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786A - 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786A
KR20160100786A KR1020150114579A KR20150114579A KR20160100786A KR 20160100786 A KR20160100786 A KR 20160100786A KR 1020150114579 A KR1020150114579 A KR 1020150114579A KR 20150114579 A KR20150114579 A KR 20150114579A KR 20160100786 A KR20160100786 A KR 20160100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ntenna
pieces
shielding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5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0391B1 (en
Inventor
장길재
장민식
이동훈
맹주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ublication of KR2016010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2J17/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and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The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heet which improves the characteristics of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a second sheet which improves the characteristics of a local area antenna and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partial thickness or entire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wherein the first sheet is separated by a plurality of minute pieces after the ribbon sheet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grain alloy is processed by flakes and is arranged in the receiving unit. According to this, if a shielding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heets in order to improve each of the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antennas performing each different roles, one sheet is inserted and arranged in different sheets, and thus slimming can be realized by reducing the entire thickness, and the characteristic change can be reduced by securing the flexibility of a sheet itself.

Description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and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including the shielding unit.

본 발명은 무선충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안테나의 특성을 모두 향상시키면서도 전체두께를 줄일 수 있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harg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and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including the shielding unit, which can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while improving all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최근 휴대폰, 타블렛 PC 등을 비롯한 휴대 단말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식별), 근거리 무선통신(NFC), 무선충전(WPT), 대화형 펜 타블렛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functions such a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wireless charging (WPT) and interactive pen tablet have been added to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NFC는 전자태그인 RFID의 하나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방식으로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NFC is a non-contact typ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uses 13.56MHz frequency band as one of RFID tags, and it is a technology to transmit data between terminals at a distance of 10cm. NFC is widely used not only for mobile payments, but also for transferring travel information, transportation, and access control locks for goods information and visitors in supermarkets and general shops, as well as for file transfer.

또한, 최근 구글이 발표한 스마트폰에 구비된 ‘안드로이드 빔’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기반의 근거리 정보 송수신 기능으로서, 모바일 결제뿐만 아니라 사진·명함·파일·지도·웹사이트 등을 한 전화기에서 다른 전화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recently announced by Google, 'Android Beam' included in the smart phone is a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NFC) -based short dist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that not only allows mobile payment but also photo, business card, file, map, To other phones.

한편, 휴대 단말기에는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 충전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has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for wirelessly charging a built-in battery. The wireless charging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Module.

또한, 무선 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에 대한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PMA 방식과 Qi 방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may be classified into a magnetic induction type and a self-resonance type,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PMA type and a Qi type depending on a method of detect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cces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한편, 최근 휴대 단말기는 경박단소형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의 두께 역시 얇아지고 있으며, 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의 총두께를 0.6m 이하, 심지어 0.3mm 이하로 설계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In recent years,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reduced as the size of the wireless terminal has become smaller and smaller. For example,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has to be designed to 0.6m or less, or even 0.3mm or less Faced.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의 두께를 0.6mm 이하, 심지어 0.3mm이하로 설계하는 경우 무선 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구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designed to be 0.6 mm or less, or even 0.3 mm or less,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즉, 안테나유닛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안테나로 구비되는 경우 해당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시트를 적층하여 차폐유닛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차폐유닛이 복수 개의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차폐유닛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That is, when the antenna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tennas serving different roles, it is general to construct a shielding unit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in order to improv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Accordingly, since the shielding unit is construc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hielding unit.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경박단소형화의 요구에 부응하면서도 무선 충전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차폐유닛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shielding unit capable of satisfying the requirements required for wireless charging while meeting the demand for compact size and compact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KRKR 10-2013-004530610-2013-0045306 A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폐유닛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의 특성을 각각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시트를 다른 시트에 삽입배치함으로써 전체두께를 줄일 수 있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ielding unit in which, when a plurality of sheets are 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antenna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which can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은 차폐유닛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시트 중 외측에 배치되는 시트가 적어도 한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 미세 조각들이 소정의 비율 이상 포함하도록 시트를 구성하여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특성변화를 줄일 수 있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sheet such that a sheet disposed outside the plurality of sheets constituting the shielding unit has a curved shape of at least one side including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차폐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무선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충전특성을 만족하면서도 전체두께를 줄일 수 있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capable of reducing the total thickness while satisfying the charging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by providing the shielding uni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시트; 및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1시트의 일부두께 또는 전체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2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시트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시트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first sheet for improving characteristics of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a second sheet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ccommodating a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or a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wherein the first sheet is flak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cr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comprising a ferrite sheet formed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sheet is flak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또한,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두께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heet may inclu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to the outside to a certain thickness.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일면이 상기 제2시트의 일면과 면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되거나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ortion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may have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have. At this time, the second portion may be entirely or partially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first portion.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되는 수용홈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시트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제1시트가 삽입됨으로써 전체두께를 줄일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receiving groove recessed from a surface of the second sheet to a predetermined depth or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econd sheet, and the first sheet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또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계 페라이트 또는 Ni-Zn계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errite sheet may be made of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변이 직선이 아닌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의 전체개수 중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 미세조각의 개수가 50%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일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micro pieces may be irregular, and the plurality of micro pieces may be entir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among neighboring micro pieces, and at least one side may be a curved shape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number of fine pieces having at least one curved shape among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be 50% or more, preferably 70% or more.

