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135B1 -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는 탐지 및 통신 - Google Patents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는 탐지 및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135B1
KR102474135B1 KR1020177016257A KR20177016257A KR102474135B1 KR 102474135 B1 KR102474135 B1 KR 102474135B1 KR 1020177016257 A KR1020177016257 A KR 1020177016257A KR 20177016257 A KR20177016257 A KR 20177016257A KR 102474135 B1 KR102474135 B1 KR 10247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mmunication
ues
mess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450A (ko
Inventor
알렉산드레 스토자노브스키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0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UE) 대 UE 릴레이로써의 공중 안전 탐지 및 통신을 위한 장치를 기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장치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UE의 리스트를 판정하고 리스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장치가 릴레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공고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명령어를 실행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기술되고/되거나 청구될 수 있다.

Description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는 탐지 및 통신{DISCOVERY AND COMMUNICATION USING A UE-TO-UE RELAY}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PUBLIC SAFET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USING A UE-TO-UE RELAY"라는 표제로 2015년 1월 15일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2/103,75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PUBLIC SAFET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USING A UE-TO-UE RELAY"라는 표제로 2015년 7월 29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812,83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들의 전체 개시는 이로써, 이 명세서와 부합하지 않는 부분이 만약 있다면 이를 제외하고,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분야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련되고, 더욱 구체적으로, 공중 안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기능(public safety device-to-device (D2D) functionality)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본 문서에서 제공되는 배경 설명은 개시의 맥락을 일반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부문에 기술된 소재는 이 출원 내의 청구항에 대한 선행 기술이 아니며, 이 부문 내의 포함에 의해, 선행 기술 또는 선행 기술의 시사라고 자인되는 것이 아니다.
D2D 애플리케이션은 근접 피어(proximity peer)들을 연결하기 위한 스케일가능하고(scalable) 보편적인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할 수 있다. D2D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상이한 기술 방안이 있는데, 가령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술에 기반하는 것이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관련된 D2D 기능은 또한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s)(ProSe) 또는 롱텀 에볼루션 다이렉트(Long-Term Evolution (LTE) Direct)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상황에서, 공중 안전 사용자와 같은 그룹의 멤버가 D2D,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대 UE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발신 UE(sending UE)가 언제나 수신 UE(receiving UE)의 범위(range) 내에 있지는 않을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실시예가 쉽게 이해될 것이다. 이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슷한 참조 번호는 비슷한 구조적 요소를 가리킨다.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의 그림에서 한정으로서가 아니고 예로서 보여진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 및 UE의 컴포넌트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모델 A(Model A)(공고(Announce)/감시(Monitor))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 통신 프로세스(UE-to-UE rela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process)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모델 B(Model B)(탐지자(Discoverer)/피탐지자(Discoveree))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 통신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를 실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computing device)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양상을 구체화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가지는 제조 물품(article of manufacture)을 예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에 대한 언급이 행해지는데, 첨부된 도면은 본 문서의 일부를 형성하되 비슷한 숫자가 도처에서 비슷한 부분을 가리키고, 첨부된 도면 내에는 실시될 수 있는 실시예가 예시로서 도시된다.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행해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가 활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된 대상물(claimed subject matter)을 이해하는 데에 가장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차례차례 여러 별도의 작동 또는 동작으로서 다양한 동작이 기술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순서는 이들 동작이 반드시 순서 의존적(order dependent)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이들 동작은 제시의 순서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기술된 동작은 기술된 실시예와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기술된 동작이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다양한 추가적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으로, 문구 "A 및/또는 B"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목적으로, 문구 "A, B 및/또는 C"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의미한다. 설명은 문구 "일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가지는"(having) 및 유사한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해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동의어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회로"(circuitry)는, 애플리케이션 특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전자 회로(electronic circuit), 프로세서(공유(shared), 전용(dedicated) 또는 그룹(group)) 및/또는 메모리(공유, 전용 또는 그룹)(이들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 조합 로직 회로(combinational logic circuit), 그리고/또는 기술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나타내거나, 이의 일부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UE 대 UE 릴레이(UE-to-UE relay) 교시를 사용하여 공중 안전 탐지 및 통신을 구체화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110),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cellular mobile network)(120) 및 D2D 네트워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D2D 네트워크(130)는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를 사용하여 또한 통신할 수 있는 UE(132, 134 및 136)를 포함할 수 있다.
백본 네트워크(110)는 다양한 서브네트워크를 상호연결하고 이들 서브네트워크 간의 정보의 교환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computer network infrastructure)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백본 네트워크(110)는 인터넷 백본(Internet backbone)(1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인터넷 상에서 대규모의 전략적으로 상호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및 코어 라우터(core router) 간의 주요 데이터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백본 네트워크(110)와의 데이터 통신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고속 패킷 액세스(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진화된 HSPA(Evolved HSPA: E-HSPA), 또는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SM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Radio Access Network: GERAN),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또는 진화된 UTRAN(Evolved UTRAN: E-UTRAN)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네트워크 기술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기술은 기지국(base station)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간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과 프로토콜에 의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표준 및 프로토콜은, 예컨대, 3GPP LTE, 보통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로 산업 그룹에 알려진 전기 전자 엔지니어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 표준, 그리고 보통 와이파이(Wi-Fi)로 산업 그룹에 알려진 IEEE 802.11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서, LTE에 따르면, 기지국은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또한 보통 eNodeB 또는 eNB로 표기됨)로 지칭될 수 있다. 