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185A -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185A
KR20160128185A KR1020150131790A KR20150131790A KR20160128185A KR 20160128185 A KR20160128185 A KR 20160128185A KR 1020150131790 A KR1020150131790 A KR 1020150131790A KR 20150131790 A KR20150131790 A KR 20150131790A KR 20160128185 A KR20160128185 A KR 2016012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actor
magnetic piece
wireless power
thin plat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5375B1 (en
Inventor
이춘걸
장길재
이동훈
장민식
김기철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ublication of KR2016012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3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06Metals or alloys, e.g. LAVES phase alloys of the MgCu2-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05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H01F1/055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 H01F1/05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IIIa elements, e.g. Nd2Fe14B
    • H02J17/00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ttractor for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actor for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es: a thin plate magnetic bar including at least one layer of magnet; and a fine piece elimination a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included on the thin plate magnetic bar, preventing a fine piece from being eliminated from a punched surface of the thin plate magnetic bar or prevents oxidation of a side thereof. By the same, as the attractor is able to prevent oxidation through the fine piece elimination a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and is able to prevent a short-circuit due to particles; a stable operation voltage value is able to be obtained although the attractor is formed at a thickness of 150 m or less, making it possible to realize an ultra thin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Description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ractor for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attractor.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등의 무선 충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harging of portable terminal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ttractor for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attractor.

최근 휴대폰, 타블렛 PC 등을 비롯한 휴대 단말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식별), 근거리 무선통신(NFC), 무선충전(무선충전용), 대화형 펜 타블렛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functions such a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wireless charging (wireless charging) and interactive pen tablet have been added to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NFC는 전자태그인 RFID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방식으로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NFC is a non-contact typ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uses 13.56MHz frequency band as one of RFID tags, and it is a technology to transmit data between terminals at a distance of 10cm. NFC is widely used not only for mobile payments, but also for transferring travel information, transportation, and access control locks for goods information and visitors in supermarkets and general shops, as well as for file transfer.

또한, 최근 구글이 발표한 스마트폰에 구비된 ‘안드로이드 빔’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반의 근거리 정보 송수신 기능으로서,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사진·명함·파일·지도·웹사이트 등을 한 전화기에서 다른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announced by Google, 'Android Beam' included in the smart phone is a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NFC) -based short dist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that not only allows mobile payment but also photo, business card, file, map, To other phones.

한편, 휴대 단말기에는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 충전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과,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has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for wirelessly charging a built-in battery. The wireless charging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odule.

또한, 무선 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PMA 방식과 Qi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classified into a magnetic induction type and a self-resonance type,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PMA type and a Qi type depending on a method of detect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es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상기 PMA 무선 충전 방식은 영구자석과 홀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개념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PMA wireless charging schem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using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hall sensor, and the concept thereof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는 영구자석(14)과 홀 센서(12)가 설치되어 있고, 무선전력 수신모듈(20)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소위 어트랙터(22)라는 자성체가 설치되어 있다.1, a permanent magnet 14 and a Hall sensor 12 are installed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is provided with a so-called attractor 22 A magnetic body is installed.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20)의 접근시 영구자석(14)으로부터 자기력선이 발생하는데, 이들 자기력선의 일부가 상기 어트랙터(22)에 의해 그 경로가 바뀌면서 홀센서(12)에서의 전압값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 전압값의 변화가 일정 이상이 되면 무선전력 수신모듈(20)이 접근한 것으로 인지하여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동작함으로써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A magnetic force line is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 14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and a portion of these lines of force is changed by the attractor 22 12, and when the change of the voltage value become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recognizes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 has approache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do.

이와 같은 어트랙터는 통상적으로 타발공정에 의해 제조되는데, 타발공정에 의해 제조된 어트랙터의 측면은 타발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트랙터가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경우, 타발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제품에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Such an attractor is usually manufactured by a punching process in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attractor manufactured by the punching process constitutes a tread surface. At this time, when the attractor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including a metal component,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when the tactile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used in a product.

즉, 외부로 노출된 타발면으로부터 미세 조각이나 분말상의 입자와 같은 파티클이 분리되는 경우, 타발면으로부터 분리된 파티클 역시 도전성을 갖는 금속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된 파티클들이 주변에 위치하는 전자회로와 접촉하게 되면 금속성분에 의해 상기 전자회로를 쇼트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In other words, when particles such as fine particles or powder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a rugged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the particles separated from the rugged surface also contain conductive metal components,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electronic circuit is short-circuited by the metal component.

더불어, 어트랙터의 신뢰성을 테스트 하기 위한 염수 분무 테스트 과정에서노출면인 타발면에 수분 등과의 접촉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수분 등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타발면에 수분 등의 침투가 이루어지게 되면 노출면이 산화되는 문제도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salt spray test process for testing the reliability of the attractor, contact with water or the like occurs on the ridged surface as the exposed surface. Accordingly, when moisture or the like penetrates to the rug through the contact with moisture or the like, the exposed surface is also oxidized.

KRKR 10-118880810-1188808 B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어트랙터의 타발면에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타발면으로부터 미세 조각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fine particles and preventing oxid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ttractor for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어트랙터에 있어서, 적어도 한 층의 자성체로 이루어진 박판 자성편; 및 상기 박판 자성편에 구비되어, 상기 박판 자성편의 타발면으로부터 미세 조각이 탈리되거나 측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세 조각 탈리 및 산화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ttractor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ing: a thin plate magnetic piece made of at least one magnetic body; And a microparticulate desorption and antioxidant member provided o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to prevent the microparticl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idgeline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or from oxidizing the side surface.

또한, 상기 어트랙터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는 전압값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The attractor is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o induce a part of a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to change the path of the magnetic flux, It is possible to derive a voltage value change satisfying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transmission module.

또한, 상기 타발면은 상기 박판 자성편의 측면일 수 있다.The rubbing surface may be a side surface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또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및 산화방지부재는 상기 박판 자성편에 접착층을 매개로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은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microparticulate desorption and antioxidant member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through an adhesive layer. At this time,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nonconductive component.

또한, 상기 어트랙터는 PMA 무선 충전 방식에 적용될 수 있다.Further, the attractor can be applied to a PMA wireless charging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박판 자성편은 실리콘 스틸, 비정질 리본, 페라이트, 퍼멀로이 및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비정질 리본층이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may be any one of silicon steel, amorphous ribbon, ferrite, permalloy and polymer, and the amorphous ribbon layer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또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보호필름일 수 있다.The anti-fouling and anti-oxidation member may be a protective film.

또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상기 박판 자성편의 상부면을 덮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박판 자성편의 측면을 덮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particulate desorption preventive and antioxidant member may include a first reg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and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또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박판 자성편의 두께에 대하여 1 내지 3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region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1 to 3 times the thickness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또한, 상기 박판 자성편은 Fe계 또는 Co계 비정질 합금일 수 있다.Further,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may be an Fe-based or Co-based amorphous alloy.

또한, 상기 비정질 리본층은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rphous ribbon layer may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inute piece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icroparts may be entir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between neighboring microparts.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have a size of 1 탆 to 3 mm.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icro pieces may be irregular.

또한, 상기 박판 자성편은 투자율이 100 ~ 1000일 수 있다.The thin magnetic layer may have a magnetic permeability of 100 to 1000.

또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불소 수지계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nti-fouling and anti-oxidation member may be a fluororesin film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ropylene (PP),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또한, 상기 박판 자성편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를 적어도 3층 이상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hin-plate magnetic piece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t least three thin-film ribbon sheets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또한, 상기 박판 자성편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를 5층 또는 7층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thin sheet of a ribbon sheet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to five or seven layers.

또한, 상기 박판 자성편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구비된 내측 안테나 패턴의 중앙부 공간부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central space portion of the inner antenna pattern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또한, 상기 박판 자성편은 그 두께가 100 내지 3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가 150 내지 220㎛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may have a thickness of 100 to 300 탆, and preferably a thickness of 150 to 220 탆.

또한, 본 발명의 어트랙터는 0.15mm ~ 0.6mm, 심지어 0.3mm의 두께를 갖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적용되어 홀센서에서 안정적인 전압값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Further, the at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a thickness of 0.15 mm to 0.6 mm, or even 0.3 mm, to induce a stable change in voltage value in the hall sensor.