또한, 상기 제2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1.2 내지 2배일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nute particl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May be 1.2 to 2 times larger tha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또한,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는 상기 제1시트의 일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는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recharging antenna may b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heet,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may b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The sheet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permeability.

또한, 상기 제1시트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heet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한편, 본 발명은 무선충전용 안테나 및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콤보형으로 구비되는 안테나유닛; 및 상기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유기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시트; 및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1시트의 일부두께 또는 전체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2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시트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시트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unit comprising: a combinable antenna unit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a shielding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to induce a magnetic field, the shielding unit comprising: a first sheet for improving characteristics of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a second sheet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ccommodating a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or a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wherein the first sheet is flak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cr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comprising a ferrite sheet formed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second sheet being flak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ine pieces.

본 발명에 의하면, 차폐유닛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의 특성을 각각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시트를 다른 시트에 삽입배치함으로써 전체두께를 줄여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ielding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heets in order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antennas that play different roles, one sheet can be inserted into another sheet,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thickness and realizing thinning .

또한, 본 발명은 차폐유닛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시트 중 외측에 배치되는 시트가 적어도 한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 미세 조각들이 소정의 비율 이상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트 자체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특성변화를 줄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disposed outside the plurality of sheets constituting the shielding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a predetermined number of minute pieces each having a curved shape, thereby securing the flexibility of the sheet itself,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수용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제1시트 및 제2시트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에서 제1시트에 돌출부가 구비되는 경우 돌출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에서 제1시트 및 제2시트가 복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경우 미세조각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이 적용된 무선전력 충전모듈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in Fig. 1,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various forms of protrusions when a protrusion is provided on a first sheet in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microstructure when a first sheet and a second sheet are separately formed into a plurality of microstructures in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to which a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Fig. 6.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먼저,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은 안테나유닛(110) 및 차폐유닛(120)을 포함한다.6 and 7,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0 includes an antenna unit 110 and a shield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휴대폰, PDA, PMP, 테블릿,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The antenna unit 110 i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 PDA, a PMP, a tablet, a multimedia device, and the like.

이와 같은 안테나유닛(110)은 서로 다른 동작주파수에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114a,114c)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콤보형으로 구비된다.The antenna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114a and 114c operating at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and is provided in a combo type having different roles.

즉,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는 해당 동작주파수에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무선충전을 위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 및 근거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를 포함한다.That is, the plurality of antennas include a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t a corresponding operating frequency to transmit power for wireless charging,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14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ear data do.

여기서,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는 송출되거나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해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신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전송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Here,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may serve as a receiving antenna for transmitting power using an inductive coupling scheme based on electromagnetic induction through a wireless power signal transmitted or received, and may serve as a transmitting antenna .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114a,114c)는 일정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복수 회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평판형 코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박 등과 같은 금속박을 에칭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antennas 114a and 114c may be formed of a flat coil of circular, elliptical or quadrangular shape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r a metal foil such as a copper foil Or may be formed by etching.

