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785A - Lbt 프로토콜 선택 - Google Patents

Lbt 프로토콜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785A
KR20160127785A KR1020167026655A KR20167026655A KR20160127785A KR 20160127785 A KR20160127785 A KR 20160127785A KR 1020167026655 A KR1020167026655 A KR 1020167026655A KR 20167026655 A KR20167026655 A KR 20167026655A KR 20160127785 A KR20160127785 A KR 20160127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lbt protocol
enb
protocol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환-준 권
정호 전
종-캐 푸
강 시옹
샤피 바샤르
Original Assignee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2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 환경에서 사용될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판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기술하는데, LBT 프로토콜은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다른 실시예가 기술되고/되거나 청구될 수 있다.

Description

LBT 프로토콜 선택{LISTEN BEFORE TALK PROTOCOL SELEC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본 명세서와 부합되지 않는 부문이 있다면 이를 제외하고 모든 목적에 대해 전체가 참조문헌으로써 본 명세서에 인용되는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1/985,389호("ADAPTIVE LBT BASED ON SENSING ENVIRONMENT LEARNING"라는 명칭으로 2014년 4월 28일 출원됨)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분야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련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인가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을 사용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본 문서 내에 제공되는 배경 설명은 개시의 맥락을 일반적으로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문서 내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부문에 기술된 소재는 이 출원 내의 청구항에 대한 선행 기술이 아니며, 이 부문 내의 포함에 의해, 선행 기술 또는 선행 기술의 시사라고 자인되는 것이 아니다.
종래의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은 대응하는 LTE 서비스 제공자(또는 운영자)에 배타적으로 할당된 스펙트럼을 활용하는데, 인가 스펙트럼 내의 LTE(LTE in Licensed Spectrum), 또는 단순히 LTE로 지칭된다. 무선 광대역 데이터에 대한 수요의 급증으로 인해, LTE 시스템의 데이터 쓰루풋(data throughput)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고려되고 있다. 고려 중인 하나의 접근법은 인가 스펙트럼뿐만 아니라 비인가 스펙트럼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에 LTE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비인가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 LTE 시스템은 흔히 비인가 스펙트럼 내의 LTE(LTE in Unlicensed Spectrum) 또는 LTE-U로 지칭된다. 비인가 스펙트럼은 보통 IEEE 802.11x(와이파이(WiFi))와 같은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이나, 상이한 운영자들에 의해 배치된 동일한 RAT와 공유된다. 따라서, LTE-U의 설계 쟁점 중 하나는 다른 RAT 및/또는 운영자와 어떻게 효율적으로 스펙트럼(무선 통신 매체(wireless communications medium)로도 지칭됨)을 공유하느냐이다.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슷한 참조 번호는 비슷한 구조적 요소를 가리킨다.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의 그림 내에서 한정으로서가 아니고 예로서 보여진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 및 UE의 컴포넌트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라, 대화 전 청취(Listen Before Talk: LBT)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감지 결과들의 상관(correlation)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LBT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문서 내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를 실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컴퓨팅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양상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갖는 제조 물품(article of manufacture)을 보여준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에 대한 언급이 행해지는데, 첨부된 도면은 본 문서의 일부를 형성하되 비슷한 숫자가 도처에서 비슷한 부분을 가리키고, 첨부된 도면 내에는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가 예시로서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가 활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된 대상물(claimed subject matter)을 이해하는 데에 가장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차례차례 여러 별도의 행동 또는 동작들로서 다양한 동작이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순서는 이들 동작이 반드시 순서 의존적(order dependent)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이들 동작은 제시의 순서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기술된 동작은 기술된 실시예와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추가적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있거나 기술된 동작은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으로, 문구 "A 및/또는 B"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목적으로, 문구 "A, B 및/또는 C"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의미한다. 설명은 문구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가지는"(having) 및 유사한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해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동의어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circuitry)는, 애플리케이션 특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자 회로(electronic circuit), 프로세서(공유(shared), 전용(dedicated) 또는 그룹(group)),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메모리(공유, 전용 또는 그룹), 조합 로직 회로(combinational logic circuit), 그리고/또는 기술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나타내거나, 이의 일부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LBT 프로토콜 판정 교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110),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cellular mobile network)(120) 및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네트워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D2D 네트워크(130)는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를 사용하여 또한 통신할 수 있는 UE(132, 134 및 136)를 포함할 수 있다.
백본 네트워크(110)는 다양한 서브네트워크를 상호연결하고 이 서브네트워크들 간의 정보의 교환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computer network infrastructure)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백본 네트워크(110)는 인터넷 백본(1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인터넷 상의 코어 라우터(core router)들 및 대규모의 전략적으로 상호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들 간의 주요 데이터 경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백본 네트워크(110)와의 데이터 통신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고속 패킷 액세스(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진화된 HSPA(Evolved HSPA: E-HSPA), 또는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SM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Radio Access Network: GERAN),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또는 진화된 UTRAN(Evolved UTRAN: E-UTRAN)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네트워크 기술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기술은 기지국(base station)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간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과 프로토콜에 의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표준 및 프로토콜은, 예컨대, 3GPP LTE, 보통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로 산업 그룹에 알려진 전기 전자 엔지니어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 표준, 그리고 흔히 와이파이(Wi-Fi)로 산업 그룹에 알려진 IEEE 802.11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서, LTE에 따르면, 기지국은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또한 흔히 eNodeB 또는 eNB로 표기됨)로 지칭될 수 있다. 그것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알려진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는 일반적으로 3GPP 시스템 및 표준을 향해 정향된 용어와 예가 제시되나, 본 문서 내에 개시된 교시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 또는 통신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eNB(124)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및 레거시(legacy) 노드 B(Node B: NB)(126)와, 이동성 관리 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122)와,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128)를 포함할 수 있다. eNB(124)는 UMTS 네트워크와 같은 3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거시 NB(126)보다 더 많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RNC 기능이 별개의 RNC 개체 내에 있기보다는 eNB(12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LTE에서, eNB(124)는 다른 eNB로, 그 eNB들로 하여금 정보를 송출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하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개체(가령, eNB(124) 및 MME/SGW(122)) 간의 인터페이스는 IP에 기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MME/SGW(122)는 SI 인터페이스 상에서 eNB(124)와 통신할 수 있다. SI 인터페이스는 3GPP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 36.410 V11.1.0 (2013-09)에 정의된 바와 같은 SI 인터페이스와 유사할 수 있고 MME/SGW(122) 및 eNB(124) 간의 다대다 관계(many-to-many relation)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상이한 운영자들이 네트워크 공유 설정(network sharing setting)에서 동일한 eNB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eNB(124) 및 UE 간의 통신은 MME/SGW(122)를 통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MME/SGW(122)는 시그널링(signaling) 교환, 가령 UE(132)와 같은 UE의 인증을 관리하거나,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와의 UE(132)의 연결된 모드(connected mode)를 수립하기 위해 통신 링크의 수립과 연관된 다른 행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MME/SGW(122)는, 가령 UE(132)가 유휴 모드(idle mode) 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 장비를 트래킹하기(tracking) 및 페이징하기(paging)를 책임질 수 있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하여, 통신 시스템(100)에서 3GPP를 준수하도록 본 문서 내의 다양한 설명이 제공되나, 본 개시의 대상물은 이 점에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문서 내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네트워크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가 UTRAN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eNB(124)는 NB를 통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논의되는) UE(132, 134 또는 13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를 나타낼 수 있다.