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593A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5593A KR20160125593A KR1020150056134A KR20150056134A KR20160125593A KR 20160125593 A KR20160125593 A KR 20160125593A KR 1020150056134 A KR1020150056134 A KR 1020150056134A KR 20150056134 A KR20150056134 A KR 20150056134A KR 20160125593 A KR20160125593 A KR 201601255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connection wiring
- conductive pattern
- display area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함하는 제1 방향의 굴곡축이 위치한 벤딩영역과, 상기 벤딩영역을 기준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1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2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벤딩영역은 제3 표시영역과 상기 제3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3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과, 상기 벤딩영역의 제3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도전 패턴과, 상기 제1 비표시영역의 최외곽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패턴의 일측과 연결된 제1 연결 배선 및 상기 제2 비표시영역의 최외곽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패턴의 타측과 연결된 제2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표시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박형의 표시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이다.한편, 최근에는 표시장치 중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휘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또는 제조 공정단계에서 휘거나 접는 단계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응용과 용도가 확장되고 있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휘게 하거나 접는 경우 표시장치의 영역 중 휘거나 접히는 영역이 스트레스에 의하여 표시장치가 변형, 파손 또는 특성 저하가 발생한다. 특히,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일부를 180도로 굴곡시키는 경우, 응력에 의해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접히는 영역에 위치한 금속 배선들이 파손되어 불량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휘거나 접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배선의 단선 불량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제1 방향의 굴곡축이 위치한 벤딩영역과, 상기 벤딩영역을 기준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1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2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벤딩영역은 제3 표시영역과 상기 제3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3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과, 상기 벤딩영역의 제3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도전 패턴과, 상기 제1 비표시영역의 최외곽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패턴의 일측과 연결된 제1 연결 배선 및 상기 제2 비표시영역의 최외곽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패턴의 타측과 연결된 제2 연결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 패턴은 굴곡 특성을 갖는 도전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도전 패턴은 삼각파 형상, 톱니파 형상, 구형파 형상, 정현파 형상, 사다리파 형상, 마름모 형상, 링 형상, 매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 배선과 상기 제2 연결 배선은 상기 도전 패턴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동일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 배선과 접속되어 상기 제1 표시영역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 배선과 접속되어 상기 제2 표시영역을 구동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연결 배선에 접속된 상기 도전 패턴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배선을 거쳐 상기 제2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연결 배선과, 상기 도전 패턴 및 상기 제1 연결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구동부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1 구동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1 표시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제1 구동부로 제공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2 구동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2 표시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제2 구동부로 제공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비표시영역에서 상기 제1 연결 배선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접속된 다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제2 비표시영역에서 상기 제2 연결 배선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영역과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배선의 폭과 상기 제2 연결 배선의 폭은 상기 도전 패턴의 폭과 동일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에는 센싱패턴들이 제공된다.
상기 센싱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셀들과, 상기 인접한 제1 센싱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과,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과, 상기 인접한 제2 센싱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벤딩영역의 비활성영역에 위치하는 배선의 수를 줄여 배선의 넓은 설계 공간을 확보하며 배선의 형상을 굴곡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최소화되는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굴곡에 의해 발생되는 배선의 단선 불량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락 개략적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Ⅰ ~ 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패턴들의 일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락 개략적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Ⅰ ~ 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패턴들의 일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락 개략적은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굴곡축(Folding axis)에 따라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 및 벤딩 영역(130)으로 구분되는 플렉서블 기판(100)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폴리이미드나 플라스틱과 같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벤딩 영역(130)은 굴곡축(Folding axis)이 포함되는 영역이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굴곡축(Folding axis)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접거나 휘어지게 된다. 벤딩 영역(130)은 적어도 굴곡된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 영역(130)은 대칭된 형태로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은 비(非) 벤딩 영역이며 벤딩 영역(130)의 양측에 마주보고 배치된다. 즉,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 사이에 벤딩 영역(130)이 배치된다.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은 적어도 평탄한 영역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전 영역에서 굴곡된 영역 없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은 각각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은 모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이 모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경우, 도 2를 참고하면, 굴곡축(Folding axis)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양 방향에서 사용자가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영역(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구비하고, 제2 영역(120)은 제1 영역(110)의 표시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 패턴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를 참고하면 굴곡축(Folding axis)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에서 사용자가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이 모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구비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영역(110)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영역(110a)과, 제1 표시영역(110a)의 주변에 위치한 제1 비표시영역(1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110a)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제1 방향(D1)과 수직인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된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비표시영역(110b)에는 제1 표시영역(110a)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140a)와, 제1 구동부(140a)로부터 구동신호를 제1 표시영역(110a)으로 제공하는 다수의 제1 배선(160a)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비표시영역(110b)의 최외곽에는 다수의 제1 배선(160a)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연결 배선(170a)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170a)은 제1 구동부(140a)로부터 제2 표시영역(120a)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다.
