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810A -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810A
KR20030088810A KR1020020026848A KR20020026848A KR20030088810A KR 20030088810 A KR20030088810 A KR 20030088810A KR 1020020026848 A KR1020020026848 A KR 1020020026848A KR 20020026848 A KR20020026848 A KR 20020026848A KR 20030088810 A KR20030088810 A KR 20030088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additional service
cellular phone
service
servi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권
김도영
Original Assignee
김홍권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권, 김도영 filed Critical 김홍권
Priority to KR102002002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8810A/ko
Publication of KR2003008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외부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부가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아닌 제3의 콘텐츠프로바이더가 부가서비스를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휴대폰 소유자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영프로그램을 탑재한 마이컴을 내장한 본체와; 휴대폰과 상기 본체를 연결 지지하는 연결부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부가서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송하기 위한 접속부 및; 상기 전송받은 부가서비스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부가서비스 내용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의 통화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부가서비스, 특히 무선이동통신사업자가 아닌 제3의 컨텐츠프로바이더가 독자적인 무선인터넷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Aparatus combined with Digital Cellular Phone for Vertical Servic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외부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부가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아닌 제3의 콘텐츠프로바이더가 부가서비스를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휴대폰 소유자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기본 기능은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이며 그밖의 기능은 부가기능으로 분류된다. 이같은 기본기능과 부가기능의 제공은, 이동통신서비스사업자(예컨대,011, 019, 016 등)들에게 독점되어 있다. 이는 이들이 무선인터넷망을 독점함으로써 제3자가 이들의 망을 이용할 수 없는 폐쇄적인 운영방식 때문이다.
그러나 금년초 무선플랫폼 규격 확정에 이어 이동통신서비스사업자의 플랫폼 채택 및 단말기 개발참여선언, 플랫폼업체들의 플랫폼 개발참여, 정보통신부의 핵심기술개발분야 자금지원 등을 계기로 무선인터넷 개방이 가시화되면서, 대형포탈업체는 물론 일반 인터넷콘텐츠 업체들이 이동통신서비스사업자와 이동신신사업자의 관문국(Gate Way)을 거치는 방식, 또는 망연동장치(IWF)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등을 통해 이들 무선망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사업자 이외의 제3의 콘텐츠프로바이더들이 이동통신사업자에게 종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제3의 컨텐츠프로바이더들이 자신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망 과 WEB·WAP서버를 포함하는 기존 온라인상의 부가서비스 지원시스템을 전제로, 휴대폰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고객용 부가서비스 수신장치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부가서비스 수신장치의 개발에 있어서 필요한 것은 동장치를 구동하는 물리적인 구성요소 외에, ① 휴대폰과 상기 장치간의 교신방법, ② 휴대폰 기종마다 다른 통신 소프트웨어를 통일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제어프로그램 개발 등이 문제된다.
이와 관련하여, SK텔레콤의 경우 최근 외부접속 단말 요구사항(External Interface ver.2.0)을 공개함으로써, 제3자가 자유롭게 기존 휴대폰의 부가서비스를 응용한 새로운 부가(vertical)서비스를 개발하고, 본 발명과 같은 부가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외부접속 단말 규격을 개방하였다.