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가 GERAN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eNB(124)는 기지송신국(Base Transmission Station: BTS)을 통하여 UE(132, 134 또는 13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132)는 기지국 중 하나, 가령 eNB(124)와의 무선 링크(radio link)를 통하여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를 액세스할 수 있다. 다운링크(downlink: DL) 송신은 eNB(124)로부터 UE(132)로의 통신일 수 있다. 업링크(uplink: UL) 송신은 UE(132)로부터 eNB(124)로의 통신일 수 있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도 1에는 단지 제한된 개수의 UE 및 eNB가 예시된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100)은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예를 실시하면서 임의의 개수의 UE, eNB, 또는 다른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몇몇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다른 서버, 예를 들어 머신 유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MTC 서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134)는 다른 머신(machine)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간 상호작용(human interaction)을 별로 또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서 데이터가 UE(134)로부터 다른 머신으로 송신되거나 UE(134)에 의해 다른 머신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UE(134)는 무선 송수신기(wireless transceiver)(가령,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논의되는 송수신기 회로(224))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coupled) 센서일 수 있고, 개입(intervention)이 별로 또는 전혀 없이, 다른 머신(가령, 다른 센서)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134)의 무선 송수신기는 무선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136)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가입자 지국(subscriber station), 또는 다른 디바이스(적절한 프로토콜(가령, 다중입력/다중출력(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통신 방안)과 부합하여, 가령 eNB(124)를 통하여,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임)일 수 있다.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UE(132, 134 및/또는 136)는 D2D 기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D2D 기능은 사이드링크 직접 통신(sidelink direct communication: SL)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132), UE(134) 및 UE(136)는 D2D 네트워크(130)를 형성할 수 있다. D2D 네트워크(130)에서, 근접한 두 UE는 eNB(124) 또는 임의의 다른 기지국과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의 도움 없이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 간의 직접 통신은 보통 D2D 직접 통신 또는 피어 투 피어(Peer-to-Peer: P2P) 통신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D2D 통신은 UE에 의해 직접적으로 수립될 수 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eNB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D2D 네트워크(130) 내에서의 D2D 동작은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에 대해 투명하지 않을(non-transparent) 수 있고 셀룰러 스펙트럼(예컨대, 인밴드(inband)) 또는 비인가 스펙트럼(예컨대, 아웃밴드(outband)) 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D2D 네트워크(130) 내에서의 D2D 동작은 상이한 통신 기술로 실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단거리(short-range)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D2D 동작은 인가 LTE 스펙트럼 또는 비인가 LTE 스펙트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LBT 프로토콜 판정 교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 내의 eNB(210) 및 UE(220)의 컴포넌트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eNB(210)는 도 1의 eNB(124)와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상호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eNB(21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18)와 통신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12) 내의 송수신기 회로(transceiver circuitry)(214), 무선 제어 회로(radio control circuitry)(215) 및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ry)(2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220)는 도 1의 UE(132, 134 또는 136)와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상호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E(22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28)와 통신 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22) 내의 송수신기 회로(224), 무선 제어 회로(225) 및 처리 회로(2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NB(210)의 처리 회로(216) 또는 UE(220)의 처리 회로(226)는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 프로토콜(current LBT protocol)을 판정할 수 있는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Tx 기반 LBT 프로토콜(Tx-based LBT protocol) 또는 Rx 보조 LBT 프로토콜(Rx-aided LBT protocol)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eNB(210)의 무선 제어 회로(215) 또는 UE(220)의 무선 제어 회로(225)는 판정된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신호를 발신하도록, 각각, 송수신기 회로(214) 또는 송수신기 회로(224)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제어 회로(215)는 송신(가령, 인코딩) 및 수신(가령, 디코딩 방향) 양자 모두에서 기능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214)는 eNB(210)로의 그리고 eNB(210)로부터의 신호의 OTA(Over-The-Air)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안테나(218)와 커플링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214)의 동작은 필터링(filtering), 증폭(amplifying), 저장, 스위칭(switching) 등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회로(214)는 안테나(218)로의 신호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동작에 적절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회로(214)는 D2D 동작 능력을 갖는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214)는 eNB(210)의 다른 컴포넌트로의 송신을 위해 그리고/또는 처리 회로(216)에 의한 내부 처리를 위해 안테나(218)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216)는 서빙 셀(serving cell)의 UE, 가령 UE(220)로의 구성 및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송수신기 회로(214)를 통하여 UE에 구성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성 및 제어 정보는, 예컨대, 다운링크 채널 정보(downlink channel information),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 정보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성 및 제어 정보는 UE(220)의 D2D 디스커버리(discovery), D2D 통신 또는 D2D 릴레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2)과 유사하게, 통신 모듈(222)은 UE(220) 및 eNB(210) 간의 또는 UE(220) 및 다른 UE 간의 신호의 OTA(Over-The-Air)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안테나(228)와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송수신기 회로(224)는 안테나(228)로의 신호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동작에 적합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회로(224)의 동작은 필터링, 증폭, 저장, 스위칭 등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수신기 회로(224)는 안테나(218)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후 신호를 UE(220)의 다른 컴포넌트로 그리고/또는 처리 회로(226)에 의한 내부 처리를 위해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220)는 여러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의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를 동시에 활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228)를 포함할 수 있다. UE(220)는 (가령, 다운링크 통신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및/또는 (가령, 업링크 통신에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220)는 LTE ProSe 또는 LTE Direct를 통하여 다른 UE와 통신하기 위해 송수신기 회로(224)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22)은 그것이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신원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도시되지 않음)을 위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SIM은 통신 모듈(222)과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될(removably coupled)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SIM은 UE와 영구적으로 커플링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SIM은 풀사이즈(full-size) SIM, 미니(mini) SIM, 마이크로(micro) SIM, 나노(nano) SIM, 임베딩된(embedded) SIM 및/또는 가상(virtual) SIM을 포함할 수 있다.
