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832A -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832A
KR20160125832A KR1020150056847A KR20150056847A KR20160125832A KR 20160125832 A KR20160125832 A KR 20160125832A KR 1020150056847 A KR1020150056847 A KR 1020150056847A KR 20150056847 A KR20150056847 A KR 20150056847A KR 20160125832 A KR20160125832 A KR 20160125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ack
thermal conductivity
rubber
parts
conductiv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혁
김민호
박창신
오완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오테크
Priority to KR102015005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832A/ko
Priority to CN201510206763.6A priority patent/CN106146920A/zh
Publication of KR2016012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380/00Ty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고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카본블랙과 친환경적인 실리카를 첨가하여 열전도성이 향상됨으로써 가류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류 중에 발생되는 열노화를 방지함으로써 마모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의 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에 전도성 카본블랙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RETREAD RUBBER COMPOSITION FOR TIRE TREAD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AND ABRASION RESISTANT PROPERTY}
본 발명은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고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카본블랙과 친환경적인 실리카를 첨가하여 열전도성이 향상됨으로써 가류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류 중에 발생되는 열노화를 방지함으로써 마모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트레드 조성물에 의해 내구성, 내마모성, 제동성, 소음 및 진동, 그리고 연비 등과 같은 성능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내구성, 내마모성은 타이어의 주요한 성능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타이어 트레드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은 고무의 요구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일정 온도에서 가류가 필요하고 이는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므로 열전도성이 높은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면 가류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고무는 비교적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시간의 가류가 필요하며, 특히 트럭이나 버스와 같이 대형 차량용 타이어의 경우 트레드부가 두꺼워 내부에서 미가류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 최근 타이어의 경제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것과 함께 특히 트럭이나 버스 등에 사용되는 대형 타이어의 경우, 사용된 타이어의 마모된 트레드 부위를 제거한 원단에 트레드부를 다시 제조한 리트레드(Retread)를 다시 붙여 사용하는 재제조 타이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재제조 타이어의 경우도 리트레드 조성물은 내마모성과 동시에 내발열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되지만 재제조 타이어의 경우에는 그 리트레드가 신품의 타이어의 트레드에 비하여 두께가 더 두꺼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발열적으로는 더 어려운 구조이다. 즉, 한번 이상 사용된 타이어 원단은 주행 중의 발열에 의하여 이미 열 노화가 진행되어 내구성이 취약한 상태이며, 여기에 리트레드를 입혀 이를 다시 비교적 높은 온도로 가류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재제조 타이어는 열에 장시간 노출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신품 타이어에 비하여 주요한 성능이 부족한 문제를 갖는다.
특히, 재제조 타이어에서 리트레드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운동량이 가장 많고 두께가 두꺼워 열 방출이 잘되지 않고 축적되는데, 이렇게 축적된 열에 의해 리트레드 부위의 온도가 상승하면 리트레드의 마모율은 급격히 낮아지고, 재제조 타이어의 주된 사고 원인으로도 이어진다.
따라서, 재제조 타이어의 제조에는 리트레드 고무 조성물의 열전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가류 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 방열을 향상시켜 재제조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된다.
고무 조성물의 열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이 카본 블랙의 배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본 블랙의 배합량을 증가시키면 고무 조성물의 열전도도는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타이어의 경우 카본 블랙을 다량 사용한 고무조성물을 사용하면 동적 상태에서 높은 발열 특성을 가지게 되며 이런 높은 발열 특성은 타이어 내부의 열 축적을 심화시키고 타이어 사고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고무 조성물의 열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스테아린산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열전도성이 높은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27180호에는 스테아린산과 산화 아연을 첨가함으로써 열전도성과 저발열의 물성을 향상시킨 "타이어용저발열특성고무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스테아린산이나 산화 아연은 카본 블랙보다 보강성이 크게 떨어지므로 타이어의 내마모성이 크게 저하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79493호에는 평균 입자경이 15 내지 25nm이고 DBP 흡유량이 130cm2/100g 이상인 카본 블랙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DBP 흡유량이 낮고 평균 입자경이 크기 때문에 열전도성 크지 않고 보강성이 떨어지는 한계를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27180호 : 타이어용저발열특성고무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79493호 : 열전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고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카본블랙과 친환경적인 실리카를 첨가하여 열전도성이 향상됨으로써 가류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류 중에 발생되는 열노화를 방지함으로써 마모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의 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에 전도성 카본블랙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실리카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은 평균 입자경이 1내지 10nm이고, DBP 흡유량이 3,000 ml/100g 이상이며, BET 표면적이 70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은 평균 입자경이 1내지 10nm이고, DBP 흡유량이 3,000 ml/100g 이상이며, BET 표면적이 70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은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실리카는 15 내지 40 중량부, 범용 카본블랙은 20 내지 60 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원료고무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6 중량부인 경우에는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원료고무 100 중량부 대비 6 중량부 보다 크고 10 중량부 이하인 경우 니더 믹서(Kneader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원료고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카본블랙과 친환경적인 실리카를 첨가하여 열전도성이 향상됨으로써 가류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류 중에 발생되는 열노화를 방지함으로써 마모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전도성이 우수한 전도성 카본블랙을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열전도성이 높아지며, 열전도성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내구성 및 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기존의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과 대비하여 동등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제조 타이어를 제조함에 있어서 가류 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 고무원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전도성 카본블랙이 5중량부 첨가된 조성물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 고무원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전도성 카본블랙이 30중량부 첨가된 조성물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 고무원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전도성 카본블랙이 5중량부 첨가된 조성물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 고무원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전도성 카본블랙이 30중량부 첨가된 조성물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원료고무에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도성 카본블랙이 첨가되고, 내구성 및 내마모성의 향상을 위해 실리카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고무로는 천연고무나 에스비알(SBR)과 같은 합성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또는 둘이상이 선택되어 혼합된 것이다.
