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453B1 -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453B1
KR101659453B1 KR1020140142385A KR20140142385A KR101659453B1 KR 101659453 B1 KR101659453 B1 KR 101659453B1 KR 1020140142385 A KR1020140142385 A KR 1020140142385A KR 20140142385 A KR20140142385 A KR 20140142385A KR 101659453 B1 KR101659453 B1 KR 101659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detachable
outlet
energ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015A (ko
Inventor
강태헌
박종인
Original Assignee
창신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창신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4014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4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가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와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고 휴대형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콘센트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개별가구의 콘센트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휴대형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에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콘센트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로부터의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에 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각 가정별 에너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가능하다.

Description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SERVER AND SYSTEM FOR MANAGING HOME ENERGY}
본 발명은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센트 등을 통해 측정되는 에너지 소비를 모니터링 가능하고 원격에서 콘센트의 전원을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은 독립된 다수의 가구로 구성된다. 공동주택은 또한 다수의 가구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소(관리사무실)가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관리소는 전체 공동주택을 관리하고 개별가구의 관리비 등을 산출한다. 개별가구의 관리비는 일반적으로 전기세 등을 포함하고 전기세는 원격 검침 등을 통해서 월별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소는 공동주택을 관리하고 전기세 산출을 수행하고 관리비를 수납한다. 한편 공동주택의 거주자는 관리비 산출에 대해서 지대한 관심이 있고 이에 따라 관리소는 관리비 산출 내역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관리비 산출 내역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공동주택의 공통 관리비에 비해서, 개별가구별 전기세 등은 월별로 달라 거주자는 더욱더 민감하다. 따라서 공동주택에서 전기세 등의 변동 추이와 상세 전기사용량을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각 개별가구별 전기세 등의 절감을 위해서는 독립된 각 가구의 전원기기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최근래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가구원들은 개별가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전원 차단도 특정 구역(현관, 거실, 방 등)에 한정되거나 전체 거주구역에 한정된다.
반면에 과거에 지어지거나 오래된 아파트들은 이러한 원격 제어를 위해서는 개별가구의 전원배선을 전면 수정하거나 여러 전원관리기기들을 추가하여야 해서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적은 비용으로 공동주택 내의 개별 전원기기의 에너지 소비를 모니터링 가능하고 각 전원기기를 원격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개별가구의 구체적인 에너지 소비량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다른 콘센트와 결합가능한 콘센트를 활용하여 별도의 배선 수정이나 기기 추가 없이도 콘센트에 연결된 전원기기에 대한 구체적인 에너지 소비량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가구의 콘센트에 대한 원격 제어로 콘센트별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원격에서 콘센트별 에너지 소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관리소에서 콘센트를 활용하여 개별가구의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홈 에너지 관리 서버는 개별가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와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고 휴대형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콘센트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개별가구의 콘센트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휴대형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에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콘센트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로부터의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홈 에너지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센트의 에너지 소비 상태를 요청하는 요청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 소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통신부를 경유하여 휴대형 단말기로 송신한다.
또한 홈 에너지 관리 서버의 제어부는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하나 이상의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통신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콘센트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며, 하나 이상의 콘센트는 다른 콘센트에 결합가능하고 6LowPAN(IPv6 over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해 홈 에너지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홈 에너지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홈 에너지 관리 서버는 개별가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와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고 휴대형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콘센트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개별가구의 콘센트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휴대형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에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콘센트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로부터의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개별가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를 더 포함하며, 콘센트는 다른 콘센트에 결합가능하고 홈 에너지 관리 서버와 6LowPAN(IPv6 over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에 따른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홈 에너지 관리 서버는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하나 이상의 콘센트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콘센트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콘센트는 교류 전원을 출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 릴레이에 연결된 전원구, 전원구를 통해 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센서, 6LowPAN에 따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마이컴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류센서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고 홈 에너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릴레이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개별가구의 구체적인 에너지 소비량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다른 콘센트와 결합가능한 콘센트를 활용하여 별도의 배선 수정이나 기기 추가 없이도 콘센트에 연결된 전원기기에 대한 구체적인 에너지 소비량을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개별가구의 콘센트에 대한 원격 제어로 콘센트별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원격에서 콘센트별 에너지 소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관리소에서 콘센트를 활용하여 개별가구의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홈 에너지 관리 서버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콘센트를 통해 원격에서 에너지 관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각 가정 또는 개별가구 내에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 콘센트(100)에 연결된 전원기기(200), 게이트웨이(300)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500) 및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를 더 포함한다.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개별가구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가구는 콘센트(100), 전원기기(200) 및 게이트웨이(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별가구는 특정 하나의 가정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내의 특정 하나의 가구 또는 특정 하나의 가구가 점유하고 있는 공간영역을 나타낸다.