상기 EIF v.2.0 에는 EIF(Mobile Station Control Protocol), SMS(단문 메시지서비스), ESMS(Enhanced Short Message Service), MO(Mobile Orignination), MT(Mobile Termination), TE2, WAP(Wireless Access Protocol), Vertical 서비스(End User가 아닌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써 부가서비스 수신장치 필요한 상기 ① ②의 개발이 매우 용이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제3의 콘텐츠프로바이더들이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독자적인 서비스(Vertical Service)를 제공할 경우, 이같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장치로서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독자적인 부가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에 연결 접속하여 무선인터넷에 의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른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되 휴대폰의 통화기능 등을 저해하지 않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에 장치 상호간 고유의 신호를 수·발신하여 인지하도록 함으로서 온라인에서의 동호회 회원이 오프라인에서 상호 회원임을 확인하게 하는 등의 부가 기능을 구현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폰 부가서비스장치가 휴대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폰 부가서비스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외부구성도,
도 3은 도 2에 내장되는 마이컴의 구성부의 논리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인 휴대폰 부가서비스장치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본체 11: 신호처리부
12: 중앙처리부 13: 출력제어부
14: RF수신모듈 15: RF송신모듈
16: 음성IC 17: 보조메모리
211: 모드 전환 버튼
212: 서비스 선택 버튼
22: 스피커 23: LCD
24: 케이블어셈블리 25: LED
26: 덮개 27: 플래쉬라이트
30: 부가서비스 제공서버 31: 제3콘텐츠프로바이더
40: 휴대폰부가서비스 장치 50: 휴대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는, 운영프로그램을 탑재한 마이컴을 내장한 본체와; 휴대폰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부가서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송하기 위한 접속부 및; 상기 전송받은 부가서비스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부가서비스 내용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 목걸이용 줄; 휴대폰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는 이어폰 및 마이크가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마이크 및 이어폰에 의한 핸즈프리 기능과 상기 부가서비스 기능을 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에 RF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RF모듈과 연동되는 무선신호 송수신부를 본체 전면에 추가로 형성하여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 상호간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면 온라인 회원이 오프라인에서 상호 회원임을 확인하는 등의 부가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폰 부가서비스장치가 휴대폰에 접속된 상태를, 도 2는 도 1의 본체(10) 전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을 보면, 본 발명인 휴대폰 부가서비스장치(40)는 휴대폰(50)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즉, 휴대폰과 본체(10)를 지지끈(28)으로 연결 지지한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마이컴이 내장되어 있으며, 케이블어셈블리(24)에 의해 본체의 접속부와 휴대폰의 단자가 연결되어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휴대폰 제어 및 데이터 등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그밖의 미설명부호 29는 휴대폰의 이어폰 단자에 삽입되는 이어폰잭 케이블이다.
본체 상부에 연결 연장되는 원형의 줄(280)은 본 발명 장치와 휴대폰을 목에걸어 휴대하기 위한 목걸이용 줄이다. 상기 목걸이용 줄(280)에는 휴대폰의 이어폰잭과 연결되는 마이크(281)를 장착한 이어폰(282)이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장치로써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전환 버튼(211)을 설치하였다.
도면부호 212는 부가서비스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부가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서비스 선택 버튼이다. 서비스가 하나뿐인 경우에는 이 버튼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음성 출력수단으로서 스피커(22)가 본체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문자 또는 영상 등의 출력수단으로 본체 전면에 LCD 화면창(23)을 설치하였다. 또한 발광소자에 의한 신호발생부로서 다수의 LED(25) 및 플래쉬 라이트(27)를 본체 외곽 둘레에 설치하였는데 이는 부가서비스를 조명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컨대 일정한 부가서비스가 도달한 경우 마이컴의 메모리에 저장된 일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한 방식으로 점멸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이밖에 본체 전면에 덮개(26)를 설치하면 LCD창의 보호기능 외에도 덮개 안쪽 또는 바깥 표면에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이나 친구 사진 등을 부착하여 소지할 수 있으므로 여러가지 장식적인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체에 내장되는 마이컴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이컴은 마이크로컴퓨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마이컴은 컴퓨터의 기본구성 즉, 입력부, 제어부, 저장부, 출력부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모드 전환버튼(211), 부가 서비스 선택 버튼(212)이 본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접속부(본체측 접속단자; 도면부호 미부여), 수신용 RF모듈(14) 등이 입력부이고, 제어부는 신호처리부(11) 및 출력제어부를 포함하는 중앙처리부(12)이며, 저장부로서는 중앙처리부(12)에 위치하는 주메모리(미도시), 보조메모리(17), 음성IC(16), 출력부로는 스피커(22), LCD(23), LED(25), 송신용 RF모듈(15) 및 상기 접속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모드전환 버튼(211)은 사용자가 기본모드인 휴대폰 통화기능 상태에서 상기 부가서비스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며, 상기 서비스 선택 버튼(212)은 부가서비스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부가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이고, 상기 본체의 접속부는 휴대폰과 제어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케이블어셈블리(24)에 의해 휴대폰과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단자이며, 수신용 및 송신용 RF모듈(14,15)은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한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휴대폰 부가서비스장치 기기 상호간 교신하는 수단이다.