한편,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안테나 유닛; 상기 안테나 유닛의 무선 고주파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및 상기 안테나 유닛과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어트랙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unit comprising: an antenna unit having at least one antenna pattern; A magnetic shielding sheet for shield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antenna unit; And an attractor as described above positioned between the antenna unit and the magnetic shield sheet.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총두께가 0.15 ~ 0.6mm일 수 있다.Also,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ay be 0.15-0.6 mm.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총두께가 0.3mm일 수 있다.Also,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ay be 0.3 mm.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적어도 3층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may be formed of a thin sheet of ribbon sheet made of at least three amorphous alloys or nano-crystal alloy.

또한,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는 적어도 두 층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와 적어도 한 층의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may be composed of a thin ribbon sheet made of at least two layers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line alloy and at least one layer of a ferrite sheet.

또한, 상기 안테나 유닛은 무선충전용 안테나, MST 안테나 및 NFC 안테나 중 적어도 2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콤보형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unit may be a combo type including at least two antennas amo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 MST antenna, and an NFC antenna.

또한, 상기 어트랙터는 상기 안테나 유닛 또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와 일체화될 수 있다.Further, the attractor may be integrated with the antenna unit or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본 발명의 어트랙터에 의하면, 외부로 노출되는 어트랙터의 타발면에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공기 및/또는 수분과의 접촉을 통한 산화를 방지하고 측면으로부터 파티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파티클에 의한 내부회로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ttr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xidation through contact with air and / or moisture and to separate the particles from the side by providing the anti-fouling preventing and anti-oxidation member on the ridgeline of the attractor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nal circuit from being short-circuited by the particles.

또한, 본 발명의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의하면, 무선전력 송신모듈과의 접근시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어트랙터가 300㎛ 이하, 일례로 150㎛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박판의 자성편으로 구비됨으로써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전체두께가 0.6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의 두께로 설계되는 조건에서도 다른 구조적인 변경을 가하지 않아도 PMA 무선 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모든 조건 및 특성을 만족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구현이 가능하여, 경박단소형화 된 휴대 단말기에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actor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magnetic flux by inducing a part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when approach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s 300 mu m or less, The provision of the magnetic piece of the thin plate with a thin thickness enables the entir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o be designed to a thickness of 0.6 mm or less, or even 0.3 mm or less, without any other structural change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hat satis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stably and efficiently apply to a lightweight and compact mobi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PMA 무선 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 감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유닛, 그리고 이를 구비한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어트랙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자성편의 상부면 및 측면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어트랙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자성편의 측면에만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어트랙터의 측면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a)는 종래의 어트랙터를 나타낸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의 측면을 나타낸 사진,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유닛의 차폐시트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a)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만 이루어진 경우이고, b)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와 페라이트시트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어트랙터 수용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어트랙터 수용부 및 어트랙터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트랙터에서 제1부분과 제2부분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채용한 PMA 무선 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대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접근 감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해당하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어트랙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어트랙터의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판상의 적층체를 복수 개의 자성편으로 타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어트랙터의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판상의 필름부재를 복수 개의 보호필름으로 타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에서 어트랙터의 다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13 및 도 14를 통해 개별적으로 분리된 자성편과 보호필름을 합지하여 최종적인 어트랙터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cept of approach detection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in a general PMA wireless charging type charging system,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ie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ving the same,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n attractor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ne piece elimination preventing and anti-oxida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a magnetic piec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n attractor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nti-fogging and anti-oxidation members are provided only on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6 is a photograph showing a side of the attractor, in which a) is a photograph showing a conventional attractor, b) is a photograph showing a side of the at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shielding sheet of a shiel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made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nd b) A case in which a ribbon sheet of a crystal grain alloy and a ferrite sheet are show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aspects of an attractor receiving portion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an attractor receiving portion and an attractor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layout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in an at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chematic view corresponding to FIG. 1 for illustrating a concept of approach detection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in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charging system employ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ttractor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n attractor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making a plate-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n attractor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touching a plate-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n attractor in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3 and 14, a magnetic piece and a protective film,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먼저, 도 11를 참고하면, PMA 무선 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1)은 무선전력 송신모듈(10)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1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90)에 내장되어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케이스 등에 내장된 상태로 비치된다. 11, the PMA wireless charging type charging system 1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100, and the like. 16,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built in a portable terminal 90 such as a smart phon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is connected to a separate case And the like.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접근하면 동작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로 공급한다.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전력으로 휴대 단말기(90)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operates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approaches and supplie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wirelessl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charges the built-in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90 with the power supplied as described above.

도 11에서 참조부호 12 및 14는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는 홀센서 및 영구자석이며, 부호 16은 송신용 무선 충전 안테나 패턴이다.In FIG. 11, reference numerals 12 and 14 denote hall sensors and permanent magnets constituting an apparatus for detecting approach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and reference numeral 16 denotes a wireless charging antenna pattern for transmission.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안테나 유닛(110), 차폐시트(120) 및 어트랙터(130)를 포함한다.2, the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unit 110, a shielding sheet 120, and an attractor 130. As shown in FIG.

상기 안테나 유닛(110)은 휴대폰, PDA, PMP, 테블릿,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antenna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radio signal to and fro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 PDA, a PMP, a tablet, and a multimedia device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이러한 안테나 유닛(110)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평판형 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PI)나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연성회로기판(112)에 동박 등과 같은 전도체를 루프 형태로 패터닝하거나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연성회로기판에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안테나 패턴이 회로기판에 금속 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금속 패턴은 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As shown in FIG. 2, the antenna unit 1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imide (PI), PET, or the like. The antenna unit 110 may be made of a circular, elliptical or quadrangular plate coil woun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conductor such as a copper foil may be patterned in the form of a loop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112 or a loop-shaped metal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using a conductive ink. At this time, if the antenna pattern is formed as a metal pattern on the circuit board, the metal patter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or on both surfaces thereof.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antenna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ntenna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상기 안테나 유닛(110)은 수신되는 무선전력 신호를 통해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수신 코일(Rx coil)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과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부분이 같이 구성되는 콤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ntenna unit 110 transmits power using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through a received radio power signal. The antenna unit 110 includes a part performing a role of a reception coil (Rx coil)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bo.

즉, 상기 안테나 유닛(110)은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져 무선전력 충전, 근거리 통신 등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무선충전(Wireless Power Transr)용,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용, NFC(Near Field Communicatino)용 평판형 코일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콤보형일 수 있으며, 기판(112)의 일면에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114a), MST 안테나 패턴(114b) 및 NFC 안테나 패턴(114c) 중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턴이 구비된 콤보형일 수도 있다. That is, the antenna unit 110 is a flat coil type and is used for a wireless power transfer, a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a Near Field Communicatino (NFC) And may include at least two antenna patterns 114a, 114b, 114c, 114c, 114d, 114d, 114d, 114d, 114d, 114d, 114d, Or a combination thereof.

일례로, 상기 안테나 유닛(110)은 기판(112)의 일면에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114a), MST 안테나 패턴(114b) 및 NFC 안테나 패턴(114c) 중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114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tenna unit 110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antenna pattern 114a, an MST antenna pattern 114b,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pattern 114a among the NFC antenna patterns 114c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12 And at least one antenna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pattern.

여기서, 상기 NFC 안테나 패턴(114c)은 무선충전용용 안테나 패턴(114a) 보다 주파수 대역이 높기 때문에 기판(112)의 외곽을 따라 미세한 선폭의 직사각형 형태로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되고,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114a)은 전력 전송이 요구되며 NFC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NFC 안테나 패턴(114c)의 내측에 NFC 안테나 패턴(114c)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frequency band of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is higher than that of the wireless antenna pattern 114a,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is formed as a conductive pattern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fine line width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2, 114a may be formed with a line width wid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inside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because power transmission is required and a frequency band lower than NFC is used.