도 1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콘센트(100)는 개별가구에 구비되고 110V 또는 220V 등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전원구(111)를 통해 교류전원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다양한 유형의 콘센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100)는 벽면내에 매립되는 매립형 콘센트이거나 전원 플러그를 구비하여 전원 케이블로 다른 콘센트에 결합될 수 있는 이동형 콘센트이거나 매립형 또는 이동형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101)로 결합될 수 있는 착탈식 콘센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바람직하게 다른 콘센트의 전원구와 전원 플러그(101)를 통해 직접 착탈가능한 착탈식 콘센트이다.
콘센트(100)는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100)는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전원구(111)의 교류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콘센트(100)는 내부적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 측정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원구(111)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류나 소비전력을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측정 데이터는 측정된 소비 전류값 자체, 측정된 소비 전류값과 전류센서(107)에 연결된 교류 전원과 전류의 위상차, 전류센서(107) 등을 통해 측정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계산된 소비전력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콘센트(10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4를 통해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전원기기(200)는 콘센트(100)에 연결되어 콘센트(10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각종 지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기기(200)는 가정(또는 가구)내에 설치된 기기로서 예를 들어 텔레비전, 셋탑박스, 냉장고, 세탁기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기기(200)는 적어도 콘센트(100)에 연결되어 콘센트(10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전원제어가 필요한 전원기기(2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게이트웨이(300)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콘센트(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광대역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웨이(300)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 중 특정 콘센트(100)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300)는 공유기로 지칭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무선 공유기일 수 있다.
여기서 개별가구내의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는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300)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데,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그 일부일 수 있는 무선통신은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무선통신은 바람직하게는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로부터 출발된 사물통신 프로토콜인 6LowPAN(IPv6 over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6LowPAN의 통신 프로토콜의 무선통신을 통해 각 콘센트(100)는 게이트웨이(300)를 거쳐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와 통신가능하다.
휴대형 단말기(500)는 개별가구의 가구원이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이다. 휴대형 단말기(5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거나 태블릿 PC이다.
휴대형 단말기(500)는 이동통신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고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를 통해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콘센트(100)들의 에너지 소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500)는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콘센트(100)들 중 특정 콘센트(100)에 대한 전원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500)는 각 콘센트(100)의 월별 에너지 소비량, 월별 이전 에너지 소비량과의 차이, 현재 소비한 에너지 소비량 등을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와 연동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500)는 각 콘센트(100)의 전원제어상태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를 통해 확인하고 이 전원제어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콘센트(100)의 전원제어상태는 교류전원 공급 또는 차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하나 이상의 개별가구들의 콘센트(100)들을 관리한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개별가구의 게이트웨이(300)에 액세스 가능하고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개별가구 내의 콘센트(100)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또한 예를 들어 웹 페이지를 제공하거나 휴대형 단말기(50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휴대형 단말기(500)와 연동하여 개별가구의 각종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각 콘센트(1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 게이트웨이(300), 휴대형 단말기(500)들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 이 광대역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선의 근거리 네트워크,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및 이동통신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이동통신네트워크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광대역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구성할 수 있다. 광대역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근거리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이더넷일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콘센트(100)는 전원 플러그(101), 입력 인터페이스(103), 출력 인터페이스(105), 전류센서(107), 릴레이(109), 하나 이상의 전원구(111), 통신 인터페이스(113), 마이컴(115)을 포함한다. 도 2의 콘센트(100)는 착탈식 콘센트의 하드웨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콘센트(100)의 유형이 달라지거나 콘센트(100)의 기능 추가 또는 제거에 따라 특정 블록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플러그(101), 입력 인터페이스(103), 출력 인터페이스(105) 등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전원 플러그(101)는 다른 콘센트의 전원구(111)에 결합 또는 삽입될 수 있는 단자이다. 전원 플러그(101)는 금속재질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단자를 구비하여 110V 또는 220V 등의 교류전원을 다른 콘센트로부터 이 콘센트(100) 내부로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플러그(101)는 콘센트(100)의 플라스틱 기구물에 결합되어 기구물과 일체로 구성된다.
