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915A -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915A
KR20160128915A KR1020160051775A KR20160051775A KR20160128915A KR 20160128915 A KR20160128915 A KR 20160128915A KR 1020160051775 A KR1020160051775 A KR 1020160051775A KR 20160051775 A KR20160051775 A KR 20160051775A KR 20160128915 A KR20160128915 A KR 2016012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ser
frame portion
neck
fram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741B1 (ko
Inventor
양동규
양현영
Original Assignee
양동규
양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규, 양현영 filed Critical 양동규
Publication of KR2016012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고개가 숙여지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양쪽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의 자세를 인지할 뿐만 아니라 나빠진 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단말기와 독립되거나 쉽게 호환될 수 있도록 하여 활용도를 높이며, 헤드셋 기능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적용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NECK SUPPORT AND HEADSET HAVING THE SAME, ELECTRONIC PRODUCT}
본 발명은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시 목을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머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무게 부담이 적으며 외관이 콤팩트하고 단말기와 연계한 기능이 장착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자목 증후군 또는 거북목 증후군(이하, 거북목 증후군으로 통칭함)은 목뼈가 일자 모양으로 변형되거나 전방측으로 휘어지는 증상이다. 목뼈가 일자로 되면 충격 완화 효과가 감소해 목 디스크가 유발될 확률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어깨의 근육이나 척추에도 상당한 무리가 가해져 일상 생활에서의 불편함을 유발시킬 수 있다.
예전에는 거북목 증후군이 나이가 들고 근육량이 감소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요즘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많은 성장기의 청소년이나 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업무를 보는 젊은층에게 흔히 나타나는 등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거북목 증후군을 교정하기 위한 제품이나 운동요법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주로 알려진 거북목 교정장치는 그 실효성이 충분하게 검증되지 않아 대부분의 환자가 약물 치료에 의존하거나, 병원을 방문하여 물리치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대부분의 거북목 교정장치는 이미 거북목 증상이 진행된 이후에나 교정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될 수는 있어도 근본적인 치료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 종래의 거북목 교정장치는 그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일상 생활에서 착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도 만족할 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반면, 거북목을 예방하기 위한 자세 교정 기구는 상대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다. 또, 알려진 자세 교정 기구는 주로 사용하고 있는 영상기기를 통해 자세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자료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현재의 자세에 대해 위험 신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4854호, 제10-2013-0023129호 등이 상기와 같은 방식의 장치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세 교정 기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위험 신호만을 제공할 뿐, 실질적으로 자세를 교정하거나 예방하는 역할은 하지 못하므로 실효성에 한계가 있었다.
또, 이를 감안한 종래의 자세 교정 기구는, 주로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목을 단단하게 지지하기 위해 최초 벌림 각도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인데, 이러한 자세 교정 기구는 경증 환자의 입장에서는 착용할 때 불편함이나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착용을 꺼리게 되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세 교정 기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이동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PC와 같은 고정 단말기에서 영상을 취득하여 송신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자세 교정을 위해 이러한 기능을 어플 형태로 추가 제공을 받거나 또는 기능이 탑재된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세 교정 기구는, 인체에 직접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영상을 취득하여 현재의 자세에 대한 위험 여부를 화면이나 사용자가 착용한 헤드셋 등을 통해 알려주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자세 교정 기구 자체가 다른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 생활에서는 착용하고서도 목을 일정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스스로의 자세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나빠진 자세를 스스로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사용 환경,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최초 벌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와 독립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각종 단말기와 쉽게 호환되어 별도의 비용상승 없이 활용도가 높은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세 교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고개가 숙여지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양쪽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밴드부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프레임부는 다른 쪽 프레임부 또는 상기 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다른 부재에 착탈되는 프레임부와그 프레임부가 착탈되는 부재 사이에는 프레임부의 착탈을 조절하는 후크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양쪽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다른 쪽 프레임부 또는 밴드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 또는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밴드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에는 사용자의 몸통의 등쪽으로 절곡되는 등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에는 사용자의 턱의 전방쪽으로 절곡되는 턱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간격 유지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밴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헤드셋 본체 및 그 헤드셋 본체에 연결되는 리시버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셋 본체에는 단말기와 전기 신호를 송 수신하는 신호 전달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밴드부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고 상기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밴드; 및 상기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또는 밴드에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셋 본체에는 상기 턱 지지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셋 본체에는 리시버 및 해당 단말기와 전기 신호를 송 수신하는 신호 전달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셋 본체 또는 밴드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밴드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장착되는 제3 프레임부; 상기 제3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밴드부, 제3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밴드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는, 일상 생활에서는 착용하고서도 목을 일정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스스로의 자세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나빠진 자세를 스스로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
