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612A -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612A
KR20160128612A KR1020150060268A KR20150060268A KR20160128612A KR 20160128612 A KR20160128612 A KR 20160128612A KR 1020150060268 A KR1020150060268 A KR 1020150060268A KR 20150060268 A KR20150060268 A KR 20150060268A KR 20160128612 A KR20160128612 A KR 20160128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light emitting
flash
accesso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667B1 (ko
Inventor
정상원
이현욱
동방식
홍영기
양희민
정회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15006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667B1/ko
Priority to CN201680002053.4A priority patent/CN106664332A/zh
Priority to PCT/KR2016/001494 priority patent/WO2016175434A2/ko
Priority to JP2017520853A priority patent/JP2017525315A/ja
Priority to US15/329,849 priority patent/US20170270755A1/en
Publication of KR2016012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6Connection with camera, e.g. adap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2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article
    • G09F23/04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displayed by the operation of the article illumi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으로서,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 신호, 휴대단말기의 위치 등에 따라 휴대단말기 플래시의 빛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flash)를 덮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플래시의 빛을 전달받아 빛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Lighting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and light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으로서,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 신호, 휴대단말기의 위치 등에 따라 휴대단말기 플래시의 빛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음성통신기능 외에도 무선 인터넷, 사진촬영, 게임 등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단말기 관련 다양한 액세서리들도 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가 있다.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외에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7344호에는 휴대단말기 액세서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연결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빛이 발광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고 휴대단말기의 외관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꾸밀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200)의 이어폰 연결부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02)의 하부에 이어폰 연결구(104)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102)의 내측부에는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빛이 발광하도록 엘이디(2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몸체(102)의 내측부에는 PCB기판(18) 및 복수의 배터리(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는 발광기능을 위하여 몸체(102)의 내부에 엘이디(24), PCB기판(18) 및 배터리(22)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광원 및 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한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flash)를 덮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플래시의 빛을 전달받아 빛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래시를 덮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정면 일부를 덮어 상기 제1 고정부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발광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정면 일부를 덮어 상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는 상기 발광부에 부착되는 광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은,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flash)를 덮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플래시의 빛을 전달받아 빛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의 발광 시스템으로서,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플래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플래시의 작동에 따라 빛나는 발광 액세서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호 감지부는 지정된 장소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의 접속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하면, 상기 플래시가 작동되어 상기 발광 액세서리가 빛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비콘(Beacon)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통신모듈이다.
또한, 상기 신호 감지부는 GPS수신모듈이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리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플래시가 작동되어 상기 발광 액세서리가 빛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와 연동하여 상기 플래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플래시의 작동에 따라 빛나는 발광 액세서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는 알람 또는 휴대단말기 상태 정보 알림 소프트웨어이고, 상기 제어부는 알람 설정 또는 휴대단말기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래시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는 음악 재생 소프트웨어 또는 게임이고, 상기 제어부는 휴대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이나 게임 상황에 맞춰 플래시를 점멸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시의 점멸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발광 액세서리의 발광 패턴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의 플래시를 이용하여 별도의 광원 및 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며 생산단가가 낮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특정 장소에 도착하면 발광하여 알림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는 휴대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에 맞춰 점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 액세서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의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 신호, 휴대단말기의 위치 등에 따라 휴대단말기 플래시의 빛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광원 및 전원이 필요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며 생산단가가 낮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특정 장소에 도착하면 발광하여 알림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 발광부(120) 및 광고부(130)로 이루어진다. 도 3(a)는 휴대단말기(200)와 발광 액세서리(1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광고부(130)를 분리하여 나타낸 발광 액세서리(100)의 사시도이다.
