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736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736A
KR20160125736A KR1020150056576A KR20150056576A KR20160125736A KR 20160125736 A KR20160125736 A KR 20160125736A KR 1020150056576 A KR1020150056576 A KR 1020150056576A KR 20150056576 A KR20150056576 A KR 20150056576A KR 20160125736 A KR20160125736 A KR 20160125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container
opening
contents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윤우
Original Assignee
탁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윤우 filed Critical 탁윤우
Priority to KR102015005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736A/ko
Publication of KR2016012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용기의 내부 압력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구조를 제공한다.
용기(100)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중앙에서 용기 본체 내측으로 입설되는 제1 가이드 봉(60)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캡(20)과, 상기 상부 캡의 중앙 하단에 입설되는 통공부를 갖는 제2 가이드 봉(70)과,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통공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개폐 밸브(131)를 구비하고, 그 개폐 밸브의 개방구(35)가 상기 상부 캡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 되도록 상기 상부 캡에 결합되는 배출 버튼(30)과, 하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끼워지고, 상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통공부에 끼워져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이드 봉(80)과, 상기 용기 내에서 일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봉(70)의 상단을 감싸 기밀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 가이드 봉(80)의 하단을 감싸 기밀 상태로 고정되는 신축 튜브(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용기{A vessel}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의 내용물을 용기의 내부 압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압을 이용하는 용기는 화장품, 치약, 반액체 또는 에어졸 상태의 세정제, 살균제, 방향제 등을 담는 용기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용기의 한 예로 일본 특개평7-89581호의 공보에는 도 8과 같이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의 입구에 결합되는 상부 캡(23)과, 상부 캡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개폐 밸브(21)와, 상기 개폐 밸브의 상단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 버튼(25)과, 상기 개폐 밸브의 하단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 내로 연장되는 튜브(19)와, 용기 본체(11)의 입구와 상부 캡(23)의 가장자리를 밀봉하는 합성수지(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내에 내장되는 액체 또는 에어졸 상태의 내용물(17)은 용기 본체(11) 내에 혼합된 압축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출 버튼(25)을 누름으로써 개폐 밸브(23)가 개방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용기 내의 압축 가스로는 프레온, LPG, 디메틸 에테르 등의 액화 가스와 질소 가스, 탄산 가스 등이 이용된다.
일본 특개평7-8958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 배출시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압축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기 내의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용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압축 가스를 사용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폭발 등에 대한 염려가 적은 안전한 구조의 용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 가스가 들어있는 용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용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용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중앙에서 용기 본체 내측으로 입설되는 제1 가이드 봉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캡과,
상기 상부 캡의 중앙 하단에 입설되는 통공부를 갖는 제2 가이드 봉과,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통공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그 개폐 밸브의 개방구가 상기 상부 캡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 되도록 상기 상부 캡에 결합되는 배출 버튼과,
하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끼워지고, 상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통공부에 끼워져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이드 봉과,