그러나, 상기 NFC 안테나 패턴(114c) 및 무선충전용 안테나 패턴(114a)의 위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배치관계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However, the positions of the NFC antenna pattern 114c and the wireless antenna pattern 114a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oted that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한편, 상기 기판(112)은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114a,114b,114c)과 회로부가 형성되는 기재가 되는 요소로서, 내열성 및 내압성을 가지며,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이다. 이러한 소재의 물성을 고려할 때, 상기 기판(112)으로서 열경화성 고분자 필름인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strate 112 is a base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antenna pattern 114a, 114b, and 114c and circuit parts formed thereon, and has heat resistance and pressure resistance, and is a flexibl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a polyimide film that is a thermosetting polymer film may be employed as the substrate 112.

상기 차폐시트(12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 유닛(110)에서 발생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hielding sheet 120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shields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ra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antenna unit 110.

이와 같은 차폐시트(120)는 박판의 자성시트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ielding sheet 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ic sheets of a thin plate are laminated.

여기서, 상기 박판의 자성시트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121a)와 페라이트 시트(121b) 등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magnetic sheet of the thin plate may be a thin ribbon sheet 121a and a ferrite sheet 121b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즉, 상기 차폐시트(12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121a)만으로 구성된 차폐시트(120')일 수도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페라이트 시트(121b)와 두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121a)가 적층된 차폐시트(120")일 수도 있다.That is, the shielding sheet 120 may be a shielding sheet 120 'composed of only a thin ribbon sheet 121a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s shown in FIG. 7A, May be a shielding sheet 120 "in which a single sheet of ferrite sheet 121b and a thin sheet of ribbon sheet 121a made of two amorphous alloys or nanocrystalline alloys are laminated.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3원소 합금 및 5원소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morphous alloy or the nano-crystal alloy may be a Fe-based or a Co-based magnetic alloy, and may include a three-element alloy and a five-element alloy. For example, the three-element alloy may include Fe, Si, and B, and the five-element alloy may include Fe, Si, B, Cu, and Nb.

또한, 상기 페라이트 시트(121b)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와 같은 소결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박판의 자성시트를 위에 언급한 종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의 성질을 갖는 물질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ferrite sheet 121b may be made of a sintered ferrite sheet such as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agnetic sheet of the above-mentioned thin plate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kind, but any substance having magnetic properties can be used.

이때, 상기 안테나 유닛(11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차폐시트(120)는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안테나 유닛(110)을 고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hielding sheet 1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ntenna unit 110 may fix the antenna unit 110 via an adhesive layer.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 성질을 갖는 본드, PVC, 고무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일 수 있으며, 전도성을 갖는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테나 유닛은 PI나 PET 등과 같은 별도의 기재를 구비하고, 이 기재와 상기 차폐시트가 부착될 수도 있다.Here, the adhesive layer may be a bond having adhesive properties, PVC, rubber,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conductive component.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antenna unit may have a separate substrate such as PI or PET, and the substrate and the shielding sheet may be attached.

한편, 상기 차폐시트(120)의 일면에는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켜줌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는 홀센서(12)의 전압값 변화를 유도하는 어트랙터(130)가 구비된다.On one side of the shielding sheet 120, a part of a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s guided to a path of a magnetic flux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And an attractor 130 for changing the voltage value of the hall sensor 12 satisfying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by changing the voltage value of the hall sensor 12.

이러한 어트랙터(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유닛(110)의 중앙부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판상의 시트 또는 필름부재 등과 같은 박판의 자성편(131)과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를 포함한다.2 and 3, the attractor 13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space portion of the antenna unit 110 and includes a thin plate magnetic piece 131 such as a plate-like sheet or film member, And an anti-oxidation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이때,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허용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사이즈에서 최대한의 면적을 확보하여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이 상기 안테나 유닛(110)의 중앙부 공간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must have at least one surfac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entral space portion of the antenna unit 110, An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여기서, 상기 어트랙터(130)는 상기 차폐시트(12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차폐시트(120)와 일체화된 차폐유닛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안테나 유닛(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안테나 유닛(110)과 일체화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attractor 130 may be a shielding uni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hielding sheet 120 and integrated with the shielding sheet 120, and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110, Or may be integrated with the unit 110.

이를 통해, 상기 어트랙터(130)가 차폐시트(120) 또는 안테나 유닛(110)과 일체화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차폐시트(120)와 안테나 유닛(110)의 결합시 간소화된 공정으로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조립 공정의 간소화를 통한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attractor 130 is integrated with the shielding sheet 120 or the antenna unit 110 to form a single component,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shielding sheet 120 and the antenna unit 11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receiving module 100,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simplifying the assembling proces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트랙터(13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 두께가 0.6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로 설계된 조건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100㎛ 내지 300㎛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0㎛ ~ 220㎛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자성편(131)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ttractor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ickness of 100 to 300 mu m so tha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can be used even under conditions of 0.6 mm or less, or even 0.3 mm or less. , Preferably a magnetic piece 131 of a thin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50 mu m to 220 mu m.

이때,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100~1000 범위의 투자율, 바람직하게는 900의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may be provided to have a permeability in the range of 100 to 1000, preferably 900.

일례로, 상기 자성체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박판의 자성편(131)은 단층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리본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리본시트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gnetic body may be a thin sheet of ribbon sheet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line alloy. In addition, the magnetic piece 131 of the thin plate may be composed of a single-layer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lloy ribbon sheet, but may also be formed of a laminate of a plurality of amorphous alloys or nano-crystal alloy alloy ribbon sheets . Here, the amorphous alloy may be an Fe-based or a Co-based magnetic alloy.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편(131)은 투자율이 높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가 적어도 3층 이상 적층되어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가 5층 또는 7층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agnetic piece 131 is formed by laminating at least three layers of a thin ribbon sheet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having a high magnetic permeability, more preferably an amorphous alloy or a nano- The ribbon sheet may be constructed by stacking five or seven layers.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편(131)는 7층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130a,130b,130c,130d,130e,130f,130g)가 접착층(130h)을 매개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때,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제거 가능한 릴리즈필름(139a,139b)이 구비될 수 있다.4 and 5, the magnetic piece 131 is formed of a thin sheet of ribbon sheet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or 130g made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alloy of seven layers And are successively laminated via the adhesive layer 130h. At this time, removable release films 139a and 139b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더불어, 상기 자성편(131)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130a,130b,130c,130d,130e,130f,130g)는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ibbon sheets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and 130g of the amorphous alloy or the nano-crystal alloy constituting the magnetic piece 13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icro- And the plurality of microparts may be provided so as to be entir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neighboring microparticles.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1 to 3 mm, and each piece may be irregularly randomized.

여기서, 상기 자성편(131)이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리본시트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경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접착층(130h)은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층(130h)은 서로 적층되는 한 쌍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스며들어 복수 개의 미세 조각 사이로 이동함으로써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Here, when the magnetic piece 131 is formed of a laminate of a ribbon sheet made of a plurality of amorphous alloys or a nano-crystal alloy, each of the adhesive layers 130h disposed between the ribbon sheets of the amorphous alloy or the nano- ≪ / RTI > That is, the adhesive layer 130h may penetrate into a ribbon sheet of a pair of amorphous alloys or nanocrystalline alloys stacked on each other, and may move between a plurality of fine pieces to insulate a plurality of fine pieces.

그러나, 상기 어트랙터(130)를 구성하는 자성편(131)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리콘 스틸, 페라이트, 퍼멀로이 또는 폴리머 등과 같이 자성을 띠는 재질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aterial of the magnetic piece 131 constituting the attractor 1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s that are magnetic, such as silicon steel, ferrite, permalloy or polymer, can be used.

더불어, 상기 어트랙터를 구성하는 박판의 자성편의 두께 및 투자율을 위에서 언급한 조건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두께 및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t is noted that the thickness and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magnetic piece of the thin plate constituting the attractor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and it may be provided to have various thicknesses and permeabilitie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는 접착층(135)을 매개로 상기 자성편(131)에 부착됨으로써 적어도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anti-fouling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is attached to the magnetic piece 131 via the adhesive layer 135 so that at least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즉,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는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노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측면으로부터 미세 조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micro-fragmentation prevention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prevents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exposed surface from being oxidized and preventing the micro- do.

