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757A - 전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판독,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모듈 - Google Patents

전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판독,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757A
KR20160124757A KR1020167021303A KR20167021303A KR20160124757A KR 20160124757 A KR20160124757 A KR 20160124757A KR 1020167021303 A KR1020167021303 A KR 1020167021303A KR 20167021303 A KR20167021303 A KR 20167021303A KR 20160124757 A KR20160124757 A KR 20160124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se body
power
transceiver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020B1 (ko
Inventor
마티아스 글라스마셔
Original Assignee
디일 슈티프팅 운트 컴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일 슈티프팅 운트 컴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디일 슈티프팅 운트 컴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2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5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on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5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power plugs or sockets
    • H02J13/001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어 센터(23)로부터 원격으로 전기 디바이스(11)를 제어, 판독,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송수신기(19)가 장착된 모듈(18)은 디바이스(11) 내에도 파워 콘센트(14)와 파워 플러그(13) 사이에도 포함되지 않고, 그 대신에 디바이스(11)로 가는 급전 케이블(13)에 있는 표준에 대해 중립적인(standard-neutral) 파워 플러그 베이스 보디(13-16)에 포함되며, 저장된 어드레스를 통해서 커스터마이징된다. 결과적으로, 통합된 베이스 보디(16)가 있는 급전 케이블(13)이 비용-효율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고, 디바이스(11)는 어드레스에 대해 중립적인(address-neutral)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1)는 디바이스를 급전 케이블(13)로 연결함으로써 커스터마이징되고, 베이스 보디(16)는 디바이스(11)의 특정 설치 위치에 존재하는 표준 파워 콘센트(14)로 연결하기 위한 파워 플러그(13)에 대한 표준 어댑터(17)를 이용하여, 해당 설치 위치에 맞게 마감된다.

Description

전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판독,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모듈{MODULE FOR REMOTE CONTROLLING, READING, AND/OR MONITORING ELECTRIC DEVICES}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는 전력 소비자일 수도 있고 전력원(예를 들어, 회생 전력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모듈은, 특정 카테고리의 로컬 디바이스의 진행중인 동작에 지역 제어 센터로부터 영향을 가함으로써 치명적인 지역 그리드(regional grid) 상태를 표준 상태로 복구해야 하는 경우, 지역 레벨에서의 반자율(semiautonomous) 급전 디바이스에서 사용되기에 유용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소비자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급전 차단(supply interruption), 즉,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전력 피크, 평균 전력 요구 사항, 또는 무효 전력 흡수에 대한 그들의 기능성 민감도에 관련하여 구별될 수 있다. 각각의 소비자의 순시 동작 상태를 고려하면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치명적인 지역 네트워크 상태는 원격 상호접속된 그리드로부터의 수요 밸런싱(demand balancing)보다 더 용이하게, 예를 들어 전기 난방 시스템의 로컬 급전을 스위칭 오프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통해서 또는 전기 구동부(electric drive)의 역률을 조절함으로써, 그리고 또한, 예를 들어 정적 또는 동적 전력원의 그리드 피드-인(feed-in) 주파수를 원격으로 정정함으로써 복구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을 이용하여,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또는 온도, 습도, 또는 모션 센서와 같은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이들에게 원격으로 질의하는 것이 역시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DE 10 2009 050 170 B4 는 다수의 계층 레벨에 걸쳐서 구성되는 빌딩 자동화를 위하여 설계되는 이러한 시스템을 더 자세하게 기술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IPV6 표준(선택적인 단말 디바이스 정보 부록 포함)에 따라 지역별 제어 센터와 어드레스에 의하여 커스터마이징되는 로컬 디바이스 사이에서 세트포인트 및 실제 상태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양방향성 데이터 접속이 필요하다. 