상기 용기 내에서 일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상단을 감싸 기밀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 가이드 봉의 하단을 감싸 기밀 상태로 고정되는 신축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 가이드 봉과 상기 제3 가이드 봉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상기 신축 튜브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신축 튜브는 내용물의 주입에 따라 팽창하고,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에 따라 상기 신축 튜브의 수축력으로 상기 내용물을 개폐 밸브의 개방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3 가이드 봉은 상기 신축 튜브 내의 내용물의 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신축 튜브와 상기 용기의 내벽이 이루는 공간부의 압력 조절을 위한 압력 조절구가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기는 신축 튜브의 탄력 및 수축력을 이용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고압 가스를 용기 내에 주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철재 용기나 강화 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기 제조에 따른 재료의 선택을 넓힐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프레온 가스 등의 사용을 줄여 환경 오염을 줄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를 나타내는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에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절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용기에 내용물이 없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절개도 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 버튼의 개폐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종래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용기(100)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기(100)는 용기 본체(10)와, 상부 캡(20)과, 배출 버튼(30)과, 주머니 모양의 신축 튜브(40)와, 압력 조절구(50)와, 제1 가이드 봉(60), 제2 가이드 봉(70), 제3 가이드 봉(8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바닥 중앙에는 용기 본체의 대략 중앙 부분까지 연장되어 돌설되는 제1 가이드 봉(70)이 구성되고, 본체 바닥의 제1 가이드 봉의 측부에는 압력 조절구(50)가 결합되는 체결구(5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봉(60)은 내부가 채워진 봉 구조, 또는 내부가 비어 있는 봉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봉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본체의 내부 공간이 제1 가이드 봉(60)을 통하여 외부와 통하지 않도록 차폐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상부 캡(20)의 중앙 하단에는 통공부를 갖는 제2 가이드 봉(70)이 제1 가이드 봉(6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설되게 대향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봉(70)은 상부 캡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폐 밸브 삽입용 홈(121)을 중심으로 그 홈의 직경보다 더 큰 통공부를 갖도록 연설되는 제1 부분(70a)과, 상기 제1 부분(70a)의 통공부에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부분(7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부분(70b)은 상기 제1 부분의 통공부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는 돌출부(71)와, 제1 부분의 끝단에 걸려 지지되는 단턱(72)과, 상기 돌출부의 하단 통공부 내측으로 환설되는 개폐 밸브용 스토퍼(73)와, 상기 스토퍼의 중앙에 구성되어 제1 부분(70a)의 통공부와 제2 부분의 통공부(70b)를 서로 연통하는 홈(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73)가 구성된 돌출부(71)의 통공부 내에는 고무링(32)과 스프링(33)을 개재하여 개폐 밸브(131)가 결합된다. 상기 고무링(32)은 돌출부(71)의 단부에 밀려 개폐 밸브 삽입용 홈(121) 주위를 감싸는 상태로 상부 캡 하부와 돌출부 상단부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33)은 배출 버튼(30)을 탄성에 의하여 위로 들어올리도록 작용하여 개폐 밸브(131)의 단턱(36)이 상부 캡(20)의 중앙 하면에 걸리도록 한다. 개폐 밸브(131)의 단턱(36)이 상부 캡(20)의 중앙 하면에 걸려 스토퍼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개폐 밸브(131)의 개방구(35)가 상기 고무링(32)의 내측 면에 의하여 막히도록 구성되고, 배출 버튼(30)을 위에서 스프링(33) 복원력 이상의 힘으로 푸시하여 누르면 개폐 밸브(131)가 하강하여 개방구(35)가 고무링(32)의 내측 면 영역을 벗어나 그 개방구(35)와 제2 가이드 봉의 홈(74)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 버튼(30)의 푸시를 해제하면 개폐 밸브(131)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하여 개방구(35)와 홈(74)의 연통은 차단된다.