일반적으 타이어의 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 사용되는 카본블랙('범용 카본블랙'이라 정의한다)은 평균 입자경이 18~30 nm이고, DBP 흡유량은 100~120 ml/100g이며, BET 표면적은 80~140 /g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 열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전도성이 높은 카본블랙('전도성 카본블랙'이라 정의한다)은 평균 입자경이 1~10 nm이고, DBP 흡유량은 3,000 ml/100g 이상이며, BET 표면적은 700 /g이상이다. 아래의 표1은 '범용 카본블랙'과 '전도성 카본블랙'의 종류 및 각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표1에서 카본블랙 N100, N220, N330, N990은 '범용 카본블랙'에 해당되고, 카본블랙 KMH77은 '전도성 카본블랙'에 해당된다.
항목 단위 Carbon black SILICA
N110 N220 N330 N990 KMH77
DBP 흡유량 ml/100g 115 114 102 88 3,300 200
BET 표면적 /g 135 115 80 65 1,400 120~250
평균 입자경 nm 18 21 27 40 2~4 5~3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표1에 정리된 범용 카본블랙과 함께 전도성 카본블랙 및 실리카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은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실리카는 15 내지 40 중량부, 범용 카본블랙은 20 내지 60 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1 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열전도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게 되고,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리트레드의 생산성 및 가공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의 제조에서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의 함량에 따라 점도가 달라지므로 혼합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원료고무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6 중량부인 경우에는 혼합물의 점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진공상태에서 고속(40 rpm 이상)으로 회전되는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원료고무 100 중량부 대비 6 중량부 보다 크고 10 중량부 이하인 경우 점도가 높아 저속(25 rpm 정도)로 회전되는 니더 믹서(Kneader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을 첨가함으로써 열전도성이 향상되어 재제조 타이어의 생산시 가류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에 재제조 타이어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방출하여 타이어 내마모성, 내구력을 개선키시며 친환경 타이어를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일실시예는 범용 카본블랙(N220)과 전도성 카본블랙(KMH77) 및 실리카를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합제(1)와 표2에 기재된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원료고무는 일반적인 타이어의 생산에 사용하는 천연고무 60 중량부와 에스비알 1502(SBR 1502) 40 중량부에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프로세스 오일, 노화 방지제, 유황 및 가황촉진제 등의 배합제(1)를 통상의 배합비율로 사용하였다.
아래 표2에서 각 시험군의 범용 카본블랙, 전도성 카본블랙 및 실리카의 사용량은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로 표시하였다.
각 시험군의 혼합물은 전기 가황 프레스를 사용하여 160℃에서 90% 시간동안 가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시험군의 배합비로로 제조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 대해 무늬점도, 기계적 물성, 내마모성 및 전기 전도도를 하기 표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에서 각 시험군은 전도성 카본블랙의 사용량을 달리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시험군으로 제조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래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의 특성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항목 시험군1 시험군2 시험군3 시험군4 시험군5
배합제(1)
범용 카본블랙 20 20 20 20 20
전도성 카본블랙 2 4 6 8 10
실리카 30 30 30 30 30
특성 결과
무늬 점도(lb-inch)(2) 52 56 76 96 110
90% 가황시간(분)(3) 3.2 3.2 3.0 2.8 2.7
인장강도(Mpa)(4) 25.9 25.9 26.7 26.5 25.9
발열(℃)(5) 21 26 32 35 40
내마모(%)(6) 14.0 13.0 12.0 11.5 11.0
전기전도도(KΩ)(7) 측정불가 300,000 5.0 0.7 0.2
주행시험(km)(8) 62,000 65,000 70,200 69,500 69,200
(1) 배합제는 일반적인 타이어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천연고무 60 중량부와 에스비알 1502 40 중량부에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프로세스 오일, 노화 방지제, 유황 및 가황촉진제 등을 통상의 배합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함
(2) KS M 6605 무늬 시험법으로 100에서 측정함
(3) KS M 6687 미가황 고무 가황도 시험법으로 측정함
(4) KS M 6518 가황고무 물성 측정법으로 측정함
(5) KS M / ISO 4666-3 발열 시험법으로 측정함
(6) KS M 6625 가교 고무의 마모 시험법으로 측정함
(7) MULTIMETER 2000(keithely)을 이용하여 20 mm 간격으로 저항을 측정함
(8) 11R22.5 규격으로 시내 버스 장착 및 실차시험을 시행함 (무사고)
상기 표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 전도성 카본블랙의 첨가량이 증가될 수록 90% 가류 시간이 단축되어 타이어 가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장강도는 전도성 카본블랙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전도성 카본블랙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무늬 점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배합 및 압출 가공성을 어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는 전도성 카본블랙을 첨가함으로써 90% 가류 시간이 단축되어 타이어 가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일정 범위(원료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전도성 카본블랙 1 내지 10 중량부)에서는 인장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배합 및 압출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 발열의 경우 전도성 카본블랙의 사용량이 증가하면 발열이 높아지는데 이는 전도성 카본블랙의 사용량의 증가로 전기 전도도가 급격히 향상(전기저항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측정)되는 것으로부터 예상되는 타이어의 열전도도의 향상으로 타이어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빨리 방출된다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 내마모성 역시 전도성 카본블랙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향상되는데 이는 카본블랙의 기본 알갱이 크기가 작아 조성물의 보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도 1 및 도 2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에서는 전도성 카본블랙과 친환경적인 실리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가류 중이나 주행 중 타이어 내부에서 열이 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열전도성(또는 발열 특성)이 향상된다.