고정부(110)는 휴대단말기(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를 덮고, 발광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플래시의 빛을 전달받아 빛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110)와 발광부(120)는 다양한 색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며, 플래시의 작동에 따라 플래시의 빛이 고정부(110)를 통해 발광부(120)로 전달되어 발광부(120)가 빛나게 된다. 고정부(110)는 내부에서 빛이 전반사 또는 난반사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빛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발광부(12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고정부(110)는 플래시의 위치에 따라 또는 플래시의 위치와 무관하계 휴대단말기(200)의 측면 어느 방향으로도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200)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고정부(111)는 플래시를 덮고, 제2 고정부(112)는 휴대단말기(200)의 정면 일부를 덮는다. 그리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2)는 휴대단말기(20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휴대단말기(200)에 결합된다. 한편, 제1 고정부(111)에는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 렌즈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피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부(11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휴대단말기(20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플래시의 빛을 발광부(120)로 전달하면서 휴대단말기(200)에 탈착 될 수 있는 구조라면 전술한 결합 구조 외에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발광부(120)는 원형, 사각형 등 일반적인 형상뿐만 아니라 특정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자체로 휴대단말기(200)의 외관을 장식하거나 개성있게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발광부(120)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고정부(110)와 조립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기호 및 취향에 따라 발광부(120)를 교체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120)는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고부(130)는 광고를 위한 상표, 로고, 캐릭터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 발광부(120)에 부착된다. 또한, 광고부(130)는 특정 그림, 글자, 숫자, 사진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광고부(1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0), 발광부(120) 및 광고부(130)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 광고부(130)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으로 포함되거나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제외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휴대단말기(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20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를 덮고, 발광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플래시의 빛을 전달받아 빛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110)와 발광부(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며, 플래시의 작동에 따라 플래시의 빛이 고정부(110)를 통해 발광부(120)로 전달되어 발광부(120)가 빛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0)와 발광부(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200)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발광부(120)는 휴대단말기(200)의 정면 일부를 덮어 고정부(110)와 함께 휴대단말기(200)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발광부(120)는 휴대단말기(200)의 정면에 위치한다.
전술한 사항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의 발광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은 신호 감지부, 제어부 및 발광 액세서리(100)로 이루어진다.
신호 감지부는 휴대단말기(200)에 포함되어 있으며 외부 신호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신호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면 플래시를 작동시킨다. 발광 액세서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어 플래시의 작동에 따라 플래시의 빛에 의해 빛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플래시의 점멸 속도를 조절하여 발광 액세서리(100)의 발광 패턴을 변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감지부는 지정된 장소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며, 휴대단말기(200)가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의 접속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하면, 플래시가 작동되어 발광 액세서리(100)가 빛나게 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에는 비콘(Beacon)모듈, 와이파이(WiFi)통신모듈 등이 있다. 즉 비콘모듈의 경우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면 접속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에 의해 플래시가 작동되며, 와이파이통신모듈의 경우 미리 지정되어 있는 와이파이 통신망에 접속되면 접속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에 의해 플래시가 작동된다.
또한, 신호 감지부는 GPS수신모듈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GPS수신모듈이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휴대단말기(200)가 미리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에 의해 플래시가 작동된다.
뿐만아니라 휴대단말기(200)의 메시지 수신 등에 의해 플래시를 작동시켜 발광 액세서리(100)가 빛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100)는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와 연동하여 발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용 소프트웨어와 연동하는 발광 액세서리의 발광 시스템은,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플래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플래시의 작동에 따라 빛나는 발광 액세서리(1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응용 소프트웨어는 알람이나 휴대단말기 상태 정보 알림 소프트웨어이고, 제어부는 알람 설정 또는 휴대단말기 상태 정보(배터리 잔량, 안테나 수신 상태 등)에 따라 플래시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는 음악 재생 소프트웨어이고, 상기 제어부는 휴대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에 맞춰 플래시를 점멸시킨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음악을 재생하면 음악이 출력됨과 동시에 음악에 맞춰 발광 액세서리(100)가 발광하게 된다.