이는,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박판시트를 적층하여 상기 자성편(131)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은 각각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박판시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타발면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타발면에서 리본 조각과 같은 미세조각이 떨어져 나갈 경우 이탈된 미세조각은 전자회로에 쇼트를 발생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forming the magnetic piece 131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sheets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alloy alloy sheet,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may be formed by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thin sheet of each amorphous alloy or a nano-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minute piece such as a ribbon piece is separated from the rubbing surface, the separated minute piece causes a short circuit in the electronic circuit.

본 발명에서는 타발면에 해당하는 자성편(13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에 의해 미세 조각들이 타발면인 자성편(131)의 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icroparticulate desorption preventing and oxidation preventing member 134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corresponding to the rubbing surface, the fine pieces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anti-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이에 따라, 상기 어트랙터(130)를 구성하는 자성편(131)이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과 같이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미세 조각들이 타발면인 측면으로부터 탈리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공기 및/또는 수분과의 접촉을 통해 산화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탈리된 미세조각에 의해 전자회로에서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magnetic piece 131 constituting the attractor 130 is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 metal component such as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the fine pieces ar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ide of the ridgeline It is prevented from being oxidized through contact with air and / or moisture,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preventing a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in the electronic circuit due to the removed fine particles.

여기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의 일면에 도포되는 접착층(135)은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된 미세 조각들이 타발면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adhesive layer 135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anti-fouling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may be formed in a manner such that the fine pieces separat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are adhered to the rubbing surface, And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containing a conductive component.

그리고,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는 액상 또는 겔상으로 구비되어 디핑, 분사, 인쇄 등을 통하여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에 도포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제조공정의 편의를 위하여 필름의 시트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ti-fouling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may be provided in a liquid or gel state and may be co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rough dipping, spraying, printing, or the lik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is provided in a sheet form for convenience.

한편,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가 필름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와 같은 불소 수지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When the microparticulate desorption preventing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ilm, the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of a fluorine-containing polymer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propylene (PP) film, A resin film or the like may be used.

이하에서는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가 필름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자성편(131)에 접착층(135)을 매개로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micro-fragmentation prevention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film and is attached to the magnetic piece 131 through the adhesive layer 135. [

이와 같은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덮는 제2영역(134b)을 포함하며, 제조과정의 편의 및 접착성의 증대를 위하여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을 덮는 제1영역(134a)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anti-fouling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includes a second region 134b covering at least a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And a first region 134a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adhesiveness.

이때,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덮는 제2영역(134b)은 노출면인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자성편(131)의 전체두께보다 1~3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편(131)의 전체두께보다 1~2.5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134b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may have a width of 1 to 3 times the entir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And may have a width of 1 to 2.5 times the entir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일례로, 상기 자성편(131)이 210㎛의 두께를 갖는 경우 상기 제2영역(134b)은 210~630㎛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영역(134b)은 300~500㎛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타발공정과 같은 제조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영역(134b)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양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만일, 상기 제2영역(134b)의 폭이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되면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덮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제2영역(134b)의 폭이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3배 이상의 폭을 갖는 경우에는 차폐시트(120) 및/또는 안테나유닛(110)과 어트랙터(130)를 부착과정에서 접착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magnetic piece 131 has a thickness of 210 μm, the second region 134b may have a width of 210 to 630 μm, and preferably the second region 134b may have a width of 300 To 500 [mu] m. This is because the second region 134b can completely surround the side of the magnetic piece 131 even if an error occurs in a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a punching process,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and mass productivity. If the width of the second region 134b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may not be completely covered with the second region 134b. A problem that the adhesion force is lowered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shielding sheet 120 and / or the antenna unit 110 to the attractor 130 is caused whe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is three times or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한편,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만을 덮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t is noted that the micro-fragmentation prevention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may be provided to cover only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as shown in FIG.

도면과 설명에는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가 자성편(161)의 측면 및/또는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편(131)에서 타발면 또는 노출되는 면이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인 경우 타발면 또는 노출면에 해당하는 자성편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In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he above-described fine fragment removal prevention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nd / or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6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nti-fogging and anti-oxidation member on the upper and / or low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corresponding to the rugged surface or the exposed surface when the faced surface or the exposed surface is the upper surface and / or the lower surface.

한편, PMA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하여 무선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전력 수신모듈(100) 측으로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접근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 측에 구비되는 홀센서(12)에서의 전압값의 변화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일어나야 한다. In order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through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s provided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Changes in voltage value should occur above a certain size.

즉, 상기 홀센서(12)에서 일정 크기 이상으로 전압값의 변경이 감지되면 무선전력 송신모듈(10) 측으로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이 접근한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센서에서 전압값의 변경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이 작동됨으로써 고주파 신호가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 측으로 전달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hall sensor 12 detects a change in the voltage value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recognizes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approach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10. If the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s satisfied through the change of the voltage value in the hall sens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s operated so that a high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side to be charged.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어트랙터(130)의 전체두께, 특히 자성편(131)의 전체두께를 두껍게 하여 영구자석(14)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유도율을 높이거나, 어트랙터(130)를 구성하는 자성편(131)의 전체면적을 넓힘으로써 영구자석(14)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선의 유도율을 높여 줌으로써 홀센서(12)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변경값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atisfy such a conditi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attractor 130, in particular, the total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induction ratio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s 14,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hange value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hall sensor 12 by increasing the total area of the magnetic pieces 131 constituting the permanent magnet 14 by raising the induction ratio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 14. [

그러나, 상기 어트랙터(130)의 전체면적을 넓히는 것은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However, widening the total area of the attractor 130 is limited because the overall siz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fixed.

더불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형화의 요구에 맞도록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영구자석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경로를 변경하는 어트랙터 역시 사용되는 전체두께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limited to meet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s a result, the total thickness of the attractor that changes the path of the magnetic flux generated in the permanent magnet is inevitably limited.

특히,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총두께가 0.6m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로 제한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어트랙터의 전체두께는 더욱 심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Particularly,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limited to 0.6 mm or less, or even 0.3 mm or less, the total thickness of the attractor that can be used is more severely restrict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 두께가 0.15 내지 0.6mm, 구체적으로 0.3mm로 설계된 조건에서도 상기 홀센서에서 전압값의 변화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어트랙터(130)가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designed to be 0.15 to 0.6 mm, specifically, 0.3 mm, the attractor 130 May be provided to have a sufficient thickness.

이를 위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 및 안테나 유닛(130)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어트랙터(130)의 전체두께 중 적어도 일부의 두께를 수용하는 어트랙터 수용부(140)가 구비된다.To this end, at least one of the magnetic shield sheet 120 and the antenna unit 130 is provided with an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attractor 130.

이러한 어트랙터 수용부(140)는 자기장 차폐시트(120) 및 안테나 유닛(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어트랙터(130)의 전체두께 중 적어도 일부의 두께를 수용함으로써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가 박형화되더라도 충분한 두께를 갖는 어트랙터(13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n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thickness of at least part o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attractor 130 disposed between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120 and the antenna unit 130, The attractor 130 having a sufficient thickness can be used even if the entire thickness is thinned.

일례로,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140)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 또는 안테나 유닛(130)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reces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ly from on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magnetic shield sheet 120 and the antenna unit 130.

즉,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차폐시트(120)의 일면에만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 중 최상위 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에 해당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어트랙터(130)의 전체두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를 구성하는 최상위 층을 통해 어트랙터(1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recess formed in a predetermined depth only on one side of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120. 7A and 7B, when the magnetic shield sheet 12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receiving groove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layers except the uppermost layer of the plurality of layers . As a resul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attractor 130 can be increased, and the attractor 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most layer constituting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또한,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14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차폐시트(120)및 안테나 유닛(130)의 각각의 일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의 형태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8A,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urface of each of the magnetic shield sheet 120 and the antenna unit 130 .

더불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테나 유닛(130)의 일면에만 상기 수용홈이 일정깊이 함몰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only one side of the antenna unit 130. [

한편,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140)는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 또는 안테나 유닛(13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관통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140)가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 또는 안테나 유닛의 일면에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어트랙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밀폐시트(15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or the antenna unit 130. When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a separate sealing sheet for preventing the attractor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or the antenna unit 150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차폐시트(120)의 일면에 밀폐시트(15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어트랙터(130)는 상기 밀폐시트(150)와 접착층을 매개로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Here, when the sealing sheet 1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hielding sheet 120, the attractor 130 inserted in the through-hole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sealing sheet 150 via the adhesive layer.