입력 인터페이스(103)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인터페이스(103)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 리셋 버튼, 통신모드 설정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각 스위치나 버튼으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마이컴(115)으로 출력하거나 해당 물리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스위치는 교류전원 자체를 차단(도면 미도시)할 수 있고 통신모드 설정 스위치의 설정에 따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와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거나 데이터 통신이 차단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05)는 하나 혹은 복수의 LED를 구비한다. LED는 마이컴(115)의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각각의 LED는 특정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콘센트(100)의 통신모드 설정 스위치에 따른 설정상태나 통신 이상 등을 나타내기 위해서 이용된다.
전류센서(107)는 콘센트(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전원구(111)에 연결된 전원기기(200)에 의해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소비전류의 데이터를 마이컴(115)으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데이터일 수 있다. 전류센서(107)는 CT(Current Transform) 또는 션트(SHUNT) 방식 등으로 구성되어 소비 전류를 측정 및 검출할 수 있다.
릴레이(109)는 하나 이상의 전원구(111)에 연결되어 전원 플러그(101)를 통해 입력된 교류전원을 전원구(111)로 출력하거나 차단한다. 릴레이(109)는 마이컴(115)에 의해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교류전원을 전원구(111)로부터 차단하거나 전원구(111)에 공급한다. 릴레이(109)는 SSR(Solid State Relay),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TRIAC(Triode for Alternating Current), TR(Transistor)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콘센트(100)는 하나의 전류센서(107)와 하나의 릴레이(109)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콘센트(100)에 구비된 전원구(111)의 개수만큼의 전류센서(107)와 릴레이(109)를 콘센트(100)가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원구(111)가 2개가 있는 경우, 하나의 전류센서(107)와 릴레이(109)는 첫번째 전원구(111)에 연결되어 해당 전원구(111)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과 전류측정이 가능하고 다른 전류센서(107)와 릴레이(109)는 두번째 전원구(111)에 연결되어 해당 전원구(111)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과 전류측정이 가능하다.
전원구(111)는 릴레이(109)에 연결되고 전원기기(200)의 전원 플러그에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전원구(111)는 단상 내지 3상의 교류전원을 전원기기(200)로 출력한다. 전원구(111)에 의해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은 차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와 연동한 마이컴(115)의 제어로 차단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3)는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3)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와 통신가능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3)는 무선통신을 위한 칩셋이나 회로를 구비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게이트웨이(300)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게이트웨이(300) 또한 송수신을 위한 이 데이터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송수신한다. 이 무선통신은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6LowPAN이거나 6LowPAN을 이용한다.
마이컴(115)은 콘센트(1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마이컴(115)은 내부에 비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유닛을 포함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를 이용하여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마이컴(115)은 교류전원으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예를 들어 전원회로(도면 미도시) 등 이용)을 이용하여 구동되고 프로그램 코드를 로딩하여 적어도 전원구(111)를 통해 출력되는 교류전원의 전력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마이컴(115)은 8비트, 16비트 마이컴(115)일 수 있고 마이컴(115)은 그 외 프로세서, CPU, MPU, 제어기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마이컴(115)은 적어도 통신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릴레이(109)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게이트웨이(300)를 경유하여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릴레이(109)를 제어신호로 제어하여 전원구(111)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마이컴(115)은 또한 주기적으로 전류센서(107)를 통해 소비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소비 전류에 기초한 데이터('측정 데이터'라고도 함)를 통신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는 전류센서(107)에서 측정된 소비 전류값 자체, 측정된 소비 전류값과 전류센서(107)에 연결된 교류전원과 전류의 위상차, 전류센서(107) 등을 통해 측정된 전압값에 기초하여 계산된 소비전력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즉 소비전력은 소비전류, 입력전압 및 역률 등을 감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소비전력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는 마이컴(115)에 의해서 계산되어 생성되고 측정 데이터는 무선통신의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패킷화되어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 및 콘센트(100) 간의 데이터 흐름은 도 4를 통해서 좀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적어도 통신부(410), 저장부(430), 제어부(450) 및 연결부(470)를 포함한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그 기능에 따라 특정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통신부(410)는 광대역 네트워크 또는 광대역 네트워크 내의 근거리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칩셋과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410)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410)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개별가구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휴대형 단말기(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가구의 게이트웨이(3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게이트웨이(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게이트웨이(300)는 특정 콘센트(100)와 6LowPAN과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콘센트(100)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콘센트(100)의 교류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콘센트(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전류센서(107)를 통해 결정되는 측정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형 단말기(500)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500)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콘센트(100)의 에너지 소비 상태를 요청하는 요청 데이터, 특정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의 전원 차단 또는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요청에 응답한 응답 데이터 등이 있다.