그것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알려진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는 일반적으로 3GPP 시스템 및 표준을 향해 정향된 용어와 예가 제시되나, 본 문서 내에 개시된 교시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 또는 통신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eNB(124)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및 레거시(legacy) 노드 B(Node B: NB)(126)와, 이동성 관리 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122)와,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128)를 포함할 수 있다. eNB(124)는 UMTS 네트워크와 같은 3G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거시 NB(126)보다 더 많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RNC 기능이 별개의 RNC 개체 내에 있기보다는 eNB(12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LTE에서, eNB(124)는 다른 eNB로, 그 eNB들로 하여금 정보를 전송하거나 공유할 수 있게 하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는데, 여기서 네트워크 개체(가령, eNB(124) 및 MME/SGW(122)) 간의 인터페이스는 IP에 기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MME/SGW(122)는 S1 인터페이스 상에서 eNB(124)와 통신할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는 3GPP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 36.410 V11.1.0 (2013-09)에 정의된 바와 같은 S1 인터페이스와 유사할 수 있고 MME/SGW(122) 및 eNB(124) 간의 다대다 관계(many-to-many relation)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상이한 운영자들이 네트워크 공유 설정(network sharing setting)에서 동일한 eNB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eNB(124) 및 UE 간의 통신은 MME/SGW(122)를 통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MME/SGW(122)는 시그널링(signaling) 교환, 가령 UE(132)와 같은 UE의 인증을 관리하거나,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와의 UE(132)의 연결된 모드(connected mode)를 수립하기 위해 통신 링크의 수립과 연관된 다른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MME/SGW(122)는, 가령 UE(132)가 유휴 모드(idle mode) 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 장비를 트래킹하기(tracking) 및 페이징하기(paging)를 책임질 수 있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하여, 통신 시스템(100)에서 3GPP를 준수하도록 본 문서 내의 다양한 설명이 제공되나, 본 개시의 대상물은 이 점에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문서 내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네트워크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가 UTRAN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eNB(124)는 NB를 통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논의되는) UE(132, 134 또는 13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를 나타낼 수 있다.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가 GERAN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eNB(124)는 기지송신국(Base Transmission Station: BTS)을 통하여 UE(132, 134 또는 136)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132)는 기지국 중 하나, 가령 eNB(124)와의 무선 링크(radio link)를 통하여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를 액세스할 수 있다. 다운링크(downlink)(DL) 송신은 eNB(124)로부터 UE(132)로의 통신일 수 있다. 업링크(uplink)(UL) 송신은 UE(132)로부터 eNB(124)로의 통신일 수 있다. 예시의 용이함을 위해 도 1에는 단지 제한된 개수의 UE 및 eNB가 예시된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100)은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예를 실시하면서 임의의 개수의 UE, eNB, 또는 다른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몇몇 실시예에서,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는 다른 서버, 예를 들어 머신 유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MTC 서버(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134)는 다른 머신(machine)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간 상호작용(human interaction)을 별로 또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서 데이터가 UE(134)로부터 다른 머신으로 송신되거나 UE(134)에 의해 다른 머신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UE(134)는 무선 송수신기(wireless transceiver)(가령,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논의되는 송수신기 회로(224))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coupled) 센서일 수 있고, 개입(intervention)이 별로 또는 전혀 없이, 다른 머신(가령, 다른 센서)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134)의 무선 송수신기는 무선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136)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또는 다른 디바이스(적절한 프로토콜(가령, 다중입력/다중출력(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통신 방안)과 부합하여, 가령 eNB(124)를 통하여,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임)일 수 있다. 아래에서 또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UE(132, 134 및/또는 136)는 D2D 기능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D2D 기능은 사이드링크 직접 통신(sidelink direct communication)(SL)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132), UE(134) 및 UE(136)는 D2D 네트워크(130)를 형성할 수 있다. D2D 네트워크(130)에서, 근접한 두 UE는 통신이 eNB(124) 또는 임의의 다른 기지국과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되지(routed) 않고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 간의 직접 통신은 보통 D2D 통신 또는 피어 대 피어(peer-to-peer)(P2P) 통신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D2D 통신은 UE에 의해 직접 수립될 수 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eNB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D2D 네트워크(130) 내에서의 D2D 동작은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에 대해 투명하지 않을(non-transparent) 수 있고 셀룰러 스펙트럼(예컨대, 인밴드(inband)) 또는 비인가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예컨대, 아웃밴드(outband)) 상에서 일어날 수 있다. D2D 네트워크(130) 내에서의 D2D 동작은 상이한 통신 기술로 실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단거리(short-range)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D2D 동작은 인가 LTE 스펙트럼 또는 비인가 LTE 스펙트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D2D 네트워크(130) 내에서의 D2D 동작은 디바이스 탐지(device discovery)를 포함할 수 있는데, UE는 D2D 세션(session)을 수립하기 전에 그것이 D2D 동작을 위해 이용가능하고/하거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근접 검출(proximity detection)은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의 도움을 받을 수 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거나, 독립적으로 UE에 의해 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D2D 탐지는 폐쇄형(closed) D2D 탐지 또는 개방형(open) D2D 탐지일 수 있다. 폐쇄형 D2D 탐지는 D2D 가능화된(D2D-enabled) 탐지 디바이스의 선택 세트에 의해서만 탐지가능 디바이스(discoverable device)가 탐지될 수 있는 용례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전식별된 또는 선택된 디바이스만이 연결되도록 허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 D2D 서버(도시되지 않음), 애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않음), 또는 사용자(도시되지 ?邦?)에 의해 식별되거나 선택된 디바이스이다. 그러므로, 이 용례에 대해, 탐지 디바이스(discovering device)는, 임의의 대응하는 식별자를 비롯하여, 그것이 그것의 근방 내에서 탐지하기를 바라는 D2D 가능화된 디바이스를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될 것이다.
반면에, 개방형 디바이스 탐지는 탐지가능 디바이스가 자신이 그것의 근방 내의 임의의 또는 모든 D2D 가능화된 디바이스에 의해 탐지되기를 원할 수 있는 용례를 고려한다. 탐지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개방형 디바이스 탐지는 탐지 디바이스가 탐지 전에 다른 D2D 가능화된 디바이스의 신원(identity)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결과적으로, 개방형 탐지를 위한 디바이스 탐지 메커니즘은 가능한 한 그것의 근방 내에서 많은 D2D 가능화된 디바이스를 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 예를 들어 인가 리소스를 사용하는 개방형 D2D 탐지를 위해, eNB는 UE 간에 탐지 프로세스의 제한된 제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eNB는 UE가 탐지 정보를 송신하도록 D2D 탐지 영역의 형태로 어떤 탐지 리소스를 주기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가령, 리소스 블록 또는 서브프레임과 같은 시간/주파수 리소스). 탐지 정보는 페이로드(payload) 정보를 갖는 탐지 패킷(discovery packet) 또는 탐지 시퀀스(discovery sequence)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D2D 네트워크(130) 내에서의 D2D 동작은 스펙트럼 활용을 개선하고, 네트워크 쓰루풋(network throughput)을 증가시키며, 송신 지연(transmission delay)을 감소시키고, eNB(124)에 대한 트래픽을 분담시키며(offload),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 내의 혼잡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 D2D 동작은 매우 다양한 응용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D2D 네트워크(130)는 로컬 소셜 네트워크, 콘텐트 공유, 위치 기반 마케팅, 서비스 광고, 모바일 대 모바일(mobile-to-mobile) 애플리케이션 등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D2D 네트워크(130)는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120)가 이용불가능하게 되거나 고장나는 경우에도 기능할 수 있는 예비 공중 안전 네트워크(fallback public safety network)로서의 역할을 할(serve)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D2D 네트워크(130) 내의 UE 중 몇몇은 그것이 UE 중 몇몇과 통신하고 다른 것과는 통신하지 않을 수 있도록 D2D 네트워크(130) 내의 다른 UE에 대해서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E(132), UE(134) 및 UE(136)는 모두 공중 안전 그룹의 멤버일 수 있지만, UE(134)는 UE(136)로부터 떨어져 위치될 수 있어서 UE(134) 및 UE(136)는 D2D, 사이드링크 방식으로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없다. 