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668A -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 - Google Patents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668A
KR20160126668A KR1020150058018A KR20150058018A KR20160126668A KR 20160126668 A KR20160126668 A KR 20160126668A KR 1020150058018 A KR1020150058018 A KR 1020150058018A KR 20150058018 A KR20150058018 A KR 20150058018A KR 20160126668 A KR20160126668 A KR 20160126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water
suction pip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3528B1 (ko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이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호 filed Critical 이기호
Priority to KR102015005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5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내부공간이 격판에 의해 여과실과 배수실로 구분되며, 여과실 측벽에 유입관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여과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고 타단이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관 형태로 제작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흡입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관 내부와 연통되고 내부에 피스톤이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 내부에 양압 및 음압을 형성시키는 압력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관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관의 중단에 연결되는 이송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수실 내에 장착되는 배수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내부의 봉수가 자동으로 배출되어 건조상태 유지가 가능하고, 유지 등과 같은 부유물이 자동으로 포집되므로 부유물 제거가 용이하며, 자동 세척이 가능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Grease trap having drying and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에 관한 오폐수에 함유된 유지분을 제거한 후 배출시키는 그리스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여 봉수의 부패 및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대형 급식소 등에서는 요리에 사용한 조리기구나 기름이 묻은 그릇 등을 세척하게 되므로, 이러한 곳에 배출되는 오수에는 유지 및 부유물질이 포함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유지가 오수에 섞여 배출되면 환경오염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관에는 물과 기름을 분리하여 물만 배출하고 분리된 기름은 수거하여 별도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그리스트랩이라는 장치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그리스트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리스트랩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리스트랩은, 양측에 유입관(20)과 배출관(30)이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거름실(13)과 유지분리실(14)과 배수실(15)로 구분하는 제1 격판(11) 및 제2 격판(12)과, 상기 거름실(13) 내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관(20)을 통해 유입된 오수는 거름망(40)을 지나면서 고체형태의 이물질이 걸러진 후, 유지분리실(14)로 전달된다. 유지분리실(14)로 전달된 오수에는 다량의 유지(2)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유지(2)는 밀도차이에 의해 상측으로 떠올라 격판(11, 12)에 걸리게 되므로 배출관(30) 측으로는 물만이 배출된다. 유지분리실(14)에 모아진 유지(2)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유지(2)를 손으로 걷어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유지(2)를 수작업으로 걷어내는 과정에서 많은 악취와 불쾌감을 유발되는바, 유지(2) 제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일정량의 봉수(1)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봉수(1)가 장시간 고인 상태를 유지하면 부패 및 악취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 내의 봉수(1)를 모두 배출시켜 하우징(10)을 주기적으로 건조시키는 작업이 필요한데, 종래의 그리스트랩은 봉수(1) 배출이 매우 난해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7-011259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부의 봉수가 자동으로 배출되어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수면 위의 유지가 자동으로 포집될 수 있으며, 자동 세척이 가능한 그리스트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내부공간이 격판에 의해 여과실과 배수실로 구분되며, 여과실 측벽에 유입관이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여과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고 타단이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관 형태로 제작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흡입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관 내부와 연통되고 내부에 피스톤이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 내부에 양압 및 음압을 형성시키는 압력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관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관의 중단에 연결되는 이송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수실 내에 장착되는 배수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관은 외부의 물이 유입은 가능하고 내부의 물이 유출은 불가하도록 내부유로 일측에 흡입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은 상기 흡입관으로부터의 물 유입은 가능하고 상기 흡입관으로의 물 유출은 불가하도록 내부유로에 이송체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 중 하우징 내의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이송관의 타단이 연결된 지점 사이에는, 상기 배출관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배출체크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을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단이 