한편, 상기 밀폐시트(150)는 방열시트일 수 있으며,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 또는 안테나 유닛의 일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관통구의 개방영역을 포함하여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Meanwhile, it is noted that the sealing sheet 150 may be a heat-radiating sheet,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or the antenna unit, or partially including the open region of the through-hole .

또한,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14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만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 및 안테나 유닛(130)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어트랙터의 두께를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어트랙터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총 두께와 동일하게 0.15 ~ 0.6mm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8B,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formed only through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C, And the antenna unit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since the thickness of the attractor can be mad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he attractor may have a thickness of 0.15 to 0.6 mm, which is the same as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

더불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테나 유닛(130)에만 상기 관통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ough not shown, the through-hole may be formed only in the antenna unit 1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트랙터(130')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의 자성편(131')이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갖는 다단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자성편(131')은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갖는 제1부분(131a)과 상대적으로 좁은 단면적을 갖추어 상기 제1부분(131a)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부분(131b)으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ttracto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ultistage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ic pieces 131' of the thin plate have different sectional areas as shown in FIGS. 9A to 9C. That is, the magnetic piece 131 'has a first portion 131a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and a second portion 131b having a relatively narrow cross-sectional area and stack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131a .

여기서, 상기 자성편(131')이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갖는 제1부분(131a)과 제2부분(131b)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부분(131b)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부분(131a)의 정중앙부에 배치되어 대칭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으며, 도 10b 내지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분(131a)의 중앙부에 대하여 상,하,좌,우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쳐져 비대칭적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Here, when the magnetic piece 131 'is provided as a first portion 131a and a second portion 131b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the second portion 131b may be formed as a virtual And may be symmetrically stack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131a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As shown in FIGS. 10b to 10e, the upper portion, the lower portion, the left portion, It may be stacked asymmetrically on either side of the right side.

더불어, 상기 자성편(131')이 다단의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134)는 상기 제2부분(131b)의 상부면 및 측면, 제1부분(131a)의 상부면 일부 및 측면을 하나의 부재를 통해 동시에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9a 내지 도 9c 참조).In addition, when the magnetic piece 131 'is provided in a multi-tiered structure, the anti-fouling preventing and anti-oxidation member 13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31b,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simultaneously cove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through one member (see Figs. 9A to 9C).

이와 같이 상기 어트랙터(130')가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갖는 다단의 구조를 갖는 자성편(13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240) 역시 상기 어트랙터(130')와 대응되도록 제1수용부(141) 및 제2수용부(142)로 구비된다(도 9a 내지 도 9c 참조).In the case where the attractor 130 'includes the magnetic pieces 131' having a multi-stage structure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the attractor accommodating portion 240 may also include a magnetic piece 131 'corresponding to the attractor 130' 1 accommodating portion 14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42 (see Figs. 9A to 9C).

이를 통해, 상기 어트랙터(130')가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240)로의 삽입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는 제2부분(131b)을 통해 어트랙터(130')가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24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층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어트랙터(130')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attractor 130 'to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portion 131b having a relatively narrow area when the attractor 130' is inserted into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240, , And the attractor 130 'can be held in the correct posi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adhesive layer.

도 9a 내지 도 9c에는 상기 어트랙터(130') 및 어트랙터 수용부(240)가 다단의 구조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9A to 9C show various forms in which the attractor 130 'and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240 have a multi-stage structure.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트랙터 수용부(240)는 자기장 차폐시트(120)를 관통하는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20)의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수용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9A,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2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120, and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120, as shown in FIG. 9B,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ly from one surface of the housing.

이때, 상기 안테나 유닛(130) 측에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트랙터 수용부(140)가 관통구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테나 유닛(130) 측에도 수용홈의 형태로 구비되는 어트랙터 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 1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on the side of the antenna unit 130 as shown in FIG. 9C.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antenna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an attractor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한편, 상기 자성편(131')이 다단의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갖는 제1부분(131a)은 상기 안테나 유닛(130)과의 적층시 상기 안테나 유닛(130)과 더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10)과의 접근시 영구자석과의 대향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제1부분(131a)은 상기 제2부분(131b)보다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agnetic piece 131 'has a multi-stage structure, the first portion 131a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is positioned closer to the antenna unit 130 when stacked with the antenna unit 130 So that the area facing the permanent magnet can be widened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is accessed. In addition, the first portion 131a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thickness than the second portion 131b.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100,200)은 자기장 차폐시트(120) 또는 안테나 유닛(130)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어트랙터 수용부(140,240)를 통해 어트랙터(130,130')의 전체두께 중 적어도 일부의 두께를 수용함으로써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어트랙터(130,130')의 전체두께를 늘릴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attractors 130 and 130 'through the attractor receiving portions 140 and 240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gnetic shield sheet 120 or the antenna unit 130, The total thickness of the attractors 130 and 130 'can be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by accommodating the thickness of at least a part o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이로 인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가 0.15mm ~ 0.6mm, 바람직하게는 0.3mm인 경우, 어트랙터 역시 무선전력 수신모듈(100)과 동일하게 0.15mm ~ 0.6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음으로써 어트랙터의 두께 증가로 영구자석(14)의 자기력선의 경로를 충분히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PMA 무선 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홀센서에서의 동작 전압값의 변화를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도 11 참조).Therefore, when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0.15 mm to 0.6 mm, preferably 0.3 mm, the attractor is 0.15 mm to 0.6 mm thick a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The path of the magnetic force line of the permanent magnet 14 can be sufficiently chang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attrac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detect the change of the operating voltage value in the hall sensor required by the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11).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전체두께(t)는 안테나 유닛(110), 어트랙터(130,130') 및 차폐시트(120)의 적층높이일 수도 있으며, 상기 차폐시트(120)의 상부면에 흑연과 같은 방열시트(122)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방열시트(122)를 포함하는 두께일 수도 있다.The entire thickness t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ay be the height of the stack of the antenna unit 110, the attractors 130 and 130 'and the shielding sheet 120, The heat-radiating sheet 122 may be a thickness including the heat-radiating sheet 122 when the heat-radiating sheet 122 is provided.

더불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로 0.15 ~ 0.6mm의 두께를 예시하였지만, 이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전체두께가 얇은 두께를 갖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0.15 to 0.6 mm.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But does not limi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ubstrate.

즉, PMA 무선 충전 방식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의 전체두께가 제한되더라도 상술한 어트랙터 수용부를 통해 사용되는 어트랙터의 전체두께 중 적어도 일부의 두께를 수용함으로써 요구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두께를 만족하면서도 PMA 무선 충전 방식에서 요구되는 모든 조건 및 특성을 안정적으로 만족 또는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even if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is limited in the PMA wireless charging mode, the thickness of at least a part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attractor used through the above- It is possible to stably satisfy or realize all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 PMA wireless charging system while satisfying the thicknes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100,2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90)의 리어 케이스 또는 백커버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r case or the back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9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모듈(10)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100) 등을 포함하는 PMA 무선 충전 방식 충전 시스템(1)에 적용될 수도 있다.11, the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MA (Radio Frequency Power) module 100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10 and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100, It may be applied to the wireless charging type charging system 1.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제조방법을 도 12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ttractor for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복수 개의 시트(130a,130b,130c,130d,130e,130f,130g)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시트(130a,130b,130c,130d,130e,130f,130g)는 투자율이 높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리본시트는 적어도 3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개가 사용될 수 있다.First, a plurality of sheets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and 130g manufactured through heat treatment are prepared. The plurality of sheets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and 130g may be a thin sheet of a ribbon sheet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having high permeability. In addition, at least three ribbon sheets may be used, and preferably seven ribbon sheets may be used.

다음으로, 상기 복수 개의 리본시트(130a,130b,130c,130d,130e,130f,130g)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A)를 구성한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리본시트 사이에는 접착층(130h)이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접착층(130h)을 매개로 적층체가 일체화되도록 한다.Next, the plurality of ribbon sheets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and 130g are sequentially laminated to form a laminate A. At this time, an adhesive layer 130h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ribbon sheets, so that the laminate is integrat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130h.