중앙처리부(12)에는 휴대폰 제어 및 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보조메모리(17)에는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간단한 문자, 이미지, 시그널 데이터 및 부가서비스 사업자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서비스 프로그램과, 상대방의 호출 신호가 휴대폰을 통해 들어온 경우 또는 RF모듈(15)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있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LED(25)의 점멸, 스피커(22)를 통한 음성 출력, LCD(23)를 통한 영상·문자 표시중 어느 하나 이상을 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음성 IC(16)에는 기기 또는/및 프로그램 작동시 스피커(22)를 통해 음성으로 조작안내 메시지를 출력(예컨대, 모드전환 버튼을 누른 경우 "부가서비스 모드로 전환되었습니다, 서비스를 선택해주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문자와 동시에 또는 소리만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선택/프로그램 작동을 보조하기 위한 음성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운영프로그램은 본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에 내장된 하드웨어를 제어하여 본 장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소프트웨어이며, 휴대폰과의 교신방법, 휴대폰의 기종마다 다른 통신 소프트웨어를 통일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제어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 부가서비스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에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WEB서버(34) 및 WAP서버(35)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제공자의 서버시스템(30)이 무선인터넷망을 매개로 고객의 휴대폰에 연결된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를 제어하여 부가서비스를 구현하게 된다(일반적인 시스템이므로 상세설명은 생략).
미설명부호 32와 33은 제3의 콘텐츠프로바이더가 제공하여 구축하거나 또는 서버운영자가 구축한 콘텐츠DB의 일종으로서 신호콘텐츠DB 및 폐쇄그룹콘텐츠DB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라인상의 특정 동호회원들이 오프라인에서 상호 회원임을 확인하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DB 구성예를 들었다. 따라서 부가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DB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DB 외에도 고객으로부터 등록받은 이동통신 가입자번호 및 본 장치의 기기고유번호 등회원고객에 관한 정보를 구축한 회원 DB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온라인 상의 특정한 동호회원들 상호간에 오프라인상에서 일정한 거리 내에 동일한 회원이 있음을 상호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Closed Group Pager; 이하 'CGP'서비스라 한다)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먼저 고객이 본 장치의 모드전환 버튼(211)을 누르면, 서비스 화면(23)은 미리 부가서비스 제공서버(30)으로부터 다운받아 저장하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메뉴형식으로 나타내게 되며, 고객이 서비스 선택 버튼(212)을 조작하여 해당 CGP서비스 메뉴를 선택한다.
이렇게 CGP서비스가 선택되면 CGP서비스프로그램이 구동되고, RF모듈(15)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프로그램된 특정 CGP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보조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시그널이 스피커(22)를 통해 출력되거나, LED가 특정한 방식으로 점멸하게 됨으로써 일정한 거리 내에 폐쇄그룹의 구성원인 동호인을 존재하고 있음을 상호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예컨대 서비스 선택시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음성 IC(16)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스피커(22)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모드인 상태에서 전화가 오면, 전화 도착알림 시그널 등을 발생시키기 위한 인터럽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서비스모드선택버튼(121)이 전화모드인 상태(부가서비스모드가 오프)인 때에는 부가서비스 제공기능은 정지되므로 본 장치는 단순한 핸즈프리가 되며, 휴대폰의 고유기능만 작동하게 된다.