이때, 상기 도전성부재는 구리와 같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소정의 선경을 갖는 복수 개의 가닥이 길이방향을 따라 꼬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copper, and may have a plurality of strands having predetermined diameters twis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114a,114c)는 폴리이미드(PI)나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동박 등과 같은 전도체를 루프 형태로 패터닝하거나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여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114a,114c)가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패터닝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로기판의 하부면에 패터닝될 수도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The plurality of antennas 114a and 114c may be formed by patterning a conductor such as a copper foil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circuit board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imide (PI) or PET in the form of a loop, May be formed. Although the plurality of antennas 114a and 114c are illustrated as being patter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ntenna may be patter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114a,114c)는 도전성부재가 복수 회 권선된 평판형코일과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패터닝 된 안테나 패턴이 상호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ntennas 114a and 114c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ntenna patterns pattern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a plate-like coil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안테나유닛(110)은 상기 차폐유닛(120)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 성질을 갖는 본드, PVC, 고무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일 수 있으며, 전도성을 갖는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The antenna unit 110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120 through an adhesive layer. Here, the adhesive layer may be a bond having adhesive properties, PVC, rubber,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 conductive component.

한편,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 및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가 회로기판(112)에 패터닝 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는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보다 동작주파수 대역이 높기 때문에 회로기판(112)의 외곽을 따라 미세한 선폭의 직사각형 형태로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되고,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는 전력 전송이 요구되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내측에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ear-field communication antenna 114c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are patterned on the circuit board 112, sinc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14c has a higher operating frequency band tha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Since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is required to transmit electric power and uses a lower frequency band than the antenna 114c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114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small line width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ircuit board 112, Can be formed with a line width that is wid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antenna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114c on the inner side of the antenna 114c.

더불어,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 및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의 사이 영역에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용 안테나(114b)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antenna 114b capable of performing settlement betwe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14c and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have.

상기 차폐유닛(120)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테나유닛(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하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hielding unit 120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functions to collect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antenna unit 110 and focus it in a desired direction.

이와 같은 차폐유닛(120)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114a,114c)에 대응하여 해당 안테나의 특성을 각각 높여줄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종류의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를 포함한다.The shielding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sheet 121 and a second sheet 121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as to incre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114a and 114c, 122).

즉, 상기 제1시트(121)는 상기 복수 개의 안테나(114a,114c) 중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시트(122)는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That is, the first sheet 121 is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antenna 114a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114a and 114c, and the second sheet 122 is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114c for short-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이를 위해, 상기 제1시트(121)는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시트(122)는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와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To this end, the first sheet 121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and the second sheet 122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114c .

이때, 상기 제1시트(121)는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내측에 배치되는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시트(121)를 통해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의 전 영역을 커버함으로써 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heet 121 is provided to have a size including a region for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disposed insid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14c. Thus, the entire area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114a is covered with the first sheet 121, thereby effectively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더불어, 상기 제1시트(121)는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내측 영역을 초과하지 않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시트(121)는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내측 영역은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직상부 영역은 포함하지 않는 적정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first sheet 121 is provided so as not to exceed the inner area of the antenna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114c so as not to deterio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114c. That is, the first sheet 121 includes an inner area of the antenna 110c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has an appropriate area not including the area directly above the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114c.

여기서, 상기 제1시트(121)는 안테나유닛(110)에 MST용 안테나(114b)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MST용 안테나(114b)의 직상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ere, it is noted that the first sheet 121 may or may not include an area immediately above the MST antenna 114b when the antenna unit 110 is provided with the MST antenna 114b .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가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124,124')가 무선충전용 안테나(114a)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시트(121)에 형성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시트(122)가 상기 수용부(124,124')에 삽입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114c is disposed inside the wireless-re- cording antenna 114a, and the receiving portions 124 and 124 ' It is noted that the second sheet 122 formed on the seat 121 and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114c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s 124 and 124 '.

이때,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시트(121)은 100~350kHz 대역에서 상기 제2시트(12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자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시트(121)는 100kHz에서 600~950의 투자율을 갖는 비정질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2시트(122)는 100kHz에서 250~750의 투자율을 갖는 페라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may have different permeabilities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at is, the first sheet 12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permeability than the second sheet 122 in a band of 100 to 350 kHz. For example, the first sheet 121 may be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 alloy or a nanocrystalline alloy having a permeability of 600 to 950 at 100 kHz, and the second sheet 122 may be a sheet of 250 - A ferrite sheet having a permeability of 750 can be used.

