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278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278A
KR20160129278A KR1020150061136A KR20150061136A KR20160129278A KR 20160129278 A KR20160129278 A KR 20160129278A KR 1020150061136 A KR1020150061136 A KR 1020150061136A KR 20150061136 A KR20150061136 A KR 20150061136A KR 20160129278 A KR20160129278 A KR 2016012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alant
blocking structure
contact
contac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278A/ko
Publication of KR2016012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2001/1339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영역 및 베젤 영역을 각각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구비된 액정층; 상기 액정층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상에 구비된 배향막;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를 접착시키기 위해서 상기 베젤 영역에 구비된 씰런트; 및 상기 씰런트와 상기 배향막이 접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씰런트와 상기 배향막 사이에 구비된 접촉 차단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를 접착시키는 씰런트의 선폭을 제어함으로써 베젤(Bezel) 폭을 줄일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상부 기판, 하부 기판, 및 상기 양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계 인가 유무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이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상부 기판(10), 하부 기판(20), 씰런트(30), 및 액정층(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기판(10)의 하면 상에는 차광 패턴(12), 컬러 필터(14), 오버 코트층(16), 및 상부 배향막(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광 패턴(12)은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기판(10)의 하면 상에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 필터(14)는 상기 차광 패턴(12) 사이의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컬러 필터(14)는 적색(R) 컬러 필터, 녹색(G) 컬러 필터, 및 청색(B)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오버 코트층(16)은 상기 차광패턴(12) 및 컬러 필터(14) 상에 형성된다. 상기 오버 코트층(16)은 상기 상부 기판(10)의 하면 상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기판(10)의 하면의 표면 균일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상부 배향막(18)은 상기 오버 코트층(16)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40)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하부 기판(20)의 상면 상에는 소자층(22), 절연층(24), 화소 전극/공통전극(25, 26), 및 상부 배향막(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자층(22)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가 화소 별로 배열되는 층으로서, 액티브 영역(Active Area; A/A)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층(22a)과 베젤 영역(Bezel Area; B/A)에 구비된 링크 배선층(22b) 및 패드층(2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 배선층(22b)은 경우에 따라서 패널 내에 내장된 게이트 구동 회로(Gate In pane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4)은 상기 소자층(22)과 상기 화소 전극/공통 전극(25, 2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 전극(25)과 상기 공통 전극(26)은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수평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액정층(40)의 배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배향막(28)은 상기 화소 전극/공통 전극(25, 26)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배향막(18)과 함께 상기 액정층(40)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씰런트(30)는 상기 상부 기판(10)과 상기 하부 기판(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기판(10)과 상기 하부 기판(20)을 접착시킴과 더불어 상기 액정층(40)의 형성 공간을 정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씰런트(30)는 액티브 영역(A/A)의 외부 주변부에 해당하는 베젤 영역(B/A)에 형성된다.
