가하여 완전히 혼합하였다.
6. 각 절반 몰드를 믹스로 충전하고 중심을 비워서 외피를 만들었다.
7. 각 절반 몰드의 공동(cavity)을 건조된 꽃과 채색 염으로 충전한 다음, 함께 가압하였다.
8. 굳힌한 후, 몰드에서 분리하였다.
제조 후에 이 제품을 욕조에서 사용하였다. 제품을 물에 담갔으며 외피가 발포하였다. 단시간 후, 물이 외피를 관통하였으며 - 이것은 착색된 물의 빠른 분출과 제품 중심에서 방출된 꽃으로부터 분명히 드러났다. 사용자는 제품의 시각적 효과를 높이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은 이 분야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 바람직한 구현예들과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지만, 청구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구현예들에 의해 과도하게 한정되지 않아야만 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로 화학, 생물학 또는 관련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기재된 방식의 다양한 변경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인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40)

  1. (i) 적어도 하나의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non-effervescent) 내부물질(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발포성 외부물질(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을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envelop)된 고체 화장료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완전히 봉입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자유 유동 분말(free flowing powder)인 고체 화장료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분말이 염, 당, 솔비톨, 타르타르 크림,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점토(예를 들어, 카올린, 풀러토(fullers earth) 및 벤토나이트 점토)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고체 화장료 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염이 바다 소금(sea salt)인 고체 화장료 제품.
  6. 제4항에 있어서, 당이 정제당(castor sugar)인 고체 화장료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담체 물질이 수용성 분말인 고체 화장료 제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추가로 식물성 물질을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식물성 물질이 허브, 곡물, 과일, 꽃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고체 화장료 제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고체 화장료 제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실질적으로 결합제(binder)를 포함하지 않는 고체 화장료 제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추가로 케이킹 방지제(anti-caking agent)를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의 밀도가 1.3 g/cm3 미만인 고체 화장료 제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의 밀도가 0.7 g/cm3 미만인 고체 화장료 제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의 밀도가 0.6 g/cm3 미만인 고체 화장료 제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의 밀도가 발포성 외부물질 밀도의 90% 이하인 것인 고체 화장료 제품.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의 밀도가 발포성 외부물질 밀도의 80% 이하인 고체 화장료 제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분말이 염, 당, 솔비톨, 타르타르 크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고체 화장료 제품.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색소를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색소를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고체 담체 물질을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50 내지 95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고체 담체 물질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2 내지 20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식물성 물질을 비발포성 물질을 기준으로 5 내지 30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물질이 식물성 물질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1 내지 15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적어도 중탄산나트륨 및 시트르산을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중탄산나트륨을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45 내지 80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중탄산나트륨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35 내지 75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시트르산을 발포성 외부물질을 기준으로 20 내지 50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시트르산을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10 내지 45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색소를 더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31. 제30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색소를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 wt%의 양으로 포함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도가 1g/cm3 미만인 고체 화장료 제품.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2 내지 40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성 외부물질이 고체 화장료 제품을 기준으로 60 내지 98 wt%의 양으로 존재하는 고체 화장료 제품.
  35. (i) 적어도 색소 및 고체 담체 물질을 포함하는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여기서 비발포성 물질은 분말이고, 물과 접촉 시 발포되지 않는다);
    (ii)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발포성 외부물질로 봉입(여기서 발포성 물질은 물과 접촉시 발포될 수 있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발포성 내부물질이 발포성 외부물질에 봉입된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고체 화장료 제품의 제조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단계 (ii)의 발포성 물질이 미리 정해진 형태로 응고되는 것인 방법.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i) 다수의 발포성 외부물질 섹션을 형성하고;
    (ii) 하나 이상의 발포성 외부물질 섹션 내에 비발포성 물질의 리세스(recess)를 제공하고;
    (iii) 발포성 외부물질 내의 리세스에 비발포성 물질을 삽입하고;
    (iv) 다수의 발포성 외부물질 섹션을 결합하여 발포성 외부물질로 비발포성 내부물질을 봉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수득하거나 수득할 수 있는 제품.
  39.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정의된 고체 화장료 제품.
  40.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정의된 방법.
KR1020167027495A 2014-03-10 2015-03-06 발포성 조성물 KR20160130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04178.4 2014-03-10
GB201404178A GB201404178D0 (en) 2014-03-10 2014-03-10 Composition
GB1501859.1 2015-02-04
GB1501859.1A GB2527625B (en) 2014-03-10 2015-02-04 A solid cosmetic product comprising an inner non-effervescent material and an outer effervescent material
PCT/GB2015/050656 WO2015136246A1 (en) 2014-03-10 2015-03-06 Effervescent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449A true KR20160130449A (ko) 2016-11-11

