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37B1 -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337B1
KR101260337B1 KR1020110053205A KR20110053205A KR101260337B1 KR 101260337 B1 KR101260337 B1 KR 101260337B1 KR 1020110053205 A KR1020110053205 A KR 1020110053205A KR 20110053205 A KR20110053205 A KR 20110053205A KR 101260337 B1 KR101260337 B1 KR 10126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354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이지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지오 filed Critical (주)이지지오
Priority to KR102011005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33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에 결합된 전기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센싱부와,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전력 센싱부의 측정량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선로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전송시키는 제1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와; 전력 공급 단자함에서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선 통신 모듈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전력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전력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해석하는 시피유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 호스트를 통해 인터넷 환경에 연결되는 게이트 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옥내 전력 사용 정보를 유선으로 입력받아 노이즈와 외부 신호 간섭 문제를 개선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원격지 전원 사용 모니터링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는 범용적인 전기 전자 제품을 제어하면서도, 실내에 있는 다수의 멀티 콘센트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고, 각 멀티 콘센트의 개별 소켓에 연결된 전기기기를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Power line communication type remote monitoring multi consen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에 결합된 전기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센싱부와,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전력 센싱부의 측정량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선로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전송시키는 제1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와; 전력 공급 단자함에서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선 통신 모듈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전력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전력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해석하는 시피유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 호스트를 통해 인터넷 환경에 연결되는 게이트 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옥내 전력 사용 정보를 유선으로 입력받아 노이즈와 외부 신호 간섭 문제를 개선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원격지 전원 사용 모니터링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기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 콘센트는 생활 주변에서 흔하게 접하는 장치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콘센트는 여러모로 사용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세트화 되어져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기제품(예, 컴퓨터 기기)나 벽에 설치된 전원 메인콘센트와 멀리 떨어져 있는 전기기기(예, 가정용기기, 전열기기, 주방기기 등)을 경우 그 전원을 전기제품과 연결해주기 위해 멀티콘센트를 많이 사용한다.
이와 같이 멀티 콘센트에는 다수 연결소켓이 설치되어 있어 많은 전기제품 플러그들이 꽂혀져 사용되어지므로 언제나 과부하의 염려가 있고, 또 비작동되는 전기제품에 대기 전력이 인가되어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멀티콘센트의 다수의 연결소켓 각각에 스위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스위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가 개발되었지만,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연결소켓의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대기 전력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의 USB 포트를 사용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 또는 멀티 콘센트에 무선으로 연결하여 제어하는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USB 포트를 멀티 콘센트와 유선으로 컴퓨터에 연결시켜 컴퓨터의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컴퓨터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한 컴퓨터와 세트화되는 주변 기기의 제어에는 효율적일 수 있으나, 기타 가정기기의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무선 네트워크를 멀티 콘센트에 도입하여 하나의 컴퓨터로 다수의 멀티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치 역시, 무선 통신 간 간섭과 노이즈 문제가 발생되며, 상기한 USB 포트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실내에 컴퓨터를 동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에 연결된 개별 전기기기의 사용 상태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독립적인 전원 제어가 불가능한데, 예를 들어 보온 밥통과 티브이가 같은 멀티 콘센트에 연결되어지는 경우, 보온 밥통은 전원의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한데 티브이의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낭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 종래 기술 방식에 의하면 멀티 콘센트에 연결된 개별 장치의 제어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 방식과 달리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는 범용적인 전기 전자 제품을 제어하면서도, 실내에 있는 다수의 멀티 콘센트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고, 각 멀티 콘센트의 개별 소켓에 연결된 전기기기를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에 결합된 전기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센싱부와,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전력 센싱부의 측정량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선로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전송시키는 제1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와; 전력 공급 단자함에서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선 통신 모듈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전력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전력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해석하는 시피유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 호스트를 통해 인터넷 환경에 연결되는 게이트 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옥내 전력 사용 정보를 유선으로 입력받음으로써 노이즈와 외부 신호 간섭 문제를 개선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원격지 전원 사용 모니터링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 콘센트는 상기 제1 전력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외부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칭 회로가 포함되어, 상기 선로와 전기기기 간의 전원을 제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이트 웨이에는 비상용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멀티 콘센트의 전력 센싱부에서 비정상 서지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 배터리를 가동하여 비정상 서지가 발생된 멀티 콘센트의 해당 소켓이 인터넷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보고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는 범용적인 전기 전자 제품을 제어하면서도, 실내에 있는 다수의 멀티 콘센트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고, 각 멀티 콘센트의 개별 소켓에 연결된 전기기기를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전력 센싱부(110)와 제1 전력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하는 멀티 콘센트(10)와 제2 전력선 통신 모듈(220)과 시피유(200)와 메모리(210)와 배터리(230)를 포함하는 게이트 웨이(20)로 구성된다.