최근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미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의 베젤 영역(B/A)의 폭을 줄이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의 베젤 영역(B/A)의 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씰런트(30)의 선폭을 줄이면서도 상기 상부 기판(10)과 상기 하부 기판(20) 사이의 접착력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해야 하며 또한 상기 상부 기판(10)과 상기 하부 기판(20)의 합착 공정 중에 상기 씰런트(30)의 선폭이 변동되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상기 씰런트(30)와 상기 상부 기판(10) 사이의 접착력 및 상기 씰런트(30)와 상기 하부 기판(20)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하지 못하여 상기 씰런트(30)의 선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고, 또한, 상기 합착 공정 중에 상기 씰런트(30)가 퍼짐으로써 상기 씰런트(30)의 선폭이 크게 변동되기 때문에 상기 씰런트(30)의 선폭 변동을 감안하여 상기 베젤 영역(B/A)의 폭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설정할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씰런트에 의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의 접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씰런트의 선폭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합착 공정 중에 씰런트의 선폭 변동을 제어함으로써 베젤 영역(B/A)의 폭을 일정 수준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도 1에 따른 종래 기술에서 상기 씰런트(30)와 상기 상부 기판(10) 사이의 접착력 및 상기 씰런트(30)와 상기 하부 기판(2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상기 씰런트(30)와의 접착력이 좋지 않은 상부 배향막(18) 및 하부 배향막(28) 대신에 상대적으로 상기 씰런트(30)와의 접착력이 좋은 오버 코트층(16) 및 절연층(24)을 상기 씰런트(30)와 접촉시키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상기 상부 배향막(18)과 상기 하부 배향막(28)은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을 통해서 형성하는데, 상기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시 상기 상부 배향막(18)과 상기 하부 배향막(28)이 주변부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상기 상부 배향막(18)과 상기 하부 배향막(28)의 끝단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배향막(18)과 상기 하부 배향막(28)이 상기 씰런트(3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하부 배향막(18, 28)을 상기 씰런트(30)에서 멀리 떨어지게 도포할 경우 상기 상부/하부 배향막(18, 28)이 액티브 영역(A/A)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액정 구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배향막(18)과 상기 하부 배향막(28)을 액티브 영역(A/A)을 포함한 넓은 영역에 도포하게 되면 상기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시 상기 상부 배향막(18)과 상기 하부 배향막(28)이 상기 씰런트(30) 형성 영역까지 퍼져 나가 상부 기판(10)과 하부 기판(20)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배향막(18)과 하부 배향막(28)이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에 의해서 상기 씰런트(30) 영역까지 퍼지지 않도록 조절된다 하더라도 상기 씰런트(30)가 합착 공정에 의해서 상기 액티브 영역(A/A) 방향으로 퍼질 경우 상기 씰런트(30)가 상기 상부 배향막(18) 및 하부 배향막(28)과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그에 더하여, 합착 공정에 의해서 상기 씰런트(30)가 액티브 영역(A/A)까지 퍼져나갈 경우 액정이 오염될 수 있고 셀갭(Cell Gap)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씰런트(30)가 스크라이빙 라인(Scribing Line; SL)까지 퍼져나갈 경우 스크라이빙 공정에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베젤 영역(B/A)의 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에 의한 상부 배향막(18)과 상기 하부 배향막(28)의 퍼짐 정도를 제어해야 함과 더불어 합착 공정에 의한 씰런트(30)의 퍼짐 정도도 제어해야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하프톤 마스크(Half-tone mask) 공정을 통해서 절연층(24)에 트렌치(trench)를 형성하여 상기 트렌치에 상기 씰런트(30)를 가두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방안의 경우 어느 정도 씰런트(30)의 퍼짐 문제는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트렌치의 경사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상기 씰런트(30)의 퍼짐을 완전히 해소하기는 힘들다. 또한, 절연층(24)에 트렌치(trench)를 형성하는 방안은 씰런트(30)의 퍼짐을 막을 수는 있지만 상기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시 상부 배향막(18)과 하부 배향막(18, 28)이 퍼지는 문제는 막을 수 없다.