그 밖에 본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는 상대방의 통화내역을 녹음하고 재생하는 기능, 음성안내 기능, 상대방의 호출신호를 인지하여 다수의 LED를 점멸시키거나, LCD 창을 통한 다양한 문자, 그림을 출력시키는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같은 서비스의 구현은 프로그램에 의해 본 장치의 마이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매우 용이하므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 보인 것은 본 장치의 대표적인 작동을 보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오직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뿐 상기 실시예등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콘텐츠프로바이더가 자신의 고객에게 고객의 휴대폰을 통해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이를 수신하는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휴대폰 부가서비스 시장에 이동통신사업자가 아닌 제3자가 참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소형이고, 핸즈프리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존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휴대폰 연결부에 장착이 가능하고, 본체 뒷면에 MP3플레이어 등을 결합할 수 있으며, 본 장치의 덮개부 표면에 다양한 장식도 가능하므로 무선 인터넷시대의 모바일시대 라이프 스타일을 상징하는 장식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온라인 동호회나 그밖의 회원을 상대로 오프라인에서 상호동일한 구성원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즐거움을 제공함으로써 휴대폰 부가서비스 제공 산업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다.

Claims (7)

  1. 휴대폰 외부에 접속되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로서,
    운영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마이컴을 내장한 본체와; 휴대폰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부가서비스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송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전송받은 부가서비스 제어신호를 처리하여 부가서비스 내용을 표시하는 출력부; 및 서비스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목걸이용 줄; 휴대폰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는 이어폰 및 마이크가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 및 마이크에 의한 통화기능이 기본설정인 상태에서 상기 부가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모드 전환 버튼이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음성 신호을 출력하는 스피커,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창, 발광다이오드소자, 플래시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대방의 호출 신호가 휴대폰을 통해 들어온 경우, 이를 인지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소자 점멸, 상기 스피커를 통한 음성, 상기 화면창을 통한 영상·문자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RF모듈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폐쇄그룹 고유의 신호를 수발신하여 폐쇄그룹의 구성원 상호간 동일성을 인지하도록 하되, 그 인지 수단이 상기 출력부를 통한 문자·음성·점멸중 어느 이상이 되도록 한 응용 프로그램이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면에 덮개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부가서비스 장치.
KR1020020026848A 2002-05-15 2002-05-15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KR20030088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848A KR20030088810A (ko) 2002-05-15 2002-05-15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848A KR20030088810A (ko) 2002-05-15 2002-05-15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810A true KR20030088810A (ko) 2003-11-20

Family

ID=3238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848A KR20030088810A (ko) 2002-05-15 2002-05-15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88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612A (ko) *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612A (ko) *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WO2016175434A3 (ko) * 2015-04-29 2016-12-22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및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발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6710B2 (en) Customized settings for docking station for mobile device
US20060193301A1 (en) Graphic display cordless telephone interfacing with soft-phone UI
US20070280452A1 (en) Contact online status alert for telephone handset interfacing with a soft-phone client
US822396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swering an incoming call
KR20030088810A (ko)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장치
JP4249915B2 (ja) 配信システム、そのサーバ及び収容装置と、携帯端末システムと、プログラム
CN109032725A (zh) 用于显示界面的方法及装置
US20050174992A1 (en) Landline telephones converted to transmit and receive cell phones telecommunication
KR100723707B1 (ko)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CN205490897U (zh) 一种视频通信终端及系统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CN216122419U (zh) 一种卫星移动终端
KR100416968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서비스 방법
KR10067749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및 표시 방법
CN100525333C (zh) 电话机
KR100723721B1 (ko) Non svd 단말에서 이미지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N2894126Y (zh) 有蓝牙遥控与拨号功能的无线电话听筒和对应的网络电话
KR20010044430A (ko) 유선전화기
KR20010044102A (ko) 실시간 문자와 음성 통화를 위한 전화기
CN105812707A (zh) 一种视频通信终端、系统及使用方法
JPH11275656A (ja) 構内コードレス電話接続システム
JP2000312243A (ja) 情報処理装置用通信システム
CN101820478A (zh) 用于提供替代电话铃音的可听消息的系统和方法
US20060019725A1 (en) Personal handphone system handset for children
KR20010004868A (ko) 전화기의 호 대기 서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