그러나, UE(134) 및 UE(136) 각각은 UE(132)와의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어서 UE(132)는 UE(132)를 릴레이 UE로서 사용하는 UE(134) 및 UE(136) 간의 D2D 통신을 위한 UE 릴레이로서 작동할(act)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UE 대 UE 릴레이 교시를 사용하는 공중 안전 탐지 및 통신을 구체화하는, 무선 통신 환경 내의 eNB(210) 및 UE(220)의 컴포넌트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eNB(210)는 도 1의 eNB(124)와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상호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eNB(21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18)와 통신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12) 내의 송수신기 회로(transceiver circuitry)(214), 무선 제어 회로(radio control circuitry)(215) 및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ry)(2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220)는 도 1의 UE(132, 134 또는 136)와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상호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E(22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28)와 통신 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22) 내의 송수신기 회로(224), 무선 제어 회로(225) 및 처리 회로(2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214)는 eNB(210)로의 그리고 eNB(210)로부터의 신호의 OTA(Over-The-Air)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안테나(218)와 커플링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214)의 동작은 필터링(filtering), 증폭(amplifying), 저장, 전환(switching) 등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회로(214)는 안테나(218)로의 신호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동작에 적절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회로(214)는 D2D 동작 능력을 가지는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214)는 eNB(210)의 다른 컴포넌트로의 송신을 위해 그리고/또는 처리 회로(216)에 의한 내부 처리를 위해 안테나(218)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216)는 서빙 셀(serving cell)의 UE, 가령 UE(220)로의 구성 및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송수신기 회로(214)를 통하여 UE에 구성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성 및 제어 정보는, 예컨대, 다운링크 채널 정보(downlink channel information),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 정보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성 및 제어 정보는 UE(220)의 D2D 탐지, D2D 통신 또는 D2D 릴레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기 위한 SIB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처리 회로(216)는 UE(220)를 위해 상이한 유형의 SIB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처리 회로(216)는 주요 통지(primary notification)를 위한 제1 유형 SIB 메시지, 뒤이어 D2D 동작을 위한 인가 또는 구성 정보를 갖는 부차 통지(secondary notification)를 위한 제2 유형 SIB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220)로의 부차 통지는 D2D 동작을 위한 바람직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위한 정보, D2D 동기화 소스 셋업(D2D synchronization source set-up)을 위한 정보, 공중 안전 경보(public safety alert), 또는 공중 안전 릴리즈 메시지(public safety release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처리 회로(216)는, 예컨대, 도 1의 D2D 네트워크(130)를 구축하기 위해, 경보 영역(alert region) 내의 다수의 선택된 UE를 위해 전술된 SIB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12)은 페이징을 통하여 주요 통지를 갖는 제1 유형 SIB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는 RRC_CONNECTED 모드에서뿐만 아니라 RRC_IDLE 모드에서 UE와 통신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12)은 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Cell Broadcast Service: CBS)를 통하여 부차 통지를 갖는 제2 유형 SIB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2)과 유사하게, 통신 모듈(222)은 UE(220) 및 eNB(210) 간의 또는 UE(220) 및 다른 UE 간의 신호의 OTA(Over-The-Air)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안테나(228)와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송수신기 회로(224)는 안테나(228)로의 신호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동작에 적합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회로(224)의 동작은 필터링, 증폭, 저장, 전환 등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수신기 회로(224)는 안테나(218)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후 신호를 UE(220)의 다른 컴포넌트로 그리고/또는 처리 회로(226)에 의한 내부 처리를 위해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22)은 만일 UE(220)가 RRC_IDLE 상태에 있는 경우 페이징 유형 1 메시지(Paging Type 1 message) 내의 주요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22)은 만일 UE가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시스템 정보 변경 표시(System Information Change Indication: SICI) 메시지 내의 주요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처리 회로(226)는, 주요 통지에 응답하여, D2D 동작을 위해 인가 또는 구성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차 통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222)을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22)은 하나 이상의 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부차 통지 내에 포함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UE(220)는 D2D 동작을 위해, 예를 들어 D2D 동작을 위해 바람직한 스펙트럼 또는 적절한 D2D 동기화 소스로써,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220)는 여러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의 무선 리소스(radio resource)를 동시에 활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228)를 포함할 수 있다. UE(220)는 (가령, 다운링크 통신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및/또는 (가령, 업링크 통신에서)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220)는 LTE ProSe 또는 LTE Direct를 통하여 다른 UE와 통신하기 위해 송수신기 회로(224)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222)은 그것이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입자 신원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도시되지 않음)을 위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SIM은 통신 모듈(222)과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될(removably coupled)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SIM은 UE(220)와 영구적으로 커플링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SIM은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풀사이즈(full-size) SIM, 미니(mini) SIM, 마이크로(micro) SIM, 나노(nano) SIM, 임베딩된(embedded) SIM 및/또는 가상(virtual) SIM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SIM은 다른 UE로의 통신 메시지 내에서 SIM과 커플링된 UE에 의해 발신될 수 있는 상위 계층 사용자 정보(upper layer user information)를 저장할 수 있다.
SIM은 가입자 신원 정보, 예를 들어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신원(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및 관련된 키(UE(220)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됨)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각각의 SIM은 상이한 가입자 신원 정보 및/또는 다른 사용자 정보와 연관될 수 있으며 상이한 통신사와 연관될 수 있거나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IMSI 및 관련된 정보는 D2D 탐지 및 D2D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224) 및/또는 처리 회로(226)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예컨대, 도 5에 관해서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 또는 기저대역(baseband) 회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220)는 단일 센서 디바이스(single sensor device), 셀룰러 전화(cellular tele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notebook), 울트라북(ultrabook), 넷북(netbook), 스마트폰(smartphone), 울트라 모바일 PC(Ultra Mobile PC: UMPC),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handheld mobile device), UICC,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고객 구내 장비(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tablet computing device), 또는 다른 가전기기(consumer electronics),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유사한 것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는 IEEE 802.16e (2005 또는 802.16m (2009) 또는 IEEE 802.16 표준의 어떤 다른 개정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이동국(mobile station), 또는 3GPP LTE 릴리즈(Release) 8 (2008), 릴리즈 9 (2009), 릴리즈 10 (2011), 릴리즈 12 (2014), 릴리즈 13 (개발 