저장부(4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로 구성되어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430)는 또한 개별가구별, 사용자별, 콘센트(100)별로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개별가구의 식별자, 각 개별가구의 가구원의 식별자, 각 개별가구내의 콘센트(100)들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각 콘센트(100)별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또한 포함한다. 개별가구의 식별자는 관리소 등에서 이용될 수 있는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공동주택(아파트)의 동과 호수를 나타낸다. 가구원의 식별자는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콘센트(100)에 접속가능한 가구원을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서, 로그인 아이디(ID), 휴대형 단말기(500)의 전화번호 등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또한 가구원을 인증하기 위한 암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콘센트(100)의 식별자는 콘센트(100) 자체를 광대역 네트워크에서 구별가능한 용도로 이용되고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주소, 맥 주소 등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또한 개별가구별로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웨이(300)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300)의 식별자는 예를 IP 주소나 맥 주소 등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300)의 식별자는 개별가구의 콘센트(100)에 액세스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개별가구 내의 콘센트(100)들을 가구원이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는 개별가구 내의 특정 구역, 특정 구역 내의 설치 위치 등을 나타내도록 설정되거나 연결된 전원기기(200)의 이름(식별자)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콘센트(100)의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는 특정 가구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에너지 소비 데이터는 각 콘센트(100)별로 수신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450)에 의해서 생성되는 데이터이다. 에너지 소비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각 콘센트(100)의 전력 소비량을 포함한다. 전력 소비량은 연간 전력 소비량, 월별 전력 소비량, 하루별 전력 소비량, 및/또는 현재의 해당월 이후 오늘까지 소비한 전력 소비량, 현재의 전력 소비량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에너지 소비 데이터는 또한 전력 소비의 증감을 나타내는 전력소비 증감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소비 증감량은 예를 들어 월별 전력소비 증감량, 일별 전력소비 증감량, 및/또는 현재의 해당월 이후 오늘까지와 이전월 이후 대응하는 날짜(오늘 날짜와 동일한 날짜) 까지의 전력소비 증감량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에너지 소비 데이터는 나아가 각 콘센트(100)의 전원상태를 나타내는 전원상태 데이터를 더 포함한다. 이 전원상태 데이터는 해당 콘센트(100)가 현재 교류전원을 출력하고 있는 지 또는 차단하고 있는 지를 나타낸다. 전원상태 데이터 또한 측정 데이터로부터 또는 콘센트(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콘센트(100)의 현재 전원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로부터 결정된다.