제1 구동부(140a)는 제1 비표시영역(110b)의 외부에 위치한 제1 연성회로기판(150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1 연성회로기판(150a)으로부터 제1 표시영역(110a)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 등을 제공받는다. 제1 구동부(140a)는 제1 연성회로기판(150a)으로부터 제공된 각종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 등을 이용하여 제1 표시영역(110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제2 영역(120)은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영역(120a)과, 제2 표시영역(120a)의 주변에 위치한 제2 비표시영역(12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120a)에는 제1 표시영역(110a)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D1)과 수직인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된 데이터 배선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비표시영역(120b)에는 제2 표시영역(120a)을 구동하는 제2 구동부(140b)와, 제2 구동부(140b)로부터 구동신호를 제2 표시영역(120a)으로 제공하는 다수의 제2 배선(160b)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비표시영역(120b)의 최외곽에는 다수의 제2 배선(160b)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연결 배선(170b)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170b)은 제1 연결 배선(170a)으로 제공된 제어 신호 및 전원 전압을 제2 구동부(140b)로 공급한다.
제2 구동부(140b)는 제2 비표시영역(120b)의 외부에 위치한 제2 연성회로기판(150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 연성회로기판(150b)으로부터 각종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연성회로기판(150a)과 제2 연성회로기판(150b)은 별도의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접속되거나,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벤딩 영역(130)도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과 마찬가지로 영상을 표시하는 제3 표시영역(130a)과, 제3 표시영역(130a)의 주변에 위치한 제3 비표시영역(13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표시영역(130a)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D1)과 수직인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된 데이터 배선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비표시영역(130b)에는 도전 패턴(180)이 제공될 수 있다. 도전 패턴(1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mesh)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도전 패턴(180)이 항상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굴곡방향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전 패턴(180)에 인가되는 응력을 최소화한다. 특히, 도전 패턴(180)의 형상이 메쉬(mesh)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130)에서 도전 패턴(180)에 인가되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 도전 패턴(18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전 패턴(180)은 삼각파 형상, 톱니파 형상, 구형파 형상, 정현파 형상, 오메가(Ω) 형상, 사다리파 형상, 마름모 형상, 링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들을 조합하여 도전 패턴(180)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전 패턴(180)은 벤딩 영역(130)의 제3 비표시영역(130b)에만 제공될 수 있다.