이러한 데이터 트래픽은 이론상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PowerLineCommunication). 그러나, 실무상 데이터 트래픽은 오히려, 제어 센터에서 그리고 디바이스에서 작동되는 그리드-급전형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발생한다. 예측가능한 미래에서는 계속하여 표준이 될 데이터 준비 회로(data preparation circuit)를 포함하는 이러한 송수신기 디바이스를 가지는 모듈이 디바이스에 장착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모듈이 장착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어댑터가 파워 콘센트와 파워 플러그 사이의 디바이스의 접속 케이블에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전압, 전류, 및 역률, 및 가능하게는 습도, 공기압, 온도, 휘도, 또는 사운드와 같은 주변 파라미터들이 이러한 어댑터에서 측정되고 제어 센터로 무선 송신된다. 그러나, 흔히, 이용가능한 어댑터는 상위의 인스턴스로 또는 그로부터의 단방향성 통신 링크만을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추가적 플러그-인 콘택이 전기기계적인 관점에서 기능적으로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위의 제어 센터가 논의 대상인 디바이스와 함께 같은 빌딩에서 작동된다면, 빌딩 전력 공급 네트워크(PLC)의 라인을 통해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이러한 모듈과 연관된 디바이스로 또는 이러한 로컬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주파수 및 변조 기법을 특정하게 선택하면,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필터는 무시될 수 있고, 디바이스 내부의 EMC 보호 수단들과의 충돌이 일반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서도, 외부에서 작동되는 제어 센터와의 데이터 교환은 무선을 통한 경우에 더 유리하게 이루어진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위해서, 자신의 데이터 준비 기능을 가지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에 뿐만 아니라, 원격으로 제어되는 전력 제어 소자가 디바이스 내에 구현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급전 케이블을 통해서 디바이스에서 제어할 수 있는 경우, 모듈은 다운스트림 디바이스의 전류 소비에 영향을 주기 위한 원격으로 제어되는 전력 제어 소자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실제로 관심 대상인 디바이스가 아니라 어댑터만이 제어 센터에서 식별된다. 디바이스는 완전히 다른 동작 파라미터를 가지고 제어 센터에 연결되는 다른 디바이스가 인식하지 못하게 대체되었을 수도 있어서, 제어 센터의 일부에 대한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한 개입은 아무런 효과가 없거나, 좋은 영향보다는 악영향을 더 끼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어댑터의 하류에 있는 모바일 파워 콘센트 스트립의 경우에, 이러한 스트립에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 중 하나를 제어하는 관점에서 볼 때 임의의 유용한 관련성이 결과적으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는 단지 어댑터를 뽑음으로써, 의도된 자동화가 완전히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어댑터 핀 커넥터 및 소켓 박스를 내장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이미 매우 크게 되기 때문에, 특히 예를 들어 어댑터에 의하여 요구되는 공간 때문에 멀티-콘센트 파워 스트립에 있는 양면 상의 다수의 인접한 플러그 포지션들이 덮인다면, 시각적으로 양호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리의 측면에서 볼 때 불편하기까지 하다.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면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명백한 디바이스 관련성과 함께 탄력적이고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며,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포괄적인 타입의 모듈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에서 규정되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라 획득된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파워 플러그가,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사용하여 표준 파워 케이블의 케이블 절연체와 일체화되어 제작되는 표준-중립적 파워 플러그 베이스 보디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이 이용된다. 플러그 베이스 보디는 이러한 파워 또는 급전 케이블을 통해 디바이스에 고정된다. 베이스 보디에는, 디바이스가 작동되는 지역에서 로컬 파워 플러그 표준이 분명한 경우에만, 이에 따르는 핀 그루핑(pin grouping)을 가지는 표준 어댑터가 장착된다.