이 외에도 응용 소프트웨어는 게임 등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각 응용 소프트웨어의 특성에 맞게 플래시를 점멸시켜 발광 액세서리(100)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발광 액세서리, 200 : 휴대단말기,
110 : 고정부, 111 : 제1 고정부, 112 : 제2 고정부,
120 : 발광부,
130 : 광고부,

Claims (12)

  1.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flash)를 덮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플래시의 빛을 전달받아 빛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밀기용 발광 액세서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래시를 덮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정면 일부를 덮어 상기 제1 고정부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발광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정면 일부를 덮어 상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에 부착되는 광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5.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flash)를 덮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플래시의 빛을 전달받아 빛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의 발광 시스템으로서,
    외부 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신호 감지부가 상기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플래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플래시의 작동에 따라 빛나는 발광 액세서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부는 지정된 장소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통신 장치와 무선 접속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통신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의 접속 가능 범위 내로 진입하면, 상기 플래시가 작동되어 상기 발광 액세서리가 빛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비콘(Beacon)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부는 GPS수신모듈이며,
    상기 휴대단말기가 미리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플래시가 작동되어 상기 발광 액세서리가 빛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9. 휴대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플래시(flash)를 덮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플래시의 빛을 전달받아 빛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의 발광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와 연동하여 상기 플래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플래시의 작동에 따라 빛나는 발광 액세서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는 알람 또는 휴대단말기 상태 정보 알림 소프트웨어이고,
    상기 제어부는 알람 설정 또는 휴대단말기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플래시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는 음악 재생 소프트웨어 또는 게임이고,
    상기 제어부는 휴대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음악이나 게임 상황에 맞춰 플래시를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12.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래시의 점멸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발광 액세서리의 발광 패턴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KR1020150060268A 2015-04-29 2015-04-29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KR10168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68A KR101683667B1 (ko) 2015-04-29 2015-04-29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CN201680002053.4A CN106664332A (zh) 2015-04-29 2016-02-15 移动终端用发光饰物及移动终端用饰物发光系统
PCT/KR2016/001494 WO2016175434A2 (ko) 2015-04-29 2016-02-15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JP2017520853A JP2017525315A (ja) 2015-04-29 2016-02-15 携帯端末用発光アクセサリー及びアクセサリー発光システム
US15/329,849 US20170270755A1 (en) 2015-04-29 2016-02-15 Light emitting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and accessory light emitting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68A KR101683667B1 (ko) 2015-04-29 2015-04-29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12A true KR20160128612A (ko) 2016-11-08
KR101683667B1 KR101683667B1 (ko) 2016-12-08

Family

ID=5719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68A KR101683667B1 (ko) 2015-04-29 2015-04-29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70755A1 (ko)
JP (1) JP2017525315A (ko)
KR (1) KR101683667B1 (ko)
CN (1) CN106664332A (ko)
WO (1) WO201617543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2085A (zh) * 2020-11-18 2021-03-1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照明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810A (ko) * 2002-05-15 2003-11-20 김홍권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KR20130053681A (ko) * 2011-11-16 2013-05-24 이학미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945A (ja) * 1991-08-23 1993-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小形無線機の携帯用装着装置
JP2001156890A (ja) * 1999-11-24 2001-06-08 Nippon Soken Inc 携帯機器
CN2430822Y (zh) * 2000-07-07 2001-05-16 刘沧源 具有双外壳的移动电话来电显示器
CN1345155A (zh) * 2000-09-22 2002-04-17 黄金富 利用广播联接方式的电话通讯系统
CN1534974A (zh) * 2003-03-31 2004-10-06 联想(北京)有限公司 通信终端装置及其闪光灯控制方法
KR100526556B1 (ko) * 2003-06-09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램프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
JP3107588U (ja) * 2004-09-06 2005-02-03 林文郎 着信表示機能付きクリップ
CN101019451B (zh) * 2004-09-17 2011-09-0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电话的3g/gsm和无线局域网集成
KR100675162B1 (ko) * 2004-12-30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모드 라이트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152576A1 (en) * 2005-01-11 2006-07-13 Agere Systems Incorpor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etachable wireless camera and camera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7249008A (ja) * 2006-03-17 2007-09-27 Sony Corp クリップ機構およびクリップ機構を備えた撮像装置
CN101738677B (zh) * 2008-11-12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导光装置及应用该导光装置的电子装置
CN101833843A (zh) * 2009-03-13 2010-09-15 新奥特硅谷视频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声纹认证的监控系统