도전 패턴(180)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층(103)이 형성되고, 도전 패턴(180)의 상부에는 제2 절연층(10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03)은 플렉서블 기판(100)에서 유출되는 불순물의 침투로부터 도전 패턴(18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산화실리콘막, 산화질화실리콘막, 질화산화실리콘막, 질화실리콘막, 산화탄탈막 등의 무기 절연막을 이용하여, 이들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적층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05)도 제1 절연층(103)과 동일한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 패턴(180)은 금(Au), 은(Ag), 구리(Cu), 니켈(Ni), 백금(Pt), 팔라듐(Pd),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를 함유할 수 있고, Al:Nd, Mo:W 합금 등과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접한 층과의 밀착성, 전기 저항, 가공성, 가격 경쟁성 및 굴곡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 배선(170a)과 제2 연결 배선(170b)은 도전 패턴(180)과 동일한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 배선(170a)과 제2 연결 배선(170b)은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서 도전 패턴(180)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하며 동일한 도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전 패턴(180)의 일측은 제1 연결 배선(170a)과 접속되며 도전 패턴(180)의 타측은 제2 연결 배선(170b)과 접속된다. 즉, 제1 연결 배선(170a)과 제2 연결 배선(170b)은 도전 패턴(18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1 연결 배선(170a)은 제1 구동부(140a)로부터 제2 구동부(140b)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 및 전원 전압을 도전 패턴(180)을 통해 제2 연결 배선(170b)으로 제공한다. 제2 연결 배선(170b)은 제2 구동부(140b)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 및 전원 전압을 제2 구동부(140b)로 제공하고 제2 구동부(140b)는 이를 통해 제2 표시영역(120a)을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벤딩 영역(130)의 제3 비표시영역(130b)에는 제1 연결 배선(170a)으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을 제2 연결 배선(170b)으로 제공하는 도전 패턴(180)만이 형성된다. 벤딩 영역(130)의 제3 비표시영역(130b)에 도전 패턴(180)만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전 패턴(180)의 넓은 설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전 패턴(180)이 벤딩 영역(130)의 굴곡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메쉬(mesh) 형상 등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굴곡(Folding) 테스트 시 발생할 수 있는 단선 불량을 최소화하여 벤딩 영역(130)에서의 배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도시한 상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센싱패턴들의 일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굴곡축(Folding axis)에 따라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 및 벤딩 영역(230)으로 구분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기판(200)을 포함한다.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20)은 비(非) 벤딩 영역이며 벤딩 영역(230)의 양측에서 마주보고 배치된다. 벤딩 영역(230)은 굴곡축(Folding axis)이 포함되는 영역이다.
제1 영역(210)은 행라인 단위의 제1 센싱셀들(290a)과 열라인 단위의 제2 센싱셀들(290b)을 구비한 센싱패턴들(290)이 형성된 제1 활성영역(210a)과, 제1 활성영역(210a)의 주변에 위치하며 다수의 제1 센싱라인들(260a)이 배열된 제1 비활성영역(210b)으로 구분된다.
제1 센싱셀들(290a)과 제2 센싱셀들(290b)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제1 센싱셀들(290a)들은 인접한 제1 센싱셀들(290a)과 제1 연결라인(290a1)을 통해 접속되고, 제2 센싱셀들(290b)은 인접한 제2 센싱셀들(290b)과 제2 연결라인(290b1)을 통해 접속된다. 제1 연결라인(290a)과 제2 연결라인(290b1)은 서로 교차한다. 이때, 제1 연결라인들(290a1)과 제2 연결라인들(290b1) 사이에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절연막(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 비활성영역(210b)에는 외부의 제1 위치검출회로(250a)와 다수의 제1 센싱라인(260a)들을 연결하는 제1 패드부(240a)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활성영역(210b)의 최외곽에는 다수의 제1 센싱라인들(260a)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연결 배선(270a)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영역(220)은 행라인 단위의 제1 센싱셀들(290a)과 열라인 단위의 제2 센싱셀들(290b)을 구비한 센싱패턴들(290)이 형성된 제2 활성영역(220a)과, 제2 활성영역(220a)의 주변에 위치하며 다수의 제2 센싱라인들(260b)이 배열된 제2 비활성영역(220b)으로 구분된다.
제2 비활성영역(220b)에는 외부의 제2 위치검출회로(250b)와 다수의 제2 센싱라인(260b)들을 연결하는 제2 패드부(240b)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비활성영역(220b)의 최외곽에는 다수의 제2 센싱라인들(260b)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연결 배선(270b)이 제공될 수 있다.