높고 타단이 낮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회전파이프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파이프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폭방향이 상기 회전파이프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파이프 회전 시 상기 여과실 내부의 부유물을 퍼 올리는 거름날개와, 상기 거름날개를 타고 하강하는 부유물이 상기 회전파이프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의 측벽에 형성된 부유물유입공과, 상기 회전파이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파이프 회전 시 상기 회전파이프 내부의 부유물을 상기 회전파이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회전파이프 일측으로부터 배출되는 부유물을 저장하는 포집케이스와, 상기 회전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하는 부유물포집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거름날개는, 길이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파이프의 회전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유물유입공은, 길이방향이 상기 회전파이프의 회전축과 나란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부유물포집유닛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내부의 봉수가 자동으로 배출되어 건조상태 유지가 가능하고, 유지 등과 같은 부유물이 자동으로 포집되므로 부유물 제거가 용이하며, 자동 세척이 가능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그리스트랩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부유물 포집유닛의 분해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수유닛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지(2) 등과 같은 부유물질을 걸러낸 후 물 성분의 오수만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악취 역류 방지를 위한 봉수(1)를 필요에 따라 모두 방류시킴으로써 내부 건조 및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내부공간이 격판(110)에 의해 여과실(120)과 배수실(130)로 구분되며 여과실(120) 측벽에 유입관(140)이 장착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여과실(120) 내부에 장착되어 유입관(14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200)과, 상기 배수실(130) 내의 봉수(1)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될 때 내부의 봉수(1)를 외부로 방류시키되 사용자가 건조모드를 선택하였을 때에는 하우징(100) 내부의 모든 봉수(1)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관(140)과 거름망(200)은 종래의 그리스트랩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의 유체를 모두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고 타단이 하우징(100)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410)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관 형태로 제작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흡입관(420)과, 일단이 상기 흡입관(420) 내부와 연통되고 내부에 피스톤(432)이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432)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420) 내부에 양압 및 음압을 형성시키는 압력관(430)과, 일단이 상기 흡입관(420)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관(410)의 중단에 연결되는 이송관(440)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피스톤(432)이 작동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흡입관(420)으로 봉수(1)가 유입되지 아니하는바, 종래의 그리스트랩을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0) 내의 봉수(1)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될 때 상기 봉수(1)가 배출관(410)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피스톤(432)이 왕복 이송되면 하우징(100) 내의 봉수(1)는 흡입관(420)으로 흡입된 후 이송관(440) 및 배출관(410)을 통해 강제로 배출되므로, 하우징(100) 내부는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하우징(100) 내의 봉수(1)를 직접 손으로 퍼내지 아니하더라도 하우징(100) 내부의 봉수(1)를 모두 배출시켜 하우징(100)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봉수(1)의 부패 및 이에 의한 악취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휴일 등과 같이 장시간동안 하우징(100) 내부로의 오수 유입이 발생되지 아니할 때에는 하우징(100) 내의 봉수(1)가 쉽게 부패될 수 있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를 건조상태로 두면 봉수(1)의 부패 및 악취발생 방지효과를 더욱 크게 얻을 수 있다.
이때, 흡입관(420) 내부가 모두 봉수(1)로 채워져 있어야 봉수(1) 배출압을 높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 중 배수실(130) 측 일부에 오목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420)은 오목부(102)에 안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흡입관(420)이 오목부(102)에 매립되는 구조로 장착되면, 하우징(100) 내의 봉수(1) 수량이 적더라도 오목부(102)로 모아지는바, 하우징(100) 내부의 봉수(1)가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관(420)으로 흡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봉수(1) 배출압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432)의 동작에 의해 봉수(1)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내부가 비워진 하우징(100) 내측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는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노즐(600)은 세척수만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내측에 세척노즐(600)이 구비되면, 하우징(100) 내부의 봉수(1)를 모두 배출시킨 후 하우징(100) 내측으로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시킴으로써 하우징(100) 내측을 세척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세척노즐(600)을 이용하여 하우징(100) 내부를 세척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부유물 포집유닛의 분해사시도 및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하우징(100) 내의 봉수(1) 수면으로 떠오르는 유지(2) 등과 같이 이물질을 한 군데로 포집할 수 있도록, 부유물포집유닛(300)을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 있어 구성상 특징이 있다.
