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344U - 핸드폰 악세서리 - Google Patents

핸드폰 악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344U
KR20130007344U KR2020120005085U KR20120005085U KR20130007344U KR 20130007344 U KR20130007344 U KR 20130007344U KR 2020120005085 U KR2020120005085 U KR 2020120005085U KR 20120005085 U KR20120005085 U KR 20120005085U KR 20130007344 U KR20130007344 U KR 20130007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resent
earphone
accessory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환
Original Assignee
임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환 filed Critical 임종환
Priority to KR2020120005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344U/ko
Publication of KR20130007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3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이 가능한 핸드폰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으로 불리워지는 핸드폰에 형성된 이어폰 연결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빛이 발광되는 악세서리를 구비하여 핸드폰의 미관을 아름답게하고 핸드폰의 외관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꾸밀 수 있도록 고안된 핸드폰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 연결부가 형성된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200)의 이어폰 연결부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02)의 하부에 이어폰 연결구(104)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몸체(102)의 내측부에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빛이 발광하도록 엘이디(24)가 구비된 발광수단(106)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핸드폰의 이어폰 연결부에 결합되어 미관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효과가 있고, 핸드폰의 외관에 꽂아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장식함과 도시에 핸드폰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드폰 악세서리{A MOBILE PHONE ACCESSORY}
본 고안은 핸드폰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으로 불리워지는 핸드폰에 형성된 이어폰 연결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흔들리는 경우 빛이 발광되는 악세서리를 구비하여 핸드폰의 미관을 아름답게하고 핸드폰의 외관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꾸밀 수 있도록 고안된 핸드폰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핸드폰에는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핸드폰에 형성된 이어폰 연결부는 별도의 악세서리가 구비되지 못하고 항상 개구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가 되고 있는바, 이어폰 연결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투입되어 음질이 떨어지거나 심한 경우에는 핸드폰의 파손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핸드폰의 경우 이어폰 연결부를 활용할 수 있는 악세서리가 없었는바, 본 출원인은 이어폰 연결부를 막아서 먼지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고 핸드폰의 외관과 미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악세서리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핸드폰의 이어폰 연결부에 빛이 발광되는 악세서리를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실리콘을 사용하여 흔들리거나 충격을 받는 경우 빛이 발광되도록 이루어지는 핸드폰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 연결부가 형성된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200)의 이어폰 연결부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02)의 하부에 이어폰 연결구(104)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몸체(102)의 내측부에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빛이 발광하도록 엘이디(24)가 구비된 발광수단(106)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핸드폰의 이어폰 연결부에 결합되어 미관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효과가 있고, 핸드폰의 외관에 꽂아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장식함과 도시에 핸드폰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의 사용 상태 사시도
본 고안은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 연결부가 형성된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200)의 이어폰 연결부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02)의 하부에 이어폰 연결구(104)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몸체(102)의 내측부에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빛이 발광하도록 엘이디(24)가 구비된 발광수단(106)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광 수단(106)에는 상기 엘이디(24)에 빛이 발광되도록 충격이나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싱수단(2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100)는 토끼 형상으로 몸체(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끼 형상의 몸체(102) 하부에 이어폰 연결구(104)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끼 형상의 몸체(102)의 내측부에는 발광수단(10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2)의 하부에는 이어폰 연결구(10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몸체(102)는 탄력적으로 움직이고 미관을 아름답게 형성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연결구(104)는 각종 스마트폰 및 핸드폰(200)의 이어폰 연결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2)는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토끼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더 나아가서는 새, 물고기, 각종 캐릭터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1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토끼형상의 몸체부(10)가 형성되고, 몸체부(10)의 하부에는 통공(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12)을 통하여 상기 발광수단(106)이 내측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 연결구(104)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어폰 연결구(104)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4)의 하부에는 스마트폰, 핸드폰 등의 이어폰 구멍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이어폰 꽂이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어폰 연결구(104)의 이어폰 꽂이부(16)가 상기 몸체부(10)의 통공(12)에 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몸체(102)의 내측부에 삽입 설치되는 발광수단(106)은 먼저, 전기전자적으로 회로가 구성되고 동작하는 피씨비(PCB)기판(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씨비(PCB),기판 상부에 전원접속리드(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접속리드(20)의 일측에는 엘이디(24)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접속리드(20)에는 복수개의 배터리(22)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22)는 상기 전원접속리드(20)와 상하부로 양극과 음극이 도전되어 배터리(22)의 전원을 엘이디(24)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22)의 전원을 공급받은 엘이디(24)는 빛이 발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피씨비(PCB)기판(18)의 상부에는 센싱수단(26)이 전기전자적으로 회로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싱수단(26)은 본 고안에서는 유동센서를 사용하고, 흔들림이 있거나 충격이 있을 경우 회로동작이 이루어져 엘이디(24)에 빛이 들어오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전자적인 회로구성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핸드폰 악세서리(100)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핸드폰(200)의 이어폰 연결구에 꽂아서 설치되고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엘이디(24)가 빛을 발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2 : 통공
14 : 몸체 16 : 이어폰 꽂이부
18 : 피씨비(PCB)기판 20 : 전원접속리드
22 : 배터리 24 : 엘이디
26 : 센싱수단
100 : 핸드폰 악세서리 102 : 몸체
104 : 이어폰 연결구 106 : 발광수단