여기서, 상기 접착층(130h)은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제거가능한 릴리즈필름(139a,139b)이 부착될 수 있다. Here, the adhesive layer 130h may include a non-conductive component, and removable release films 139a and 139b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aminate.

이후,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적층체를 플레이크 장치(미도시)에 통과시켜 상기 적층체(A)를 구성하는 각각의 리본시트들이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분리된 복수 개의 미세조각들은 상기 적층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부착된 릴리즈필름(139a,139b)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after, the laminate is passed through a flake device (not shown) so that the occurrence of eddy currents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respective ribbon sheets constituting the laminate A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inute pieces. Here, the separated plurality of minute pieces ar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lease films 139a and 139b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aminate.

이때,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리본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층(130h)이 리본시트 층으로 스며들어 각각의 리본시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조각들이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된다.At this time, the neighboring fine pieces penetrate into the ribbon sheet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130h disposed between adjacent ribbon sheets is total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minute pieces constituting each ribbon sheet.

일례로, 상기 플레이크 장치는 외면에 복수의 요철이 형성된 금속롤러와, 상기 금속롤러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무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적층체가 금속롤러와 고무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요철에 의해 복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를 갖도록 적층체를 플레이크 장치에 복수 회 통과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lake device may include a metal roller having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rubber roll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etal roller, an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laminate between the metal roller and the rubber roller,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micro-pieces may be passed through the flake device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the micro-pieces have a size of 1 to 3 mm, and each of the pieces may be made irregular.

여기서, 복수 개의 리본시트가 적층된 적층체(A)는 평탄화 및 슬림화를 위하여 핫 프레싱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적층체(A)는 전체적인 두께가 줄고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layered product (A) in which a plurality of ribbon sheets are laminated can be subjected to a hot pressing process for planarization and slimness. Accordingly, the total thickness of the layered product (A) can be reduced and a constant thickness can be maintained.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의 적층체(A)를 준비한 후 상기 적층체(A)의 일면에 접착층(174)을 매개로 캐리어 필름(170)을 부착한다(도 12a 및 도 12b참조). 이후, 상기 캐리어 필름(170)의 일면에 부착된 판상의 적층체(A)를 타발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자성편(131)으로 분리하고(도 12c 참조),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A')을 상기 캐리어 필름(170)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2d 참조).The laminate 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prepa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nd then the carrier film 17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laminate A via the adhesive layer 174 (Figs. 12A and 12B Reference). Thereafter, the plate-shaped laminate A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rrier film 170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by a punching process (see FIG. 12C) And the remaining portion A 'is removed from the carrier film 170 (see FIG. 12D).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 필름(170)의 일면에는 소정의 면적(이하, '제1면적(복수 개의 미세)'이라함)을 갖는 일정 크기로 분리된 복수 개의 자성편(13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남게 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은 상기 접착층(174)을 통해 상기 캐리어 필름(17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siz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rea (a plurality of fine pattern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170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by maintaining the state that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attached to the carrier film 170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4. [

여기서, 상기 판상의 적층체(A)를 타발하기 전 상기 적층체(A)의 최상부측에 릴리즈 필름(도 5의 139a)이 부착된 경우 상기 릴리즈 필름을 제거한 후 타발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릴리즈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타발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if a release film (139a in FIG. 5)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side of the laminate A before punching out the laminate A, the pun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The pun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with the release film attached.

이후, 서로 분리된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동시에 덮도록 판상의 필름부재(B)를 부착한다(도 12e 참조).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B)는 일면에 도포된 접착층(175)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과 부착되며, 타발 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으로 분리되어 타발면인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덮어줌으로써 파우더의 탈리를 방지하고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a plate-shaped film member B is attached so as to simultaneously cover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separated from each other (see FIG. 12E). Here, the film member B i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through an adhesive layer 175 coated on one side, separated by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through a punching process, By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flake 13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wder from coming off and to prevent oxidation.

이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동시에 덮도록 상기 필름부재(B)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필름부재(B)를 소정의 면적(이하, '제2면적(S2)'이라함)을 갖는 일정 크기로 분리된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으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상기 캐리어 필름(170)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2f 참조).To this end, the film member B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area S2') in a state where the film member B is attached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t the same time, An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protective film 134 except for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re removed from the carrier film 170 (see FIG. 12F).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제1영역(134a)과 제2영역(134b)을 포함하며, 상기 제1면적(S1)은 상기 제1영역(134a)의 면적에 해당하고 상기 제2면적(S2)은 상기 제1영역(134a)과 제2영역(134b)을 합한 면적에 해당된다.Here,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may include a first area 134a and a second area 134b, the first area S1 may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first area 134a, 2 area S2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first area 134a and the second area 134b.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타발된다. 즉, 상기 제2면적(S2)은 상기 제1면적(S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면적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은 상기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1~3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1~2.5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re punched out so as to have a wider area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s 131. That is, the second area S2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area S1, and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that exceeds the first area has a thickness that is 1 to 100 time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And may have a width that is 1 to 2.5 time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일례로, 상기 자성편(131)이 210㎛의 두께를 갖는 경우 상기 제2면적(S2)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은 210~630㎛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은 300~500㎛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agnetic piece 131 has a thickness of 210 mu m,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exceeding the first area may have a width of 210 to 630 mu m,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that exceeds the first area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of 300 to 500 mu m.

이는, 타발공정과 같은 제조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양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exceeding the first area completely surrounds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even if an error occurs in a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a punching process, It is to raise.

만일,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의 폭이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되면 자성편의 측면을 완전히 덮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의 폭이 자성체(131)의 두께보다 3배 이상의 폭을 갖는 경우에는 차폐시트(120) 및/또는 안테나유닛(110)과 어트랙터(130)를 부착과정에서 접착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f the width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that exceeds the first area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may not be completely covered with the second area S2, The shielding sheet 120 and / or the antenna unit 110 and the attractor 130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a process of attaching the magnetic substance 13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B)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와 같은 불소 수지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Here, the film member (B) may be a fluororesin film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propylene (PP) film, or a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ilm.

마지막으로, 상기 캐리어 필름(170)의 일면에 복수 개의 자성편(131)이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의 상부면에 보호필름(134)이 각각 부착된 상태의 캐리어 필름(170)을 롤링 공정을 통해 가압하게 되면, 각각의 보호필름(134)이 가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감싸게 되고, 상기 보호필름(134)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이 상기 접착층(175)을 통해 자성편(131)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최종적인 어트랙터(130)가 완성된다(도 12g 참조).Finally,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170, and a protective film 134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The respective protective films 134 are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to cover the side surfaces of the magnetic pieces 131. A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134 that exceeds the first area And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5, thereby completing the final attractor 130 (see FIG. 12G).

이를 통해, 상기 자성편(131)은 타발면인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노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타발면에서 리본 조각과 같은 파티클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타발면으로부터 이탈된 파티클을 통해 전자회로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agnetic piece 131 prevents the side surface of the rubbing surfa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exposed surface from being oxidized, and preventing the particles such as the ribbon piece from falling off from the rubbing surface,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in the electronic circuit through the separated particles.

이후, 사용과정에서 상기 캐리어 필름(17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어트랙터(130)를 분리함으로써 제품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separator 130 can be separately detached from the carrier film 170 during use, so that the separator 130 can be applied to a produc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다른 제조방법이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n attractor for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3 to FIG.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의 다른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조방법과 달리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형성하기 위한 타발공정과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구성하기 위한 타발공정을 각각 수행한 후 타발이 완료된 복수 개의 자성편(131)과 보호필름(134)을 서로 합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unlike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n attractor for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nching process for forming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nd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nd then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nd the protective film 134, which have completed the tapping, are join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의 원재료가 되는 적층체(A)를 준비하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laminate A serving as the raw material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process,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먼저, 도 13을 참고하여 적층체(A)를 복수 개의 자성편(131)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First,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layered product (A) into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의 적층체(A)를 준비한 후 상기 적층체(A)의 일면에 접착층(174)을 매개로 제1캐리어 필름(171)을 부착한다(도 13a 및 도 13b 참조). After the plate-like laminate 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prepared, a first carrier film 171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laminate A via an adhesive layer 174 (see Figs. 13A and 13B).