중) 또는 3GPP LTE 표준의 어떤 다른 개정 또는 릴리즈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모델 A(공고/감시)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 통신 프로세스(300)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실시예에서, UE(302), UE(304) 및 UE(306)는 각각 모델 A를 사용하여 UE 대 UE 릴레이 탐지를 수행하기 전에 모델 A 또는 모델 B(탐지자/피탐지자)를 사용하여 그룹 멤버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302, 304 및 306)는 각각 도 1의 UE(132, 134 및 136)와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상호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UE(302, 304 및 306)는 도 2의 UE(220)에 관해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모델 A 또는 모델 B를 사용하는 그룹 멤버 탐지는 3GPP 기술 보고서(Technical Report: TR) 23.713 (릴리즈 13, 버전 0.3.0, 2014)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있거나 3GPP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 36.300 (릴리즈 12, 버전 12.4.0, 2014)에 기술된 D2D 탐지 또는 D2D 통신 능력을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모델 A 그룹 멤버 탐지로써, 각각의 UE는 공고 UE(announcing UE)로서 작동하여, 공고로 설정된 유형 파라미터(type parameter), 그룹 멤버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discovery-type parameter), 공고 UE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상위 계층 정보(가령, IMSI, 모바일 가입자 식별 번호(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MSIN) 또는, 예컨대, 공고 UE 내의 UICC 상에 저장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공고자 정보 파라미터(announcer information parameter), 그리고 공고 UE의 ProSe UE ID로 설정될 수 있는 ProSe UE ID 파라미터를 갖는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ProSe UE ID는 몇몇 실시예에서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링크 계층(link layer) 식별자일 수 있다. 공고 메시지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공고 UE에 의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만일 감시 UE(monitoring UE)로서 작동하는 다른 UE가 공고 UE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그것은 그것이 공고 UE와의 D2D 통신에 연동할(engage) 수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모델 B 그룹 멤버 탐지로써, 각각의 UE는 탐지자 UE로서 작동하여, 요청으로 설정된 유형 파라미터, 그룹 멤버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 탐지자 UE의 그룹 내의 다른 UE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상위 계층 피탐지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피탐지자 정보 파라미터(discoveree information parameter), 탐지자 UE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상위 계층 탐지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탐지자 정보 파라미터(discoverer information parameter), 그리고 탐지자 UE의 ProSe UE ID로 설정될 수 있는 ProSe UE ID 파라미터를 갖는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탐지자 UE에 의한 요청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그룹캐스트(groupcast) 될 수 있다. 피탐지자 UE로서 작동하는 다른 UE가 탐지자 UE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것이 피탐지자 정보에 관련된 UE 중 하나와 연관됨을 판정하는 경우, 그것은 응답으로 설정된 유형 파라미터, 그룹 멤버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는 UE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상위 계층 피탐지자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피탐지자 정보 파라미터, 그리고 응답 메시지를 발신하는 피탐지자 UE의 ProSe UE ID로 설정될 수 있는 ProSe UE ID 파라미터와 함께 탐지자 UE에 도로 응답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몇몇 실시예에서 유니캐스트될(unicast) 수 있다. 만일 탐지자 UE로서 작동하는 UE가 피탐지자 UE로서 작동하는 UE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탐지자 UE는 그것이 응답 메시지를 발신한 피탐지자 UE와의 D2D 통신에 연동할 수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304)는 모델 A 또는 모델 B를 사용하는 그룹 멤버 탐지로써 블록(308)에서 UE(306)를 탐지할 수 있다. 블록(310)에서, UE(302)는 모델 A 또는 모델 B를 사용하는 그룹 멤버 탐지로써 UE(304) 및 UE(306) 양자 모두를 탐지할 수 있다. UE(304) 및 UE(306) 양자 모두를 탐지하였으면, UE(302)는 그것이 UE(304) 및 UE(306) 간의 잠재적인 릴레이 UE(potential relay UE)로서 작동할 수 있음을 판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302, 304 및 306)는 모두 공중 안전 그룹의 일부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302)는 공중 안전 그룹의 일부가 아닐 수 있고, UE(302)가 공중 안전 그룹의 일부가 아니더라도 UE(302)로 하여금 UE(304) 및 UE(306)를 탐지할 수 있게 하는 블록(310)에서 UE 탐지 프로세스에 연동할 수 있어서 UE(304) 및 UE(306)은 UE(302)가 그룹의 멤버가 아니더라도 D2D 통신을 위한 UE 릴레이로서 UE(302)를 사용할 수 있다.
UE(302)는 모델 A(공고/감시) 하의 UE 대 UE 릴레이 탐지의 일부로서, 블록(312)에서 공고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 공고 메시지는 공고로 설정된 유형 파라미터,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 UE(302)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상위 계층 정보(가령, IMSI, MSIN 또는, 예컨대, UE(302) 내의 UICC 상에 저장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공고자 정보 파라미터, UE(302)의 ProSe UE ID로 설정될 수 있는 ProsSe UE ID 파라미터, 그리고 탐지된 UE(304) 및 탐지된 UE(306)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상위 계층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의 리스트(list)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고 메시지는 탐지된 UE(304) 및 탐지된 UE(306)의 계층 2(layer-2) 식별자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계층 2 식별자는 몇몇 실시예에서 MAC 주소일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위 계층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의 리스트와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다. 공고 메시지는 UE(304) 및 UE(306) 양자 모두에 의해, 그것들이 공고 메시지를 감시함에 따라 수신될 수 있다.
UE(304)는 이후 제2 통신(320)에서 UE(306)로 UE(302)에 의해 릴레이되는 UE(302)로의 제1 통신(318)을 가지는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여 D2D 통신 프로세스(316)에서 UE(306)와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D2D 통신 프로세스(316)는 푸시 투 토크(push-to-talk)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확장된 MAC 헤더(extended MAC header)가 사용될 수 있는데, UE 대 UE 릴레이를 식별하는 릴레이 계층 2 ID 파라미터(relay layer-2 ID parameter)와, MAC 프레임이 '릴레이로' 송신되고 있는지 또는 '릴레이로부터' 송신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방향 파라미터(direction parameter)를 위한 필드를 포함한다. UE(304)가 제1 통신(318)에서 UE(302)를 통하여 UE(306)에 데이터를 발신하는 경우, MAC 프레임 내의 주소지정(addressing) 식별자는 다음과 같은 필드로써 설정될 수 있다: 소스 계층 2 ID(Source Layer-2 ID) = UE(304)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목적지 계층 2 ID(Destination Layer-2 ID) = UE(306)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릴레이 계층 2 ID(Relay Layer-2 ID) = UE(302)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그리고 방향(Direction) = '릴레이로'(To Relay).
UE(302)가 제2 통신(320) 내에서 UE(306)로 MAC 프레임을, UE(304)로부터 수신된 MAC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MAC 프레임을 생성함으로써 전송하는(forward) 경우, MAC 프레임 내의 주소지정 식별자는 다음과 같은 필드로써 설정될 수 있다: 소스 계층 2 ID = UE(304)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목적지 계층 2 ID = UE(306)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릴레이 계층 2 ID = UE(302)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그리고 방향 = '릴레이로부터'(From Relay). 실시예에서, UE(304) 및 UE(306) 간의 통신은 무상태(stateless)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304)는 UE(306)와 통신하는 경우 프레임별로(on a frame by frame basis) 릴레이 UE를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는 패킷 플러딩(packet flooding)을 감소시킴으로써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UE(304)는 다른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찾을 수 있고, 만일 UE(302)가 범위를 벗어나 그것이 더 이상 UE(304) 및 UE(306) 간의 통신을 위한 릴레이 UE로서 작동할 수 없는 경우, UE(304)는 그 다른 잠재적인 릴레이 UE로 통신을 전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 통신 프로세스(300)는 UE(302, 304 및 306)에 대응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 정보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고, UE(302)는 계층 2 전송이 아니라 계층 3(layer-3)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308) 및 블록(310)에서의 그룹 멤버 탐지 절차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UE의 할당된 IP 주소를 각각의 메시지가 포함하도록, 예를 들어 그룹 A 공고 메시지 또는 그룹 B 요청 및 응답 메시지 내에 UE의 ProSe UE ID 다음에 IP 주소를 포함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관심 UE(interested UE)(가령, UE(304))로 하여금 추가적인 정보를 릴레이 UE(가령, UE(302))(이는 결국 원격 UE(가령, UE(306))로부터 정보를 구할 수 있음)로부터 구할 수 있게 하는 추가적인 시그널링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몇몇 실시예에서 IP 주소를 통신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IP 주소 정보는 릴레이 UE를 통해 원격 UE로부터 관심 UE로 도로 통신된다.