또, 하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봉(60)에 끼워지고, 상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봉(70)의 제2 부분(70b)의 통공부에 끼워져 그 제1 가이드 봉(60)과 제2 가이드 봉봉(70) 사이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이드 봉(80)이 구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봉(70)과 제3 가이드 봉(80) 사이에는 제2 가이드 봉(70)의 통공부 내로 액체나 기체 상태의 내용물이 이동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틈새(87: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즉, 제2 가이드 봉(70)의 통공부를 따라 상하 유동하는 제3 가이드 봉(80) 부분의 외경은 제2 가이드 봉(7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하여 그 틈새(87)와 홈(74)이 서로 연통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2 가이드 봉(70)과 제3 가이드 봉(80) 사이에 틈새(87)를 형성하는 이유는 개폐 밸브(131)가 개방되었을 때 용기 내의 내용물이 개방구(35)를 통하여 한꺼번에 많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실리콘 고무 등으로 된 주머니 모양의 신축 튜브(40)의 일단(41)은 제2 가이드 봉(70)의 상단 즉, 제2 가이드 봉의 제1부분(70a)의 외면을 기밀 상태로 감싸 신축 튜브 내의 내용물이 그 감싼 부분을 통하여 누설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신축 튜브(40)의 일단(41)은 밴드(42)로 감싸 제2 가이드 봉의 제1 부분(70a)의 외면과 견고하게 고정된다. 신축 튜브(40)의 타단(45)은 제3 가이드 봉의 하단(45) 즉, 제1 가이드 봉(60)에 끼워지는 제3 가이드 봉(80) 하부 부분의 외면을 감싸 신축 튜브(40) 내의 내용물이 그 감싼 부분을 통하여 누설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신축 튜브(40)의 타단(45)은 밴드(46)로 감싸 제3 가이드 봉의 하단 외면과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신축 튜브(40)를 제2 가이드 봉(70)의 상단과 제3 가이드 봉(80)의 하단에 고정함으로써, 신축 튜브(40)가 팽창하거나 늘어나면 제3 가이드 봉(80)이 제1 가이드 봉(60)과 제2 가이드 봉(70)에 가이드 되어 용기 본체의 바닥 부분까지 하강한다. 반대로 신축 튜브(40)가 수축하거나 줄어들면 제3 가이드 봉(80)이 제1 가이드 봉(60)과 제2 가이드 봉(70)에 가이드 되어 용기 본체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상승한다. 상기 제3 가이드 봉(80)이 승,하강하는 행정 거리 즉, 상기 제3 가이드 봉(80)의 최대 상승 위치, 최대 하강 위치에 관계없이 제2 가이드 봉(70)과 제3 가이드 봉(80) 사이의 틈새(87)는 항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용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되는 체결구(51)에 결합되는 압력 조절구(50)는 신축 튜브(40)가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과정에서 용기 본체 내부 공간의 압력이 신축 튜브의 동작에 적어도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거나 신축 튜브의 수축력을 강화하도록 압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탄력이 좋은 실리콘 등의 고무로 이루어진 신축 튜브(40)의 탄력만으로 수축하는 경우에는 압력 조절구(50)는 외기와 통하도록 개방 상태이면 족하고, 신축 튜브(40)의 탄력에 더하여 수축력을 배가 시킬 경우에는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 본체 내의 압력을 높게 조절하여 둔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용기(10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용기(100)에 액체나 에어졸 상태의 내용물(125), 한 예로 반액체 상태의 세정제가 채워져 신축 튜브(40)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절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내용물(125)이 신축 튜브(40) 내에 채워진 상태에서는 신축 튜가(40)가 팽창된 상태이므로 제3 가이드 봉(80)이 신축 튜부(40)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함께 하강하여 용기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125)이 채워진 상태에서 신축 튜브(40)의 탄력에 의한 자체 수축력을 이용하여 내용물(125)이 틈새(87), 홈(74), 개방구(35)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데, 도 3 및 도 4와 같이 스프링(33)의 탄성력으로 개폐 밸브의 개방구(35)가 고무링(32)에 막혀있는 상태에서는 용기(100) 내에 내용물(125)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보존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신축 튜브(40)의 수축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압력 조절구(50)를 통하여 용기 본체(10) 내의 압력을 적절히 높게 조정하여 둘 필요가 있다. 물론 신축 튜브(40)가 내용물(125)을 충분히 배출할 수 있을 정도의 탄력을 갖고 있으면 압력 조절구(50)를 개방 상태로 방치해 두면 된다. 상기 내용물을 에어졸 상태로 배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스 등이 함께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도 3 및 도 4의 상태에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도 7과 같이 배출 버튼(30)을 푸시하여 개폐 밸브(131)의 개방구(35)를 개방하면 신축 튜브(40)의 수축 압력에 의하여 내용물(125)이 용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내용물(125)의 사용에 따라 신축 튜브(40)가 수축하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3 가이드 봉(80)이 일정 가격만큼 함께 따라 올라가게 된다. 상기 신축 튜브(40)가 수축하는 과정에서 제3 가이드 봉(80)이 함께 따라 올라가는 거리는 일정 범위로 제한되도록 제3 가이드 봉(80)에 단턱(85)으로 이루어진 스토퍼를 구성한다.