다른 방안으로서, 상기 절연층(24)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씰런트(30)가 상기 절연층(24)의 관통홀 측면 및 상기 절연층(24) 아래에 위치하는 소자층(22)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씰런트(3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 방안의 경우는 상기 씰런트(30)와 상부 배향막(18)/하부 배향막(18, 28)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또한, 소자층(22)에 패널 내에 내장된 게이트 구동 회로(Gate In panel)를 포함하는 링크 배선층(22b)이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수의 콘택 구조가 상기 절연층(24)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상기 씰런트(30)와의 접착력 향상을 위한 관통홀을 절연층(24)에 형성하는 것 자체가 어렵게 된다. 결국, 상기 씰런트(3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절연층(24)에 관통홀을 형성하는 방안은 패널 내에 내장된 게이트 구동 회로(Gate In panel)를 포함하지 않는 일부의 모델에만 한정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자는 씰런트(30)와 상부/하부 배향막(18, 28) 사이에 접촉 차단 구조물을 형성할 경우 씰런트(30)와 상부/하부 기판(10, 20) 사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면서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에 의한 상부/하부 배향막(18, 28)의 퍼짐을 제어할 수 있고 합착 공정에 의한 씰런트(30)의 퍼짐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액티브 영역 및 베젤 영역을 각각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구비된 액정층; 상기 액정층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상에 구비된 배향막;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를 접착시키기 위해서 상기 베젤 영역에 구비된 씰런트; 및 상기 씰런트와 상기 배향막이 접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씰런트와 상기 배향막 사이에 구비된 접촉 차단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제1 접촉 차단 구조물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부착된 제2 접촉 차단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과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의 일측은 상기 배향막과 접촉하고,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의 타측은 상기 씰런트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액티브 영역과 베젤 영역의 경계선 및 상기 씰런트의 사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에는 상기 씰런트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씰런트의 퍼짐을 방지하기 위한 퍼짐 방지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제1 퍼짐 방지 구조물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부착된 제2 퍼짐 방지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과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은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은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씰런트와 스크라이빙 라인 사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에는 상기 씰런트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씰런트는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 및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에 의해서 둘러싸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씰런트의 일단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구비된 오버 코트층 또는 차광 패턴과 접촉하고, 상기 씰런트의 타단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구비된 절연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영역에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부착된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는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씰런트와 배향막 사이에 접촉 차단 구조물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에 의해서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시 배향막이 씰런트 형성 영역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합착 공정시 씰런트가 액티브 영역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접촉 차단 구조물에 의해서 씰런트와 배향막이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씰런트와 제1 기판 사이의 접착력 및 씰런트와 제2 기판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에 의해서 씰런트가 액티브 영역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씰런트의 선폭 변경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씰런트와 스크라이빙 라인 사이에 퍼짐 방지 구조물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에 의해서 합착 공정시 씰런트가 스크라이빙 라인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씰런트의 선폭 변경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씰런트가 스크라이빙 라인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어 씰런트에 의해서 스크라이빙 공정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씰런트(300), 접촉 차단 구조물(400), 퍼짐 방지 구조물(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기판(100)은 액정 표시 장치의 상부 기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00)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판(200)과 마주하는 상기 제1 기판(100)의 하면 상에는 차광 패턴(120), 컬러 필터(140), 오버 코트층(160), 및 제1 배향막(1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광 패턴(120)은 상기 제1 기판(10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광 패턴(120)은 화소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차광 패턴(120)은 상기 제1 기판(100)의 베젤 영역(B/A)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스크라이빙 라인(SL)에 해당하는 상기 제1 기판(100)의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스크라이빙 공정은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수행하는데, 레이저 빔이 상기 차광 패턴(120)에 조사될 경우 상기 차광 패턴(120)이 레이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스크라이빙 공정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스크라이빙 라인(SL) 상에 씰런트(300)가 위치하고 있으면 스크라이빙 공정이 용이하지 않은데, 이 경우 차광 패턴(120)에 레이저 빔이 조사되면 상기 차광 패턴(120)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너지에 의해서 상기 씰런트(300)의 접착력을 일시적으로 약화시켜 스크라이빙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라이빙 라인(SL) 상에 씰런트(3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광 패턴(120)이 스크라이빙 라인(SL)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씰런트(300)가 스크라이빙 라인(SL)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차광 패턴(120)이 스크라이빙 라인(SL), 즉, 제1 기판(100)의 끝단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컬러 필터(140)는 상기 제1 기판(10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 필터(140)는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차광 패턴(120) 사이의 화소 영역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컬러 필터(140)는 복수의 화소 별로 형성된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오버 코트층(160)은 상기 차광패턴(120) 및 상기 컬러 필터(140)의 하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오버 코트층(1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A/A) 및 베젤 영역(B/A)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티브 영역(A/A)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액티브 영역(A/A) 전체와 일부의 베젤 영역(B/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오버 