이때, 상기 제1시트(121)가 비정질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비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121c)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heet 121 is formed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 ribbon sheet 121c of a plurality of amorphous alloys or nanocrystalline alloys is stacked as shown in FIG. 3 .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소결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페라이트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amorphous alloy or the nanocrystalline alloy may be an Fe-based or a Co-based magnetic alloy. In addition, the ferrite sheet may be composed of a sintered ferrite sheet, and the ferrite may be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더불어,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을 위에 언급한 종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의 성질을 갖는 물질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ypes, and any material having magnetic properties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유닛(120)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각각의 안테나의 특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차폐유닛의 전체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shield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tenna that plays a different role and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hielding unit.

이를 위해, 상기 제2시트(122)의 내측에는 상기 제1시트(121)의 일부두께 또는 전체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24,124')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124,124')에 상기 제1시트(121)가 삽입배치됨으로써 차폐유닛의 전체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accommodating portions 124 and 124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thickness or total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121 are provided inside the second sheet 122,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s 124 and 124' 1 sheet 121 is inserted and disposed, the entire thickness of the shielding unit can be reduced.

이러한 수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시트(122)의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깊이 절개형성되는 수용홈(124')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시트(122)를 관통하는 관통구(124)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124 'tha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122,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124 passing through the two sheets 122.

여기서, 상기 수용홈(124') 및 관통구(124)는 상기 제1시트(121)의 일면과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Here, the receiving groove 124 'and the through hole 124 are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heet 121.

이를 통해, 상기 제1시트(121)가 상기 수용부(124,124')에 삽입되어 상기 제1시트(121)의 일부 또는 전체두께가 상기 수용부(124,124')에 의해 수용되므로 상기 차폐유닛(120)의 전체두께는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를 적층한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게 된다.The first sheet 1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s 124 and 124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121 is partially or entirely received by the receiving portions 124 and 124' Has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laminated.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124,124')에 삽입된 제1시트(121)의 두께 중 적어도 일부두께가 상기 제2시트(122)의 두께에 포함되어 생략되므로 차폐유닛(120)의 전체두께를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의 전체두께 역시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t least a part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121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s 124 and 124 'is omitted because it is included 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heet 122,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0 can be reduced as well.

이로 인해,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의 전체두께를 0.6mm 이하, 심지어 0.3mm이하로 설계하더라도 무선 충전 방식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의 전체두께로 0.6mm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매우 얇은 두께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임을 밝혀둔다.Therefore, even i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0 is designed to be 0.6 mm or less, or even 0.3 mm or less,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i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can be satisfied. Here, the total thickness of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0 is 0.6 mm.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0 is of a very thin thickness.

더불어, 상기 차폐유닛(12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별도의 접착층(123)이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123)의 일면에 별도의 보호필름(125)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 및 관통구에 삽입된 제1시트(121)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층(123) 및 보호필름(125)은 상기 차폐유닛(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adhesive layer 123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hielding unit 120, and a separate protective film 125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2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sheet 12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123 and the protective film 12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unit 12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접착층(123)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플레이크 처리되어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된 경우 미세 조각들 사이에 흡수되어 미세 조각들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접착층(123)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보호필름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Here, the adhesive layer 123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When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flaked and separated into fine pieces, they are absorbed between the fine pieces, It may also play a role of insulation.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123 may be provided as an adhesive or in the form of a film-like substrate and a protective film coated with an adhesive on one or both sides of the substrate.

이때, 상기 수용부(124,124')에 삽입되는 제1시트(121)는 상기 제2시트(122)의 일면과 동일평면상에서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시트(122)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121a,121b)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시트(122)의 일면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heet 121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s 124 and 124 'may be provided so as to form a horizontal plane on the same plane as the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122, 121b protruding outsid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be formed to be stepp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122.

더불어, 상기 돌출부(121a,121b)는 상기 수용부(124,124')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부분(121a) 및 상기 제1부분(121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부분(121b)은 상기 제1부분(121a)의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되거나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도 4 참조), 상기 제1시트(121)가 수용부(124,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분(121b)의 일면이 상기 제2시트(122)의 일면과 면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121a and 121b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21a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24 or 124 'and a second portion 121b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121a. . Here, the second portion 121b may be entirely or partially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first portion 121a (see FIG. 4), and the first sheet 121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s 124 and 124 '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1b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122.