Family

ID=5055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495A KR20160130449A (ko) 2014-03-10 2015-03-06 발포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238580B2 (ko)
EP (1) EP3116467B1 (ko)
JP (1) JP6572220B2 (ko)
KR (1) KR20160130449A (ko)
CN (1) CN106102693B (ko)
AU (1) AU2015228583B2 (ko)
CA (1) CA2933942A1 (ko)
ES (1) ES2659806T3 (ko)
GB (2) GB201404178D0 (ko)
HK (1) HK1218859A1 (ko)
HR (1) HRP20180305T1 (ko)
RU (1) RU2675834C9 (ko)
WO (1) WO2015136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8508A (zh) * 2017-11-02 2018-04-20 惠州市肌缘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旋转移动的爆炸浴球
WO2019084982A1 (zh) * 2017-11-02 2019-05-09 惠州市肌缘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旋转移动的爆炸浴球
CN108852867A (zh) * 2018-07-25 2018-11-23 惠州兆婷化妆品有限公司 一种浮水爆炸盐及其制备方法
CN110693731A (zh) * 2019-10-18 2020-01-17 惠州兆婷化妆品有限公司 一种高硬度持久起泡的爆炸盐及其制备方法
CN111265462B (zh) * 2020-03-31 2022-03-11 深圳市美福源日用品有限公司 一种双层浴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862B2 (ja) * 1985-10-21 1995-02-22 サンスタ−株式会社 発泡浴剤
JP2898375B2 (ja) * 1990-08-20 1999-05-3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複合固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AU668150B2 (en) * 1992-04-29 1996-04-2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 object based rasterised image
JPH06211642A (ja) * 1993-01-20 1994-08-02 Earth Chem Corp Ltd 固形入浴剤組成物
US5602178A (en) * 1994-11-14 1997-02-11 Ciba-Geigy Corporation Bath products containing menthyl lactate
DE59510759D1 (de) * 1994-12-15 2003-09-11 Krueger Gmbh & Co Kg Badesalz mit einem Gehalt von Magnesiumsalz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19757059A1 (de) * 1997-12-20 1999-07-01 Merz & Co Gmbh & Co Balneologische Brausetablet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WO2000028513A1 (en) 1998-11-10 2000-05-18 Citizen Watch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olar cell
GB2346619B (en) 1999-02-15 2001-04-25 Lush Ltd Surfactants
US6121215A (en) * 1999-08-27 2000-09-19 Phyzz, Inc. Foaming effervescent bath product
GB2355008A (en) * 1999-10-05 2001-04-11 Procter & Gamble Foam matrix coating material
DE19950018A1 (de) * 1999-10-16 2001-04-19 Henkel Kgaa Badetabletten
JP2002275051A (ja) * 2001-01-12 2002-09-25 Kansai Koso Kk 固体化粧料
RU2198676C1 (ru) * 2001-05-21 2003-02-20 Юсупова Севара Джурабековна Средство для ванн, обладающее седативным,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и капилляроукрепляющим действием
WO2004000262A1 (ja) * 2002-06-20 2003-12-31 Kansai Koso Co., Ltd. 有形物含有固体入浴剤の製造法及び加湿・冷却装置
JP2004043403A (ja) * 2002-07-15 2004-02-12 World Musee:Kk フリーズドライされた花被を含有する入浴剤、およびフリーズドライされた花被の製造方法
JP2006249026A (ja) * 2005-03-11 2006-09-21 Kanebo Ltd 発泡成型体浴用剤、発泡成型体浴用剤組成物及び入浴方法
JP2006249027A (ja) * 2005-03-11 2006-09-21 Kanebo Ltd 発泡成型体化粧料、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方法
US20080146487A1 (en) * 2006-12-13 2008-06-19 O'connor Amanda L Multiphase bathing tablets
CN101467953A (zh) 2008-05-12 2009-07-01 李仁� 多功能护肤美肤浴盐
US20110180445A1 (en) * 2008-06-03 2011-07-28 Marni Markell Hurwitz Cosmetic tablets and capsules for direct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GB0818336D0 (en) * 2008-10-07 2008-11-12 Cosmetic Warriors Ltd Composition
GB0902937D0 (en) * 2009-02-20 2009-04-08 Cosmetic Warriors Ltd Composition
GB2481005B (en) * 2010-06-07 2012-08-08 Cosmetic Warriors Ltd Surfactant product comprising first and second effervescent materials
JP5883655B2 (ja) * 2011-01-12 2016-03-15 花王株式会社 発泡性入浴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3203706A (ja) * 2012-03-29 2013-10-07 Goshu Yakuhin Kk 発泡性入浴剤
GB2515071B (en) * 2013-06-13 2015-12-09 Reckitt Benckiser Brands Ltd Novel composition for a foot-soaking b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39405A (ru) 2018-04-10
CN106102693B (zh) 2019-11-12
CN106102693A (zh) 2016-11-09
HRP20180305T1 (hr) 2018-04-20
GB201404178D0 (en) 2014-04-23
EP3116467A1 (en) 2017-01-18
HK1218859A1 (zh) 2017-03-17
RU2675834C9 (ru) 2019-02-19
AU2015228583B2 (en) 2019-07-25
RU2016139405A3 (ko) 2018-07-04
GB201501859D0 (en) 2015-03-18
CA2933942A1 (en) 2015-09-17
GB2527625B (en) 2019-07-10
EP3116467B1 (en) 2018-02-07
ES2659806T3 (es) 2018-03-19
WO2015136246A1 (en) 2015-09-17
AU2015228583A1 (en) 2016-07-07
JP2017507111A (ja) 2017-03-16
US10238580B2 (en) 2019-03-26
RU2675834C2 (ru) 2018-12-25
JP6572220B2 (ja) 2019-09-04
GB2527625A (en) 2015-12-30
US20170172856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5268C2 (ru) Композиция
KR20160130449A (ko) 발포성 조성물
CA2752781C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urfactant, sodium carbonate and cream of tartar
AU2017423912A1 (en) Composition
US11052036B2 (en) Coloured surfactant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