상기 부유물포집유닛(300)은,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단이 높고 타단이 낮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회전파이프(310)와,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거름날개(320)와,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측벽에 형성된 부유물유입공(312)과, 상기 회전파이프(310)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스크류(330)와, 상기 회전파이프(310) 일단 하측에 장착되는 포집케이스(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름날개(320)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회전파이프(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폭방향이 회전파이프(3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거름날개(320) 중 하측에 위치하는 거름날개(320)는 길이방향 끝단이 봉수(1)의 수면 아래로 잠기도록 위치되는바, 회전파이프(310)가 회전함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였던 거름날개(320)가 봉수(1)의 수면 위로 올라오게 되면, 때 수면에 떠 있는 유지(2) 등의 부유물은 거름날개(320)에 의해 퍼 올려지고 봉수(1)는 타공판을 투과하여 아래로 떨어진다. 이때, 회전파이프(310)가 더 회전하여 부유물을 퍼 올린 거름날개(320)의 경사각이 더 커지면 즉, 거름날개(320)가 상향으로 세워지면, 상기 유지(2) 등과 같은 부유물은 도 5의 점선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날개(320)를 타고 흘러내려 부유물유입공(312)을 통해 회전파이프(310) 내측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330)는 외측 끝단이 회전파이프(3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파이프(31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파이프(310) 내부로 유입된 부유물은 회전파이프(310) 회전 시 이송스크류(330)의 날개를 타고 회전파이프(310) 일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포집케이스(340)에 담겨진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봉수(1) 수면에 떠 있는 유지(2) 등의 부유물이 포집케이스(340)로 포집되는바, 사용자는 하우징(100) 내의 부유물을 일일이 떠낼 필요 없이 포집케이스(340)를 비우는 조작만으로 하우징(100) 내부의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포집케이스(340)에 별도의 펌프를 추가 장착함으로써, 유지(2) 등과 같은 부유물을 자동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봉수(1)의 수면에 떠 있는 부유물을 퍼 올리고 회전파이프(310) 내부의 부유물을 포집케이스(340)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회전동작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상기 회전파이프(31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회전모터(35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기술적 사상은 이미 여러 분야에 걸쳐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회전모터(350)가 회전파이프(310)를 회전시키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거름날개(320)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부유물을 퍼 올리는 효율이 낮아지는바, 상기 거름날개(320)는 길이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회전파이프(310)의 회전방향(도 5에서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름날개(320)를 타고 흘러내리는 부유물이 모두 회전파이프(3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부유물유입공(312)은 길이방향이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회전축과 나란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봉수(1) 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중 일부는 봉수(1)의 수면 위로 떠오르지 못하고 봉수(1)의 수면 아래에 떠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봉수(1)의 수면 아래에 떠 있는 부유물은 거름날개(320)에 의해 퍼올려지지 못하므로 포집이 불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봉수(1)의 수면 아래에 떠 있는 부유물을 봉수(1)의 수면으로 부상시켜 거름날개(320)에 의해 퍼 올려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에 상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500)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바닥에 에어노즐(500)이 장착되면, 봉수(1)의 수면 아래에 떠 있던 부유물은 에어노즐(500)에서 분사된 공기방울과 함께 봉수(1)의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는바, 거름날개(320)에 의해 퍼 올려져 포집케이스(340)로 포집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수유닛(400)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수유닛(400)은 피스톤(432) 왕복 시 발생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봉수(1)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피스톤(432)이 움직이지 아니하고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하우징(100) 내의 봉수(1)가 강제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만 배출관(410)을 통해 인출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내의 봉수(1)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었을 때 배출관(410)을 통해 배출되는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그리스트랩에도 동일하고 적용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00) 내부의 봉수(1)를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432)을 상승시키면, 흡입관(420)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의 봉수(1)가 흡입관(420) 내로 유입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432)을 하강시키면 흡입관(420) 내의 봉수(1)가 압축되면서 이송관(440)으로 유입된 후, 배출관(4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420)의 일측(더 명확하게는 봉수(1)가 유입되는 측)에는 유입방향으로는 물이 흐를 수 있지만 유출방향으로는 물이 흐를 수 없도록 흡입체크밸브(422)가 장착되고, 이송관(440)의 하측에도 유입방향으로는 물이 흐를 수 있지만 유출방향으로는 물이 흐를 수 없도록 이송체크밸브(442)가 장착되는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피스톤(432)이 하강될 때 흡입관(420) 내의 봉수(1)는 흡입관(420) 입구측으로는 흐르지 못하고 전량 이송관(440)으로 흐르게 된다.