벤딩 영역(230)도 제1 영역(210) 및 제2 영역(220)과 마찬가지로 센싱패턴들(290)이 형성된 제3 활성영역(230a)과, 제3 활성영역(230a)의 주변에 위치한 제3 비활성영역(23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 기판(200) 상에 센싱패턴(290)들을 형성함에 있어서, 굴곡축(Folding axis)을 기준으로 그 경계, 즉 벤딩 영역(230)에 위치한 센싱패턴들(29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제3 비활성영역(230b)에는 도전 패턴(280)만이 제공될 수 있다. 도전 패턴(280)은 메쉬(mesh)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도전 패턴(280)이 항상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굴곡방향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전 패턴(280)에 인가되는 응력을 최소화한다.
도전 패턴(280)의 일측은 제1 연결 배선(270a)과 접속되며 도전 패턴(280)의 타측은 제2 연결 배선(270b)과 접속된다. 즉, 제1 연결 배선(270a)과 제2 연결 배선(270b)은 도전 패턴(28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벤딩 영역(230)의 제3 비활성영역(230b)에는 도전 패턴(280)만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전 패턴(280)의 넓은 설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전 패턴(280)이 벤딩 영역(230)의 굴곡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메쉬(mesh) 형상 등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굴곡(Folding) 테스트 시 발생할 수 있는 단선 불량을 최소화하여 벤딩 영역(230)에서의 배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플렉서블 기판
110/120: 제1 영역
120/220: 제2 영역 130/230: 벤딩 영역
140a: 제1 구동부 140b: 제2 구동부
150a: 제1 연성회로기판 150b: 제2 연성회로기판
160a: 제1 배선 160b: 제2 배선
170a/270a: 제1 연결 배선 170b/270b: 제2 연결 배선
180/280: 도전 패턴 200: 터치 스크린 패널 기판
240a: 제1 패드부 240b: 제2 패드부
250a: 제1 위치검출회로 250b: 제2 위치검출회로
260a: 제1 센싱라인 260b: 제2 센싱라인
290: 센싱패턴
120/220: 제2 영역 130/230: 벤딩 영역
140a: 제1 구동부 140b: 제2 구동부
150a: 제1 연성회로기판 150b: 제2 연성회로기판
160a: 제1 배선 160b: 제2 배선
170a/270a: 제1 연결 배선 170b/270b: 제2 연결 배선
180/280: 도전 패턴 200: 터치 스크린 패널 기판
240a: 제1 패드부 240b: 제2 패드부
250a: 제1 위치검출회로 250b: 제2 위치검출회로
260a: 제1 센싱라인 260b: 제2 센싱라인
290: 센싱패턴
Claims (13)
- 제1 방향의 굴곡축이 위치한 벤딩영역과, 상기 벤딩영역을 기준으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1 영역은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1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표시영역과 상기 제2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2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벤딩영역은 제3 표시영역과 상기 제3 표시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제3 비표시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벤딩영역의 제3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도전 패턴;
상기 제1 비표시영역의 최외곽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패턴의 일측과 연결된 제1 연결 배선; 및
상기 제2 비표시영역의 최외곽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 패턴의 타측과 연결된 제2 연결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은 굴곡 특성을 갖는 도전 물질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은 삼각파 형상, 톱니파 형상, 구형파 형상, 정현파 형상, 사다리파 형상, 마름모 형상, 링 형상, 매쉬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배선과 상기 제2 연결 배선은 상기 도전 패턴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동일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결 배선과 접속되어 상기 제1 표시영역을 구동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 배선과 접속되어 상기 제2 표시영역을 구동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제1 연결 배선에 접속된 상기 도전 패턴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배선을 거쳐 상기 제2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연결 배선과, 상기 도전 패턴 및 상기 제1 연결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구동부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1 표시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제1 구동부로 제공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2 구동부와 접속되며 상기 제2 표시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제2 구동부로 제공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표시영역에서 상기 제1 연결 배선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접속된 다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제2 비표시영역에서 상기 제2 연결 배선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표시영역과 접속된 다수의 제2 배선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배선의 폭과 상기 제2 연결 배선의 폭은 상기 도전 패턴의 폭과 동일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영역에는 센싱패턴들이 제공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셀들과,