SIM은 가입자 신원 정보, 예를 들어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신원(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및 관련된 키(UE(220)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됨)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각각의 SIM은 상이한 가입자 신원 정보와 연관될 수 있으며 상이한 통신사와 연관될 수 있거나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IMSI 및 관련된 정보는 D2D 디스커버리 및 D2D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224) 및/또는 처리 회로(226)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예컨대, 도 5에 관해서 아래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 또는 기저대역(baseband) 회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220)는 단일 센서 디바이스(single sensor device), 셀룰러 전화(cellular tele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notebook), 울트라북(ultrabook), 넷북(netbook), 스마트폰(smartphone), 울트라 모바일 PC(Ultra Mobile PC: UMPC),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handheld mobile device),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고객 구내 장비(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tablet computing device), 또는 다른 가전기기(consumer electronics),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유사한 것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는 IEEE 802.16e (2005 또는 802.16m (2009) 또는 IEEE 802.16 표준의 어떤 다른 개정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이동국(mobile station), 또는 3GPP LTE 릴리즈(Release) 8 (2008), 릴리즈 9 (2009), 릴리즈 10 (2011), 릴리즈 12 (개발 중) 또는 3GPP LTE 표준의 어떤 다른 개정 또는 릴리즈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medium)가 효율적으로 공유되도록 LTE-U를 구현하기 위한 가능한 접근법은 LBT 프로토콜(또는 충돌 회피가 있는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을 채택하는 것이다. LBT 방안으로써, LTE 송신기(가령, eNB(210))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매체를 감지한다. 만약 매체가 유휴(idle)라고 감지되는 경우, 송신기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송신기는 사전정의된 기간 동안 기다리고 채널 감지 절차를 반복한다. 이 유형의 LBT 방안은 송신기 기반 LBT(transmitter-based LBT)(Tx 기반 LBT(Tx-based LBT))로 지칭될 수 있다.
Tx 기반 LBT만 사용하는 것에 관련된 문제는 송신기가 때때로 다른 송신기에 의한 진행 중인 송신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으나, 타겟(target) 수신기(가령, UE(220))는 그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일 수 있다. 이 문제는 은닉 노드(hidden node) 문제로 지칭될 수 있다. 은닉 노드 문제는 송신요청/송신승인(Request-To-Send/Clear-To-Send: RTS/CTS)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RTS/CTS 프로토콜의 간략한 개요는 (i) 송신기는 그것이 매체를 유휴라고 검출하는 경우 RTS 신호를 발신함, (ii) 일단 타겟 수신기가 RTS 신호를 검출하면, 그것은 만약 매체가 유휴라고 감지되는 경우 CTS 신호를 발신함, (iii) 만약 송신기가 CTS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 그것은 데이터를 송신함이다. 송신기가 매체를 감지하는 것을 수신기가 돕는 LBT 방안, 예를 들어 RTS/CTS 프로토콜은, 수신기 보조 LBT(receiver-aided LBT)(Rx 보조 LBT(Rx-aided LBT))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Tx 기반 LBT 및/또는 Rx 보조 LBT의 변형이 사용될 수 있다.
RTS/CTS와 같은 Rx 보조 LBT가 몇몇 사례에서 은닉 노드 문제를 완화할 수 있으나, 그것의 추가적인 오버헤드(overhead)(가령, 송신기가 매체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고 추가적인 핸드쉐이킹(handshaking)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로 인해 그것은 때때로 성능을 저하시킨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응적 LBT 방안,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에 관해서 기술되는 것이, 송신 디바이스(transmitting device)로 하여금 Tx 기반 또는 Rx 보조 LBT 방안이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적응적 LBT 방안은 상이한 배치 시나리오에 따라 적절한 LBT 메커니즘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쓰루풋(user throughput), 시스템 쓰루풋(system throughput) 및/또는 지연 성능(delay performance)과 같은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LTE 비인가 스펙트럼 환경에서 LBT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선택된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통신하는 방법(300)의 흐름도이다. 블록(302)에서, 방법(300)은 감지 환경(sensing environment)을 학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감지 환경은 eNB(210)와 같은 송신 디바이스 및 UE(220)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 간에 감지 결과를 공유함(가령, 송수신기들 간의 감지 결과의 피드백 또는 교환)으로써 학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신기(가령, LTE-U eNB) 및 수신기(가령, LTE-U UE) 양자 모두는 시간 간격의 세트에서(가령, 1초 동안 10 밀리초마다) 무선 전파 통신 매체(wireless radio communication medium)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신기 및 수신기는 시간 간격의 세트에서 통신 매체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시간 간격은 셀 특정적(cell-specific)(가령, 시스템 정보에 의해 구성됨), UE 특정적(UE-specific)(가령,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UE의 그룹에 특정적일 수 있다. 간격의 세트는 측정 간격 및 피드백 또는 교환의 주기(가령, 매 Y번째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매 X번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감지 간격은 임의의 실제 LTE-U 송신에 독립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신기 및 수신기는 감지 결과를 공유할 수 있거나, 상대 측에 감지 결과 또는 통계를 보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E, 예를 들어 UE(220)는, (또는 UE 및 eNB 양자 모두는) 사전결정된 과거의 횟수(가령, Z)의 순간, 예를 들어 Z = 100개의 순간에 대한 감지 결과를 보고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감지 결과는 사용 중(busy) 아니면 유휴(idle)(busy/idle)일 수 있다. busy/idle 감지 결과에 대해, 보고는 길이가 Z 비트인 비트맵(bitmap)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감지 결과는 idle/LTE-U/WiFi/Both일 수 있는데, 여기서 'LTE-U'는 매체가 다른 LTE-U 송신(들)으로 인해 사용 중임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WiFi'는 매체가 다른 WiFi 송신(들)으로 인해 사용 중임을 나타낸다. 'Both'는 매체가 LTE-U 및 WiFi의 송신들로 인해 사용 중임을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idle/busy 상태 정보 외에 간섭 소스(interfering source)의 정보는 eNB에서의 스케줄러(scheduler)가 더 정교한 스케줄링 정책(scheduling policy)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만약 간섭 소스가 WiFi가 아니라 LTE-U인 경우, 매체가 사용 중인 경우에도 스케줄러는 데이터 송신(가령,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 CHannel: PDSCH))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idle/LTE-U/WiFi/Both 감지 결과에 대해, 보고는 2 x Z 비트의 크기를 갖는 비트맵과 같은 보고 메시지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감지 보고는 비주기적인 방식으로 eNB에 의해 트리거될(triggered)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감지 보고는 주기적일 수 있다. 감지 보고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내에 송신될 수 있다. 