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122A -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122A
KR20160129122A KR1020150060209A KR20150060209A KR20160129122A KR 20160129122 A KR20160129122 A KR 20160129122A KR 1020150060209 A KR1020150060209 A KR 1020150060209A KR 20150060209 A KR20150060209 A KR 20150060209A KR 20160129122 A KR20160129122 A KR 20160129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lostazol
rosuvastat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kidney
re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미경
오의철
김동현
박정현
최보현
구세광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122A/ko
Publication of KR2016012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병용투여할 경우 신장질환에서 증가된 미세알부민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신장질환에서 나타나는 신사구체 기저막의 비후, 세뇨관의 공포 또는 지방방물이나 콜라겐의 침착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효과적인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nal diseases comprising cilostazol and rosuvastatin}
본 발명은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장은 조직 내에 수백만개의 혈관을 통하여 여과지 역할을 하여 우리 몸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기관으로 이러한 여과 역할에 문제가 생기면 노폐물을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신부전증의 원인 중 하나가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만성질환이다.
음식물을 통해 섭취된 단백질은 소화작용을 통해 노폐물을 발생시키고 이들은 혈액에 쌓이게 된다. 여과지 역할을 하는 신장은 수백만개의 작은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이 흐르는 동안 작은 분자의 노폐물들을 소변을 통해 배설시키지만 단백질이나 적혈구 등과 같이 분자량이 큰 물질들은 여과되지 않고 혈액 중에 머무르게 된다.
당뇨병은 이러한 신장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는데, 높은 농도의 포도당은 신장이 과잉 혈액을 여과하게 만들고 이러한 현상이 오래 지속될 경우 신장은 여과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들이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소량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설되는 경우 미세알부민뇨라 하고 다량의 단백질이 배설되는 경우를 단백뇨 혹은 마이크로알부민뇨라 부른다.
고혈당 및 고지혈증의 병적 상태에서 신장의 사구체 모세혈관은 지속적인 손상을 받게 되며, 노폐물 여과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혈액 중 노폐물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 신부전증이 일어나게 되는 데 이를 말기 신장질환이라 부른다. 말기 신장질환은 매우 심각한 질환으로 이 단계에 이르게 된 환자는 신장이식 수술을 하거나 신장투석을 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만성 대사성질환에 의한 신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신부전 발병을 예방하는 방법 이외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5304호(2008.12.23)
본 발명은 당뇨병과 같은 대사성질환에 의해 발병하는 신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병용투여할 경우 신장질환에서 증가된 미세알부민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신장질환에서 나타나는 신사구체 기저막의 비후, 세뇨관의 공포 또는 지방방물이나 콜라겐의 침착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은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효과적인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병용투여에 의한 미세알부민뇨 감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만성 신장질환 동물모델에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단독 또는 병용투여한 후 동물모델의 소변에서 알부민 및 크레아틴 비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장질환은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신증, 사구체신염, 간질성신염, 급성신부전 및 만성신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뇨병성 신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HFD/STZ로 마우스의 신장에 만성적인 병증이 유도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장질환의 발생을 알리는 중요한 조기 표식자인 미세 알부민뇨를 측정한 결과, 도 1과 같이 정상 NFD 군과 비교하여, HFD/STZ 군에서 미세 알부민뇨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증가된 알부민뇨가 실로스타졸과 로수바스타틴의 병용 투여된 경우 정상 마우스 모델 수치까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실로스타졸 1~50 중량% 및 로수바스타틴 50~99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만성 신장질환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 HFD / STZ )의 확립 및 약물 처리
만성적인 신장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을 확립하기 위해, 32 마리의 마우스를 8주 동안 고지방식이(지방60%, 단백질20%, 탄수화물20%, Research Diets, NJ, USA)를 섭취시키면서 매주 한번 씩 몸무게를 측정하였다.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 산도 4.5의 구연산나트륨버퍼(sodium citrate buffer)에 녹인 스트렙토조토신(STZ)을 40mg/kg의 농도로 1회 복강 주사하였다. 스트렙토조토신 투여 5일 후, 6 시간의 공복기간 후 혈당측정기(Accu-Chek Active, Roche Diagnostics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마우스의 글루코즈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고지방식이를 지속적으로 섭취시키면서 메틸 셀룰로스(Methyl cellulose; MC, 0.5%)에 녹인 약물을 매주 5회, 12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서의 마우스 6마리는 정상식이(NFD)를 섭취하였으며 각각의 실험군은 투여하는 약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제 1군: MC (Methyl cellulose) 경구 투여
제 2군: 실로스타졸(cilostazol) 30 mg/kg 경구 투여
제 3군: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20 mg/kg 경구 투여
제 4군: 실로스타졸 30 mg/kg와 로수바스타틴 20 mg/kg 병용 경구 투여
마우스가 30주령이 되었을 때 실험을 종료하였으며 마우스를 희생하여 신장을 얻은 뒤 무게를 측정하였다. 오른쪽 신장은 10 % 중성 포르말린 완충액(Sigma Aldrich)에 넣은 후 조직학적 면역형광법 실험을 위해 사용되었고 왼쪽 신장은 면역블롯(western blot)실험에 이용되었다.