이를 통해, 상기 제1시트(121)는 상기 제1부분(121a)으로부터 연장된 제2부분(121b)을 통하여 일부 또는 전체가 단턱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부(124,124') 측으로의 삽입시 상기 제2부분(121b)에 의하여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된다.Accordingly, the first sheet 121 may have a stepped structure partially or entirely through the second portion 121b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121a, so that when the first sheet 121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4 or 124 ' The depth to be inserted by the second portion 121b is limited.

이에 따라, 상기 제1시트(121)와 제2시트(122)의 결합시 상기 제2부분(121b)에 의해 삽입깊이가 제한됨으로써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부분(121b)과 제2시트(122)의 접촉면 상에 접착층(미도시)을 배치하여 제2부분(121b)의 일면이 제2시트(122)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시트(121)와 제2시트(12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coupled, the insertion depth is limited by the second portion 121b, thereby facilitating the coupling. 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 121b and the second portion 121b An adhesive laye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heet 122 so that on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21b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122 so that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차폐유닛(120,120')을 구성하는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 모두 플레이크 처리되어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constituting the shielding unit 120 or 120 'may be flaked and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icro-pieces. Preferably, as shown in FIG. 3, both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may be flaked and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icro-pieces.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1㎛ ~ 7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microparts may be entir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from neighboring microparts, and may have a size of 1 to 7 mm, and each of the pieces may be irregularly randomized .

이는,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를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하여 사용과정이나 운반과정에서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깨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크랙 또는 분리시 발생될 수 있는 특성변화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저항을 높여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시트의 크랙 및 파손으로 인한 최초 특성값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저항값의 증가를 통하여 각각의 안테나에서의 Q(quality factor)값을 높여줌으로써 전체적인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minute pieces so that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during the course of use or transportation, Or deterioration of characteristics which may occur during the separation, as well as to increase the overall resistance and suppress the occurrence of eddy current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nge in the initial characteristic value due to cracking and breakage of the sheet, and to increase the Q (quality factor) value at each antenna through increase of the resistance value,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그리고,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플레이크 처리되어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되고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복수 개의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시트 사이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착층(121d)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121d)은 서로 적층되는 각각의 시트 측으로 스며들어 미세 조각들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flaked to form a fine piece and a plurality of sheets separated into fine pieces are laminated, the sheet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adhesive layer 121d may be disposed. The adhesive layer 121d may function to insulate a plurality of microparts constituting each sheet by being seeped into the respective sheet side to be laminated to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microparticles. Here,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o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substrate in the form of a film with an adhesive applied thereto.

이때,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플레이크 처리되어 복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한 변이 직선이 아닌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즉, 각각의 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들의 전체개수 중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의 총 개수가 전체개수의 50% 이상의 비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의 비율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flaked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they may include micro-pieces having at least one curved shape rather than a straight line (see FIG. 5) . That is, the total number of the micro-piece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total number of the micro-pieces constituting each sheet is curved may be a ratio of 50% or more of the total number, and preferably 70% or more.

이는, 적어도 한 변이 직선이 아닌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이 소정의 비율로 포함되어 미세조각들로 이루어진 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시트 자체의 유연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ake it possible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sheet itself by constructing a sheet made of fine pieces, the minute pieces comprising a curved shape, at least one side of which is not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ratio.

이를 통해, 사용과정이나 운반과정 중에 상기 차폐유닛을 구성하는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휘어진다 하더라도 시트 자체의 유연성이 개선되어 각각의 미세조각들이 깨지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 자체의 최초 설계치를 항상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constituting the shielding unit are bent or bent by an external force during the use process or the conveying process, the flexibility of the sheet itself is improved, Or a crack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advance. Thus, the initial design value of the sheet itself can always be maintained.

한편, 시트를 구성하는 전체 미세조각의 총 개수에 대하여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의 비율에 따른 유연성을 테스트한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esting the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minute pieces having at least one curved shape to the total number of all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sheet are shown in Table 1 below.

즉, 시트를 수평면에 대하여 30도 각도로 100회 구부렸을 때 보호필름(125)을 가압하여 돌출되는 미세조각의 평균개수가 10개 이상인 경우를 불량품, 10개 미만인 경우를 합격품으로 분류하였다.That is, when the sheet is bent 100 times at an angle of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average number of protruded fine pieces pressed by the protective film 125 is 10 or more, and less than 10 are classified as acceptable products.