감지 보고를 위한 주기성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의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layer signaling)에 의해 제공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신기(가령, eNB(210))는 그 자체의 저장된 감지 결과를 UE 감지 보고와 비교하고 대응하는 UE의 현재의 감지 환경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판단 블록(304)에서, Tx 기반 LBT가 용인가능(acceptable)한지 판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만약 eNB 및 UE 간의 감지 결과가 대단히 상관된(correlated) 경우, eNB는 eNB 및 UE 간의 감지 환경이 꽤 유사하다고 판정하고 Tx 기반 LBT가 그것이 충분한 정확성을 제공할 것이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만약 eNB 및 UE가 대단히 상관되지 않은 경우, eNB는 특정한 수신기(감지 보고와 연관된 특정한 UE)의 감지 환경이 eNB와는 상이하고, 따라서 Rx 보조 LBT가 사용하기에 바람직할 것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송신기는 사용될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의 감지 결과들 간의 상관 레벨(correlation level)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블록(306)에서 Tx 기반 LBT를 또는 블록(308)에서 Rx 보조 LBT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관 레벨은 Tx 기반 LBT가 용인가능함을 나타내는 사전정의된 상관 레벨과 비교될 수 있다. 상관 레벨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같은 상관 계수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만약 상관 계수가 사전정의된 임계 값(가령, 0.9) 이상인 경우, Tx 기반 LBT가 용인가능함이 판정될 수 있다. 다른 임계 값, 상관 레벨의 다른 지시자(indicator), 또는 다른 비교 방법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NB(210)의 처리 회로(216) 또는 UE(220)의 처리 회로(226)는 블록(302), 판단 블록(304), 블록(306) 또는 블록(308) 중 하나 이상에서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는 그것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비인가 채널 환경을 볼 수 있어, Rx 보조 LBT가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모든 UE에 적용되는 결정을 내리는 것을 어렵게 한다. 실시예에서, eNB와 같은 송신기는 UE를 2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2개의 그룹은 상관된 그룹(correlated group)(또는 정규 그룹(regular group)) 및 상관되지 않은 그룹(uncorrelated group)(또는 은닉 노드 그룹(hidden node group))일 수 있다. UE의 상관된 그룹은 eNB와 유사하게 비인가 채널 환경을 보는 것들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들 UE 및 eNB 간의 감지 결과는 대단히 상관될 수 있다. 상관되지 않은 그룹은, 이들 UE 및 eNB 간의 감지 결과에 의해 대단히 상관된 것이 아니라고 판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eNB와 상이하게 비인가 채널 환경을 보는 UE들의 그룹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그 분류는 피어슨 상관 계수와 같은 상관 계수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는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할 수 있는데, eNB에 의한 감지 결과는 제1 변수에 대응하고, UE에 의한 감지 결과는 제2 변수에 대응하며, 상관 계수는 두 변수의 공분산(covariance)을 그것들의 표준 편차들의 곱으로 나눈 것이다. 만약 상관 계수가 사전결정된 임계(가령, 0.9) 이상인 경우, 대응하는 UE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관된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임계 값이 사용될 수 있고, 상관 레벨의 다른 지시자 또는 다른 비교 방법이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미 분류된 UE에 대해, eNB는 단지 Tx 기반 LBT에 기반하여 상관된 그룹 내의 UE로 즉시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상관되지 않은 그룹 내의 UE에 대해, eNB는 추가적인 Rx 보조 LBT를 요청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UE 분류는 지정된 기간에 걸친 UE로부터의 감지 측정 보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UE 분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업데이트 간격은 개별 UE들 및 eNB의 감지 결과들 간의 상관의 변화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 분류는 연관된 UE로부터의 감지 결과 피드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eNB에서 중앙집중식으로(centrally) 수행될 수 있다. UE 분류는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eNB로부터 그것의 감지 결과에 대해 브로드캐스트된(broadcast)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각각의 UE에서 분산식으로(distributively) 및/또는 독립적으로(independently) 수행될 수 있다. eNB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할 때, 각각의 UE는 eNB 감지 결과를 그 자체의 감지 결과와 비교하고 그 자신을 상관된 그룹 또는 상관되지 않은 그룹의 멤버로 선언한다. 분산 방식으로 판정이 행해지는 실시예에서, UE로부터 eNB로의 원 감지 데이터 피드백(raw sensing data feedback)은 송신되지 않을 수 있으나, UE가 그 자신을 상관된 그룹 또는 상관되지 않은 그룹 내에 있다고 선언하였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가 eNB에 도로 발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eNB와 같은 송신기는 UE들을 그것들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eNB는 UE의 포지션(position)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여러 UE들로부터 바람직한 LBT 방안(Tx 기반 또는 Rx 보조)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고 축적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eNB는 감지 환경 맵(sensing environment map)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감지 환경 맵은 정규 영역(그 영역 내의 모든 UE는 상관된 그룹 내에 분류될 수 있음), 은닉 노드 영역(그 영역 내의 모든 UE는 상관되지 않은 그룹 내에 분류될 수 있음) 및 불확정(indeterminate) 영역(상관된 및 상관되지 않은 UE들의 혼합이 있을 수 있거나 어떤 UE도 분류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UE가 eNB와 연관된 네트워크에 합류하는(join) 경우, eNB는 새로 합류한 UE를 알려진 UE에 대한 그것의 근접성(proximity)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분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eNB는 새로 합류한 UE를, 만약 그것이 정규 그룹으로 분류된 UE에 근접되어 있거나 감지 환경 맵의 정규 영역 내에 있는 경우, 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고, eNB는 새로 합류한 UE를, 만약 그것이 대단히 상관되지 않은 감지 데이터를 갖는 UE에 근접되어 있거나 감지 환경 맵의 은닉 노드 영역 내에 있는 경우, 상관되지 않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만약 새로 합류한 UE가 상관된 UE 및 상관되지 않은 UE 양자 모두에 비교적 똑같이 근접되어 있거나 만약 새로 합류한 UE가 감지 환경 맵의 불확정 영역 내에 있는 경우, eNB는 새로운 분류를 수행하기 위해 새로 합류한 UE에게서 감지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새로 합류한 UE가 카테고리들 중 오직 하나로부터의 UE에 근접되어 있거나 감지 환경 맵의 정규 또는 은닉 노드 영역 내에 위치된 실시예에서, eNB는 새로 합류한 UE로부터의 감지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블록(302)에서 감지 환경을 학습한 후, 방법(300)은 Tx 기반 LBT 프로토콜이 용인가능한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판단 블록(304)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 판단 블록(304)에서, Tx 기반 LBT가 용인가능함이 판정되는 경우, 방법은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Tx 기반 LBT 프로토콜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블록(306)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 판단 블록(304)에서, Tx 기반 LBT가 용인가능하지 않음이 판정되는 경우, 방법(300)은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Rx 보조 LBT 프로토콜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블록(308)으로 진행할 수 있다.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판정된 후, 방법(300)은 판정된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전파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판단 블록(3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무선 전파 통신 매체가 유휴인 경우, 방법(300)은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블록(312)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만약 무선 전파 통신 매체가 유휴가 아닌 경우, 방법(300)은 사전정의된 기간, 예를 들어 100 밀리초 동안 기다리고 나서, 무선 전파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를 다시 판정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은 블록(310)에서의 루프(loop)). 