한편, 이송관(440)으로 유입된 봉수(1)는 배출관(410) 중단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봉수(1)가 배출관(410)의 입구측으로 역류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흐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관(410)에는 배출체크밸브(412)가 장착된다. 상기 배출체크밸브(4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410) 중 하우징(100) 내의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이송관(440)의 타단이 연결된 지점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관(410)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도 2에서는 우측방향)으로만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물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바, 이송관(440)을 통해 배출관(410) 내부로 유입된 봉수(1)는 전량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은, 피스톤(432)이 1회 왕복할 때마다 피스톤(432)의 스트로크 체적만큼의 봉수(1)가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는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봉수(1)를 퍼내지 아니하더라도 하우징(100) 내부의 봉수(1)를 모두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432)은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왕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구동실린더(434)에 의해 왕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실린더(434)는 피스톤(432)을 왕복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실린더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그리스트랩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세척노즐(600)은 하우징(100) 내부에 봉수(1)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도 세척수를 분사하여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의 봉수(1)가 모두 배출된 상태에서 세제와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하우징(100) 내부를 세척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로 세제와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면, 하우징(100) 내벽에 붙어 있는 물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 내벽을 살균 및 소독까지 할 수 있으므로, 그리스트랩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 내부로 세제와 세척수 분사가 완료되면, 다시 한 번 배수유닛(400)을 작동시켜 하우징(100) 내의 세제 및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일정 시간 방치하여 하우징(100) 내부를 자연건조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가 건조되면, 하우징(100) 내의 곰팡이나 세균이 사멸되는바, 상기 하우징(100)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 내부가 비워진 이후 보다 빠르게 건조될 수 있도록, 에어노즐(500)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분사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면, 하우징(100) 내부 전체에 걸쳐 공기 유동이 발생되는바, 하우징(100) 내벽의 물기가 매우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봉수 2 : 유지
100 : 하우징 102 : 오목부
110 : 격판 120 : 여과실
130 : 배수실 140 : 유입관
200 : 거름망 300 : 부유물포집유닛
310 : 회전파이프 312 : 부유물유입공
320 : 거름날개 330 : 이송스크류
340 : 포집케이스 350 : 회전모터
400 : 배수유닛 410 : 배출관
412 : 배출체크밸브 420 : 흡입관
422 : 흡입체크밸브 430 : 압력관
432 : 피스톤 434 : 구동실린더
440 : 이송관 442 : 이송체크밸브
500 : 에어노즐 600 : 세척노즐

Claims (7)

  1. 내부공간이 격판(110)에 의해 여과실(120)과 배수실(130)로 구분되며, 여과실(120) 측벽에 유입관(140)이 장착되는 하우징(100);
    상기 여과실(12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관(14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200);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고 타단이 하우징(100)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관(410)과,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관 형태로 제작되어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흡입관(420)과, 일단이 상기 흡입관(420) 내부와 연통되고 내부에 피스톤(432)이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432)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420) 내부에 양압 및 음압을 형성시키는 압력관(430)과, 일단이 상기 흡입관(420)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관(410)의 중단에 연결되는 이송관(440)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수실(130) 내에 장착되는 배수유닛(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420)은 외부의 물이 유입은 가능하고 내부의 물이 유출은 불가하도록 내부유로 일측에 흡입체크밸브(422)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440)은 상기 흡입관(420)으로부터의 물 유입은 가능하고 상기 흡입관(420)으로의 물 유출은 불가하도록 내부유로에 이송체크밸브(442)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410) 중 하우징(100) 내의 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이송관(440)의 타단이 연결된 지점 사이에는, 상기 배출관(410)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배출체크밸브(4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432)을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실린더(4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단이 높고 타단이 