시트를 수평면에 대하여 30도 각도로 100회 구부렸을 때 보호필름을 가압하여 돌출되는 미세조각의 평균개수The average number of fine pieces protruding by pressing the protective film when the sheet is bent 100 times at a 30 degree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만곡형상 미세조각비율Curvature Shape Microstructure Ratio 30%30% 50%50% 70%70% 미세조각의 평균개수Average number of fine pieces 2020 99 33 불량여부Bad XX OO OO

위의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트를 구성하는 전체 미세조각의 총 개수에 대하여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의 비율이 50% 미만인 경우 보호필름 측으로 돌출되는 미세조각의 총 개수가 10개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50% 이상인 경우 보호필름 측으로 돌출되는 미세조각의 총 개수가 10개 미만으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above, when the ratio of the minute pieces having at least one curved shape to the total number of all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sheet is less than 50%, the total number of the minute pieces protruding toward the protective film side is 10 ,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otal number of fine protrusions protruding to the protective film side was less than 10 when the thickness was 50% or more.

달리 말하면, 시트를 수평면에 대하여 30도 각도로 100회 구부렸을 때 보호필름을 가압하는 미세조각의 평균개수가 적다는 것은 시트 자체의 유연성이 개선되어 휘어짐이나 구부러짐에 의하여 미세조각이 파손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시트 자체의 최초 특성치의 변화가 미미하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sheet is bent 100 times at an angle of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average number of the minute pieces to be pressed on the protective film is small, the flexibility of the sheet itself is improved and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minute pieces by bending or bending is low , Meaning that the change in the initial characteristic value of the sheet itself is insignificant.

특히, 제1시트(1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시트(122)의 경우 외력에 의한 휘어짐이나 구부러짐이 제1시트(1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므로 상기 제2시트(122)의 경우 시트를 구성하는 전체 미세조각의 총 개수에 대하여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의 비율이 70%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econd sheet 122 arranged to surround the first sheet 121,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rping or bending due to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sheet 121,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minute pieces composed of at least one curved shape to the total number of all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sheet is 70% or more.

한편, 상기 제1시트(121) 및 제2시트(122)가 플레이크 처리되어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시트(122)를 구성하는 미세조각들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121)를 구성하는 미세조각들의 평균입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시트(122)를 구성하는 미세 조각들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121)를 구성하는 미세조각들의 평균입경에 비하여 1.2 ~ 2배의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시트(121)를 구성하는 미세조각들의 평균입경은 1㎛ ~ 4mm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시트(122)를 구성하는 미세조각들의 평균입경은 4mm ~ 6mm일 수 있다.When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flaked and separated into fine piece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fine piec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122 is greater tha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rst sheet 121, The size of the microparticles may be larger tha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microparticles. Preferably,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nute particl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122 is 1.2 to 2 times larger tha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nute particl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121. For exampl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121 may be 1 to 4 mm,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122 may be 4 to 6 mm.

여기서, 평균입경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분포계에 의해 측정된 체적 평균 지름을 말한다.He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refers to a volume average diameter measured by a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ter.

일례로, 상기 제1시트(121)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2시트(122)가 페라이트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2시트(122)를 구성하는 페라이트 조각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121)를 구성하는 리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heet 121 is composed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line alloy and the second sheet 122 is composed of a ferrite sheet, the ferrite piec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122 May be provided so as to have a size larger than an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ribbon piec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121.

이는, 페라이트 조각의 크기가 너무 커지게 되면, 일례로 상기 제1시트(121)를 구성하는 리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2배 이상의 크기를 갖게 되면 시트자체의 유연성이 저하되며, 상기 제1시트(121)를 구성하는 리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페라이트 조각의 평균입경이 1.2배 이하의 크기를 갖게 되면 페라이트 조각들 사이의 틈새로 자로가 차단되어 페라이트가 본래 가지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어 성능의 저하로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14c)의 수신감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size of the ferrite pieces becomes too large,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ferrite pieces is twice or more than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ibbon piec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121, If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ferrite pieces is 1.2 times or less than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ibbon pieces constituting the ferrite pieces 121, the magnetic path is blocked by the clearance between the ferrite pieces, so that the function of the ferrite can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This is becaus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antenna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114c is lower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120)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은 Qi 방식에 적용될 수도 있고, PMA 방식의 무선충전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무선전력 충전모듈(100)이 수신모듈로 사용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백커버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t is noted that the shielding unit 120 for a combo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0 including the shielding unit 120 may be applied to a Qi scheme or a PMA wireless scheme.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0 is used as a receiving module,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00 may be attached to a back cover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무선전력 충전모듈 110 : 안테나유닛
112 : 회로기판 114a :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114b : MST용 안테나 114c : 무선충전용 안테나
120,120' : 차폐유닛 121 : 제1시트
121a : 제1부분 121b : 제2부분
121c :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121d : 접착층 122 : 제2시트
123 : 접착층 124 : 관통구
124' : 수용홈 125 : 보호필름
100: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110: antenna unit
112: circuit board 114a: antenna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114b: Antenna for MST 114c: Wireless charging antenna
120, 120 ': shielding unit 121: first sheet
121a: first part 121b: second part
121c: ribbon sheet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alloy
121d: adhesive layer 122: second sheet
123: adhesive layer 124:
124 ': receiving groove 125: protective film