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사용 환경,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최초 벌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거부감이나 불편함 없이 착용하게 되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 단말기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단말기와 연결되더라도 단말기의 기종에 관련 없이 쉽게 호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상승 없이 활용도가 높은 목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자세 교정을 위한 목 지지 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헤드셋 기능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적용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Ⅴ-Ⅴ"선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프레임부 사이의 탄성부재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착탈식 구조로 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따른 착탈식 목 지지 장치에서 프레임부를 잠그는 후크부를 보인 단면도 및 "Ⅵ-Ⅵ"선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턱 지지부와 등 지지부를 가지는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목 지지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간격 유지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양쪽 프레임부와 각도조절 브라켓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도,
도 16은 도 14에 따른 목 지지 장치가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도 14에 따른 목 지지 장치의 사용각도에 따른 사용 상태도를 보인 측면도,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 헤드셋 기능이 추가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를 헤드셋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를 활용한 전자기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Ⅴ-Ⅴ"선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프레임부 사이의 탄성부재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목 지지 장치(1)는,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1 프레임부(10)에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되어 사용자의 턱 아래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는 제2 프레임부(20)와,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되는 밴드부(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부(30)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의 양단을 연결하여 목 지지 장치(1)의 후방측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한 개로 된 연결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의 양단이 분리되어 벌어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인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는 분리형 밴드부가 도시되었다. 밴드부(30)가 연결형인 경우에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복수 개로 분리되어 전방측에서 벌려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목 지지 장치(1)가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목에 걸고 사용하는 제품임을 감안하면 목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는 자유로워야 하는 동시에 무게가 가벼워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한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그리고 밴드부(30)는 탄성을 가지는 얇은 선재(線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밴드부(30)는 사용자의 목에 거치되어 지지되어야 하므로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장방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중에서 한 쪽 프레임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반면 다른 쪽 프레임부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모두 탄성을 가지지 않되 별도의 탄성부재가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의 사이, 또는 어느 한 쪽 프레임부(10)(20)와 밴드부(30) 사이에 설치되어 제2 프레임부(2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 족하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부(10)에 힌지홈(15)이, 제2 프레임부(20)에 힌지돌기(25)가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벌어진 중간에 압축스프링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4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고, 그 연결되는 지점에 텐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프레임부(20)에 제1 프레임부(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제2 프레임부(20)의 양단이 밴드부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 사용자가 고개를 일정 범위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로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에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구성이면 족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가 모두 탄성을 가지는 예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그리고 밴드부(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밴드부(3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단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안쪽에는 탄성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는 얇은 심재(心材)가 구비되고 바깥쪽에는 심재의 외주면를 감싸며 상대적으로 연성을 가지는 보호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호재는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점을 감안하여 부드러운 실리콘이나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목 지지 장치가 심재와 보호재로 된 이중 구조인 경우에는 목 지지 장치 전체가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만 이중 구조로 형성되고 밴드부(30)는 보호재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단일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밴드부(30)는 도 5에서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된 심재를 땅콩모양으로 잘록하게 오므려 좁아진 부위를 다시 절곡하여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잘록하게 오므려진 부위가 밴드부(30)를 이루며 그 밴드부(30)를 중심으로 볼록한 양쪽 부위가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6에서와 같이 씨(C)자 모양으로 된 복수 개의 프레임부(10)(20)를 묶어 그 양단이 밴드부(30)를, 둥근 중간 부위가 각각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는 클립과 같은 체결부재(60)로 묶어 결합하고, 체결부재(60)를 포함하여 밴드부(30)는 보호재(70)로 감싸 은폐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다른 쪽 프레임부의 양단 부근 또는 중간 지점에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결합되는 부위에서 멀어질수록 두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이 점점 벌어지게 되고, 그 두 프레임부(10)(20) 사이의 간격은 절곡된 프레임부의 탄성력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된 경우에는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증감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부(10)가 절곡되는 경우에는 그 제1 프레임부(10)가 사용자의 가슴선에 대응하도록 중앙부위가 하향 절곡되는 것이 제1 프레임부(10)가 사용자의 가슴에 밀착되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 제2 프레임부(20)가 절곡되는 경우에는 그 제2 프레임부(20)의 전방측, 즉 사용자의 턱밑에 접하는 부위만 받쳐줄 수 있도록 전방측만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밴드부(30)가 어깨에 얹히게 되므로 지지력이 향상되고 옷깃에 감춰질 수 있어 미관상 유리할 수 있다.