코트층(16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배향막(180)은 상기 오버 코트층(16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제1 배향막(180)은 액정층의 초기 배향을 위한 것이므로 액티브 영역(A/A)에는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배향막(180)은 액티브 영역(A/A)에서부터 베젤 영역(B/A)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상기 제1 기판(100)의 끝단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제1 배향막(180)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의해서 상기 씰런트(300)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향막(180)은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에 의해서 상기 제1 기판(100)의 끝단 방향으로 퍼져나갈 수 있지만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의해서 그 퍼짐 진행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씰런트(300)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배향막(180)의 끝단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일단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향막(180)의 끝단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지만, 화살표로 인출된 우상측 도면과 같이 상기 제1 배향막(180)의 끝단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측벽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화살표로 인출된 우하측 도면과 같이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상의 오차로 인해서 상기 제1 배향막(180)의 끝단이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과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2 기판(200)은 액정 표시 장치의 하부 기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200) 상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판(100)과 마주하는 상기 제2 기판(200)의 상면 상에는 소자층(220), 절연층(240), 및 제2 배향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자층(220)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가 화소 별로 배열되는 층이다. 상기 소자층(220)은 액티브 영역(A/A)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층(220a)과 베젤 영역(B/A)에 구비된 링크 배선층(220b) 및 패드층(22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20a)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 배선층(220b)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20a)에 구비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을 상기 패드층(220c)에 구비된 패드와 연결하는 링크 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 배선층(220b)은 패널 내에 내장된 게이트 구동 회로(Gate In panel)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드층(220c)은 외부의 구동부와 연결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패드를 외부의 구동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패드층(220c)의 상부에는 상기 절연층(240)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층(220c)의 노출을 위해서 상기 제2 기판(200)의 베젤 영역(B/A)이 상기 제1 기판(100)의 베젤 영역(B/A)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240)은 상기 소자층(220)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240)은 제2 기판(200)의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층(240)은 무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의 이중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 배향막(280)은 상기 절연층(240) 상에 형성되어 액정층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제2 배향막(280)의 배향방향은 전술한 제1 배향막(180)의 배향방향과 수직을 이룰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배향막(280)은 액정층의 초기 배향을 위한 것이므로 액티브 영역(A/A) 전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배향막(280)은 액티브 영역(A/A)에서부터 베젤 영역(B/A)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상기 제2 기판(200)의 끝단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제2 배향막(280)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의해서 상기 씰런트(300)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배향막(18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배향막(280)도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에 의해서 상기 제2 기판(200)의 끝단 방향으로 퍼져나갈 수 있지만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의해서 그 퍼짐 진행이 방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씰런트(300)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배향막(280)의 끝단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일단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향막(280)의 끝단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지만, 화살표로 인출된 우측 도면과 같이 상기 제1 배향막(280)의 끝단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측벽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화살표로 인출된 좌측 도면과 같이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상의 오차로 인해서 상기 제2 배향막(280)의 끝단이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과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씰런트(300)는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100)과 상기 제2 기판(200)을 접착시킨다. 상기 씰런트(300)는 베젤 영역(B/A)에 형성되며, 상기 차광 패턴(120)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씰런트(300)는 상기 제1 기판(100), 상기 제2 기판(200),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 및 퍼짐 방지 구조물(5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씰런트(300)의 일측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씰런트(300)의 타측은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씰런트(300)의 상단은 오버 코트층(160)과 접촉하고 있고, 상기 씰런트(300)의 하단은 절연층(24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오버 코트층(160)이 형성되지 않거나 베젤 영역(B/A)까지 연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씰런트(300)의 상단은 차광 패턴(12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합착 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씰런트(300)가 눌리면서 액티브 영역(A/A) 방향 및 스크라이빙 라인(SL) 방향으로 퍼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의해서 상기 씰런트(300)가 액티브 영역(A/A)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에 의해서 상기 씰런트(300)가 스크라이빙 라인(SL)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과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에 의해서 상기 씰런트(300)의 선폭 변경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은 상기 씰런트(300)와 제1 배향막(180)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씰런트(300)와 제2 배향막(280)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은 합착 공정시 상기 씰런트(300)가 액티브 영역(A/A)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시 상기 제1 배향막(180) 및 제2 배향막(280)이 스크라이빙 라인(SL)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일측은 상기 제1 배향막(180) 및 제2 배향막(280)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의 타측은 상기 씰런트(30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은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및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은 