Claims (2)

  1.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 연결부가 형성된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200)의 이어폰 연결부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몸체(102)의 하부에 이어폰 연결구(104)가 고정 형성되고 상기 몸체(102)의 내측부에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빛이 발광하도록 엘이디(24)가 구비된 발광수단(106)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악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106)에는 상기 엘이디(24)에 빛이 발광되도록 충격이나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싱수단(2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악세서리.
KR2020120005085U 2012-06-15 2012-06-15 핸드폰 악세서리 KR201300073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085U KR20130007344U (ko) 2012-06-15 2012-06-15 핸드폰 악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085U KR20130007344U (ko) 2012-06-15 2012-06-15 핸드폰 악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344U true KR20130007344U (ko) 2013-12-26

Family

ID=5371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085U KR20130007344U (ko) 2012-06-15 2012-06-15 핸드폰 악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3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4332A (zh) * 2015-04-29 2017-05-10 爱斯尼克电子有限公司 移动终端用发光饰物及移动终端用饰物发光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4332A (zh) * 2015-04-29 2017-05-10 爱斯尼克电子有限公司 移动终端用发光饰物及移动终端用饰物发光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26172S1 (en) Case
WO2018020403A3 (en) Electronic cigarette power supply portion
US10582725B2 (en) Battery assembly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WO2010039918A3 (en) Molded electrical socket
ATE514199T1 (de) Sekundärbatterie
US9517389B2 (en) Beach ball including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emitting device accommodating groove
ATE518262T1 (de) Batterieeinrichtung
KR20130007174U (ko) 빌트인 광원을 구비하는 3.5㎜ 오디오 플러그
JP2013179050A5 (ko)
USD575771S1 (en) Helmet adjunct for retention of portable audio device
ATE389445T1 (de) Spielzeug
US20160241067A1 (en) Cellphone device charging cord with integral light source
KR20130007344U (ko) 핸드폰 악세서리
CN204813157U (zh) 杯盖及杯子
PL2060478T4 (pl) Zderzak rowerowy posiadający strukturę do mocowania przewodu
KR200472880Y1 (ko) 커플용 휴대폰 케이스
CN204316569U (zh) 具有基于声音的信息提醒装置的手机及手机套
CN204351217U (zh) 震动声控发光手腕带
CN203842309U (zh) 一种电子敲击棒
RU137426U1 (ru) 3,5-миллиметровый аудиоштекер со встроенным источником освещения
CN104580589A (zh) 具有基于声音的信息提醒装置的手机及手机套
US20150043219A1 (en) Blue light LED sensor lamp
DE502007001495D1 (de) Kabellose elektrisch betriebene Weihnachtsbaumkerze
CN203746427U (zh) 一种带吸盘装置的蓝牙播放器
TW579087U (en)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pick-up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