Claims (32)

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시트; 및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1시트의 일부두께 또는 전체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2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시트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시트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A first sheet for improving characteristics of a wireless rechargeable antenna; And
And a second sheet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ccommodating a part of the first sheet or an entire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Wherein the first sheet is formed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lloy which is flak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cro-pieces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sheet is flaked to form a plurality of micro- Shielding unit for a combo antenn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두께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heet includes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일면이 상기 제2시트의 일면과 면접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Shielding uni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되거나 부분적으로 구비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portion is entirely or partially provided along the rim of the firs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되는 수용홈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시트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s a receiving groove recessed from a surface of the second sheet to a predetermined depth or is formed 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econd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은 적어도 한 변이 직선이 아닌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을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minute pieces include minute pieces each of which has a curved shape, at least one side of which is not a straight li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의 전체개수 중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 미세조각의 개수가 50% 이상인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umber of fine pieces of at least one of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micro pieces is curved is 50% or mor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의 전체개수 중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 미세조각의 개수가 70% 이상인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number of fine pieces of at least one of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micro pieces is curved is 70%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1.2 내지 2배인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is 1.2 to 2 time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nute piec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지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minute pieces are formed at an irregular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는 상기 제1시트의 일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recharging antenna is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heet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is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re provided so as to have different permeabilities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heet is laminat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계 페라이트 또는 Ni-Zn계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errite sheet is made of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는 콤보 안테나용 차폐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 pieces are entir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between neighboring micro pieces.
무선충전용 안테나 및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를 포함하는 콤보형으로 구비되는 안테나유닛; 및
상기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유기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무선충전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1시트; 및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1시트의 일부두께 또는 전체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되는 제2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시트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시트는 플레이크 처리되어 다수 개의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페라이트 시트로 이루어지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An antenna unit provided in a combo type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And
And a shield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ntenna unit for inducing a magnetic field,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comprising:
The shielding unit includes:
A first sheet for improving characteristics of a wireless rechargeable antenna; And
And a second sheet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ccommodating a part of the first sheet or an entire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Wherein the first sheet is formed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lloy which is flaked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cro-pieces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sheet is flaked to form a plurality of micro- The wireless power charging module comprising: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두께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heet comprises protrusions protruding a certain thickness outward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일면이 상기 제2시트의 일면과 면접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module.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되거나 부분적으로 구비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econd portion is entirely or partially provided along a rim of the first portion.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되는 수용홈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시트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s a receiving groove which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or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econd shee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은 적어도 한 변이 직선이 아닌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조각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arts comprises a micro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side is curved rather than straight.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의 전체개수 중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 미세조각의 개수가 50% 이상인 무선전력 충전모듈.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number of fine pieces of at least one of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minute pieces is 50% or more.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의 전체개수 중 적어도 한 변이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진 미세조각의 개수가 70% 이상인 무선전력 충전모듈.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number of fine pieces having at least one of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minute pieces in a curved shape is 70% or mor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crostructur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is formed to have a size larger than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crostructur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은 상기 제1시트를 구성하는 미세조각의 평균입경보다 1.2 내지 2배인 무선전력 충전모듈.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crostructures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is 1.2 to 2 time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icrostructures constituting the first shee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ieces are atypical.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용 안테나는 상기 제1시트의 일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는 상기 제2시트의 일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heet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is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와 제2시트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투자율을 갖도록 구비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heet and the second sheet are provided to have different permeabilities 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트는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heet is laminated with a plurality of layers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line alloy.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계 페라이트 또는 Ni-Zn계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errite sheet is made of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arts are total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between neighboring microparts.
KR1020150114579A 2015-02-16 2015-08-13 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KR1024003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3602 2015-02-16
KR1020150023602 2015-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786A true KR20160100786A (en) 2016-08-24
KR102400391B1 KR102400391B1 (en) 2022-05-20