낮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회전파이프(310)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폭방향이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타공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파이프(310) 회전 시 상기 여과실(120) 내부의 부유물을 퍼 올리는 거름날개(320)와, 상기 거름날개(320)를 타고 하강하는 부유물이 상기 회전파이프(31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측벽에 형성된 부유물유입공(312)과, 상기 회전파이프(3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파이프(310) 회전 시 상기 회전파이프(310) 내부의 부유물을 상기 회전파이프(310)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30)와, 상기 회전파이프(310) 일측으로부터 배출되는 부유물을 저장하는 포집케이스(340)와, 상기 회전파이프(3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50)를 구비하는 부유물포집유닛(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름날개(320)는, 길이방향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유물유입공(312)은, 길이방향이 상기 회전파이프(310)의 회전축과 나란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에는 상기 부유물포집유닛(300)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
KR1020150058018A 2015-04-24 2015-04-24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 KR10167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018A KR101673528B1 (ko) 2015-04-24 2015-04-24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018A KR101673528B1 (ko) 2015-04-24 2015-04-24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668A true KR20160126668A (ko) 2016-11-02
KR101673528B1 KR101673528B1 (ko) 2016-11-21

Family

ID=5751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018A KR101673528B1 (ko) 2015-04-24 2015-04-24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5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274A (ko) * 2020-02-17 2021-08-25 도윤경 오폐수 수집 및 배출용 그리스 트랩
CN114086645A (zh) * 2021-11-18 2022-02-25 北京宇阳泽丽防水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铁路用防排一体化防水系统
US11309477B2 (en) 2017-03-30 2022-04-19 Lg Chem, Ltd. Thermoelectric modu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594U (ja) * 1991-05-30 1992-12-15 株式会社大一東亜 グリーストラツプ
JP2003266062A (ja) * 2002-03-14 2003-09-24 Japan Environmental Development Inc グリストラップの浄化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100687698B1 (ko) * 2006-07-03 2007-02-27 우천용 그리스트랩 및 그리스트랩 청소장치
KR20070112595A (ko) 2006-05-22 2007-11-27 홍용은 그리스트랩
KR20150026091A (ko) * 2013-08-30 2015-03-11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응기의 유체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594U (ja) * 1991-05-30 1992-12-15 株式会社大一東亜 グリーストラツプ
JP2003266062A (ja) * 2002-03-14 2003-09-24 Japan Environmental Development Inc グリストラップの浄化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20070112595A (ko) 2006-05-22 2007-11-27 홍용은 그리스트랩
KR100687698B1 (ko) * 2006-07-03 2007-02-27 우천용 그리스트랩 및 그리스트랩 청소장치
KR20150026091A (ko) * 2013-08-30 2015-03-11 제일모직주식회사 반응기의 유체 배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9477B2 (en) 2017-03-30 2022-04-19 Lg Chem, Ltd. Thermoelectric module
KR20210104274A (ko) * 2020-02-17 2021-08-25 도윤경 오폐수 수집 및 배출용 그리스 트랩
CN114086645A (zh) * 2021-11-18 2022-02-25 北京宇阳泽丽防水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铁路用防排一体化防水系统
CN114086645B (zh) * 2021-11-18 2023-09-22 北京宇阳泽丽防水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铁路用防排一体化防水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528B1 (ko)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528B1 (ko) 건조 및 세척기능을 구비하는 그리스트랩
KR100644763B1 (ko) 야채 세척기
CN109403433B (zh) 一种便于清洁的水槽
US9717220B2 (en) Aquarium filter with water stream diver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40133111A1 (en) Microplastic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CN108784446B (zh) 一种智能电饭煲、集成式电动阀及滤网管道
CN109942135A (zh) 一种食品生产用污水净化处理装置
US8646139B1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washing and drying a product
US9839867B2 (en) Auto-cleaning marination filter for poultry injector system
KR200469983Y1 (ko) 배관용 진공 청소장치
CN212994310U (zh) 一种地瓜用清洗装置
JP4219275B2 (ja) 食器洗浄機内の汚水を収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527663B2 (ja) 多段式濾過装置
CN108125656B (zh) 一种自动增压式清洁球
KR100559733B1 (ko) 어항 청소기
JP5097884B2 (ja) 野菜洗浄機
CN216823353U (zh) 残留水去除装置及其洗碗机
JP3198267U (ja) グリーストラップ清掃装置
CN201088970Y (zh) 鱼缸清洗器
KR101524657B1 (ko) 식기 세척기용 세척수 정화장치
JP3924689B2 (ja) 海苔異物除去方法及び装置
CN116272227B (zh) 一种bopp膜生产用粉尘废气收集装置
CN115382429B (zh) 一种旋风分离水处理装置及水处理方法
CN212532376U (zh) 污水处理池池面浮物清理系统
KR200440453Y1 (ko) 수족관용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