도 4는 모델 B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 통신 프로세스(400)를 예시하는 도해이다. 실시예에서, 모델 B를 사용하여 UE 대 UE 릴레이 탐지를 수행하기 전에, UE(402), UE(404) 및 UE(406)는 각각 도 3에서 UE(302, 304 및 306)에 관해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모델 A 또는 모델 B를 사용하여 그룹 멤버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402, 404 및 406)는 각각 도 1의 UE(132, 134 및 136)에 대해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LTE 네트워크 내에 놓일 수 있다. UE(402, 404 및 406)는 도 2의 UE(220)에 관해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404)는 모델 A 또는 모델 B를 사용하는 그룹 멤버 탐지로써 블록(408)에서 UE(402)를 탐지할 수 있다. 블록(410)에서, UE(402)는 모델 A 또는 모델 B를 사용하는 그룹 멤버 탐지로써 UE(404) 및 UE(406) 양자 모두를 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402, 404 및 406)는 모두 공중 안전 그룹의 일부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402)는 공중 안전 그룹의 일부가 아닐 수 있고, UE(402)가 공중 안전 그룹의 일부가 아니더라도 UE(402)로 하여금 UE(404) 및 UE(406)를 탐지할 수 있게 하는 블록(410)에서 UE 탐지 프로세스에 연동할 수 있어서 UE(404) 및 UE(406)는 UE(402)가 그룹의 멤버가 아니더라도 D2D 통신을 위한 UE 릴레이로서 UE(402)를 사용할 수 있다. 그것의 이웃하는 UE를 탐지하였으면, UE(404)는 관심 대상인(of interest) 그룹 멤버(가령, 원격 사용자, UE(406))가 직접적인 범위(direct range) 내에 있지 않음을 판정할 수 있다.
UE(404)는 이후, 탐지자의 역할에서, 모델 B(탐지자/피탐지자) 하의 UE 대 UE 릴레이 탐지의 일부로서 블록(412)에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잠재적인 UE 대 UE 릴레이를 요청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요청으로 설정된 유형 파라미터,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 UE(404)와 연관된 상위 계층 사용자 정보(가령, IMSI, MSIN 또는, 예컨대, UE(404) 내의 UICC 상에 저장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탐지자 정보 파라미터, UE(404)의 ProSe UE ID(가령, UE(404)의 계층 2 식별자)로 설정될 수 있는 ProSe UE ID 파라미터, 그리고 관심 대상인 UE를 위한 상위 계층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가령, UE(406)와 연관된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정보)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요청 메시지는 관심 대상인 UE를 위한 상위 계층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의 리스트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관심 대상인 원격 UE를 위한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위 계층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은 타겟 정보 파라미터(target information parameter)로 지칭될 수 있다.
요청 메시지의 수신 시에, UE(402)는 그것이 UE 대 UE 릴레이로서 작동할 수 있음을 (피탐지자의 역할에서) 판정할 수 있고 UE(404)에 응답 메세지로 답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응답으로 설정된 유형 파라미터,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 UE(402)의 사용자와 연관될 수 있는 상위 계층 피탐지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피탐지자 정보 파라미터, UE(402)의 ProSe UE ID(가령, UE(402)의 계층 2 식별자)로 설정될 수 있는 ProSe UE ID 파라미터, 그리고 관심 대상인 UE와 연관된 사용자에 관한 상위 계층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가령, UE(406)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응답 메시지는 관심 대상인 UE와 연관된 계층 2 식별자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대응하는 상위 계층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에, UE(404)는 이후 제2 통신(420)에서 UE(406)로 UE(420)에 의해 릴레이되는 UE(402)로의 제1 통신(418)을 가지는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여 D2D 통신 프로세스(417)에서 UE(406)와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D2D 통신 프로세스(417)는 푸시 투 토크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확장된 MAC 헤더가 사용될 수 있는데, UE 대 UE 릴레이를 식별하는 릴레이 계층 2 ID 파라미터와, MAC 프레임이 '릴레이로' 송신되고 있는지 또는 '릴레이로부터' 송신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방향 파라미터를 위한 필드를 포함한다. UE(404)가 제1 통신(418)에서 UE(402)를 통하여 UE(406)에 데이터를 발신하는 경우, MAC 프레임 내의 주소지정 식별자는 다음과 같은 필드로써 설정될 수 있다: 소스 계층 2 ID = UE(404)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목적지 계층 2 ID = UE(406)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릴레이 계층 2 ID = UE(402)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그리고 방향 = '릴레이로'.
UE(404)로부터 수신된 MAC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MAC 프레임을 생성함으로써 UE(402)가 제2 통신(420) 내에서 UE(406)로 MAC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릴레이 MAC 프레임 내의 주소지정 식별자는 다음과 같은 필드로써 설정될 수 있다: 소스 계층 2 ID = UE(404)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목적지 계층 2 ID = UE(406)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릴레이 계층 2 ID = UE(402)의 ProSe UE ID(가령, 계층 2 ID); 그리고 방향 = '릴레이로부터'. 실시예에서, UE(404) 및 UE(406) 간의 통신은 무상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UE(404)는 UE(406)와 통신하는 경우 프레임별로 릴레이 UE를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는 패킷 플러딩을 감소시킴으로써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UE(404)는 다른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찾을 수 있고, 만일 UE(402)가 범위를 벗어나 그것이 더 이상 UE(404) 및 UE(406) 간의 통신을 위한 릴레이 UE로서 작동할 수 없는 경우, UE(404)는 그 다른 잠재적인 릴레이 UE로 통신을 전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 통신 프로세스(400)는 UE(402, 404 및 406)에 대응하는 IP 주소 정보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고, UE(402)는 계층 2 전송이 아니라 계층 3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408) 및 블록(410)에서의 그룹 멤버 탐지 절차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UE의 할당된 IP 주소를 각각의 메시지가 포함하도록, 예를 들어 그룹 A 공고 메시지 또는 그룹 B 요청 및 응답 메시지 내에 UE의 ProSe UE ID 다음에 IP 주소를 포함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관심 UE(가령, UE(404))로 하여금 추가적인 정보를 릴레이 UE(가령, UE(402))(이는 결국 원격 UE(가령, UE(406))로부터 정보를 구할 수 있음)로부터 구할 수 있게 하는 추가적인 시그널링 메시지를 사용함으로써 몇몇 실시예에서 IP 주소를 통신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IP 주소 정보는 릴레이 UE를 통해 원격 UE로부터 관심 UE로 도로 통신된다.
UE(220) 또는 eNB(210)는, 도 2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원하는 대로 구성된 임의의 적합한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스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실시예를 위해,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커플링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504), 기저대역 회로(508), 애플리케이션 회로(512), 메모리(memory)/스토리지(storage)(516), 디스플레이(520), 카메라(524), 센서(528) 및 입력/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532)를 포함하는 예시적 시스템(500)을 예시한다.
애플리케이션 회로(512)는, 하나 이상의 단일 코어(single-core) 또는 다중 코어(multi-core) 프로세서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는 일반 목적 프로세서 및 전용 프로세서(가령,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스토리지(516)와 커플링되고, 시스템(500)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운영 체제를 가능화하기 위해 메모리/스토리지(516) 내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508)는, 하나 이상의 단일 코어 또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는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508)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508)는 RF 회로(504)를 통한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무선 제어 기능을 다룰 수 있다. 무선 제어 기능은 신호 변조(signal modulation), 인코딩(encoding), 디코딩(decoding), 무선 주파수 이동(radio frequency shifting) 등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술과 호환가능한 통신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는 E-UTRAN 및/또는 다른 WMAN, WLAN, 또는 WPAN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508)가 하나보다 많은 무선 프로토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실시예는 다중 모드 기저대역 회로(multi-mode baseband circuitry)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는 기저대역 주파수 내에 있는 것으로 엄격히 간주되지 않는 신호로써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는 기저대역 주파수 및 무선 주파수 사이에 있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가지는 신호로써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2의 처리 회로(216 또는 226)는 애플리케이션 회로(512) 및/또는 기저대역 회로(508) 내에 실체화될(embodied)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2의 무선 제어 회로(215 또는 225)는 기저대역 회로(508) 내에 실체화될 수 있다.