상기 제1 기판(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버 코트층(160) 또는 차광 패턴(120)의 하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은 상기 제2 기판(2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240)의 상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은 상기 씰런트(300)와 제1 배향막(180)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은 상기 씰런트(300)와 제2 배향막(280)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과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은 서로 접하는 것이 상기 씰런트(300)의 퍼짐 방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과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이 서로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과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서 상기 씰런트(300)가 퍼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과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은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과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이 서로 접촉한다 하여도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과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이 접착제 등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과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은 상기 씰런트(300)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높이(t1)와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높이(t2)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제1 배향막(180)과 제2 배향막(280)의 퍼짐 방지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높이(t1)가 너무 낮게 형성되면,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시 상기 제1 배향막(180)이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을 타고 상기 씰런트(300) 영역으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시 상기 제1 배향막(180)이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을 타고 넘지 않고 또한 상기 제2 배향막(280)이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을 타고 넘지 않을 수 있다면,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높이(t1)와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높이(t2)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은 합착 공정시 상기 씰런트(300)가 스크라이빙 라인(SL)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의 일측은 상기 씰런트(300)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의 타측은 상기 씰런트(300)를 포함한 어떠한 구성과도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은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보다 스크라이빙 라인(SL)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은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 및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은 상기 제1 기판(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버 코트층(160) 또는 차광 패턴(120)의 하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은 상기 제2 기판(2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240)의 상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과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은 서로 접하는 것이 상기 씰런트(300)의 퍼짐 방지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과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이 서로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과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서 상기 씰런트(300)가 퍼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과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은 서로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과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이 서로 접한다 하여도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과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이 접착제 등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10)과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은 상기 씰런트(300)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높이(t3)와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높이(t4)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은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정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높이(t3)는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높이(t1)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은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정 편의를 위해서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높이(t4)는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높이(t2)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 및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 각각은 무기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유기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 및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 각각이 유기물로 형성된 경우, 마스크 공정을 통한 패터닝을 통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는 사다리꼴 단면의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 및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 및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구조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상단은 오버 코트층(160) 또는 차광 패턴(120)과 접촉하는 끝단을 의미하고,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은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과 접촉하는 끝단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은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과 접촉하는 끝단을 의미하고,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하단은 절연층(240)과 접촉하는 끝단을 의미한다. 또한,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상단은 오버 코트층(160) 또는 차광 패턴(120)과 접촉하는 끝단을 의미하고,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은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과 접촉하는 끝단을 의미한다. 또한,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은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과 접촉하는 끝단을 의미하고,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하단은 절연층(240)과 접촉하는 끝단을 의미한다.
전술한 도 2에 따르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의 폭이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의 폭이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에 반하여, 도 3a에 따르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의 폭과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의 폭이 서로 동일하고,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의 폭과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의 폭이 서로 동일하다.