상기 멀티 콘센트(10)는 다수의 소켓(100)이 구비되는 전기기구이다.
본 발명의 전력 센싱부(110)는 상기 멀티 콘센트(10)의 각 소켓에 결합된 전기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측 기기이다.
본 발명의 제1 전력선 통신 모듈(120)은 상기 멀티 콘센트(10)의 각 소켓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전력 센싱부(110)의 측정량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선로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전송시키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멀티 콘센트(10) 각 소켓(100)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분되며, 그 전기 사용량이 감지되어 보고된다.
한편,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각 소켓(100)의 정보를 전송하므로 별도의 선로를 구성할 필요없이, 본 발명의 멀티 콘센트(10)를 사용하기만 하면 당해 멀티 콘센트(10)에 대한 정보가 전부 전원 공급 단자함(40)에 집합하는 이점이 있으며, 노이즈와 무선 간섭에 의한 영향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게이트 웨이(20)는 상기 전원 공급 단자함(40)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인터넷 환경에 접속하여 외부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상기 게이트 웨이(20)에는 상기 멀티 콘센트(10)의 제1 전력선 통신 모듈(120)과 정보를 송 수신하는 제2 전력선 통신 모듈(220)이 포함되며, 상기 제2 전력선 통신 모듈(220)을 통하여 입력되는 각 멀티 콘센트(10)의 각 소켓 정보를 해석하여 인터넷(30) 환경으로 전송하고, 외부 인터넷(30) 환경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상기 멀티 콘센트(10)의 각 소켓(100)으로 전달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피유(200)와 메모리(210)가 포함되어져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옥내 전력 사용 정보는 유선으로 입력받아 노이즈와 외부 신호 간섭 문제를 개선하여 인터넷(30) 환경에서 원격지 전원 사용 모니터링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독립된 인터넷 접속 환경이 설치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각 멀티 콘센트(10) M1, M2, M3, ...를 전원 선로에 연결하기만 하면 각 멀티 콘센트(10)의 각 소켓(100) S1, S2, S3, ..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환경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멀티 콘센트(10)의 각 소켓(100)에는 상기 전력선 통신 모듈들에 의해 전달되는 외부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시켜, 인터넷 환경에서 상기 소켓(100)에 연결된 전기기기의 전원을 제어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30) 환경에 상기 게이트 웨이(2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서버를 마련하고 상기 서버에 각 소켓(100)에 결합된 전기기기(130)를 구분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내장시키면, 상기 멀티 콘센트(10)를 전원에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전기기기의 전원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에 전기밥통의 대기 전원과 티브이, 컴퓨터의 대기 전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두고, 각 소켓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각 소켓에 결합된 전기기기를 구분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두면, 각 전기기기의 사용 중인 상태와 대기 중인 상태가 해석되어 그에 적합한 전력관리 신호가 상기 게이트 웨이(20)를 통해 각 소켓(100)에 전송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스마트폰과 연결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멀티 콘센트(10)를 전원에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으로 실내 전기기기의 구동 상태를 관리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게이트 웨이(20)에 비상용 배터리(230)를 내장시켜, 상기 멀티 콘센트(10)의 전력 센싱부(110)에서 비정상 서지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 배터리(230)를 가동하여 비정상 서지가 발생된 멀티 콘센트(10)의 해당 소켓(100) 및 전기기기에 관한 정보가 인터넷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보고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통하여 정상적인 전기기기의 구동 및 비정상적인 사고시에 원격지에서 이에 대한 응답을 즉시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멀티 콘센트 110 : 전력 센싱부
120 : 제1 전력선 통신 모듈
20 : 게이트 웨이 200 : 시피유
210 : 메모리 220 : 제2 전력선 통신 모듈
230 : 배터리

Claims (3)

  1.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에 결합된 전기기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 센싱부와, 멀티 콘센트의 각 소켓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전력 센싱부의 측정량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선로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전송시키는 제1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와;