이와 같이 저장부(430)는 각종 식별자와 콘센트(100)별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450)는 도 3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제어부(450)는 예를 들어 저장부(4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유닛을 포함하는 CPU, MPU,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제어부(450)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해서 각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부(430)에 저장하거나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으로서 통신부(410)를 통해 광대역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휴대형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500)에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콘센트(100)들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식별하고 식별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나타내거나 에너지 소비 데이터로부터 가공된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5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50)는 휴대형 단말기(500)로부터 휴대형 단말기(500)에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의 에너지 소비 상태를 요청하는 요청 데이터를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하고 그 응답으로서 저장부(430)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 소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통신부(410)를 경유하여 휴대형 단말기(500)로 송신한다. 송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각 콘센트(100)의 각종 전력 소비량, 각종 전력소비 증감량, 모든 콘센트(100)의 합산으로 결정되는 각종 전력 소비량, 각종 전력소비 증감량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다수의 휴대형 단말기(500)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로서 동작하고 웹 서버이거나 TCP/IP에 기반하여 약속된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450)는 휴대형 단말기(500)로부터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의 전원을 차단 또는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제어 데이터를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한다. 제어부(450)는 수신된 전원 제어 데이터에 응답해서 이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로 교류전원의 차단 또는 공급을 위한 전원 제어 데이터를 통신부(410)를 통해 송신한다. 수신된 전원 제어 데이터와 콘센트(100)로 송신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휴대형 단말기(500)와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와의 데이터 전송 포맷과 콘센트(100)와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간의 데이터 전송 포맷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는 6LowPAN 등과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와 통신 가능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수신된 전원 제어 데이터에 따라 콘센트(100)의 릴레이(109)를 제어하여 전원구(111)의 교류전원을 출력하거나 차단한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에 이루어지는 제어는 도 4를 통해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연결부(470)는 각 기능블록들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 내에서 송수신한다. 연결부(470)는 예를 들어 제어부(450)에 의해서 제어되는 병렬 버스일 수 있다. 연결부(470)는 제어부(450)에 의한 데이터 요청(request)과 그에 따른 다른 기능 블록들의 응답 및 데이터 송수신으로 기능블록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콘센트(100)를 통해 원격에서 에너지 관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제어 흐름은 바람직하게 콘센트(100)의 마이컴(115)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의 제어부(450)에 의해서 수행되고 나아가 휴대형 단말기(500)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된다.
콘센트(100)는 다른 콘센트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마이컴(115)을 구동하여 마이컴(115) 내의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하고 프로그램 코드의 수행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소스 주소 및 목적지 주소를 설정한다. 소스 주소는 콘센트(100)를 액세스할 수 있는 주소이고 목적지 주소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의 주소이거나 게이트웨이(300) 주소를 더 포함한다.
이후 콘센트(100)는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하여 전류센서(107)를 통해 전류값을 주기적으로 측정(① 참조)하고 측정된 전류값 또는 전력값 등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를 설정된 소스 주소 및 목적지 주소를 이용하여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전송(송신)(② 참조)한다. 콘센트(100)는 측정 데이터와 함께 전원상태 데이터를 더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센트(100)는 소비 전류의 측정과 측정 데이터의 전송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측정 데이터, 나아가 전원상태 데이터,를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한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통신 패킷의 주소나, 통신 패킷 내의 약속된 위치의 식별자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콘센트(100)를 식별하고 식별된 콘센트(100)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생성, 변경,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저장부(430))에 저장(③ 참조)한다.
한편,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필요에 따라 콘센트(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가 설치되어 있는 특정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소의 관리원은 비상 상황을 인지한 경우, 모든 콘센트(100)로 전원 차단을 위한 전원 제어 데이터(④ 참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원 제어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수신한 콘센트(100)의 마이컴(115)은 전원 제어 데이터의 제어에 따라 릴레이(109)를 제어하여 전원구(111)를 통한 출력 교류전원을 제어(⑤ 참조)한다.
한편, 휴대형 단말기(500)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특정 콘센트(100)의 상태나 전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데, 이를 위해 휴대형 단말기(500)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고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에 의한 인증 요청에 따라 인증에 필요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⑥ 참조)한다.
인증 과정에서 휴대형 단말기(500)의 식별자가 이용되고 나아가 암호 등이 더 이용된다. 인증이 완료되면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500)에 대응하는 개별가구를 식별할 수 있고 개별가구 내에서 전원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를 식별할 수 있다.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식별된 콘센트(100)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각 콘센트(100)의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를 포함하고 콘센트(100) 자체의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형 단말기(500)는 표시되는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체, 또는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센트(100)의 에너지 소비 상태를 알기 위한 상태 요청 데이터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전송(⑦ 참조)한다.