또한, 도 3b에 따르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의 폭이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의 폭이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상의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의 폭과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의 폭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의 폭과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의 폭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도 2에 따르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상단의 폭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의 폭이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하단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도 2에 따르면,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상단의 폭이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의 폭이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하단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에 반하여, 도 3c에 따르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상단의 폭과 하단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의 폭과 하단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상단의 폭과 하단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의 폭과 하단의 폭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3d에 따르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상단의 폭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의 하단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상단의 폭이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의 하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상단의 폭이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의 하단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이 좌우 대칭을 이루면서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상단의 폭이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하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3d와 같은 구조의 경우, 배향막 도포 공정 및 러빙 공정시 제1 배향막(180)과 제2 배향막(280)이 씰런트(300) 형성 영역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보다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3d와 같은 구조를 얻기 위해서는 패터닝 형성 공정상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 및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을 무기물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도 2, 도 3c, 및 도 3d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 및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의 측면의 경사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액티브 영역(A/A)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베젤 영역(B/A)은 전술한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기판(100) 상에 구비된 차광 패턴(120)은 액티브 영역(A/A) 내에 형성되며 특히 액티브 영역(A/A) 내에서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된다. 컬러 필터(140)는 상기 차광 패턴(120) 사이의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기판(200) 상에 구비된 절연층(240)의 상면 상에는 화소 전극(250) 및 공통 전극(2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소 전극(250)과 공통 전극(260)의 상면 상에는 제2 배향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 전극(25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절연층(240)에 구비된 콘택홀을 통해서 박막 트랜지스터층(220a)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250)과 상기 공통 전극(260)은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어 상기 화소 전극(250)과 상기 공통 전극(260) 사이의 수평 전계에 의해서 액정층(800)의 배열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화소 전극(250)과 상기 공통 전극(260)이 동일한 층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양자는 서로 상이한 층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수평 전계에 의해서 액정층(800)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는 IPS(In-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뿐만 아니라 수직 전계에 의해서 액정층(800)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는 TN(Twisted Nematic) 모드 및 VA(Vertical Alignment) 모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모드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공통 전극(260)과 상기 화소 전극(250)의 형성 위치 및 모습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전계의 경우에는 상기 공통 전극(260)이 상기 제1 기판(100) 상의 오버 코트층(160)의 위치에 형성되고 오버 코트층(160)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터치센서를 내부에 내장한 소위 인셀 터치(In-cell touch)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공통 전극(260)이 상기 화소 전극(250)과는 상이한 층에서 복수 개의 블록(block) 단위로 형성되어 각각의 블록이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블록들이 별도의 센싱 라인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액티브 영역(A/A)에는 셀갭(Cell gap) 유지용 스페이서(600)와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00)와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00) 상에는 제1 배향막(180) 및 제2 배향막(2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00)와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00)는 차광 패턴(120)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광투과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00)는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셀갭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셀갭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00)는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 및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는 상기 제1 기판(100) 상의 오버 코트층(160)의 하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는 상기 제2 기판(200) 상의 절연층(240)의 상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 및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은 서로 접함으로써 균일한 셀갭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의 하단과 상기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의 상단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의 하단의 면적은 작기 때문에 상기 제1 배향막(180)이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의 하단 상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설령 일부 형성된다 하더라도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합착 공정시 눌림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의 상단의 면적은 작기 때문에 상기 제2 배향막(280)이 상기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의 상단 상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설령 일부 형성된다 하더라도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합착 공정시 눌림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의 높이와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의 높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는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및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공정 추가 없이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및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는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및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공정 추가 없이 상기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및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00)는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셀갭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셀갭 유지를 보조함과 더불어 액정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00)는 액정 표시 장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00)를 보조하여 셀갭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또한 액정층(800)의 미충진 또는 과충진이 발생하는 경우에 액정의 유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셀갭을 보다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00)는 제1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10) 및 제2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10)는 상기 제1 기판(100) 상의 오버 코트층(160)의 하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20)는 상기 제2 기판(200) 상의 절연층(240)의 상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10) 및 제2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20)는 서로 접하지 않음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에 압력이 가해질 때 셀갭 유지를 보조하며 또한 액정의 유동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제1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10)의 높이와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720)의 높이는 서로 상이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서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후술하는 공정 효율성 측면에서 상기 제1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10)와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720) 중 어느 하나의 높이가 다른 하나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10)의 높이가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720)의 높이보다 클 경우, 상기 제1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10)는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및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공정 추가 없이 상기 제1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10),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10), 제1 접촉 차단 구조물(410) 및 제1 퍼짐 방지 구조물(51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20)의 높이가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710)의 높이보다 클 경우, 상기 제2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20)는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및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공정 추가 없이 상기 제2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720),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620), 제2 접촉 차단 구조물(420) 및 제2 퍼짐 방지 구조물(520)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평면 구조를 통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액정 표시 장치의 중앙부에 액티브 영역(A/A)이 마련되고,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외곽 주변부에 베젤 영역(B/A)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패드부가 구비되지 않는 제1 기판(100)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패드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액정 표시 장치의 4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에 패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영역(B/A)에는 접촉 차단 구조물(400), 씰런트(300), 및 퍼짐 방지 구조물(5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씰런트(300)는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A/A)이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씰런트(300)는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베젤 영역(B/A)의 경계선(점섬으로 표기됨)과 평행을 이루면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은 상기 씰런트(300)의 안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도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베젤 영역(B/A)의 경계선과 평행을 이루면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은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베젤 영역(B/A)의 경계선과 상기 씰런트(300)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은 상기 씰런트(300)의 바깥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도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베젤 영역(B/A)의 경계선과 평행을 이루면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은 상기 씰런트(300)와 제1 기판(100)의 끝단에 해당하는 스크라이빙 라인의 사이 영역에 형성된다.