몇몇 실시예에서, 만약 무선 전파 통신 매체가 유휴가 아닌 경우, 방법은 블록(302)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블록(312)에서 데이터가 발신된 후, 방법(300)은 블록(302)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음 번에 데이터가 발신될 때 다시 감지 환경을 학습하지 않고서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사용될 것이도록 송신 디바이스는 판정된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사전정의된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만약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판정된 이래로 사전정의된 기간이 지나간 경우, 블록(302)으로 되돌아감으로써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블록(302), 판단 블록(304), 블록(306), 블록(308), 판단 블록(310) 또는 블록(312) 중 하나 이상을 위한 반복 주기가 셀 특정적 또는 UE 특정적 방식으로 바뀔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복 주기는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NB(210)의 무선 제어 회로(215) 또는 UE(220)의 무선 제어 회로(225)는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송수신기 회로를 블록(312)에서 신호를 발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라, 감지 결과의 상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LBT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400)의 흐름도이다. 블록(402)에서, 방법(400)은 무선 통신 매체(wireless communication medium)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매체는 도 1의 eNB(124) 또는 도 2의 eNB(210)와 같은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매체는 사전결정된 개수의 시간 간격에서 감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전결정된 개수의 시간 간격 내의 각 시간에서 eNB(210)와 같은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통신 매체의 전력 레벨(power level)이 감지될 수 있다. 블록(404)에서, 방법(400)은 제1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감지 결과는 사전결정된 개수의 시간 간격 내의 각 시간에서 통신 매체가 유휴 또는 사용 중이라고 감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비트맵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신 매체는 만약 감지된 전력 레벨이 사전정의된 임계 레벨 미만인 경우 유휴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감지 결과는 통신 매체가 유휴라고, LTE-U 송신으로 인해 사용 중이라고, WiFi 송신으로 인해 사용 중이라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이라고 감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비트맵일 수 있다. 블록(406)에서, 방법(400)은 제2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감지 결과는 UE(220)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eNB(210)와 같은 송신 디바이스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제2 감지 결과는 통신 매체가 사전결정된 개수의 시간 간격 내의 각각의 시간에서 UE(220)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바와 같이 idle/busy 또는 idle/LTE-U/WiFi/Both로 감지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비트맵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감지 결과 및 제2 감지 결과를 생성하는 데에서 사용된 시간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블록(402), 블록(404) 및 블록(406)은 도 3의 블록(302)에서 감지 환경을 학습하는 것에 대응한다.
블록(408)에서, 방법(400)은 제1 감지 결과 및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을 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관은 피어슨 상관 계수와 같은 상관 계수를 계산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다. 상관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른 방식으로 판정될 수 있다. 판단 블록(410)에서, 방법(400)은 상관이 사전정의된 임계를 초과하는지 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블록(408) 및 판단 블록(410)은 도 3의 판단 블록(304)에서 Tx 기반 LBT가 용인가능한지 판정하는 것에 대응한다.
만약, 판단 블록(410)에서, 상관이 사전정의된 임계를 초과함이 판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Tx 기반 LBT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블록(412)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만약, 판단 블록(410)에서, 상관이 사전정의된 임계를 초과하지 않음이 판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Rx 보조 LBT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블록(414)으로 진행할 수 있다. 사용될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블록(412) 또는 블록(414)에서 선택된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판정된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데이터가 발신될 수 있는데 도 3의 블록(312)에 관해서 논의된 바와 같다. 판단 블록(416)에서, 방법(400)은 다시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판정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판단 블록(416)에서,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다시 판정되지 않아야 함이 판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판단 블록(416)에서 루프 내에서 기다릴 수 있다. 만약, 판단 블록(416)에서,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다시 판정되어야 함이 판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블록(402)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판단 블록(416)에서 사전결정된 기간 동안 기다린 후에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판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eNB(210)의 처리 회로(216) 또는 UE(220)의 처리 회로(226)는 방법(400)의 블록 및 판단 블록에 관해서 기술된 프로세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방법(300) 및 도 4의 방법(400)에 관해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eNB일 수 있고 수신기는 UE일 수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들의 임의의 쌍이 송신기 및 수신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신기 또는 수신기는 LTE UE(가령, UE(132, 134, 136 또는 220)), eNB(가령, eNB(124 또는 210)), WiFi 스테이션(WiFi station), WiFi 액세스 포인트(WiFi access point) 등등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3의 방법(300) 또는 도 4의 방법(400)은 두 개의 (또는 두 개보다 많은) UE(가령, UE(132) 및 UE(134))가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하되 하나의 UE는 송신기가 되고 다른 것(들)은 수신기가 되는 비인가 대역(unlicensed band) 내의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사용하여 UE들 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RAT와의 매체의 더욱 효율적인 공유를 허용하기 위해 UE들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전에 LBT가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eNB는 어느 LBT 방안(Tx 기반 LBT 또는 Tx 보조 LBT)을 적용할 것인지 D2D UE가 판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실시예에서, eNB는 두 개의 (또는 두 개보다 많은) UE의 위치 및 그 특정한 위치에 어느 LBT 방안이 적절한지에 관련된 정보를 알 수 있고, 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적절한 LBT 방안을 D2D UE에 통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Tx 기반 LBT의 디폴트 모드(default mode)가 수립될 수 있고, 만약 필요하다면, 도 3의 방법(300) 또는 도 4의 방법(40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판정되는 바와 같이, Rx 보조 LBT가 가능화될(enabled) 수 있거나 향상된 모드(enhanced mode)에서 Rx 보조 LBT가 Tx 기반 LBT를 대체할 수 있다.