기본 기능 및 확장 기능이 전술된 바 있는 급전 케이블에 고정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듈이, 이제 이러한 플러그 베이스 보디 내에 통합된다. 따라서, 제조 도중에 모듈을 통해서 베이스 보디에 지정된 어드레스가 급전 케이블을 통해 파워 플러그 베이스 보디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커스터마이징한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가 선택적으로 송신될 수 있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영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외의 제조 공정으로부터 유래하는 어드레스 중복이 발생하는 경우, 미리 정의된 어드레스의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을 정의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외부 조작을 통하여, 예를 들어 베이스 보디 상에 표시된 고무 탄성 영역을 기계적으로 누름으로써, 또는 베이스 보디 내의 모듈을 정의된 자기장에 노출시킴으로써 변경하는 기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추가적인 개선예와 대체예들이 종속항들로부터 얻어질 것이고, 본 발명의 장점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접근법에 대한 바람직한 구현형태에 대한 후속하는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것이다. 도면으로서 제공된 하나의 도면은, 디바이스에 연결되고 빌딩 전력 공급 네트워크 콘센트용 표준 어댑터를 포함하는 통합된 모듈을 포함하는 파워 플러그 베이스 보디를, 그 기능에 대해서 필수적인 구성 요소들만 표시하도록 추상화되고 척도에 맞게 도시되는 것은 아닌 개략도에서 보여준다.
이것이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 디바이스(11)는 이것의 파워 플러그(13)를 사용하여 빌딩 전력 공급 네트워크(15)의 파워 콘센트(14)에 급전 케이블(1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파워 플러그(13)는 급전 케이블(12)의 케이블 절연체와 함께 사출 성형되는 베이스 보디(16)를 가지는데, 베이스 보디에는 핀 측에서 파워 콘센트(14)와 맞춤되는 표준 어댑터(17)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17)를 통해서 표준화된 파워 콘센트(14)의 로컬 특성에 플러그를 적응시키는 것이 로컬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일체화되어 사출 성형되는 표준-중립적 플러그 베이스 보디(16)를 가지는 표준 급전 케이블(12)이 대량으로 그리고 따라서 비용경제적인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모듈(18)은 파워 플러그 베이스 보디(16) 내에 사출 성형되고, 보디는 어떠한 경우에도 무선 및/또는 케이블 데이터 송신을 위한 데이터 준비부(data preparation; 20)가 있는 송수신기(19)를 가진다. 안테나(미도시)가 모듈(18) 내로 또는 급전 케이블(12) 내로 일체화될 수 있고, 또는 급전 체이블 자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드레스 메모리(21)에 저장된 데이터 세트가 이러한 베이스 보디(16)를 커스터마이징하고, 따라서 자신의 급전 케이블(12)에 고정되게 연결된(또는 지정되지만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한) 디바이스(11)도 역시 커스터마이징한다. 이것의 기능성은 소형화된 전력 전자회로(power electronics) 내에 설계되는 제어 소자(22)를 통해서 영향받을 수도 있는데, 제어 소자가 무선 또는 유선인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1) 자체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 소자도 역시 모듈(18) 내에 포함된다. 추가하거나 대안적으로, 역시 소형화된 전력 전자회로 내에 구현되는 측정 모듈(미도시)이 전력 측정, 특히 전압, 전류, 및 위상 측정을 위하여 모듈(18) 내에 제공된다. 더욱이, 디바이스(11)는 자신의 모듈(18)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원격으로 작동되는 판독, 모니터링, 또는 제어 센터(23)로의 양방향성 데이터-교환 링크를 가진다. 이러한 링크는 무선으로 또는 파워 콘센트(14)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빌딩 전력 공급 네트워크(15)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센터(23)를 통해서 측정된 값을 판독하고, 디바이스(11)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며, 및/또는 디바이스(11)의 동작에 개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다른 제조 사이클로부터 유래해서 어떤 어드레스가 베이스 보디(16)를 통해서 두 개의 디바이스(11)에 동시에 지정되어서 제어 센터(23)에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들의 어드레스 메모리(21)내의 하나의 어드레스가 예를 들어 베이스 보디(16)에서의 기계적 개입을 통해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도면에서 상징적으로 설명된다.