상기 인접한 제1 센싱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과,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과,
상기 인접한 제2 센싱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134A KR20160125593A (ko) | 2015-04-21 | 2015-04-2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134A KR20160125593A (ko) | 2015-04-21 | 2015-04-2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5593A true KR20160125593A (ko) | 2016-11-01 |
Family
ID=5748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134A KR20160125593A (ko) | 2015-04-21 | 2015-04-2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5593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9559A (ko) * | 2016-12-30 | 2018-07-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
KR20180117976A (ko) * | 2017-04-20 | 2018-10-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US10269890B2 (en) | 2017-02-24 | 2019-04-2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having notched connection wiring |
KR102222528B1 (ko) | 2019-11-21 | 2021-03-04 | 주식회사 아이팔 | 오토 릴 체인저 |
CN114093272A (zh) * | 2021-12-07 | 2022-02-25 |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 柔性显示装置 |
US11387282B2 (en) | 2018-12-31 | 2022-07-12 | Lg Display Co., Ltd. | Foldable display apparatus |
KR20240052315A (ko) | 2022-10-14 | 2024-04-23 | 화우 주식회사 | 반도체 칩 필름 로딩장치 |
-
2015
- 2015-04-21 KR KR1020150056134A patent/KR20160125593A/ko unknow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9559A (ko) * | 2016-12-30 | 2018-07-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
US10269890B2 (en) | 2017-02-24 | 2019-04-2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having notched connection wiring |
US10748980B2 (en) | 2017-02-24 | 2020-08-18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having notched connection wiring |
KR20180117976A (ko) * | 2017-04-20 | 2018-10-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US11387282B2 (en) | 2018-12-31 | 2022-07-12 | Lg Display Co., Ltd. | Foldable display apparatus |
KR102222528B1 (ko) | 2019-11-21 | 2021-03-04 | 주식회사 아이팔 | 오토 릴 체인저 |
CN114093272A (zh) * | 2021-12-07 | 2022-02-25 |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 柔性显示装置 |
CN114093272B (zh) * | 2021-12-07 | 2023-10-31 |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 柔性显示装置 |
KR20240052315A (ko) | 2022-10-14 | 2024-04-23 | 화우 주식회사 | 반도체 칩 필름 로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25593A (ko) | 플렉서블 표시장치 | |
CN107112348B (zh) | 具有柔性印刷电路膜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 |
KR102710745B1 (ko) |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CN108695343B (zh) | 显示装置 | |
KR102414712B1 (ko) |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지지층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CN107978625B (zh) | 柔性显示装置 | |
CN106796947B (zh) | 具有微盖层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 |
CN108962917B (zh) | 显示装置 | |
KR20170054436A (ko) | 가요성 기판을 위한 신호 트레이스 패턴 | |
CN111462626A (zh) | 可折叠显示装置 | |
KR20180025411A (ko) | 표시 장치 | |
JP6586166B2 (ja) | タッチ機能を備えた組み込みスクリーンと端末及びタッチ検出方法 | |
US11663954B2 (en) | Display device | |
KR102053427B1 (ko) |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
KR20190104417A (ko) | 구동 회로 기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EP3828680B1 (en) | Meandering interconnect on a deformable substrate | |
KR20170079956A (ko) | 액정 표시 장치 | |
KR20190024326A (ko) | 플렉서블 표시장치 | |
KR20240146693A (ko) |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