UE(220) 또는 eNB(210)는, 도 2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원하는 대로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스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실시예를 위해,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커플링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504), 기저대역 회로(508), 애플리케이션 회로(512), 메모리(memory)/스토리지(storage)(516), 디스플레이(520), 카메라(524), 센서(528) 및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532)를 예시한다.
애플리케이션 회로(512)는, 하나 이상의 단일 코어(single-core) 또는 다중 코어(multi-core) 프로세서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는 일반 목적 프로세서 및 전용 프로세서(가령,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스토리지(516)와 커플링되고 시스템(500)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운영 체제를 가능화하기 위해 메모리/스토리지(516) 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508)는, 하나 이상의 단일 코어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는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508)는 RF 회로(504)를 통한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무선 제어 기능을 다룰 수 있다. 무선 제어 기능은 신호 변조(signal modulation), 인코딩(encoding), 디코딩(decoding), 무선 주파수 이동(radio frequency shifting) 등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술과 호환가능한 통신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는 E-UTRAN 및/또는 다른 WMAN, WLAN, 또는 WPAN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508)가 하나보다 많은 무선 프로토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는 다중 모드 기저대역 회로(multi-mode baseband circuitry)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는 기저대역 주파수 내에 있는 것으로 엄격히 간주되지 않는 신호로써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는 기저대역 주파수 및 무선 주파수 사이에 있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갖는 신호로써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2의 처리 회로(216 또는 226)는 애플리케이션 회로(512) 및/또는 기저대역 회로(508) 내에 실체화될(embodied)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2의 무선 제어 회로(215 또는 225)는 기저대역 회로(508) 내에 실체화될 수 있다.
RF 회로(504)는 비고체(non-solid) 매체를 통한 변조된 전자기 방사(modulated electromagnetic radiation)를 사용한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RF 회로(504)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 필터, 증폭기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RF 회로(504)는 무선 주파수 내에 있는 것으로 엄격히 간주되지 않는 신호로써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RF 회로(504)는 기저대역 주파수 및 무선 주파수 사이에 있는 중간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써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2의 송수신기 회로(214 또는 224)는 RF 회로(504) 내에 실체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2의 무선 제어 회로(215 또는 225)는 RF 회로(504) 내에 실체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 애플리케이션 회로(512) 및/또는 메모리/스토리지(516)의 구성 컴포넌트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a Chip: SOC) 상에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스토리지(516)는, 예컨대 시스템(500)을 위해,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로딩하고 저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를 위한 메모리/스토리지(516)는 적합한 휘발성 메모리(가령,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가령,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I/O 인터페이스(532)는 시스템(500)과의 사용자 상호작용(user interaction)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시스템(500)과의 주변 컴포넌트 상호작용(peripheral component interaction)을 가능하게 하는 주변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리적 키보드 또는 키패드, 터치패드, 스피커, 마이크 등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오디오 잭 및 전력 공급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528)는 시스템(500)에 관련된 환경적 조건 및/또는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가속도계(acceleromete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주변 광 센서(ambient light sensor) 및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지셔닝 유닛은 또한 포지셔닝 네트워크(positioning network)의 컴포넌트, 가령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과 통신하기 위해 기저대역 회로(508) 및/또는 RF 회로(504)의 일부이거나, 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20)는 디스플레이, 가령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touch screen display)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524)는 변화하는 분산(dispersion) 및 굴절률로써 이루어진 많은 몰딩된 플라스틱 비구면(aspheric) 렌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524)는 입체 사진(stereo photography)을 위한 3차원 이미지를 포착하는 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시스템(500)은, 랩톱 컴퓨팅 디바이스(laptop computing device),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tablet computing device), 넷북(netbook), 울트라북(ultrabook), 스마트폰(smartphone) 등등과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시스템(500)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 그리고/또는 상이한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양상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갖는 제조 물품(610)을 보여준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제조 물품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물품(610)은 본 문서 내에 기술된 프로세스 중 임의의 것의 실시예 또는 실시예의 양상을 실시하도록 명령어(630)가 구성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620)는, 플래시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광학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업계에서 알려진 광범위한 지속적 저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2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20)는 명령어(630)로써 인코딩된 신호와 같이 일시적(transitory)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령어(630)는 장치로 하여금, 장치에 의한 그것의 실행에 응답하여, 본 문서 내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저장 매체(620)는, 장치(가령 도 2와 관련하여 eNB(210))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가령, 도 3의 방법(300) 또는 도 4의 방법(400) 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감지 환경을 학습하는 것 및 LBT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의 몇몇 양상을 실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단락은 다양한 실시예의 예를 기술한다.
예 1은,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spectrum: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ry)(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transmitter-based LBT protocol)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receiver-aided LBT protocol)임)와, 위 처리 회로와 커플링된 무선 제어 회로(radio control circuitry)(위 무선 제어 회로는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wireless communication device)로 위 신호를 발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transceiver circuitry)를 제어함)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는 예 1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제1 감지 결과 및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고, 위 제1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1 세트에서 위 장치에 의해 감지된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unlicensed radio communication medium)가 유휴(idle)인지의 표시(indication)를 포함하며, 위 제2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2 세트에서 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한다.
예 3은 예 2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시간 간격의 위 제1 세트 및 시간 간격의 위 제2 세트는 동일하다.
예 4는 예 2 내지 예 3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correlation level)을 판정하고, 위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5는 예 2 내지 예 4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제1 감지 결과는 위 장치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이거나 LTE-U 송신, 와이파이(WiFi) 송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busy)인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위 제2 감지 결과는 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이거나 LTE-U 송신, WiFi 송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인지의 표시를 포함한다.
예 6은 예 2 내지 예 5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고, 위 처리 회로는 제3 감지 결과 및 제4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2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며, 위 제3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3 세트에서 위 장치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위 제4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4 세트에서 위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며, 위 처리 회로는 사전결정된 기간이 위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의 판정에 이어 경과한 후 위 제2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7은 예 1 내지 예 5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이다.
예 8은 예 1 내지 예 5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UE이고, 위 무선 제어 회로는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사용하여 위 신호를 발신하도록 위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한다.
예 9는,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spectrum: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판정(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임)하고,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의 송신을 위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 회로와, 위 신호를 위 UE에 발신하기 위해, 위 처리 회로와 커플링된 무선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0은 예 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제1 감지 결과 및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고, 위 제1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1 세트에서 위 eNB에 의해 감지된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며, 위 제2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2 세트에서 위 UE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한다.