    전력 공급 단자함에서 설치되며, 상기 제1 전력선 통신 모듈과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전력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전력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해석하는 시피유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 호스트를 통해 인터넷 환경에 연결되는 게이트 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옥내 전력 사용 정보를 유선으로 입력받음으로써 노이즈와 외부 신호 간섭 문제를 개선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원격지 전원 사용 모니터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콘센트는
    상기 제1 전력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전달되는 외부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칭 회로가 포함되어, 상기 선로와 전기기기 간의 전원을 제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3. 제2항에 있서서 상기 게이트 웨이에는
    비상용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멀티 콘센트의 전력 센싱부에서 비정상 서지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 배터리를 가동하여 비정상 서지가 발생된 멀티 콘센트의 해당 소켓이 인터넷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보고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KR1020110053205A 2011-06-02 2011-06-02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KR10126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05A KR101260337B1 (ko) 2011-06-02 2011-06-02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05A KR101260337B1 (ko) 2011-06-02 2011-06-02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54A KR20120134354A (ko) 2012-12-12
KR101260337B1 true KR101260337B1 (ko) 2013-05-03

Family

ID=4790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205A KR101260337B1 (ko) 2011-06-02 2011-06-02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3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36B1 (ko) 2007-10-02 2010-04-22 씨티아이앤아이(주) 리모콘을 이용한 대기전력 절감용 멀티콘센트
KR101022307B1 (ko) 2009-04-06 2011-03-21 에이치디앤 주식회사 이더넷 통신 기반 멀티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절감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236B1 (ko) 2007-10-02 2010-04-22 씨티아이앤아이(주) 리모콘을 이용한 대기전력 절감용 멀티콘센트
KR101022307B1 (ko) 2009-04-06 2011-03-21 에이치디앤 주식회사 이더넷 통신 기반 멀티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절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54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10158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to upgrade and control an existing circuit breaker panel
US80937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o an electrically powered device
US79649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o an electrically powered device
US9705330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US90071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to a device
US9634738B2 (en) Hybrid power line/wireless appliance automation system, device, and power monitoring method utilizing the same
JP6362630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
US2023004611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Measuring Power Usage By A Device
KR101266047B1 (ko)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JP6243029B2 (ja) 電子機器の動作制御装置
KR101904765B1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KR101659453B1 (ko)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88185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nd monitoring receptacles and fixtures connected to a power circuit in a building
KR20160003517A (ko) 스마트 플러그 및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전력 관리 시스템
CN104090546A (zh) 一种家电智能控制系统
KR201401182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WO2016025998A1 (en) Electrical outlet assembly
KR101260337B1 (ko) 전력선 통신방식 원격 모니터링 멀티 콘센트
KR102504951B1 (ko) 에너지 관리 캡슐
KR20150005345A (ko) 전력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60054917A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KR102154826B1 (ko) 스마트 플러그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제품 사용 관리 시스템
KR20190063981A (ko) 멀티 콘센트의 부하전력 원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20110104609A (ko) 매시 네트워크로 전력 제어와 감시할 수 있는 전기콘센트와 주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