도 5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과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은 모두 갇혀진(closed) 상태의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씰런트(300)의 퍼짐이 제어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형성되는 배향막이 상기 씰런트(300)와 접촉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과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 중 적어도 하나가 열려진(open) 상태의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퍼짐 방지 구조물(500)이 열려진(open) 상태의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퍼짐 방지 구조물(500)이 열려진(open) 상태의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퍼짐 방지 구조물(500)은 불연속적인 직선, 보다 구체적으로, 불연속적인 곧은 직선과 굽은 직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불연속적인 직선들 사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55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에 마련된 개구부(550)를 통해서 씰런트(300)가 제1 기판(100)의 끝단 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씰런트(300)의 도포량이 정밀하게 제어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씰런트(300)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도 5와 같이 씰런트(300)가 접촉 차단 구조물(400)과 퍼짐 방지 구조물(500) 사이에 갇혀지는 구조의 경우에 상기 씰런트(300)가 과다 도포되면 합착 공정 중에 씰런트(300)가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도 6과 같이 퍼짐 방지 구조물(500)이 열려진(open) 상태로 이루어진 경우 설령 씰런트(300)가 과다 도포된다 하더라도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500)에 마련된 개구부(550)를 통해서 씰런트(300)가 유동할 수 있어 씰런트(300)의 터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6과 같이 퍼짐 방지 구조물(500)에 개구부(550)가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씰런트(300)가 제1 기판(100)의 끝단 방향으로 퍼져나가 스크라이빙 라인까지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에 따른 스크라이빙 공정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 차광 패턴(도 2의 120)을 스크라이빙 라인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접촉 차단 구조물(400)이 열려진(open) 상태의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접촉 차단 구조물(400)이 열려진(open) 상태의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접촉 차단 구조물(400)은 불연속적인 직선, 보다 구체적으로, 불연속적인 곧은 직선과 굽은 직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불연속적인 직선들 사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45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마련된 개구부(450)를 통해서 씰런트(300)가 액티브 영역(A/A) 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도 7에 따른 실시예도 전술한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씰런트(300)의 도포량이 정밀하게 제어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씰런트(300)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따른 실시예는 전술한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마련된 개구부(450)를 통해서 씰런트(300)와 액티브 영역(A/A) 내에 형성되는 배향막(180, 280)이 서로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력 감소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마련된 개구부(450)의 크기 및 개수는 적절히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접촉 차단 구조물(400) 및 퍼짐 방지 구조물(500)이 모두 열려진(open) 상태의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접촉 차단 구조물(400)이 불연속적인 직선, 보다 구체적으로, 불연속적인 곧은 직선과 굽은 직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불연속적인 직선들 사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450)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퍼짐 방지 구조물(500)도 불연속적인 직선, 보다 구체적으로, 불연속적인 곧은 직선과 굽은 직선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불연속적인 직선들 사이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550)가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따른 구조도 전술한 도 6 및 도 7에 따른 구조와 마찬가지로 씰런트(300)의 도포량이 정밀하게 제어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씰런트(300)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에 따른 구조의 경우, 합착 공정시 상기 씰런트(300)의 퍼짐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에 구비된 개구부(450)와 퍼짐 방지 구조물(500)에 구비된 개구부(550)가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로서, 이는 액티브 영역(A/A)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액티브 영역(A/A)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베젤 영역(B/B)도 곡선형, 특히 도넛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9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도 베젤 영역(B/B)에 접촉 차단 구조물(400), 씰런트(300), 및 퍼짐 방지 구조물(5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 및 퍼짐 방지 구조물(500)은 모두 갇혀진(closed) 상태의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전술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400) 및 퍼짐 방지 구조물(500) 중 적어도 하나가 열려진(open) 상태의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기판 120: 차광 패턴
140: 컬러 필터 160: 오버 코트층
180: 제1 배향막 200: 제2 기판
220: 소자층 240: 절연층
250: 화소 전극 260: 공통 전극
280: 제2 배향막 300: 씰런트
400: 접촉 차단 구조물 500: 퍼짐 방지 구조물
600: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 700: 셀갭 보조용 스페이서
800: 액정층

Claims (15)

  1. 액티브 영역 및 베젤 영역을 각각 구비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구비된 액정층;