RF 회로(504)는 비고체 매체(non-solid medium)를 통한 변조된 전자기 방사(modulated electromagnetic radiation)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RF 회로(504)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 필터, 증폭기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RF 회로(504)는 무선 주파수 내에 있는 것으로 엄격히 간주되지 않는 신호로써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에서, RF 회로(504)는 기저대역 주파수 및 무선 주파수 사이에 있는 중간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로써 동작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2의 송수신기 회로(214 또는 224)는 RF 회로(504) 내에 실체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2의 무선 제어 회로(215 또는 225)는 RF 회로(504) 내에 실체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대역 회로(508), 애플리케이션 회로(512) 및/또는 메모리/스토리지(516)의 구성 컴포넌트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a Chip: SOC) 상에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스토리지(516)는, 예컨대 시스템(500)을 위해,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로딩하고 저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를 위한 메모리/스토리지(516)는 적합한 휘발성 메모리(가령,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가령,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I/O 인터페이스(532)는 시스템(500)과의 사용자 상호작용(user interaction)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시스템(500)과의 주변 컴포넌트 상호작용(peripheral component interaction)을 가능하게 하는 주변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리적 키보드 또는 키패드, 터치패드, 스피커, 마이크 등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오디오 잭 및 전력 공급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528)는 시스템(500)에 관련된 환경적 조건 및/또는 위치 정보를 판정하는 하나 이상의 감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서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가속도계(acceleromete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주변 광 센서(ambient light sensor) 및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지셔닝 유닛은 또한 포지셔닝 네트워크(positioning network)의 컴포넌트, 가령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과 통신하기 위해 기저대역 회로(508) 및/또는 RF 회로(504)의 일부이거나, 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20)는 디스플레이, 가령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touch screen display)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524)는 변화하는 분산(dispersion) 및 굴절률로써 이루어진 많은 몰딩된 플라스틱 비구면(aspheric) 렌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524)는 입체 사진(stereo photography)을 위한 3차원 이미지를 포착하는 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시스템(500)은, 랩톱 컴퓨팅 디바이스(laptop computing device),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tablet computing device), 넷북(netbook), 울트라북(ultrabook), 스마트폰(smartphone) 등등과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mobile computing device)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시스템(500)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 그리고/또는 상이한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개시의 양상을 구체화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를 가지는 제조 물품(610)을 예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제조 물품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물품(610)은 본 문서에 기술된 프로세스 중 임의의 것의 실시예 또는 실시예의 양상을 실시하도록 명령어(630)가 구성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620)는, 플래시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광학 디스크(optical disk),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등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업계에서 알려진 광범위한 지속적 저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2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20)는 명령어(630)로써 인코딩된 신호와 같이 일시적(transitory)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령어(630)는 장치로 하여금, 장치에 의한 그것의 실행에 응답하여, 본 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저장 매체(620)는, 장치(가령 도 2와 관련하여 UE(220))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가령 도 3의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 통신 프로세스(300) 또는 도 4의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 통신 프로세스(400) 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중 안전 UE 대 UE 릴레이 탐지 및/또는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몇몇 양상을 실시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어(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단락은 다양한 실시예의 예를 기술한다.
예 1은, 명령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커플링되어(coupled) 위 명령어를 실행하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to-device)(D2D) 통신을 사용하여 위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리스트를 판정하고, 위 리스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장치가 릴레이(relay)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공고 메시지(announcement message)를 생성하며, 위 공고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송수신기 회로를 위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는 예 1의 대상물(subject matter)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D2D 통신 범위 내의 UE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예 3은 예 2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위 리스트 내의 개별 UE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user information parameter) 및 계층 2 식별자(layer-2 identifier)를 포함한다.
예 4는 예 2 내지 예 3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UE의 위 리스트 내의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frame)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또한 생성한다.
예 5는 예 4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로부터 수신된 위 프레임은 소스 계층 2 ID 필드(source layer-2 ID field)와, 목적지 계층 2 ID 필드(destination layer-2 ID field)와, 릴레이 계층 2 ID 필드(relay layer-2 ID field)와, '릴레이로'(to relay)로 설정된 방향 필드(direction field)를 포함한다.
예 6은 예 4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릴레이 프레임은 소스 계층 2 ID 필드와, 목적지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로부터'(from relay)로 설정된 방향 필드를 포함한다.
예 7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명령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커플링되어 위 명령어를 실행하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위 UE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리스트를 판정하고, UE 대 UE 릴레이 탐지(UE-to-UE relay discovery)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와,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위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위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예 8은 예 7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시지는 공고 메시지이다.
예 9는 예 7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시지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위 다른 UE 중 하나인 발신 UE(sending UE)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에 응답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이다.
예 10은 예 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응답 메시지는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11은 예 10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응답 메시지는 위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와 연관된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12는 예 11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위 리스트 내의 UE와 연관되고 위 응답 메시지는 또한 위 UE의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13은 예 7 내지 예 12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발신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또한 생성하되, 위 발신 UE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위 리스트 내에 있다.
예 14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위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되, 위 명령어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위 명령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위 UE로 하여금, 위 UE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UE를 탐지하기 위해 그룹 멤버 탐지(group member discovery)를 수행하고, 원격 UE와의 통신을 위해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도록 하되,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는 위 적어도 하나의 다른 UE 중 하나이다.
예 15는 예 14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로부터 공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도록 된다.
예 16은 예 15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에 대응하는 식별자 및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17은 예 14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또한 요청 메시지를 발신하도록 되고 위 UE는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로부터 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도록 된다.
예 18은 예 17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요청 메시지는 위 UE에 대응하는 식별자 및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19는 예 17 내지 예 18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요청 메시지는 복수의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20은 예 17 내지 예 19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요청 메시지는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21은 예 14 내지 예 20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또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MAC 프레임을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에 발신하되, 위 MAC 프레임은 '릴레이로'로 설정된 방향 필드를 갖는 헤더(header)를 포함한다.
예 22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위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되, 위 명령어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위 명령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위 UE로 하여금, 위 UE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다른 UE를 탐지하기 위해 그룹 멤버 탐지를 수행하고, 발신 UE 및 원격 UE 간의 통신을 위해 릴레이 UE로서 작동하도록 하되, 위 발신 UE 및 위 원격 UE는 위 탐지된 복수의 다른 UE의 일부이다.
예 23은 예 22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계층 2 전송(layer-2 forwarding)을 수행함으로써 릴레이 UE로서 작동한다.
예 24는 예 22 내지 예 23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또한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되되, 위 UE는 MAC 프레임이 릴레이에 송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방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 발신 UE로부터의 확장된 MAC 헤더의 수신 시에 위 공고 메시지의 송신 후에 릴레이 UE로서 작동한다.
예 25는 예 22 내지 예 24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또한 위 탐지된 복수의 다른 UE 중 하나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다른 UE로부터의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되되, 위 UE는 MAC 프레임이 릴레이에 송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방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위 발신 UE로부터의 확장된 MAC 헤더의 수신 시에 위 응답 메시지의 송신 후에 릴레이 UE로서 작동한다.