또,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는 그 역할이 상이함에 따라 단면 형상도 역할에 맞게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부(10)는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납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프레임부(20)는 사용자의 턱밑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전방측에 턱 지지면(21)이 다른 부위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확장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프레임부(10) 또는 제2 프레임부(20)가 밴드부(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순 보행 중이거나 간단한 운동 중일 때에는 목을 좀더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는 목 지지 장치(1)를 벗어 따로 보관할 수도 있지만 상기 목 지지 장치(1)에 후술할 헤드셋과 같은 별도의 기능이 부가된 경우에는 일부 프레임부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고 헤드셋 기능이 부가된 프레임부만 목에 건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밴드부(30)에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가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착탈되는 프레임 장착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프레임부(10) 또는 제2 프레임부(20)를 필요에 따라 밴드부에서 분리하거나 결합시켜 사용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프레임 장착홈은 제1 프레임부(10) 또는 제2 프레임부(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부(10) 또는 제2 프레임부(이하에서는, 편의상 제2 프레임부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명한다)(20)가 밴드부(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2 프레임부(20)가 밴드부(30)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부(80)가 밴드부(3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부(80)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밴드부(30)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후크돌기(81)와, 제2 프레임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후크돌기(81)가 삽입되는 후크홈(8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돌기(81)는 밴드부(30)에 구비되는 후크구멍(83)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후크구멍(83)의 안쪽에 구비되는 후크 스프링(84)에 의해 후크홈 방향으로 탄력 지지될 수 있다.
후크홈(82)은 제2 프레임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목 지지 장치(1)의 밴드부(30)를 벌려 사용자의 목에 걸면 제1 프레임부(10)는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한편 제2 프레임부(20)는 사용자의 턱밑을 가볍게 받쳐 고개를 상하 방향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의자에 앉아 노트북이나 데스크탑PC의 모니터를 주시할 때 화면이 시선보다 낮아 고개를 숙이려고 할 때, 사용자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의 탄성력을 이기고 숙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고개를 숙이거나 머리를 앞쪽으로 내밀어 화면을 주시하던 습관을 자제시켜 목뼈가 거북목이 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교정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고개가 약간 숙여지더라도 목 지지 장치가 머리의 무게를 분산시켜 목뼈는 물론 어깨근육이나 척추에 전달되는 부하를 경감시켜 통증이 유발되거나 자세가 틀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목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도 지지하여 목을 앞으로 내미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목 지지 장치(1)는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밴드부(30)의 일측이 사용자의 등에 걸려 전방쪽으로 지지되는 등 지지부(33)가 절곡 형성되고, 턱을 받쳐주는 제2 프레임부(20)의 전방측에 사용자의 턱을 걸어 후방쪽으로 지지하는 턱 지지부(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등 지지부(33)와 턱 지지부(23)는 밴드부(30)와 제2 프레임부(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목 지지 장치는 사용자의 턱을 상하 방향으로만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목을 화면쪽으로 길게 내미는 습관을 충분하게 억제시키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목 지지 장치(1)에 등 지지부(33)와 턱 지지부(23)를 가지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목(또는, 턱)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목을 전후 방향에 대해서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목을 앞으로 길게 내미는 습관도 교정할 수 있어 그만큼 거북목 예방이나 교정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목 지지 장치는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현재의 목 위치를 인지하여 스스로 자세를 교정하거나 또는 자세가 불량하게 되는 것을 자제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현재의 목 위치나 자세를 더욱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목 지지 장치에 간격 유지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간격 유지부(90)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양쪽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간격 감지부(91)와, 간격 감지부(9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간격 감지부(91)에 의해 감지된 간격 변화가 일정 이상인 경우 목이 너무 숙여지거나 앞으로 내민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이나 알람 등의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부(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간격 유지부(90)가 구비된 목 지지 장치는, 사용자가 목 지지 장치(1)를 사용하면서도 신경이 무디거나 하여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의 탄성력만으로 목이 숙여졌는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간격 유지부(90)에 의해 현재의 목이나 전체적인 자세가 많이 숙여졌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거북목을 더욱 효과적으로 교정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목 