이후,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의 일면에 부착된 판상의 적층체(A)를 타발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자성편(131)으로 분리하고(도 13c 참조),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A')을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3d 참조).Thereafter, the plate-shaped laminate A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film 171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by a punching process (see FIG. 13C),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 Is removed from the first carrier film 171 (see FIG. 13D).

이에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의 일면에는 소정의 면적(이하, '제1면적(S1)'이라함)을 갖는 일정 크기로 분리된 복수 개의 자성편(13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남게 되며,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은 상기 접착층(174)을 통해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siz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area S1')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film 171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by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first carrier film 171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4. [

여기서, 상기 판상의 적층체(A)를 타발하기 전 상기 적층체(A)의 최상부측에 릴리즈 필름(도 5의 139a)이 부착된 경우 상기 릴리즈 필름을 제거한 후 타발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릴리즈 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타발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if a release film (139a in FIG. 5) is attached to the uppermost side of the laminate A before punching out the laminate A, the pun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fter removing the release film, The pun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with the release film attached.

다음으로, 도 14를 참고하여 판상의 필름부재(B)를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B)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테레프탈레이트(PTFE)와 같은 불소 수지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Next, a process of separating the plate-like film member B into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the film member (B) may be a fluororesin film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polypropylene (PP) film, or a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ilm.

먼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상의 필름부재(B)를 준비한 후 상기 필름부재(B)의 일면에 접착층(175)을 매개로 제2캐리어 필름(172)을 부착한다(도 14a 및 도 14b 참조). 여기서, 상기 접착층(175)은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First, a plate-shaped film member B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prepared, and then a second carrier film 172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lm member B via an adhesive layer 175 (see FIGS. 14A and 14B) ). Here, the adhesive layer 175 may be a double-sided tape coated with an adhesive on both sides of a substrate.

이후,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의 일면에 부착된 판상의 필름부재(B)를 타발공정을 통하여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으로 분리하고(도 14c 참조),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B')을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으로부터 제거한다(도 14d 참조).Thereafter, the plate-shaped film member B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film 172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by a punching process (see FIG. 14C), and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B ') from the second carrier film 172 (see FIG. 14D).

이에 따라,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의 일면에는 제2면적(S2)을 갖는 일정 크기로 분리된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남게 되며,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기 접착층(175)을 통해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size and having a second area S2 are left on the one surface of the second carrier film 172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The film 134 is maintained in an aligned state by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second carrier film 172 via the adhesive layer 175. [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타발된다. 즉, 상기 제2면적(S2)은 상기 제1면적(S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S1)을 초과하는 부분은 상기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1~3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1~2.5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re punched out so as to have a wider area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s 131. That is, the second area S2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area S1, and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that exceeds the first area S1 is formed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may be 1 to 2.5 time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일례로, 상기 자성편(131)이 210㎛의 두께를 갖는 경우 상기 제2면적(S2)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은 210~630㎛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면적(S1) 중 제1면적(S1)을 초과하는 부분은 300~500㎛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agnetic piece 131 has a thickness of 210 mu m,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exceeding the first area may have a width of 210 to 630 mu m,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S1 that exceeds the first area S1 may have a width of 300 to 500 mu m.

이는, 타발공정과 같은 제조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높이고 양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a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exceeding the first area completely surrounds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even if an error occurs in a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a punching process, It is to raise.

만일,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의 폭이 자성편(131)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되면 자성편의 측면을 완전히 덮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제2면적(S2) 중 제1면적을 초과하는 부분의 폭이 자성체(131)의 두께보다 3배 이상의 폭을 갖는 경우에는 차폐시트(120) 및/또는 안테나유닛(110)과 어트랙터(130)를 부착과정에서 접착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f the width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area S2 that exceeds the first area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piece 131,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may not be completely covered with the second area S2, The shielding sheet 120 and / or the antenna unit 110 and the attractor 130 are attached to each other in a process of attaching the magnetic substance 13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이후, 일정면적을 갖추고 일면에 접착층(176)이 구비된 제3캐리어 필름(173)으로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동시에 덮도록 부착한다(도 14e 및 도 14f 참조).Thereafter,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re simultaneously covered with a third carrier film 173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having an adhesive layer 176 on one surface thereof (see FIGS. 14E and 14F).

그런 다음,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을 경계로 상기 제3캐리어 필름(173)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캐리어 필름(172)을 제거한다(도 14g 참조).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의 일면에는 상기 접착층(175)이 제거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캐리어 필름(172)만을 제거하도록 한다.Then, the second carrier film 172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carrier film 173 with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s a boundary is removed (see FIG. 14G). At this time, only the second carrier film 172 is remov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so that the adhesive layer 175 can be retained without being removed.

다음으로,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과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이 서로 마주하도록 제1캐리어 필름(171) 및 제3캐리어 필름(173)을 배치한 후(도 15a 참조),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 및 제3캐리어 필름(173)을 서로 합지한다(도 15b 참조). 이때, 상기 보호필름(134)의 일면에는 접착층(175)이 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과 복수 개의 보호필름(134)은 상기 접착층(175)을 매개로 상호 부착된다.Next, the first carrier film 171 and the third carrier film 173 are dispos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nd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face each other (see FIG. 15A) 1 carrier film 171 and the third carrier film 173 are bonded together (see Fig. 15B).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nd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34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the adhesive layer 175 because the adhesive layer 175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134.

그런 다음, 상기 자성편(131)의 상부면을 개별적으로 덮고 있는 상기 보호필름(134)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3캐리어 필름(173)을 제거한다(도 15c 참조).Then, the third carrier film 173 is removed so that the protective film 134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is exposed to the outside (see FIG. 15C).

마지막으로, 상기 제1캐리어 필름(171)의 일면에 복수 개의 자성편(131)이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성편(131)의 상부면에 보호필름(134)이 각각 부착된 상태의 캐리어 필름(171)을 롤링 공정을 통해 가압하게 되면, 각각의 보호필름(134)이 가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자성편(131)의 측면을 감싸게 되고, 상기 보호필름(134) 중 제1면적(S1)을 초과하는 부분이 상기 접착층(175)을 통해 자성편(131)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최종적인 어트랙터(130)가 완성된다(도 15d 참조).Lastly, a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ar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carrier film 171, and a protective film 134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pieces 131, Each protective film 134 is pressed by a pressing force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and the first area S1 of the protective film 134 is pressed by the rolling process,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agnetic piece 131 through the adhesive layer 175 to complete the final attractor 130 (see FIG. 15D).

이를 통해, 상기 자성편(131)은 타발면인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노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타발면에서 리본 조각과 같은 파티클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타발면으로부터 이탈된 파티클을 통해 전자회로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magnetic piece 131 prevents the side surface of the rubbing surfa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exposed surface from being oxidized, and preventing the particles such as the ribbon piece from falling off from the rubbing surface, Thereby preventing a short circuit from occurring in the electronic circuit through the separated particl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PMA 무선 충전 방식 무선전력 수신모듈
110 : 안테나 유닛 112 : 기판
114a : 무선충전용 안테나패턴 114b : MST 안테나패턴
114c : NFC 안테나패턴 120,120',120" : 차폐시트
121a :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
121b : 페라이트 시트 122 : 방열시트
130,130' : 어트랙터
130a,130b,130c,130d,130e,130f,130g : 시트
130g : 접착층 131,131' : 자성편
131a : 제1부분 131b : 제2부분
134 :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
134a : 제1영역 134b : 제2영역
135 : 접착층 140,240 : 어트랙터 수용부
141 : 제1수용부 142 : 제2수용부
150 : 밀폐시트 170,171,172,173 : 캐리어 필름
A : 적층체 B : 필름부재
100: PMA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110: antenna unit 112: substrate
114a: Wireless charging antenna pattern 114b: MST antenna pattern
114c: NFC antenna pattern 120, 120 ', 120 ": shielding sheet
121a: Ribbon sheet of thin plate made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alloy
121b: ferrite sheet 122: heat radiation sheet
130,130 ': Attractor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130g:
130g: adhesive layer 131, 131 ': magnetic piece
131a: first part 131b: second part
134: Fragmentation prevention and anti-oxidation member
134a: first region 134b: second region
135: adhesive layer 140, 240:
141: first receiving portion 142: second receiving portion
150: sealing sheet 170, 171, 172, 173: carrier film
A: laminate B: film member