예 26은 무선 통신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방법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리스트를 판정하는 단계와, 위 리스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장치가 릴레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공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위 공고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위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7은 예 26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D2D 통신 범위 내의 UE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예 28은 예 27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위 리스트 내의 개별 UE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 및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29는 예 27 내지 예 28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UE의 위 리스트 내의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30은 예 2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로부터 수신된 위 프레임은 소스 계층 2 ID 필드와, 목적지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로'로 설정된 방향 필드를 포함한다.
예 31은 예 2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릴레이 프레임은 소스 계층 2 ID 필드와, 목적지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로부터'로 설정된 방향 필드를 포함한다.
예 32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와 통신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방법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위 UE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리스트를 판정하는 단계와,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와,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위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위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33은 예 32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시지는 공고 메시지이다.
예 34는 예 32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시지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위 다른 UE 중 하나인 발신 UE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이다.
예 35는 예 34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응답 메시지는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36은 예 35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응답 메시지는 위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와 연관된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37은 예 36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위 리스트 내의 UE와 연관되고 위 응답 메시지는 또한 위 UE의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38은 예 32 내지 예 37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발신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위 발신 UE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위 리스트 내에 있다.
예 39는 무선 통신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방법은 UE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UE를 탐지하기 위해 그룹 멤버 탐지를 수행하는 단계와, 원격 UE와의 통신을 위해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는 위 적어도 하나의 다른 UE 중 하나이다.
예 40은 예 3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는 것은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로부터 공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예 41은 예 40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에 대응하는 식별자 및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42는 예 3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요청 메시지를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는 것은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로부터 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예 43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리스트를 판정하는 수단과, 위 리스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장치가 릴레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공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과, 위 공고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위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 44는 예 43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D2D 통신 범위 내의 UE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예 45는 예 44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위 리스트 내의 개별 UE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 및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46은 예 44 내지 예 45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UE의 위 리스트 내의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 47은 예 46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로부터 수신된 위 프레임은 소스 계층 2 ID 필드와, 목적지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로'로 설정된 방향 필드를 포함한다.
예 48은 예 46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릴레이 프레임은 소스 계층 2 ID 필드와, 목적지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로부터'로 설정된 방향 필드를 포함한다.
예 49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UE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위 UE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리스트를 판정하는 수단과,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와,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수단과, 위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과, 위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 50은 예 4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시지는 공고 메시지이다.
예 51은 예 49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시지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위 다른 UE 중 하나인 발신 UE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이다.
예 52는 예 51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응답 메시지는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53은 예 52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응답 메시지는 위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와 연관된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54는 예 53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위 리스트 내의 UE와 연관되고 위 응답 메시지는 또한 위 UE의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55는 예 49 내지 예 54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발신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생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위 발신 UE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위 리스트 내에 있다.
예 56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장치는 UE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UE를 탐지하기 위해 그룹 멤버 탐지를 수행하는 수단과, 원격 UE와의 통신을 위해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는 위 적어도 하나의 다른 UE 중 하나이다.
예 57은 예 56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는 수단은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로부터 공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한다.
예 58은 예 57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공고 메시지는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에 대응하는 식별자 및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59는 예 56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요청 메시지를 발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를 탐지하는 것은 위 잠재적인 릴레이 UE로부터 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예 60은, 명령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위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커플링되어 위 명령어를 실행하여, UE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리스트를 판정하고,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와,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가지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위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위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 61은 예 60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시지는 공고 메시지이다.
예 62는 예 60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시지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위 다른 UE 중 하나인 발신 UE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이다.
예 63은 예 62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응답 메시지는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예 64는 예 63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응답 메시지는 위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와 연관된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65는 예 64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위 리스트 내의 UE와 연관되고 위 응답 메시지는 또한 위 UE의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 66은 예 60 내지 예 65 중 임의의 것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처리 회로는 발신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또한 생성하되, 위 발신 UE는 위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위 리스트 내에 있다.
예 67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명령어는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위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위 명령어의 실행 시에, 예 26 내지 예 66 중 임의의 것에 관해서 기술되거나 이에 관련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 또는 본 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를 수행하게 한다.
요약서 내에 기술된 것을 포함하여, 예시된 구현에 대한 본 문서 내의 설명은, 본 개시를 개시된 바로 그 형태로 한정하도록 또는 철저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특정 구현 및 예가 본 문서에 기술되나, 관련 업계에서 숙련된 자가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위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산출된 다양한 대체적이고/이거나 균등한 실시예 또는 구현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25)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명령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커플링되어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to-device)(D2D)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리스트를 판정하고,
    상기 리스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장치가 상기 리스트 내의 UE들 사이의 D2D 통신을 위한 릴레이(relay)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공고 메시지(announcement message)를 생성하며,
    상기 공고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고 메시지는 D2D 통신 범위 내의 UE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고 메시지는 상기 리스트 내의 개별 UE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user information parameter) 및 계층 2 식별자(layer-2 identifi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UE의 상기 리스트 내의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frame)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또한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수신된 상기 프레임은 소스 계층 2 ID 필드(source layer-2 ID field)와, 목적지 계층 2 ID 필드(destination layer-2 ID field)와, 릴레이 계층 2 ID 필드(relay layer-2 ID field)와, '릴레이로'(to relay)로 설정된 방향 필드(direction field)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프레임은 소스 계층 2 ID 필드와, 목적지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 계층 2 ID 필드와, '릴레이로부터'(from relay)로 설정된 방향 필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명령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와 커플링되어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UE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리스트를 판정하고,
    상기 리스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UE가 상기 리스트에 있는 다른 UE들 사이의 D2D 통신을 위한 릴레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 상기 메시지는, UE 대 UE 릴레이 탐지(UE-to-UE relay discovery)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와, 상기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가짐 -,
    상기 메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 회로를 제어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UE.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공고 메시지인
    UE.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상기 다른 UE 중 하나인 발신 UE(sending UE)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에 응답하여 생성된 응답 메시지인