예 11은 예 10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시간 간격의 위 제1 세트 및 시간 간격의 위 제2 세트는 동일하다.
예 12는 예 10 내지 예 11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을 판정하고, 위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13은 예 10 내지 예 12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고, 위 처리 회로는 제3 감지 결과 및 제4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2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며, 위 제3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3 세트에서 위 eNB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위 제4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4 세트에서 위 UE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며, 위 처리 회로는 사전결정된 기간이 위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의 판정에 이어 경과한 후 위 제2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14는 예 10 내지 예 13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제1 감지 결과는 위 eNB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이거나 LTE-U 송신, 와이파이(WiFi) 송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인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위 제2 감지 결과는 위 UE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이거나 LTE-U 송신, WiFi 송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인지의 표시를 포함한다.
예 15는 예 9 내지 예 14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위 UE를 정규 그룹(regular group) 또는 은닉 노드 그룹(hidden node group) 중 하나로 분류하고, 위 처리 회로는 위 UE가 위 정규 그룹 또는 위 은닉 노드 그룹 내에 있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16은 예 9 내지 예 14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위 UE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17은,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감지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를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와,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2 감지 결과를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spectrum: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하는 단계(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 중 하나임)와,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신호를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8은 예 17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을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위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19는 예 18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단계는, 위 상관 레벨이 사전정의된 임계 값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임을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0은 예 18 내지 예 1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고, 위 방법은, 사전결정된 기간이 위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의 판정에 이어 경과한 후 제2 LBT 프로토콜을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21은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위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되, 위 명령어는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위 명령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감지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를 감지하고,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2 감지 결과를 수신하며,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spectrum: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판정(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 중 하나임)하고,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예 22는 예 21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을 판정하도록 되되,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위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23은 예 22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위 상관 레벨이 사전정의된 임계 값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임을 판정하도록 된다.
예 24는 예 22 내지 예 23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고, 위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사전결정된 기간이 위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의 판정에 이어 경과한 후 제2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도록 된다.
예 25는,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감지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를 감지하는 수단과,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2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수단과,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spectrum: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수단(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 중 하나임)과,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6은 예 25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을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위 수단은 위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한다.
예 27은 예 26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수단은, 위 상관 레벨이 사전정의된 임계 값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임을 판정한다.
예 28은 예 26 내지 예 27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고, 위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사전결정된 기간이 위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의 판정에 이어 경과한 후 제2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 29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위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되, 위 명령어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위 명령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위 UE로 하여금,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감지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를 감지하고,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로부터, 위 eNB에 의해 감지된 위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2 감지 결과를 수신하며,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UE가 상관된 그룹(correlated group)의 일부인지를 판정하게 한다.
예 30은 예 2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또한 위 제1 감지 결과 및 위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을 판정하도록 되되, 위 UE는 위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그것이 위 상관된 그룹의 일부인지를 판정한다.
예 31은 예 30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위 상관 레벨이 사전정의된 임계 값 이상이라고 판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그것이 위 상관된 그룹의 일부임을 판정한다.
예 32는 예 29 내지 예 31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또한 그것이 위 상관된 그룹의 일부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위 eNB에 송신하도록 된다.
예 33은 예 29 내지 예 32의 방법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요약서 내에 기술된 것을 포함하여, 예시된 구현에 대한 본 문서 내의 설명은, 본 개시를 개시된 바로 그 형태로 한정하거나 철저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특정 구현 및 예가 본 문서 내에 기술되나, 관련 업계에서 숙련된 자가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위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산된 다양한 대체적이고/이거나 균등한 실시예 또는 구현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24)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spectrum: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처리 회로 -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임 - 와,
    상기 처리 회로와 커플링된 무선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제어 회로는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상기 신호를 발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제1 감지 결과 및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고, 상기 제1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1 세트에서 상기 장치에 의해 감지된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idle)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2 세트에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시간 간격의 상기 제1 세트 및 시간 간격의 상기 제2 세트는 동일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감지 결과 및 상기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correlation level)을 판정하고,
    상기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결과는 상기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이거나 LTE-U 송신, 와이파이(WiFi) 송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busy)인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 결과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이거나 LTE-U 송신, WiFi 송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고, 상기 처리 회로는 제3 감지 결과 및 제4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2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며, 상기 제3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3 세트에서 상기 장치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4 세트에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는 사전결정된 기간이 상기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의 판정에 이어 경과한 후 상기 제2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인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UE이고, 상기 무선 제어 회로는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신호를 발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장치.
  9.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로서,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spectrum: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판정 -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임 - 하고,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의 송신을 위해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 회로와,
    상기 신호를 상기 UE에 발신하기 위해, 상기 처리 회로와 커플링된 무선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eNB.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제1 감지 결과 및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고, 상기 제1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1 세트에서 상기 eNB에 의해 감지된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2 세트에서 상기 UE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eNB.
  11. 제10항에 있어서,
    시간 간격의 상기 제1 세트 및 시간 간격의 상기 제2 세트는 동일한
    eNB.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감지 결과 및 상기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을 판정하고,
    상기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eNB.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고, 상기 처리 회로는 제3 감지 결과 및 제4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제2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며, 상기 제3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3 세트에서 상기 eNB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감지 결과는 시간 간격의 제4 세트에서 상기 UE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회로는 사전결정된 기간이 상기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의 판정에 이어 경과한 후 상기 제2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eNB.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결과는 상기 eNB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이거나 LTE-U 송신, 와이파이(WiFi) 송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인지의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 결과는 상기 UE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이거나 LTE-U 송신, WiFi 송신, 또는 LTE-U 및 WiFi 송신 양자 모두로 인해 사용 중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eNB.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UE를 정규 그룹(regular group) 또는 은닉 노드 그룹(hidden node group)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UE가 상기 정규 그룹 또는 상기 은닉 노드 그룹 내에 있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eNB.
  16.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UE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eNB.