지지 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더라도 최초 벌림 각도는 한 개로 한정되는 것이었으나, 본 실시예는 목 지지 장치의 최초 벌림 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간격 유지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의 간격 유지부는 사용중에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는 사용하기 전에 적정 간격을 설정하여 그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양쪽 프레임부와 각도조절 브라켓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따른 목 지지 장치가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도 14에 따른 목 지지 장치의 사용각도에 따른 사용 상태도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4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목 지지 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힌지 결합되고, 제1 프레임부(10)는 제2 프레임부(20)에 최초 벌림 각도(α)를 조절하여 착탈시킬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환경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최초 벌림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목 지지 장치를 착용할 때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거나 불편하다고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프레임부(10)에는 제1 힌지브라켓(16)이, 제2 프레임부(20)에는 제1 힌지브라켓(16)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브라켓(26)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10) 중에서 적어도 제1 힌지브라켓(16)에 결합되는 부분은 제1 프레임부(10)가 겉돌지 않도록 직선면 또는 각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프레임부(20) 역시 마찬가지로 제2 힌지브라켓(26)과 결합되는 부분은 직선면 또는 각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프레임부(10)의 전체와 제2 프레임부(20) 전체가 모두 직선면 또는 각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힌지브라켓(16)과 제2 힌지브라켓(26)은 각각의 프레임부(10)(2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후술할 각도조절 브라켓(95)과의 조합으로 제1 프레임부(10)의 벌림량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2 프레임부(20)에는 최초 벌림 각도(α)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 브라켓(95)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각도조절 브라켓(95)은 제1 힌지브라켓(16) 및 제2 힌지브라켓(26)과 함께 제1 프레임부(10)를 2점에서 지지하면서,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의 최초 벌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부(10)는 제1 힌지브라켓(16)과 제2 힌지브라켓(26)에 의해 제2 프레임부(20)에 매달린 상태에서 각도조절 브라켓(95)에 의해 그 각도조절 브라켓(95) 또는 제2 프레임부(20)에 받쳐져 지지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각도조절 브라켓(95)은 소정의 넓이와 두께를 가지는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은 제2 프레임부(20)가 제1 프레임부(10)와 함께 삽입되는 제1 구멍(95a), 제1 프레임부(10)가 독립적으로 삽입되는 제2,3 구멍들(95b)(9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멍(95a)은 두 개의 프레임부(10)(20)가 함께 삽입되므로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제2 구멍(95b)(95c)은 한 개의 프레임부(10)(20)가 각각 독립적으로 삽입되므로 프레임부(10)(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에 접촉되는 제1 프레임부(10)의 접촉부분(10a) 및 제2 프레임부(20)의 접촉부분(20a)은 각도조절 브라켓(95)에 의해 각 프레임부(10)(20)가 겉돌지 않도록 직선면 또는 각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 브라켓(95)은 그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 주변으로 지지돌부(9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에 삽입되는 프레임부(10)(20)에 대한 지지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에 삽입되는 각 프레임부(10)(20)의 단부는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프레임부(10)의 절곡부분(10b)이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에 지지됨에 따라,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에 삽입되는 제1 프레임부(10)가 제2 프레임부(2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a와 같이 제1 프레임부(10)가 제1 구멍(95a)에서 제2 프레임부(20)와 함께 삽입되는 경우에는 그 제1 프레임부(10)의 절곡부분(10b)이 제2 프레임부(20)에 밀착되면서 제2 프레임부(20)에 대해 제1 프레임부(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 도 17b와 같이 제1 프레임부(10)가 제2 구멍(95b)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경우에도 그 제1 프레임부(10)의 절곡부분(10b)이 프레임 삽입구멍(95b)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접촉됨에 따라 제1 프레임부(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 각도조절 브라켓(95)은 가급적 가벼운 금속이나 소정의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목에 부담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4는 양측 턱 지지부이고, 40은 가슴지지부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사용자가 목 지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6과 같이 제1 프레임부(10)를 각도조절 브라켓(95)으로부터 분리하여 제2 프레임부(20)와 나란하게 접은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사용시에는 도 17a 및 도 17b와 같이 두 프레임부(10)(20)를 적절한 각도(α,α')만큼 벌린 상태에서 제1 프레임부(10)의 절곡부분(10b)을 각도조절 브라켓(95)의 프레임 삽입구멍(95a,95b,95c)에 끼워 사용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스스로의 체형을 고려하거나 또는 사용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최초 벌림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제1 프레임부의 중간부분에는 그 제1 프레임부가 접하는 사용자의 가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 지지부재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제2 프레임부의 중앙부 또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사용자의 옆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턱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오므려 두 프레임이 겹치도록 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납유닛은 두 프레임을 묶어 보관하는 밴드, 클립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거북목을 교정하거나 예방하는 것 외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목 지지 장치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PC를 장시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거북목을 교정 또는 예방하는 것에 주목한 바, 이와 관련된 부가제품으로도 헤드셋 기능이 탑재되거나 기존의 헤드셋에 목 지지 장치를 추가 탑재할 수 있다.