    UE.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UE.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와 연관된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하는
    UE.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UE 계층 2 식별자는 상기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상기 리스트 내의 UE와 연관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또한 상기 UE의 계층 2 식별자를 포함하는
    UE.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발신 UE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릴레이 프레임을 또한 생성하되, 상기 발신 UE는 상기 UE가 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다른 UE의 상기 리스트 내에 있는
    UE.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명령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UE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통신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복수의 다른 UE를 탐지하기 위해 그룹 멤버 탐지를 수행하고,
    상기 그룹 멤버 탐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UE가 탐지된 복수의 다른 UE들 사이의 D2D 통신을 위한 릴레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공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발신 UE 및 원격 UE 간의 통신을 위해 릴레이 UE로서 작동하도록 하되,
    상기 발신 UE 및 상기 원격 UE는 상기 탐지된 복수의 다른 UE의 일부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계층 2 전송(layer-2 forwarding)을 수행함으로써 릴레이 UE로서 작동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또한 UE 대 UE 릴레이 탐지로 설정된 탐지 유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되되, 상기 UE는 MAC 프레임이 릴레이에 송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방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 UE로부터의 확장된 MAC 헤더의 수신 시에 상기 공고 메시지의 송신 후에 릴레이 UE로서 작동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또한 상기 탐지된 복수의 다른 UE 중 하나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원격 사용자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다른 UE로부터의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되되, 상기 UE는 MAC 프레임이 릴레이에 송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방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 UE로부터의 확장된 MAC 헤더의 수신 시에 상기 응답 메시지의 송신 후에 릴레이 UE로서 작동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77016257A 2015-01-15 2015-12-08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는 탐지 및 통신 KR102474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03754P 2015-01-15 2015-01-15
US62/103,754 2015-01-15
US14/812,833 US9992806B2 (en) 2015-01-15 2015-07-29 Public safet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using a UE-to-UE relay
US14/812,833 2015-07-29
PCT/US2015/064467 WO2016114864A1 (en) 2015-01-15 2015-12-08 Discovery and communication using a ue-to-ue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450A KR20170104450A (ko) 2017-09-15
KR102474135B1 true KR102474135B1 (ko) 2022-12-07

Family

ID=5507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257A KR102474135B1 (ko) 2015-01-15 2015-12-08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는 탐지 및 통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92806B2 (ko)
EP (1) EP3245837A1 (ko)
JP (1) JP2018507574A (ko)
KR (1) KR102474135B1 (ko)
CN (1) CN107113593B (ko)
BR (1) BR112017011833A2 (ko)
WO (1) WO2016114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530B2 (en) * 2015-03-10 2018-04-03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vice-to-device relay communication
CN106162511B (zh) * 2015-04-08 2020-01-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d2d中继节点的确定、使用方法及装置
US9723543B2 (en) * 2015-07-08 2017-08-01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UE-to-network relay
US9986458B2 (en) * 2015-08-27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constrained backhaul availability between a radio access network (RAN) and core network
CN108028863B (zh) * 2015-09-21 2021-10-22 Lg 电子株式会社 处理针对d2d通信系统的id冲突的方法及其设备
US10284605B2 (en) 2016-09-30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providing MCPTT service
KR101892269B1 (ko) * 2016-09-30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기
WO2018143758A1 (ko) * 2017-02-06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ue와 연결을 가진 제2 ue의 페이징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99307B2 (en) 2017-03-27 2019-12-0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data relaying
US10631224B2 (en) 2017-10-05 2020-04-21 Blackberry Limited Authenticating user equipments through relay user equipments
WO2019127115A1 (zh) * 2017-12-27 2019-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2039944A (zh) * 2018-01-12 2020-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838798B2 (en) 2018-06-07 2020-11-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ocessing system for performing predictive error resolution and dynamic system configuration control
US10884839B2 (en) 2018-06-07 2021-01-0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Processing system for performing predictive error resolution and dynamic system configuration control
US20210400448A1 (en) * 2018-10-31 2021-12-23 Convida Wireless, Llc New radio vehicle sidelink discovery
US11283566B2 (en) * 2019-01-18 2022-03-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cooperation
CN112291742B (zh) * 2019-07-25 2022-04-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直连通信的方法和设备
WO2021139906A1 (en) * 2020-01-07 2021-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th selec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in nr network
EP4098069A4 (en) * 2020-01-31 2024-01-24 Ericsson Telefon Ab L M MANAGING CONNECTIONS IN MULTI-HOP NETWORKS
WO2021233200A1 (en) * 2020-05-22 2021-1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11683793B2 (en) * 2020-06-11 2023-06-20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power control using shared resources
CN113825108B (zh) * 2020-06-18 2022-11-2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用户设备传送直接通信请求消息的方法和设备
CN113825109A (zh) * 2020-06-18 2021-12-2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中继传送直接通信请求消息的方法和设备
US11838977B2 (en) * 2020-06-19 2023-12-05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link identifier updat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10409936A1 (en) * 2020-06-29 2021-12-30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reporting sidelink user equipment (ue) capability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84515A (ko) * 2020-10-13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및 rlf에 관련된 ue의 동작 방법
CN116368933A (zh) * 2020-10-23 2023-06-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220256326A1 (en) * 2021-02-11 2022-08-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idelink discovery between user equipments associated with different discovery models
US20230088512A1 (en) * 2021-02-19 2023-03-23 Apple Inc. Technologies For Relay User Equipment Reselection
WO2023092482A1 (zh) * 2021-11-26 2023-06-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过中继终端进行通信的方法及装置、终端
WO2024015498A1 (en) * 2022-07-14 2024-01-18 Innopeak Technology, Inc. Security establish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WO2024031257A1 (en) * 2022-08-08 2024-02-15 Apple Inc. User equipment (ue) routing selection policy (ursp) rules for roaming u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2162A1 (en) * 2012-10-19 2014-04-2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relay discovery protoco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7582A (zh) * 2009-08-31 201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超帧的协作通信方法和设备
CN103179575A (zh) * 2011-12-23 2013-06-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邻近设备通信的方法和系统、网络侧设备和用户设备
CN103188706A (zh) * 2011-12-29 2013-07-03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终端之间进行协作传输的方法和装置
US9485794B2 (en) * 2012-05-23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to support IMS based services
KR101924838B1 (ko) * 2012-08-10 201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2 홉 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019841B2 (en) * 2012-10-19 2015-04-28 Qualcomm Incorporated Architecture for relays in LTE using D2D
WO2014098446A1 (ko) * 2012-12-20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이용한 그룹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40241262A1 (en) * 2013-02-28 2014-08-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dium access control signalling for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US10154402B2 (en) * 2013-07-10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tocol stack architecture for the same
EP2833694A3 (en) * 2013-07-29 2015-04-01 HTC Corporation Method of relay discovery an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3442409B (zh) * 2013-08-20 2016-08-24 浙江大学 宏蜂窝与小蜂窝异构网络下的用户接入方法
KR102083322B1 (ko) * 2013-08-22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립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3476140B (zh) * 2013-09-05 2017-04-12 北京邮电大学 蜂窝系统中d2d和固定中继两种协作多播模式的选择方法
CN104519550A (zh) * 2013-09-26 2015-04-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发现d2d设备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596241B (zh) * 2013-10-14 2017-02-08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终端直通通信的单中继通信方法
GB201319196D0 (en) * 2013-10-30 2013-12-11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9572171B2 (en) * 2013-10-31 2017-02-14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hannel contention
CN103634812B (zh) * 2013-11-27 2017-03-15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用户设备中继同小区设备到设备直传通信的方法
CN106797673B (zh) * 2014-10-03 2021-05-0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实现无线电通信网络中的中继的装置、网络节点和方法
EP3275226B1 (en) * 2015-03-25 2023-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covery message formats disti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2162A1 (en) * 2012-10-19 2014-04-2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relay discovery protocol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43880*
3GPP S2-143881*
3GPP TS23.303 v12.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7574A (ja) 2018-03-15
KR20170104450A (ko) 2017-09-15
US20160212780A1 (en) 2016-07-21
CN107113593A (zh) 2017-08-29
US9992806B2 (en) 2018-06-05
CN107113593B (zh) 2021-02-09
WO2016114864A1 (en) 2016-07-21
EP3245837A1 (en) 2017-11-22
BR112017011833A2 (pt)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135B1 (ko) Ue 대 ue 릴레이를 사용하는 탐지 및 통신
US9674682B2 (en) Enabling D2D functionality for public safety applications
US9386617B2 (en) Discovery and operation of hybrid wireless wide area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10791551B2 (en) Construction of transmission patterns for D2D communication
US11716122B2 (en) Beam management enhancement for FR2 with V-Pol/H-Pol virtualization
US10129908B2 (en) Listen before talk protocol selection
EP293687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fferencitating security configurations in a radio local area network
CN114143871B (zh) 网络连接方法、网络去连接方法及通信装置
US201801987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roximity ser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096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