  17.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명령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UE로 하여금,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감지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를 감지하고,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로부터, 상기 eNB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2 감지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제1 감지 결과 및 상기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UE가 상관된 그룹(correlated group)의 일부인지를 판정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또한 상기 제1 감지 결과 및 상기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을 판정하도록 되되, 상기 UE는 상기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UE가 상기 상관된 그룹의 일부인지를 판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상관 레벨이 사전정의된 임계 값 이상이라고 판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UE가 상기 상관된 그룹의 일부임을 판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또한 상기 UE가 상기 상관된 그룹의 일부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eNB에 송신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명령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감지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를 감지하고,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상기 비인가 무선 통신 매체가 유휴인지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2 감지 결과를 수신하며,
    롱텀 에볼루션 비인가 스펙트럼(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spectrum: LTE-U) 환경에서 사용될 현재의 LBT(Listen Before Talk) 프로토콜을 판정 -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상기 제1 감지 결과 및 상기 제2 감지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송신기 기반 LBT 프로토콜 또는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 중 하나임 - 하고,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1 감지 결과 및 상기 제2 감지 결과 간의 상관 레벨을 판정하도록 되되,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상관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상관 레벨이 사전정의된 임계 값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 수신기 보조 LBT 프로토콜임을 판정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LBT 프로토콜은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사전결정된 기간이 상기 제1 현재의 LBT 프로토콜의 판정에 이어 경과한 후 제2 LBT 프로토콜을 판정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67026655A 2014-04-28 2015-04-27 Lbt 프로토콜 선택 KR20160127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85389P 2014-04-28 2014-04-28
US61/985,389 2014-04-28
PCT/US2015/027811 WO2015168028A1 (en) 2014-04-28 2015-04-27 Listen before talk protocol sel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785A true KR20160127785A (ko) 2016-11-04

Family

ID=5435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655A KR20160127785A (ko) 2014-04-28 2015-04-27 Lbt 프로토콜 선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29908B2 (ko)
EP (1) EP3138350A4 (ko)
JP (1) JP6382332B2 (ko)
KR (1) KR20160127785A (ko)
CN (1) CN106134279B (ko)
BR (1) BR112016021697A2 (ko)
WO (1) WO2015168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010A1 (en) * 2014-01-14 2015-07-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10264605B2 (en) * 2014-07-29 2019-04-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sten-before-talk based medium access
US11197317B2 (en) * 2014-12-23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termining a symbol period for a starting symbol of a transmission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CN112134670B (zh) * 2015-01-28 2023-08-2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wtru)及方法
US10624112B2 (en) * 2015-09-23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and listen-before-schedule based resource allocation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CN105338596A (zh) * 2015-11-17 2016-02-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数据业务的建立方法及装置
WO2017131478A1 (ko) * 2016-01-29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6921126B2 (ja) * 2016-02-15 2021-08-1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ンネル接続方法及び装置
CN107231688A (zh) * 2016-03-24 2017-10-03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laa网络的上行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170332246A1 (en) * 2016-05-12 2017-11-16 Koninklijke Kpn N.V. Shared Spectrum Access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US10321401B2 (en) 2016-08-12 2019-06-11 Qualcomm Incorporated Clear-to-send (CTS) power control in sidelink
US10069575B1 (en) * 2017-03-01 2018-09-04 Alcatel Lucent Dynamic interference suppression for massiv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10959263B2 (en) * 2017-11-03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Listen before talk for millimeter wave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EP3834576A1 (en) 2018-08-08 2021-06-16 IDAC Holdings, Inc. Receiver assisted transmissions in nru
US11741093B1 (en) 2021-07-21 2023-08-29 T-Mobile Usa, Inc. Intermediate communication layer to translate a request between a user of a database and the database
US11924711B1 (en) 2021-08-20 2024-03-05 T-Mobile Usa, Inc. Self-mapping listeners for location tracking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6659A1 (en) * 2011-12-15 2013-06-20 Renesas Mobile Corporation Centralized control sharing of spectrum for coexiste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unlicensed bands
WO2013167557A1 (en) * 2012-05-07 2013-1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Operations on shared band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4559B1 (en) * 1991-12-04 2004-03-30 Broadcom Corporation Redundant radio frequency network having a roaming terminal communication protocol
US5661727A (en) * 1996-06-12 1997-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hemes to determine presence of hidden terminals in wireless networks environment and to switch between them
EP1639765A1 (en) * 2003-06-17 2006-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ordinating radio resource usag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WO2007060494A1 (en) * 2005-11-24 2007-05-31 Nokia Corporation Methodology, module, terminal, and system enabling scheduled operation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ubsystem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ubsystem
KR100641380B1 (ko) * 2006-01-12 2006-11-02 주식회사 디앤에스 테크놀로지 무선태그 시스템에서 리더기간 충돌 방지방법
US8086239B2 (en) 2006-04-14 2011-12-27 Elmaleh David R Infrastructure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7742822B2 (en) * 2007-04-24 2010-06-22 Medtronic, Inc. Channel selection and mapping for medical device communication
GB0716028D0 (en) * 2007-08-16 2007-09-26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s
US8199709B2 (en) * 2008-12-31 2012-06-1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GB2497556B (en) * 2011-12-14 2014-02-12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n an unlicensed band
KR20200035183A (ko) * 2012-01-26 2020-04-0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Lte 공존에 대한 동적 파라미터 조절
GB2498773A (en) * 2012-01-27 2013-07-31 Renesas Mobile Corp Mapping control channels to hop in the frequency domain while user data channels use opportunistically other parts of the same total band
US9031017B2 (en) * 2012-06-21 2015-05-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ower control for LTE deployment in unlicensed b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6659A1 (en) * 2011-12-15 2013-06-20 Renesas Mobile Corporation Centralized control sharing of spectrum for coexiste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unlicensed bands
WO2013167557A1 (en) * 2012-05-07 2013-1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Operations on shared b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34279A (zh) 2016-11-16
US20170034851A1 (en) 2017-02-02
EP3138350A4 (en) 2017-12-13
US10129908B2 (en) 2018-11-13
JP2017517164A (ja) 2017-06-22
WO2015168028A1 (en) 2015-11-05
JP6382332B2 (ja) 2018-08-29
EP3138350A1 (en) 2017-03-08
CN106134279B (zh) 2019-10-25
BR112016021697A2 (pt)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9908B2 (en) Listen before talk protocol selection
KR102474135B1 (ko)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는 탐지 및 통신
KR102397351B1 (ko) 차세대 네트워크들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들
KR102090925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791551B2 (en) Construction of transmission patterns for D2D communication
KR102328300B1 (ko) 전자 장치, 정보 처리 디바이스 및 정보 처리 방법
EP3753288B1 (en) Support for receive-limited user equipment in wireless environments
US20170318495A1 (en) Neighboring Cell Load Information
EP3432678A1 (en)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a secondary node and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EP3864761A1 (en) Measurement reporting in wireless network
KR20150093821A (ko) 간섭 조정 방법 및 기지국
US20220240192A1 (en) Power-efficient measurement reporting for multi/dual connectivity i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