도 18는 목 지지 장치에 헤드셋 기능이 탑재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9는 헤드셋에 목 지지 장치가 탑재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밴드부(130)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한 제1 프레임부(또는, 제2 프레임부나 밴드부)(110)에는 헤드셋 본체(151)가 내장되고, 헤드셋 본체(151)에는 사용자가 귀에 꽂아 음향을 청취할 수 있는 리시버(155)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목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헤드셋 본체(151)에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처리하거나 그 헤드셋 본체(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와 전기 신호를 송 수신하여 그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전달부를 이루는 전자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 본체(151)에는 그 헤드셋 본체(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 본체(151)에는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기능부(153) 등 통상적인 헤드셋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목 지지 장치만으로 헤드셋 기능을 이용하거나, 헤드셋 본체에 연결된 단말기를 제어하여 이동 전화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밴드부(또는, 제1 프레임부나 제2 프레임부)(130)에는 배터리 수납부(131)가 형성되고, 배터리 수납부(131)에는 헤드셋 본체에 필요한 전원 또는 단말기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14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130)에는 보조 배터리(1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커넥터(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 목 지지 장치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셋 본체(151)와 연결되는 단말기에는 이동 단말기가 포함되고,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 외에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 헤드셋 본체(151)와 연결되는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셋 본체(151)와 단말기는 블루투스 기술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목 지지 장치에 헤드셋 기능이 탑재된 경우에는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밴드부(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헤드셋 본체(151)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목 지지 장치(1)를 이용하여 거북목을 교정하거나 예방하면서도 헤드셋 기능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 등을 이용할 때 별도의 헤드셋을 구비할 필요가 없이 목 지지 장치만으로도 헤드셋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목 지지 장치(1)에 헤드셋과 같은 전자기기적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제1 프레임부(110)이나 제2 프레임부(120) 또는 밴드부(130)에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헤드셋에 목 지지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부에 헤드셋 본체가 내장되고, 헤드셋 본체에 리시버가 연결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셋 본체에 턱 지지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턱을 지지하기 위한 턱 지지부재가 헤드셋 본체 또는 후술할 밴드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은, 양쪽 헤드셋 본체(210)와, 양쪽 헤드셋 본체(210)를 서로 연결하는 밴드(220)와, 밴드(또는, 양쪽 헤드셋 본체)(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턱 지지부재(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셋 본체(2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헤드셋 본체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밴드(22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헤드셋 본체(210)가 각각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 본체(210)가 결합된 밴드(220)의 양측면(221)에는 턱 지지부재(23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프레임 장착홈(2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턱 지지부재(230)는 씨(C)자 모양의 선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턱 지지부재(230)는 헤드셋 본체(210)가 목 주변의 가슴에 밀착되는 점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턱밑을 받쳐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소정의 각도만큼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턱 지지부재는 밴드 또는 헤드셋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후크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헤드셋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전원은 헤드셋 본체 또는 밴드에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8에 도시된 보조 배터리의 설치방식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턱 지지부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제2 프레임부와 그 기본적인 구성이 유사하고, 턱 지지부재가 장착된 헤드셋 본체 역시 도 19에 도시한 실시예의 헤드셋 본체와 그 작용 효과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55는 리시버이다.