상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휴대형 단말기(500)와 현재 연결된 통신 채널로부터 수신되고 선택된 콘센트(10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식별하고 식별된 콘센트(100)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송될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기(500)로 전송(⑧ 참조)한다. 전송되는 상태 데이터는 휴대형 단말기(500)에서 이미지나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는 데이터로서 식별된 콘센트(100)(들)의 특정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나타내거나 특정 에너지 소비 데이터로부터 구성된 데이터이다. 전송되는 상태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개별 콘센트(100)에 대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나타내거나 선택된 콘센트(100)들에 대하여 합산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전송되는 상태 데이터는 에너지 소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이후 휴대형 단말기(500)의 가구원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콘센트(100)들의 에너지 소비 상태 등을 확인하고 전력 소비가 과하거나 현재 전력 소비가 발생하고 있거나 전원 제어가 필요한 특정 콘센트(100)를 파악(식별)하고 해당 콘센트(100)에 대한 전원 제어 요청을 나타내는 제어 데이터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전송(⑨ 참조)한다.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는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콘센트(100)의 식별자(예를 들어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 또는 콘센트(100)의 식별자)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를 식별하고 해당 콘센트(100)로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른 전원 제어 데이터를 전송(⑩ 참조)한다. 수신된 제어 데이터 및/또는 전송(송신)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는 적어도 특정 하나 이상의 콘센트(100)에 의해 릴레이(109)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전원구(111)를 통해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차단하거나 (재)공급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전원 제어 데이터를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수신한 콘센트(100)의 마이컴(115)은 전원 제어 데이터의 제어에 따라 릴레이(109)를 제어하여 전원구(111)의 교류전원을 출력하도록 하거나 차단한다. 마이컴(115)은 전원 제어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홈 에너지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홈 에너지 관리 서버는 마이컴(115)으로부터의 수신된 응답에 따라 또는 전원 제어 이후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전원상태로 휴대형 단말기(500)로부터의 전원 제어 요청에 대한 응답을 휴대형 단말기(500)로 전송(⑪ 참조)한다.
이상 도 4를 통해 콘센트(100)의 원격 제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00)는 이동형 또는 착탈식 콘센트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착탈식 콘센트이다. 이 착탈식 콘센트는 개별가구 내에 산재되어 있는 매립형 또는 이동형 콘센트에 결합될 수 있어 개별가구 내의 배선 변경없이도 특정 전원기기(200)를 모니터링하고 전원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콘센트
101 : 전원 플러그 103 : 입력 인터페이스
105 : 출력 인터페이스 107 : 전류센서
109 : 릴레이 111 : 전원구
113 : 통신 인터페이스 115 : 마이컴
200 : 전원기기 300 : 게이트웨이
400 : 홈 에너지 관리 서버
410 : 통신부 430 : 저장부
450 : 제어부 470 : 연결부
500 : 휴대형 단말기

Claims (7)

  1. 홈 에너지 관리 서버로서,
    개별가구에 구비된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와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고 휴대형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착탈식 콘센트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개별가구의 착탈식 콘센트별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대응하는 개별가구의 착탈식 콘센트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콘센트는 개별가구에 구비된 다른 콘센트의 전원구에 전원 플러그로 직접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탈식 콘센트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착탈식 콘센트에 구비된 전류센서로부터의 측정 데이터와 상기 착탈식 콘센트에 구비된 릴레이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착탈식 콘센트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착탈식 콘센트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휴대형 단말기에 대응하는 개별가구를 식별하고 식별된 개별가구의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 중에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착탈식 콘센트에 대한 전원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원 제어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착탈식 콘센트로 상기 전원 제어 요청에 따른 전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휴대형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개별가구의 가구원에 의해서 설정되고 상기 개별가구에서의 설치 위치나 상기 복수의 전원구에 연결된 전원기기의 이름을 나타내는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제어 요청의 상기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에 대응하는 착탈식 콘센트를 식별하여 식별된 착탈식 콘센트에 대한 전원 제어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
  2. 삭제
  3. 삭제
  4.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으로서,
    개별가구에 구비되고 다른 콘센트의 전원구에 전원 플러그로 직접 결합되는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 및
    상기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를 제어하는 홈 에너지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콘센트는 교류 전원을 출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단일의 릴레이, 상기 릴레이에 연결된 복수의 전원구, 상기 복수의 전원구를 통해 소비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단일의 전류센서, 6LowPAN(IPv6 over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에 따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다른 콘센트의 전원구에 결합되는 전원 플러그,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컴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류센서로부터의 측정 데이터와 상기 릴레이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홈 에너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원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릴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홈 에너지 관리 서버는, 접속한 휴대형 단말기에 대응하는 개별가구를 식별하고 식별된 개별가구의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 중에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착탈식 콘센트에 대한 전원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원 제어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착탈식 콘센트로 상기 전원 제어 요청에 따른 전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며,