US8154650B2 (en) * 2009-03-23 2012-04-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flash redirector
WO2012082738A1 (en) * 2010-12-13 2012-06-21 Appbanc, Llc A smartphone lens assembly
KR101133231B1 (ko) * 2011-02-28 2012-04-05 황규봉 휴대용 단말기의 플래쉬 장치
US8279544B1 (en) * 2011-03-18 2012-10-02 Premier Systems USA, Inc Selectively attachable and removable lenses for communication devices
CN103096655A (zh) * 2011-10-31 2013-05-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外置镜头固定结构及便携式电子装置
US20140313377A1 (en) * 2011-11-09 2014-10-23 Mark Ross Hampton In relation to a lens system for a camera
KR20130007344U (ko) * 2012-06-15 2013-12-26 임종환 핸드폰 악세서리
GB201213556D0 (en) * 2012-07-31 2012-09-12 Luminectric Ltd Cas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553002B2 (en) * 2012-08-31 2020-02-04 Apple, Inc. Information display using electronic diffusers
WO2014043266A1 (en) * 2012-09-12 2014-03-20 Premier Systems Usa, Inc. Removable optical devic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WO2014103954A1 (ja) * 2012-12-27 2014-07-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型撮影装置
JP3183520U (ja) * 2013-03-04 2013-05-23 株式会社グルマンディーズ 携帯型通信端末用ケース
WO2014135739A1 (en) * 2013-03-06 2014-09-12 Nokia Corporation Sliding accessory lens mount with automatic mode adjustment
US9294660B2 (en) * 2013-03-13 2016-03-22 Olloclip, Llc Removable len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50002950A1 (en) * 2013-03-15 2015-01-01 Olloclip, Llc Removable len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40268376A1 (en) * 2013-03-15 2014-09-18 Premier Systems Usa, Inc. Optical system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20140340573A1 (en) * 2013-05-15 2014-11-20 Cassidy Clawson Light Emitting Mobile Device Case
US20150011258A1 (en) * 2013-07-08 2015-01-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aging cov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102013012939B4 (de) * 2013-07-26 2016-12-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fsatz und Vorrichtung zum berührungslosen Vermessen einer Oberfläche
US9661200B2 (en) * 2013-08-07 2017-05-23 Olloclip, Llc Auxiliary optical components for mobile devices
US20150172522A1 (en) * 2013-12-16 2015-06-18 Olloclip, Llc Devices and methods for close-up imaging with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50227167A1 (en) * 2014-02-10 2015-08-13 Ming Yi CHIANG Back cover assembly of electronic mobile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emission effect
US20150334258A1 (en) * 2014-04-03 2015-11-19 Olloclip, Llc Auxiliary photography systems for mobile devices
US10088738B2 (en) * 2014-04-11 2018-10-02 Portero Holdings, Llc Auxiliary optical devices
CN203840402U (zh) * 2014-04-30 2014-09-17 深圳市影歌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协助手机拍摄照片和视频的照明装置
US9599533B2 (en) * 2014-05-22 2017-03-21 Abl Ip Holding Llc Accessory to configure portable device with camera (E.G. smartphone) as lighting meter
US20150354793A1 (en) * 2014-06-06 2015-12-10 Techxar Corporation Attachable Lighting Accessory
US9454066B2 (en) * 2014-06-19 2016-09-27 Olloclip, Llc Auxiliary optical components for mobile devices
US9110355B1 (en) * 2014-07-03 2015-08-18 Bby Solutions, Inc. External flash devic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9395606B1 (en) * 2015-08-07 2016-07-19 Geoffrey Herbert Harris External flash device for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810A (ko) * 2002-05-15 2003-11-20 김홍권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KR20130053681A (ko) * 2011-11-16 2013-05-24 이학미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2085A (zh) * 2020-11-18 2021-03-1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照明控制方法
CN112492085B (zh) * 2020-11-18 2023-08-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照明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70755A1 (en) 2017-09-21
WO2016175434A3 (ko) 2016-12-22
KR101683667B1 (ko) 2016-12-08
CN106664332A (zh) 2017-05-10
JP2017525315A (ja) 2017-08-31
WO2016175434A2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7784B2 (en) Multiple functions LED night light
US11953164B2 (en) Portable lighting device with an illuminated indicia
CN107995847B (zh) 一种鞋及其控制方法
US20170325532A1 (en) Assembly for a cap with an illuminated plastic bill
US10674588B2 (en)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s
JP6225267B2 (ja) ライト調整システムおよびライト
CN104662875B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壳体
US6238119B1 (en) Photo-pen with the function of displaying a phone calling and illumination in dark
KR101764744B1 (ko)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JP2015529069A (ja) 色変換される発光機構を有する携帯端末機用保護カバー
US11149932B1 (en)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175210A1 (en) Color illuminating earphone
KR101683667B1 (ko)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US20220049842A1 (en)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KR101180834B1 (ko) 조명 원격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JP6429834B2 (ja) 発光表示スティック装置及び発光表示システム
CN210579136U (zh) 一种用于户外活动的发光耳机
CN210329629U (zh) 一种智能发光镂空饰品
KR20160107968A (ko)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KR200282159Y1 (ko) 핸드폰 케이스
JP4650377B2 (ja) イルミネーション構造、該イルミネーション構造で用いられる光学部材及び電子機器
KR200341578Y1 (ko) 팔 및 허리에 착용되는 소형 물품 휴대용 케이스
CN114205444B (zh) 一种视力保护照明控制装置
CN211830869U (zh) 手机彩灯装饰壳
KR200470504Y1 (ko) 마이크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