< 실시예 2> 만성 신장질환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 HFD / STZ )의 혈청생화학적 변화 확인
대조군과 실험군의 혈당치를 STZ 투여한 날로부터 3일 후, 한 달 후 및 최종적으로 실험이 종료되었을 때 총 세 번 측정하였으며, 6시간의 공복기간을 거친 마우스의 혈당을 Roche사의 혈당측정기인 아큐첵(Accu-Chek Active, Roche Diagnostics GmbH, Germany)으로 측정하였다. 혈청생화학적 지표로써 콜레스테롤 (CHOL), 트리글리세라이드(TRIG), 알라닌 트렌스퍼레이즈(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렌스퍼레이즈(AST) 및 혈액요소 질소(BUN)는 STZ를 투여한 날로부터 3일 후 또는 실험이 종료된 후에 측정되었다. 이 지표들은 12시간의 공복기간을 거친 마우스의 꼬리에서 채혈하거나 실험 종료 후 심장천자(Heart puncture)의 방법으로 채취한 혈액 샘플을 12000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사용하여 Idexx 사의 자동생화학 분석기 (IDEXX VetTest Biochemical Analyzer Kit, IDEXX Laboratories, USA)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과 같이 정상 NFD군보다 HFD/STZ군에서 혈청 중 콜레스테롤, ALT 및 AST의 수치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로스타졸 또는 로수바스타틴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로 상기 지표들이 개선되는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Variable
NFD
HFD / STZ
Treatment
Cilostazol Rosuvastatin Cilo + Rosu
Body weight (g) 33.20±1.90 48.80±2.04** 45.70±1.58 45.70±3.01 44.77±1.83
Kidney weight (g) 0.208±0.01 0.208±0.01 0.207±0.006 0.189±0.002 0.205±0.01
Cholesterol
( mg / dl )
119±1.73 155.75±3.54** 161.67±11.94 127.25±7.85 128±11.60
Triglyceride
( mg / dl )
66±5.51 65.75±3.84 57.83±5.58 53.75±5.62 70.86±6.49
ALT (U/L)
26.33±14.32 206.50±40.77** 147.33±15.48 105.25±24.2 137.86±15.70
AST (U/L)
76.67±22.39 267±28.30** 223.17±32.73 184±13.95 181.83±29.68
BUN( mg / dl )
21.33±2.96 18.5±1.66 17.5±0.96 20.25±2.75 18.86±0.80
< 실시예 3> 만성 신장질환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 HFD / STZ )의 소변에서 신장질환 지표 확인
HFD/STZ로 마우스의 신장에 만성적인 병증이 유도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장질환의 발생을 알리는 중요한 조기 표식자인 미세 알부민뇨를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소변 샘플을 얻기 위해 하루 이상 대사케이지에서 적응기간을 거친 후, 마우스를 24 시간 동안 대사케이지에 넣고 그룹별로 샘플을 얻었다. 알부민 뇨를 측정하기 위해, Exocell사의 마우스 효소면역측정(Elisa) 키트(Exocell, Philadelphia, P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정상 NFD 군과 비교하여, HFD/STZ 군에서 미세 알부민뇨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증가된 알부민뇨가 실로스타졸의 단독 투여나 실로스타졸과 로수바스타틴의 병용 투여로 정상 마우스 모델 수치까지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장기간의 고지방식이와 STZ 단회 투여로 마우스의 신장에 만성적인 병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신장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약물로써 실로스타졸의 단독 투여 또는 로수바스타틴과의 병용 투여를 통하여 만성 신장질환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4> 만성 신장질환에서 실로스타졸과 로수바스타틴의 병용 투여에 따른 신장조직 변화 확인
1. 신장 조직 추출
약물 투여 12 주 후 실험을 종료하고 모든 마우스의 혈관 순환계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Dulbecco 생리식염 완충용액 (DPBS, welgene)을 사용하여 관류시켰다.