    상기 액정층의 초기 배향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상에 구비된 배향막;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를 접착시키기 위해서 상기 베젤 영역에 구비된 씰런트; 및
    상기 씰런트와 상기 배향막이 접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씰런트와 상기 배향막 사이에 구비된 접촉 차단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제1 접촉 차단 구조물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부착된 제2 접촉 차단 구조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과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된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의 일측은 상기 배향막과 접촉하고,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의 타측은 상기 씰런트와 접촉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액티브 영역과 베젤 영역의 경계선 및 상기 씰런트의 사이 영역에 구비된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에는 상기 씰런트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런트의 퍼짐을 방지하기 위한 퍼짐 방지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제1 퍼짐 방지 구조물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부착된 제2 퍼짐 방지 구조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과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된 액정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퍼짐 방지 구조물은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퍼짐 방지 구조물은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된 액정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씰런트와 스크라이빙 라인 사이 영역에 구비된 액정 표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에는 상기 씰런트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씰런트는 상기 제1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기 퍼짐 방지 구조물, 및 상기 접촉 차단 구조물에 의해서 둘러싸인 구조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런트의 일단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구비된 오버 코트층 또는 차광 패턴과 접촉하고, 상기 씰런트의 타단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구비된 절연층과 접촉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영역에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부착된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부착된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접촉 차단 구조물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셀갭 유지용 스페이서는 상기 제2 접촉 차단 구조물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된 액정 표시 장치.
KR1020150061136A 2015-04-30 2015-04-30 액정 표시 장치 KR20160129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36A KR20160129278A (ko) 2015-04-30 2015-04-30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36A KR20160129278A (ko) 2015-04-30 2015-04-30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278A true KR20160129278A (ko) 2016-11-09

Family

ID=5752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136A KR20160129278A (ko) 2015-04-30 2015-04-30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2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9545A (zh) * 2018-06-28 2018-11-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320713A (zh) * 2019-07-11 2019-10-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盒及其制作方法、液晶装置
WO2020073470A1 (zh) * 2018-10-08 2020-04-16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9545A (zh) * 2018-06-28 2018-11-3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919545B (zh) * 2018-06-28 2021-05-04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0073470A1 (zh) * 2018-10-08 2020-04-16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156887B2 (en) 2018-10-08 2021-10-26 HKC Corporation Limite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N110320713A (zh) * 2019-07-11 2019-10-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盒及其制作方法、液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91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55412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45034B1 (ko) 협 베젤 평판 표시장치
KR102495270B1 (ko) 네로우 베젤 디스플레이 장치
EP281388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141705B (zh) 液晶显示器
KR2018004755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60129278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5046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합착 기판
JP5247546B2 (ja) 液晶表示装置
JP518345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88806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08432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01612B1 (ko) 표시 장치
JP5143664B2 (ja) 液晶表示パネル
KR10178443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7180A (ko) 액정표시장치
JP532935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59339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263995B1 (ko) 액정표시패널용 기판,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
KR10222639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72348B1 (ko) 네로우 베젤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1384B1 (ko) 액정표시 패널
JP3962196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060416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