도면 및 앞에서 설명된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의 조성물에 있어서,
    원료고무에 전도성 카본블랙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실리카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은 평균 입자경이 1내지 10nm이고, DBP 흡유량이 3,000 ml/100g 이상이며, BET 표면적이 70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은 평균 입자경이 1내지 10nm이고, DBP 흡유량이 3,000 ml/100g 이상이며, BET 표면적이 70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은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실리카는 15 내지 40 중량부, 범용 카본블랙은 20 내지 60 중량부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원료고무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6 중량부인 경우에는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원료고무 100 중량부 대비 6 중량부 보다 크고 10 중량부 이하인 경우 니더 믹서(Kneader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KR1020150056847A 2015-04-22 2015-04-22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KR20160125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47A KR20160125832A (ko) 2015-04-22 2015-04-22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CN201510206763.6A CN106146920A (zh) 2015-04-22 2015-04-28 导热性及耐磨性提高的翻新轮胎用翻新胎面橡胶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847A KR20160125832A (ko) 2015-04-22 2015-04-22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832A true KR20160125832A (ko) 2016-11-01

Family

ID=5734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847A KR20160125832A (ko) 2015-04-22 2015-04-22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25832A (ko)
CN (1) CN1061469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2676A (zh) * 2019-02-21 2020-08-28 正新橡胶工业股份有限公司 具导电性复合胶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180A (ko) 1995-11-24 1997-06-24 홍건희 타이어용 저발열 특성 고무 조성물
KR0179493B1 (ko) 1995-10-19 1999-05-15 홍건희 열전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171A (en) * 1997-04-10 1999-02-16 Bridgestone/Firestone, Inc. Silica containing tire compositions for suppression of static charge accumulation
JP2007051170A (ja) * 2005-08-12 2007-03-01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785205B2 (ja) * 2013-04-01 2015-09-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792764B2 (ja) * 2013-05-02 2015-10-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493B1 (ko) 1995-10-19 1999-05-15 홍건희 열전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970027180A (ko) 1995-11-24 1997-06-24 홍건희 타이어용 저발열 특성 고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46920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216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EP3434498B1 (en) Pneumatic tire comprising outer apex
JP5864830B2 (ja) 重荷重用タイヤの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EP3412719B1 (en) Pneumatic tire comprising outer apex
JP5482910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KR100693449B1 (ko) 트럭 및 버스용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20160125832A (ko) 열전도성 및 내마모 성능이 향상된 재제조 타이어용 리트레드 고무 복합체 조성물
JP2010270266A (ja)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20200005265A (ko) 핸들링 성능 및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승용차 타이어용 언더트레드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101703455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1766053B1 (ko) 저연비 타이어의 림쿠션용 고무 조성물
CN108641127A (zh) 一种用于变速箱悬置的硅基耐热橡胶及其制备方法
KR20060134483A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488329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8563B1 (ko) 타이어 비드 인슐레이션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102242185B1 (ko) 열전도성 및 내피로성이 향상된 바이어스 타이어 가류용 브래더 고무조성물
KR101000813B1 (ko) 고하중 타이어 비드 인슐레이션 고무 조성물
KR20160004487A (ko) 그래핀옥사이드/개질 고무 복합체를 적용한 인너라이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20160069214A (ko) 저연비 성능이 향상된 타이어 고무 조성물
KR102612230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타이어드레드
KR100962622B1 (ko) 타이어 언더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1074336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JP2012031387A (ja) 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KR20120058698A (ko) 타이어 험프 스트립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JP6610168B2 (ja) 重荷重用タイヤ用ゴム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