마우스의 신장을 적출하여 무게를 잰 후 오른쪽 신장은 포르말린 (Sigma Aldrich) 에 고정시킨 뒤 면역형광실험을 위해 4℃ 냉장고에 보관하였으며, 왼쪽 신장은 면역화학적 분석법의 실험에 사용되었다.
2. 면역화학적 분석
마우스의 왼쪽 신장을 세로로 절단하여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억제제 (Protease inhibitor, Sigma Aldrich)를 포함하는 세포용해 완충액(RIPA완충액: 150mM Nacl, 1mM EDTA 및 1% nonylphenoxypolyethoxylethanol)에 넣고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로 조직을 갈은 다음, 4 ℃ 미량 원심분리기에서 10000 × g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모았다.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BCA 단백질 키트 (Thermo Scientific ,Waltham, MA)를 사용했으며, 정량된 단백질을 5× 샘플 버퍼 (Bromophenol blue 0.25%, Tris-Hcl pH6.8 0.25M, SDS10%, glycerol 30% , beta-mercaptoethanol 5%)와 혼합하여 95 ℃에서 5분간 가열한 후 6~12 %의 SDS-폴리아크릴 아마이드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니트로 셀룰로오스막으로 전달하였다. 그 후 니트로 셀룰로오스 막을 PBS-T에 5 %의 탈지유(Skim milk)를 넣거나 3 %의 소혈청알부민(BSA)을 넣은 상태로 1시간 동안 차단하고 1차 항체를 넣고 4 ℃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다음날 PBS-T로 세 차례 세척한 후, 상온에서 2차 항체를 넣고,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미지 현상은 화학발광면역측정법을 이용하였고, 기기는 GE Healthcare Life Sciences사의 이미지퀀스 라스 4000 미니 (GE Healthcare Life Science, Piscataway Township, NJ)를 사용하였다.
3. 면역형광 분석
신장조직을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시킨 다음, 세로로 절단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였으며, 3~4μm의 연속절편을 제작하여, 일반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 또는 콜라겐 섬유 관찰을 위해 시리어스 레드(Sirius red) 염색을 수행하여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일부 신장 조직은 지방방울(lipid droplet)을 관찰하기 위하여, 30% 수크로스(sucrose) 용액에서 탈수시킨 후 동결절단 하고, 오일 레드(oil red) 염색을 수행하였다.
보다 명확한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위해, 신장 피질내 혈관사이세포 팽창성 모세혈관 확장성 사구체 위축이 나타난 사구체의 수, 공포 변성 또는 20% 이상 지방방울이 축적된 세뇨관의 수 및 신장 피질내 콜라겐 섬유가 차지하는 비율 (%/mm2ofcortex)의 변화를 각각 현미경 시야에서 자동영상분석장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신장 피질 조직내 세포사멸(apoptosis)을 나타내는 세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caspase-3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검토하였으며, 혈관신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CD31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1; PECAM-1) 및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2 (VEGFR2) 면역반응성을 관찰하였으며, 신장 피질내 caspase-3, CD31, PAI-1, VEGFR2 및 TGF-β1 면역반응 부위의 비율 (%/mm2ofkidneycortex)의 변화 역시 현미경에서 자동영상분석장치를 이용하여 각각 산출하였다.