상기 제3 가이드 봉(80)의 상승 위치를 제한하는 이유는 내용물이 소정량 배출되어 사용된 후 나머지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신축 튜브(40)가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수축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용기 본체(10)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할 경우 제3 가이드 봉(8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신축 튜브(40) 내에 내용물(125)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봉(60)의 외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눈금이나 숫자를 표시하여 제3 가이드 봉(80)의 위치에 따라 내용물(125)의 잔량이 어느 정도인지 사용자가 쉽게 가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용기(100)는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목적 및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10,11 - 용기 본체
17,125 - 내용물
20,23 - 상부 캡
21,131 - 개폐 밸브
25,30 - 배출 버튼
32 - 고무링
33 - 스프링
35 - 개방구
36,72,85 - 단턱
40 - 신축 튜브
42,46 - 밴드
50 - 압력 조절구
51 - 체결구
60 - 제1 가이드 봉
70 - 제2 가이드 봉
70a - 제2 가이드 봉의 제1 부분
70b - 제2 가이드 봉의 제2 부분
71 - 돌출부
73 - 스토퍼
74 - 홈
80 - 제3 가이드 봉
87 - 틈새
100 - 용기
121 - 개폐 밸브 삽입용 홈

Claims (4)

  1.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중앙에서 용기 본체 내측으로 입설되는 제1 가이드 봉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캡과,
    상기 상부 캡의 중앙 하단에 입설되는 통공부를 갖는 제2 가이드 봉과,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통공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그 개폐 밸브의 개방구가 상기 상부 캡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 되도록 상기 상부 캡에 결합되는 배출 버튼과,
    하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봉의 상단에 끼워지고, 상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통공부에 끼워져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3 가이드 봉과,
    상기 용기 내에서 일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봉의 상단을 감싸 기밀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3 가이드 봉의 하단을 감싸 기밀 상태로 고정되는 신축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봉과 상기 제3 가이드 봉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상기 신축 튜브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신축 튜브는 내용물의 주입에 따라 팽창하고,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에 따라 상기 신축 튜브의 수축력으로 상기 내용물을 개폐 밸브의 개방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 봉은 상기 신축 튜브 내의 내용물의 양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튜브와 상기 용기의 내벽이 이루는 공간부의 압력 조절을 위한 압력 조절구가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50056576A 2015-04-22 2015-04-22 용기 KR20160125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76A KR20160125736A (ko) 2015-04-22 2015-04-22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576A KR20160125736A (ko) 2015-04-22 2015-04-22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36A true KR20160125736A (ko) 2016-11-01

Family

ID=5748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576A KR20160125736A (ko) 2015-04-22 2015-04-22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7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581A (ja) 1993-06-21 1995-04-04 Koike Kagaku Kk エアゾール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581A (ja) 1993-06-21 1995-04-04 Koike Kagaku Kk エアゾール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0733B2 (en) Aerosol valve assembly and aerosol vessel
KR102593772B1 (ko) 플라스틱 병을 포함하는 가압 분배 시스템
KR101107409B1 (ko) 압력패키지시스템
CA2559019A1 (en) Pressure control device
JP6784489B2 (ja) 二重エアゾール製品及び二重エアゾール製品の製造方法
KR20130064773A (ko) 가압된 바이알용 계량 밸브
WO2007119223A2 (en) Preferentially expandable/collapsable container and package therefor
KR101559845B1 (ko) 용기
WO2015001431A1 (en) Inflation valve
KR20190075829A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CA2882432A1 (en) Transversely deformable bottle
KR20160125736A (ko) 용기
KR102130158B1 (ko) 기밀성이 향상된 가스충전밸브유닛과 이를 이용한 가스스프링
KR102072172B1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1247353B1 (ko) 디스펜서
US20070240387A1 (en) Method of filling a container
JP7257852B2 (ja) 加圧製品の製造方法
JPH11100083A (ja) 密封容器
KR19980701335A (ko) 다목적 2방향 안전 밸브(multipurpose two-way safety valve)
KR101653375B1 (ko) 이중 용기 구조를 갖는 분사장치의 비금속 외부용기
JP2018144855A (ja) 吐出容器
US3437246A (en) Dispensing valve for pressurized container
JP6172756B2 (ja) 内外二重容器エアゾール噴射機構およびこの内外二重容器エアゾール噴射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
JP6101050B2 (ja) エアゾール容器
KR102090422B1 (ko) 정량 분사용기 및 그의 노즐 조립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