제어 센터(23)로부터 원격으로 전기 디바이스(11)를 제어, 판독,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송수신기(19)가 장착된 모듈(18)은 디바이스(11) 내에도 파워 콘센트(14)와 파워 플러그(13) 사이에도 포함되지 않고, 그 대신에 디바이스(11)로 가는 급전 케이블(13)에 있는 표준에 대해 중립적인(standard-neutral) 파워 플러그 베이스 보디(13-16)에 포함되며, 저장된 어드레스를 통해서 커스터마이징된다. 결과적으로, 통합된 베이스 보디(16)가 있는 급전 케이블(12)이 비용-효율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고, 디바이스(11)는 어드레스에 대해 중립적인(address-neutral)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1)는 디바이스를 급전 케이블(13)로 연결함으로써 커스터마이징되고, 베이스 보디(16)는 디바이스(11)의 특정 설치 위치에 존재하는 제공되는 표준 파워 콘센트(14)로 연결하기 위한 파워 플러그(13)에 대한 플러그인 핀 표준 어댑터(17)를 이용하여, 해당 설치 위치에 맞게 마감된다.
참조 번호들의 목록
11 디바이스
12 급전 케이블
13 파워 플러그
14 파워 콘센트
15 빌딩 전력 공급 네트워크
16 보디
17 표준 어댑터
18 모듈
19 송수신기
20 데이터 준비부
21 어드레스 메모리
22 제어 소자
23 제어 센터

Claims (9)

  1. 송수신기(19)를 가지는 모듈(18)로서,
    전기 디바이스(11)를 제어 센터(23)로부터 원격으로 제어, 판독, 및/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모듈(18)은 상기 디바이스(11)에 연결하기 위한 급전 케이블(13)에 있는 표준-중립적 파워 플러그 베이스 보디(13/16)에 포함되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베이스 보디(16)에 파워 플러그 표준 어댑터(13/17)가 장착될 수 있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 무선 및/또는 유선 송신을 위한 송수신기(19)가 장착되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 어드레스 메모리(21)가 장착되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메모리(21)에 저장되는 상기 베이스 보디(16)의 식별자(identification)가 상기 베이스 보디(16)에 대한 영향의 외부 작용을 통해 변경될 수 있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메모리(21)는 기계적, 전자적, 또는 자기적 영향을 감지하도록 설계되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에 소형화된 전자 파워 측정 모듈 및/또는 제어 소자(22)가 장착되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디바이스(11) 내에서 작동되는 제어 소자(22)에 대한 유선 영향 및/또는 상기 디바이스(11) 내에서 작동되는 측정 모듈의 판독을 위하여 설계되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급전 케이블(12)을 통한 상기 디바이스(11)와의 양방향성 통신을 위하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무선을 통한 상기 제어 센터(23)와의 양방향성 통신을 위하여 설계되는, 송수신기를 가지는 모듈.