4. 신장의 조직학적 변화와 콜라겐 IV PAI -Ι 단백질 발현 수준 확인
신장질환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조직학적 실험으로는 신사구체 기저막의 비후, 세뇨관에서 공포(空胞) 또는 지방방울이나 콜라겐이 침착된 정도를 확인하여 실로스타졸과 로수바스타틴 병용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와 같이 조직학적 이상이 정상 NFD 대조군에 비해 HFD/STZ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으나, 증가된 변성 사구체 및 세뇨관, 지방방울과 콜라겐 섬유가 차지하는 비율이 실로스타졸과 로수바스타틴의 단독 또는 병용 투여로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개선정도가 단독 투여군보다 병용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섬유화와 관련된 PAI-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및 TGF-β1(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면역반응성을 avidin-biotin-peroxidase complex (ABC) 방법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하여 확인하였고, 신사구체 기저막을 구성하는 Type IV 콜라겐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 및 표 3과 같이 HFD/STZ 마우스 군에서 Type IV의 콜라겐 단백질 발현 양이 정상 NFD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약물의 처치로 신장질환에서 수반되는 섬유화가 제어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두 약물의 병용으로 개별 약물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작용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sangial expanded vasodilated glomerulus Vacuolated
renal tubules
Lipid droplet deposited renal tubules Collagen occupied regions
Control
NFD 10.33±5.37 11.26±5.49 7.14±2.41 4.87±2.82
NFD+STZ(HS) 67.21±13.28e 74.05±10.31a 54.15±12.26e 30.31±10.91e
Treatment
HS+Cilo(C) 46.74±12.00eg 52.62±10.13ab 36.90±10.23eg 15.90±4.28ef
HS+Rosuva(R) 35.15±9.30ef 33.03±11.02ab 26.19±10.30ef 13.22±3.01ef
HS+C+R 21.51±4.04efhi 19.27±4.04bcd 13.19±2.62efhi 8.98±1.61efhi
a. p<0.01 as compared with NFD control by LSD test; e. p<0.01 as compared with NFD control by MW test; b. p<0.01 as compared with HFD+STZ control by LSD test ; f. p<0.01 and g p<0.05 as compared with HFD+STZ control by MW test; c. p<0.01 as compared with HS+Cilo by LSD test; h. p<0.01 as compared with HS+Cilo by MW test; d. p<0.01 as compared with HS+Rosuva by LSD test; i. p<0.01 and j p<0.05 as compared with HS+Rosuva by MW test
5. 신장조직 내 caspase -3, CD31 VEGFR 발현 수준 확인
HFD/STZ으로 유도된 신장질환 마우스 모델에서 실로스타졸의 신장 보호 효과를 명확히 알아보기 위하여 신장 피질 내 caspase-3, CD31 그리고 VEGFR의 레벨을 면역형광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3과 같이 신장 피질의 세포사멸(apoptosis)를 나타내는 caspase-3의 레벨은 HFD/STZ 모델에서 정상 NFD군보다 12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실로스타졸 단독 투여군에서는 약 30%, 실로스타졸과 로수바스타틴의 병용 투여군에서는 약 65 %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혈관 신생의 지표로 사용되는 CD31과 VEGFR2의 발현 수준이 신장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약물 투여로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HFD/STZ로 유도된 만성 신장질환은 실로스타졸과 로수바스타틴으로 개선될 수 있으며, 두 약물의 병용 투여시 개별 약물의 단독 투여보다 효과적인 신장질환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aspase -3 CD31 PAI -1 VEGFR2 TGF -β1
Control
NFD 5.47±2.04 12.72±2.53 3.90±2.34 4019±2.40 9.34±2.25
HFD+STZ(HS) 68.24±13.60a 68.84±11.31e 60.68±11.51 77.68±11.41e 52.11±11.07e
Treatment
HS+Cilo(C) 49.89±9.49ab 40.25±12.31ef 43.61±10.53eg 46.13±14.27ef 34.73±10.37eg
HS+Rosuva(R) 40.10±10.74ab 38.79±11.20ef 31.91±10.79ef 38.33±11.28ef 27.20±8.12ef
HS+C+R 24.88±7.23abcd 23.40±5.67efhi 18.30±3.75efhi 24.44±5.80efhi 17.29±3.34efhi
a. p<0.01 as compared with NFD control by LSD test; e. p<0.01 as compared with NFD control by MW test; b. p<0.01 as compared with HFD+STZ control by LSD test; f. p<0.01 and g p<0.05 as compared with HFD+STZ control by MW test; c. p<0.01 as compared with HS+Cilo by LSD test; h. p<0.01 as compared with HS+Cilo by MW test; d. p<0.01 as compared with HS+Rosuva by LSD test; i. p<0.01 and j p<0.05 as compared with HS+Rosuva by MW test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장질환은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성 신증, 사구체신염, 간질성신염, 급성신부전 및 만성신부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실로스타졸 1~50 중량% 및 로수바스타틴 50~99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150060209A 2015-04-29 2015-04-29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60129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09A KR20160129122A (ko) 2015-04-29 2015-04-29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09A KR20160129122A (ko) 2015-04-29 2015-04-29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122A true KR20160129122A (ko) 2016-11-09