한편, 최근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예로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들 수 있다.
기존의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하여 사용하다가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벗어서 따로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통상의 이동 단말기와 달리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바지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기가 곤란하여 분실하거나 떨어졌을 경우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목 지지 장치에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결합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게 되면,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파손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3)는,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310)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제1 프레임부(310)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320)와, 제1 프레임부(310)와 제2 프레임부(3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330) 및 밴드부(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310), 제2 프레임부(320), 밴드부(330)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는 밴드부(330)에 구비되는 힌지(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프레임부(341)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3 프레임부(341)는 밴드부(330)에 항구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프레임부(341)는 밴드부(330) 뿐만 아니라 제1 프레임부(310) 또는 제2 프레임부(320)에도 결합될 수 있고, 제1 프레임부(310)와 제2 프레임부(320)가 힌지 결합되는 부위에도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3 프레임부(341)를 회전시켜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을 두부에 착탈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부(310)와 제2 프레임부(320), 그리고 밴드부(33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 프레임부(341)는 제1 프레임부(310)나 제2 프레임부(320) 또는 밴드부(3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프레임부(341)는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합성수지 재질과 같은 플렉시블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부(341)은 사용자의 두부 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부(341)의 전면에는 좌안과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34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프레임부(341)에는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43), 디스플레이부(343)를 제어하는 제어부(344), 제어부(34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5), 카메라(346), 사용자 입력부(347), 골전도 진동 방식의 음향 출력 모듈(348) 등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와 전원공급부, 사용자 입력부 등은 제1 프레임부나 제2 프레임부, 또는 밴드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43)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제어부(344)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44)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45)는 제어부(344)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345)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충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346)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46)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346)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47)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346) 또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phone) 등의 동작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는, 목 지지 장치에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가 일체로 결합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는 목 지지 장치를 착장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에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를 회전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회전시켜 목 지지 장치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할 때에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1 : 목 지지 장치 10,110 : 제1 프레임부
20,120 : 제2 프레임부 16 : 제1 힌지브라켓
26 : 제2 힌지브라켓 21 : 턱 지지면
23 : 턱 지지부 24 : 턱 받침부
30,130 : 밴드부 31 : 프레임 장착홈
33 : 등 지지부 40 : 가슴지지대
50 : 탄성부재 60 : 체결부재
70 : 보호부 80 : 후크부
81 : 후크돌기 82 : 후크홈
95 : 각도조절 브라켓 95a,95b,95c : 프레임 삽입구멍
140 : 보조 배터리 155 : 리시버
2 : 헤드셋 210 : 헤드셋 본체
220 : 밴드 230 : 턱 지지부재
255 : 리시버 3 : 전자기기
310 : 제1 프레임부 320 : 제2 프레임부
330 : 밴드부 340 : 글래스 타입 단말기
341 : 제3 프레임부

Claims (10)