Claims (24)

무선전력 수신모듈의 어트랙터에 있어서,
적어도 한 층의 자성체로 이루어진 박판 자성편; 및
상기 박판 자성편에 구비되어, 상기 박판 자성편의 타발면으로부터 미세 조각이 탈리되거나 측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세 조각 탈리 및 산화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In an attractor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 thin plate magnetic piec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of at least one layer; And
And an antifriction and antioxidant member provided i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to prevent the minute pieces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idgeline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or to prevent oxidation of the sid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트랙터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무선전력 송신모듈에 접근할 때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일부를 유도하여 자속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전력 송신모듈의 동작 개시 조건을 만족하는 전압값 변화를 유도하는 것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tractor is provid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o change the path of the magnetic flux by inducing a part of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wh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pproaches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And the voltage value change satisfies an operation start condition of the electric power supp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발면은 상기 박판 자성편의 측면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idge surface is the side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및 산화방지부재는 상기 박판 자성편에 접착층을 매개로 직접 부착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articulate desorption and antioxidant member is directly attached to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via an adhesive lay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 nonconductive compon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트랙터는 PMA 무선 충전 방식에 적용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ractor is applied to a PMA wireless charg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편 자성편은 실리콘스틸, 비정질 리본, 페라이트, 퍼멀로이 및 폴리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ky magnetic piece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 steel, amorphous ribbon, ferrite, permalloy and polym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비정질 리본층이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morphous ribbon lay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및 산화 방지부재는 보호필름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articulate desorption and antioxidant member is a protective fil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상기 박판 자성편의 상부면을 덮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박판 자성편의 측면을 덮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articulate desorption preventing and antioxidant member includes a first reg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and a second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region and covering a side surface of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박판 자성편의 두께에 대하여 1 내지 3 배의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econd region is provided to have a width of 1 to 3 times the thickness of the thin magnetic shee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리본은 Fe계 비정질 합금 또는 Co계 비정질 합금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morphous ribbon comprises an Fe-based amorphous alloy or a Co-based amorphous allo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리본층은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morphous ribbon lay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nute piece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arts are total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between neighboring micropart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은 1㎛~3mm의 크기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ieces are of a size of 1 mu m to 3 mm.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ieces are irregul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투자율이 100~1000인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has a permeability of 100 to 10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각 탈리 방지 및 산화 방지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테레프탈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불소 수지계 필름으로 구비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particulate desorption preventing and antioxidant member comprises a fluororesin-based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ropylene, and polyterephtha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를 적어도 3층 이상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is formed by laminating at least three thin ribbon sheets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into at least three layers.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으로 이루어진 박판의 리본시트를 적어도 5층 또는 7층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is formed by laminating a thin sheet of a ribbon sheet made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to at least five or seven lay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에 구비된 내측 안테나 패턴의 중앙부 공간부의 크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a size of a central space portion of an inner antenna patter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그 두께가 100 내지 300㎛로 형성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has a thickness of 100 to 300 占 퐉.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자성편은 그 두께가 150 내지 220㎛로 형성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용 어트랙터.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thin plate magnetic piece has a thickness of 150 to 220 占 퐉.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안테나 유닛;
상기 안테나 유닛의 무선 고주파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는 자기장 차폐시트; 및
상기 안테나 유닛과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트랙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
An antenna unit having at least one antenna pattern;
A magnetic shielding sheet for shield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 radio frequency signal of the antenna unit; And
And an attra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3 positioned between the antenna unit and the magnetic shielding sheet.
KR1020150131790A 2015-04-28 2015-09-17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KR1021753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885 2015-04-28
KR20150059885 2015-04-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37A Division KR101574214B1 (en) 2014-12-22 2015-07-20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and the method of mamufacturing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185A true KR20160128185A (en) 2016-11-07
KR102175375B1 KR102175375B1 (en) 2020-11-06

Family

ID=548676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37A KR101574214B1 (en) 2014-12-22 2015-07-20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and the method of mamufacturing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KR1020150131790A KR102175375B1 (en) 2015-04-28 2015-09-17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37A KR101574214B1 (en) 2014-12-22 2015-07-20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and the method of mamufacturing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742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855A (en) * 2018-01-05 201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s magnetic substanc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410B1 (en) 2015-12-17 2017-1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ransmitting Coil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2527072B1 (en) * 2016-01-29 2023-04-28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embeded in back cover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70093029A (en) 2016-02-04 2017-08-14 주식회사 아모센스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having the same
KR102359780B1 (en) * 2016-02-04 2022-0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having the same
KR102527794B1 (en) * 2016-02-04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oil
KR101843258B1 (en) * 2016-05-17 2018-03-28 삼성전기주식회사 Magnetic Sheet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KR20180005967A (en) * 2016-07-07 2018-01-17 삼성전기주식회사 Magnetic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gnetic Sheet
KR102579078B1 (en) * 2016-09-05 2023-09-15 주식회사 위츠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41530B1 (en) 2017-04-05 2019-01-23 한솔테크닉스(주) Antenna unit that have hybrid type antenna pattern connection structure
KR101991011B1 (en) 2018-01-29 2019-06-19 한솔테크닉스(주) Antenna unit with dummy pattern
KR102016613B1 (en) 2018-02-22 2019-08-30 한솔테크닉스(주) Antenna unit for radi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KR20230150474A (en) * 2022-04-22 2023-10-31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08B1 (en) 2011-03-03 2012-10-09 (주)엠에이피테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KR20130076067A (en) * 2011-12-28 2013-07-08 (주) 씨아이디티 Mobile capable of operating wireless charg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40048722A (en) * 2012-10-16 2014-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Magnetic sheet for wireless charg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40109336A (en)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아모센스 Composite Sheet for Shielding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Wave and Antenna Module Using the Same
KR20140143119A (en) * 2013-06-05 2014-12-15 유종삼 Nfc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039287A (en) * 2013-10-02 2015-04-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agnetic sheet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3461A (en) 2008-12-24 2010-07-08 Nec Tokin Corp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she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08B1 (en) 2011-03-03 2012-10-09 (주)엠에이피테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KR20130076067A (en) * 2011-12-28 2013-07-08 (주) 씨아이디티 Mobile capable of operating wireless charg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40048722A (en) * 2012-10-16 2014-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Magnetic sheet for wireless charg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40109336A (en)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아모센스 Composite Sheet for Shielding Magnetic Field and Electromagnetic Wave and Antenna Module Using the Same
KR20140143119A (en) * 2013-06-05 2014-12-15 유종삼 Nfc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039287A (en) * 2013-10-02 2015-04-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agnetic sheet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855A (en) * 2018-01-05 201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s magnetic substan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375B1 (en) 2020-11-06
KR101574214B1 (en)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214B1 (en)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and the method of mamufacturing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KR101656260B1 (en)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US10658870B2 (en) Combo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US10566824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for vehicles
KR101795546B1 (en)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574089B2 (en) Attractor for PMA wireless charging typ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having same
KR101577425B1 (en)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Shielding unit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KR101646173B1 (en)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TW201943178A (en) Board for wireless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KR20170050665A (en) Shielding sheet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receive module having the same
KR20160100786A (en) 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KR101627844B1 (en)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mobile phone
KR102348411B1 (en) Shielding unit for complex-antenna unit and complex-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90031714A (en) Magnetic shielding sheet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16111496A1 (en)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including same
KR101320873B1 (en) Munufacturing method of nfc antenna and nfc antenna manufactured by thereof
KR102310769B1 (en) Shielding unit for complex-antenna unit and complex-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2348412B1 (en) Shielding unit for complex-antenna unit and complex-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209228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2310770B1 (en) Shielding unit for complex-antenna unit and complex-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2323182B1 (en) Shielding unit for complex-antenna unit and complex-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200032068A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20200083416A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20160100724A (en)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KR20160128863A (en) Shielding unit for complex-antenna unit and complex-transmission module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