Family

ID=5752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09A KR20160129122A (ko) 2015-04-29 2015-04-29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50A1 (ko) * 2018-06-19 2019-12-26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실로스타졸과 스타틴계약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304B1 (ko) 2007-05-10 2008-12-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관절염 치료용 실로스타졸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304B1 (ko) 2007-05-10 2008-12-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관절염 치료용 실로스타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50A1 (ko) * 2018-06-19 2019-12-26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실로스타졸과 스타틴계약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20190142809A (ko) * 2018-06-19 2019-12-30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실로스타졸과 스타틴계약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pta et al. Genistein ameliorates cardiac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cardiomyopathy in rats
Wang et al. Pharmaceutical impact of Houttuynia Cordata and metformin combination on high-fat-diet-induced metabolic disorders: Link to intestinal microbiota and metabolic endotoxemia
Park et al. A Korean herbal medicine, Panax notoginseng, prevents liver fibrosis and hepatic microvascular dysfunction in rats
Jiang et al. Resveratrol attenuates early diabetic nephropathy by down-regulating glutathione s-transferases Mu in diabetic rats
Yimam et al. 90-day oral toxicity study of UP446, a combination of defined extra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and Acacia catechu, in rats
Guo et al. A combination of astragaloside I, levistilide A and calycosin exerts anti-liver fibrosis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Lin et al. (−)-Epicatechin-3-O-β-D-allopyranoside from Davallia formosana prevents diabetes and dyslipidem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Mo et al. Diosmetin exerts cardioprotective effect on myocardial ischaemia injury in neonatal rats by decreasing oxidative stress and myocardial apoptosis
Xu et al. Scutellarin protects against diabetic cardiomyopathy via inhibiting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mice
Zhou et al. Psoralen induced liver injury by attenuating liver regenerative capability
Nopparat et al. Ethanolic extracts of Pluchea indica (L.) leaf pretreatment attenuates cytokine-induced β-cell apoptosis in multiple low-dos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Zeng et al. Lung-protective effect of Punicalagin on LPS-induced acute lung injury in mice
Atia et al. The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on diabetes-induced hepato-renal pathological changes: a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study
KR20160129122A (ko) 실로스타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an et al. Euonymus alatus and its monomers alleviate liver fibrosis both in mice and LX2 cells by blocking TβR1-Smad2/3 and TNF-α-NF-κB pathways
KR20160129121A (ko) 사포그릴레이트 및 로수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8379302A (zh) 双裂海木耳乙酸乙酯提取物在制备抗炎镇痛药物中的用途
Hu et al. Dexrazoxane alleviated doxorubicin-induced nephropathy in rats
Natarajan et al. Hepato and renoprotective activity of Kappaphycus alvarezii ethanolic extract in cisplatin causes hepatic and kidney harm in Albino Wistar rats
Chen et al. Extract of Cyclosorus acuminatus attenuates diabetic nephropathy in mice via modifying peroxisome proliferators activated receptor signalling pathway
CN110123827B (zh) 一种治疗由代谢异常所致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Romaima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Chinese Formula Yeliangen Promotes Wound Heali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CN110201025B (zh) 青钱柳提取物在制备治疗或防治糖尿病心肌病药物中的应用
KR101935147B1 (ko)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및 항혈소판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houdhary et al. Ameliorative potential of Operculina turpethum against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in rats: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