Family

ID=5688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579A KR102400391B1 (en) 2015-02-16 2015-08-13 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39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876A1 (en) * 2017-02-21 2018-08-30 삼성전자 주식회사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08695930A (en) * 2018-05-29 2018-10-23 信维通信(江苏)有限公司 A kind of wireless charging module shielding piece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CN111819761A (en) * 2018-03-14 2020-10-23 阿莫善斯有限公司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1086125A1 (en) * 2019-10-30 2021-05-0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obile means comprising same
KR20210051335A (en) * 2019-10-30 2021-05-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pa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same
WO2023075243A1 (en)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아모센스 Magnetic field shielding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same for electric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306A (en) 2013-04-12 2013-05-03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Attenna apparatus with ntc attenna annd wireless charging coil
KR101399023B1 (en) * 2011-12-21 2014-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Magnetic Shielding Sheet for Wireless Power Charg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eceiving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Charger Using the Same
KR20140065364A (en) * 2012-11-21 2014-05-29 동부씨엔아이 주식회사 A hybrid magnetic sheet for wireless power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 hybrid module comprising the same
JP2014183469A (en) * 2013-03-19 2014-09-29 Dexerials Corp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40320369A1 (en) * 2013-04-24 2014-10-30 Broadcom Corporation Shielding layer for a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23B1 (en) * 2011-12-21 2014-05-27 주식회사 아모센스 Magnetic Shielding Sheet for Wireless Power Charg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eceiving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Charger Using the Same
KR20140065364A (en) * 2012-11-21 2014-05-29 동부씨엔아이 주식회사 A hybrid magnetic sheet for wireless power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 hybrid module comprising the same
JP2014183469A (en) * 2013-03-19 2014-09-29 Dexerials Corp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30045306A (en) 2013-04-12 2013-05-03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Attenna apparatus with ntc attenna annd wireless charging coil
US20140320369A1 (en) * 2013-04-24 2014-10-30 Broadcom Corporation Shielding layer for a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876A1 (en) * 2017-02-21 2018-08-30 삼성전자 주식회사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0868584B2 (en) 2017-02-21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11819761A (en) * 2018-03-14 2020-10-23 阿莫善斯有限公司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08695930A (en) * 2018-05-29 2018-10-23 信维通信(江苏)有限公司 A kind of wireless charging module shielding piece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EP3576111A1 (en) * 2018-05-29 2019-12-04 Sunway communication (Jiangsu) Co. Ltd. Shield sheet for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JP2019208000A (en) * 2018-05-29 2019-12-05 サンウェイ コミュニケーション (ジアンス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hield sheet for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KR20190135905A (en) * 2018-05-29 2019-12-09 산웨이 커뮤니케이션(쟝쑤) 컴퍼니 리미티드 Shield sheet for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WO2021086125A1 (en) * 2019-10-30 2021-05-0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mobile means comprising same
KR20210051335A (en) * 2019-10-30 2021-05-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pa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same
JP2022551279A (en) * 2019-10-30 2022-12-08 エスケイシ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an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the same
WO2023075243A1 (en)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아모센스 Magnetic field shielding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same for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391B1 (en)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8870B2 (en) Combo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KR101865540B1 (en)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portable auxili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629653B1 (en)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JP5985366B2 (en) Composite coi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1795546B1 (en)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087912B2 (en) Magnetic field shield shee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CN108184333B (en) Combined antenna module
KR101656260B1 (en)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TWI464964B (en) Magnetic sheet, antenna module, electronic apparatus, and magnetic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611065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100786A (en) Shielding unit for combo antenna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KR101577425B1 (en)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Shielding unit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US20160149305A1 (en) Antenna devic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8100975A1 (en) Combined coil module and magnetic sheet
US20190214180A1 (en) Magnetic shee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comprising same
EP2911243B1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device
JP2014082687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il module
KR101627844B1 (en) Attractor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of a PMA wireless charging typ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mobile phone
KR20160121279A (en) multi antenna unit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KR102339683B1 (en)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KR20160096498A (en)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