  1.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고개가 숙여지는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양쪽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밴드부는 단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프레임부는 다른 쪽 프레임부 또는 상기 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다른 부재에 착탈되는 프레임부와그 프레임부가 착탈되는 부재 사이에는 프레임부의 착탈을 조절하는 후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에는 제1 힌지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에는 상기 제1 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힌지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 또는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프레임부에는 각도조절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에는 다른 쪽 프레임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양쪽 프레임부의 최초 벌림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삽입구멍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프레임부의 단부는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는 상기 각 힌지브라켓과 접촉되는 부분 또는 각도조절 브라켓의 프레임 삽입구멍에 접촉되는 부분 또는 양쪽 프레임부가 접촉되는 부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은 직선면 또는 각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
  8.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
  9.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고 상기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밴드; 및
    상기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또는 밴드에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목 지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목 지지 장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목 지지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0.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목 지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목 지지 장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목 지지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60051775A 2015-04-28 2016-04-27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KR101872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4273 WO2016175347A2 (ko) 2015-04-28 2015-04-28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KRPCT/KR2015/004273 2015-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915A true KR20160128915A (ko) 2016-11-08
KR101872741B1 KR101872741B1 (ko) 2018-07-02

Family

ID=5719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775A KR101872741B1 (ko) 2015-04-28 2016-04-27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2741B1 (ko)
WO (1) WO201617534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70B1 (ko) * 2018-08-06 2019-05-15 최종수 턱 각도 지지용 보조기 및 이를 포함한 턱 각도 교정 장치
KR20200099640A (ko) * 2019-02-14 2020-08-2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9694B1 (en) 2000-06-23 2002-06-25 Carlito V. Bugarin Neck brace
JP4575611B2 (ja) 2001-03-27 2010-11-04 健一 首藤 頸椎症医療補助具
KR20030052930A (ko) * 2001-12-21 2003-06-27 이재기 목 교정기
KR20030097470A (ko) * 2002-06-21 2003-12-31 한정민 경추 견인기의 보조 받침장치
KR100644251B1 (ko) * 2005-04-18 2006-11-14 최후림 하드타입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 거치장치
US7674234B2 (en) * 2005-07-28 2010-03-09 Carsar, Llc Cervical collar with geared adjustment
KR100869693B1 (ko) * 2007-04-06 2008-11-21 (주)태연메디칼 경추 교정기
KR20110027204A (ko) * 2009-09-10 2011-03-16 박재욱 휴대용 영상기기 지지장치
GB2495972B (en) * 2011-10-27 2017-11-01 Handsome Ltd Neck bra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770B1 (ko) * 2018-08-06 2019-05-15 최종수 턱 각도 지지용 보조기 및 이를 포함한 턱 각도 교정 장치
WO2020032479A1 (ko) * 2018-08-06 2020-02-13 최종수 턱 각도 지지용 보조기 및 이를 포함한 턱 각도 교정 장치
JP2021531911A (ja) * 2018-08-06 2021-11-25 チェ、ジョン−スCHOI, Jong−Soo 顎角度保持用補助具及びこれを含む顎角度矯正装置
AU2019318167B2 (en) * 2018-08-06 2022-09-22 Jong-Soo Choi Brace for supporting jaw angle, and jaw angle correc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20200099640A (ko) * 2019-02-14 2020-08-25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거북목 예방 기능 및 졸음 방지 기능이 있는 목 착용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741B1 (ko) 2018-07-02
WO2016175347A2 (ko) 2016-11-03
WO2016175347A3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681B2 (en) Composite wear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10021474B2 (en)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JP6046005B2 (ja) 電子眼鏡及び電子眼鏡システム
US9606375B2 (en)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US20080144854A1 (en)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US98575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s-on displays for fashionable eyewear and nosewear
KR101872741B1 (ko)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
JP5555366B1 (ja) 眼鏡フレーム、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付眼鏡
KR101254468B1 (ko) 카메라 모듈 장착용 헤드셋
KR101678645B1 (ko)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AU2014256329B2 (en)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AU2015201659B2 (en) An article of clothing worn on the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