KR1020167021303A 2014-02-20 2015-02-03 전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판독,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모듈 KR102268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2327.3A DE102014002327A1 (de) 2014-02-20 2014-02-20 Modul zur Fern-Steuerung, -Auslesung und/oder -Überwachung elektrischer Geräte
DE102014002327.3 2014-02-20
PCT/EP2015/000195 WO2015124261A1 (de) 2014-02-20 2015-02-03 Modul zur fern-steuerung, -auslesung und/oder -überwachung elektrischer gerä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757A true KR20160124757A (ko) 2016-10-28
KR102268020B1 KR102268020B1 (ko) 2021-06-22

Family

ID=5246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303A KR102268020B1 (ko) 2014-02-20 2015-02-03 전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판독,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336800A1 (ko)
EP (1) EP3108568B1 (ko)
KR (1) KR102268020B1 (ko)
CN (1) CN105981260B (ko)
DE (1) DE102014002327A1 (ko)
WO (1) WO2015124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2651A1 (de) * 2016-07-11 2018-01-11 Denqbar Holding GmbH Steckdose zum Einsatz in mobilen Geräten für unterschiedlich genormte Stecker
DE102017107251A1 (de) * 2017-04-04 2018-10-04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einer elektrischen Schaltu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0075A (ja) * 2007-04-24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ウトレット、プラグ、アウトレットアダプタ、プラグアダプ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100145542A1 (en) * 2007-03-14 2010-06-10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Smart electrical outlets and associated networks
US20120212349A1 (en) * 2011-02-17 2012-08-23 Cheng-Chun Chang Cable structure with indicating function
US20130183851A1 (en) * 2012-01-13 2013-07-18 Sharp Kabushiki Kaisha Identification adapter,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KR20130118681A (ko) * 2012-04-20 2013-10-30 곽대원 복수의 콘센트 입력구를 구비한 전력절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US20150048679A1 (en) * 2013-08-14 2015-02-19 Atmel Corporation Smart grid applianc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13075Y (zh) * 2007-07-10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
DE102009050170B4 (de) 2009-10-21 2013-08-01 Diehl Ako Stiftung & Co. Kg Hausautomatisierungs- und Hausinformationssystem
US9627928B2 (en) * 2012-03-02 2017-04-18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outlet having wireless control capabilities
WO2014031798A2 (en) * 2012-08-21 2014-02-27 N2 Global Solutions Incorporated A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managing electricit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5542A1 (en) * 2007-03-14 2010-06-10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Smart electrical outlets and associated networks
JP2008270075A (ja) * 2007-04-24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ウトレット、プラグ、アウトレットアダプタ、プラグアダプタ、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120212349A1 (en) * 2011-02-17 2012-08-23 Cheng-Chun Chang Cable structure with indicating function
US20130183851A1 (en) * 2012-01-13 2013-07-18 Sharp Kabushiki Kaisha Identification adapter,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KR20130118681A (ko) * 2012-04-20 2013-10-30 곽대원 복수의 콘센트 입력구를 구비한 전력절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
US20150048679A1 (en) * 2013-08-14 2015-02-19 Atmel Corporation Smart grid applianc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81260A (zh) 2016-09-28
US20160336800A1 (en) 2016-11-17
DE102014002327A1 (de) 2015-08-20
WO2015124261A1 (de) 2015-08-27
EP3108568B1 (de) 2017-12-06
CN105981260B (zh) 2019-11-05
EP3108568A1 (de) 2016-12-28
KR102268020B1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08916A (ja) 電力スイッチをまたぐIoT通信
NL2015736B1 (en)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 current in a network, and electrical fuse thereof.
JP5827755B2 (ja) 回路保護を有するプロセス制御フィールド装置
CN104428965A (zh) 配电板系统
ES2578737T3 (es) Procedimiento y relé para comunicar un valor de un parámetro de una fuente a monitorizar
EP3419040B1 (en) Add-on module for a din rail-mounted electrical device
US20170053762A1 (en) Relay with integral wireless transceiver for communication and control
CN1768561B (zh) 低压模块
KR102268020B1 (ko) 전기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판독, 및/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모듈
CN103826369A (zh) 智能照明测控系统
CN113382395A (zh) 设备配置
ES2940342T3 (es) Instalación eléctrica que comprende un cuadro eléctrico y varios puntos de conexión eléctrica
US10396577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environmental sensing function
WO2015114338A1 (en) Electrical power plug, socket, insert and systems
EP2202773A2 (en) Field configurable rating plug using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
CN107078505B (zh) 能量管理盒
AU2017423228B2 (en) Electrical equipment and additional functional module associated therewith
AU2017423229B2 (en) Electrical equipment and additional functional module associated therewith
AU2017423233B2 (en) Electrical equipment and additional functional module associated therewith
KR20160054917A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US10915127B2 (en) Parameterizable energy supply device
CN211822853U (zh) 一种适用于远程集中控制的除湿机和除湿系统
WO2017098021A1 (en) A fuse
KR101260337B1 (ko)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KR20190063981A (ko) 멀티 콘센트의 부하전력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