    휴대형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착탈식 콘센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개별가구의 가구원에 의해서 설정되고 상기 개별가구에서의 설치 위치나 상기 복수의 전원구에 연결된 전원기기의 이름을 나타내는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홈 에너지 관리 서버는, 상기 전원 제어 요청의 상기 가구원 인식용 식별자에 대응하는 착탈식 콘센트를 식별하여 식별된 착탈식 콘센트에 대한 전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42385A 2014-10-21 2014-10-21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65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85A KR101659453B1 (ko) 2014-10-21 2014-10-21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85A KR101659453B1 (ko) 2014-10-21 2014-10-21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015A KR20160047015A (ko) 2016-05-02
KR101659453B1 true KR101659453B1 (ko) 2016-09-26

Family

ID=5602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385A KR101659453B1 (ko) 2014-10-21 2014-10-21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60B1 (ko) * 2019-06-18 2020-01-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전류 및 온도 감시 시스템
KR102066559B1 (ko) * 2019-06-18 2020-01-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무선 교류 전류센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608B1 (ko) * 2016-08-29 2018-06-05 창신정보통신(주) 상황인식 에너지 관리용 스마트 콘센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65601A (ko) 2016-12-08 2018-06-18 (주)온테스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중계 장치
KR20180065600A (ko) 2016-12-08 2018-06-18 (주)온테스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059794B1 (ko) 2017-11-29 2019-12-27 (주)온테스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기반 에어컨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44553B1 (ko) 2018-12-14 2019-11-13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99B1 (ko) * 2010-03-19 2011-01-07 벽산파워 주식회사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31707B1 (ko) * 2011-03-22 2013-02-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검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력선통신용 지능형 콘센트
KR101232276B1 (ko) * 2011-06-27 2013-02-12 (주)이지정보기술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99B1 (ko) * 2010-03-19 2011-01-07 벽산파워 주식회사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31707B1 (ko) * 2011-03-22 2013-02-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검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력선통신용 지능형 콘센트
KR101232276B1 (ko) * 2011-06-27 2013-02-12 (주)이지정보기술 멀티 통신 기반 콘센트의 전력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60B1 (ko) * 2019-06-18 2020-01-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 전류 및 온도 감시 시스템
KR102066559B1 (ko) * 2019-06-18 2020-01-1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무선 교류 전류센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015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453B1 (ko)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9438492B2 (en) Self-organized multiple appliance network connectivity apparatus
US8290635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 by detecting electrical signatures of appliances
KR20180114542A (ko) Evse-기반 에너지 자동화, 관리, 및 보호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567853B2 (en) Smart grid appliance control
WO2014050985A1 (ja) 家電機器遠隔監視システム
US90130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JP6243029B2 (ja) 電子機器の動作制御装置
US20100280674A1 (en) Metering and Regulating the Distribution of Power
KR10113653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측정 시스템
KR20100035083A (ko) 공중 ip망을 공유하는 ami 게이트웨이 및 이를 통한 실시간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KR101745702B1 (ko)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한 전력 소비 비교 분석 방법 및 전력 소비 비교 분석을 제공하는 스마트 플러그 시스템
CN104009340A (zh) 一种基于网络控制的智能插座
US9507353B2 (en) PLC based thermostat temperature control for heating systems
KR101864608B1 (ko) 상황인식 에너지 관리용 스마트 콘센트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82780B1 (ko) 효율적 전력 관리를 위한 스마트 미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관리 방법
JP6707989B2 (ja) 電気機器接続用具、電気機器接続用具と外部制御装置のセットおよび遠隔監視管理システム
JP2017017777A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101668630B1 (ko) Gps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US9444893B2 (en) Network power control module
US10126336B2 (en) Energy usage device and energy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KR102335420B1 (ko)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댁내 기기 제어 시스템
Sanchez et al.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of energy consumption by WiFi networks
US20170108904A1 (en) Location based electric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reof
GÖKBAYRAK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based extension to KNX home auto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