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499B1 -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499B1
KR101006499B1 KR1020100024811A KR20100024811A KR101006499B1 KR 101006499 B1 KR101006499 B1 KR 101006499B1 KR 1020100024811 A KR1020100024811 A KR 1020100024811A KR 20100024811 A KR20100024811 A KR 20100024811A KR 101006499 B1 KR101006499 B1 KR 10100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ower
smart outlet
integrated control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인
이재규
Original Assignee
벽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파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산파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콘센트가 각각의 전기사용장치들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제어모듈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한 눈에 전기사용장치들의 전력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공간에 구비된 각각의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체크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지선으로 들어오는 전력을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전력사용량 정보를 무선모듈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대기전력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차단 또는 복귀토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콘센트; 및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부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를 통한 통합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ling Electric Devices}
본 발명은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공간에 구비된 전기사용장치를 개별적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전력사용량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효율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거주공간의 쾌적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냉/난방, 환기, 조명 등의 실내 환경조절을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 사용을 극소화하는 데 있다.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기술적인 조치가 이루어졌다고 해도 실질적인 건물의 에너지 사용형태, 시스템 효율, 정상적인 작동 및 운전스케줄 등에 대한 치밀하면서도 지속적인 에너지 관리 없이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선진 외국에서는 별도의 건물 에너지 관리자를 배치하여 건물의 에너지 소비 수준, 운전상태 등을 철저히 관리함으로써 항상 최상의 에너지 효율로 건물을 운전하고 있다.
또한 건물의 고유한 열적 특성에 따른 에너지 소비형태 분석, 시스템의 이상 유무 진단 등과 관련하여 계속적인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유엔 기후 변화 협약상 각국별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더욱 강화되고 있고, 우리나라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가입한 후에는 선진국 수준의 감축의무를 부담하라는 압력을 피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청정 에너지 개발과 환경 친화적 산업 육성이 시급할 것으로 보이며, 건물도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에너지 절약형 건물이 아니고서는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부담 요인이 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건물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건물내의 전기사용장치를 정확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사무실 또는 가정집에서의 일정 공간내의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단순히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콘센트 또는 사용자가 직접 불필요한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량의 손실을 방지하는 정도의 대책만이 강구되어 있으며, 전기사용장치의 별도 제어 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제안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정확한 검침과 전력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공간에 구비된 각각의 전기사용장치들을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전력사용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콘센트의 실시간 전력량 체크를 통해 확인된 정보를 수신받아 원격으로 각각의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는 통합제어모듈로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네트워크 또는 웹을 통해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원격으로 전력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공간에 구비된 각각의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체크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지선으로 들어오는 전력을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전력사용량 정보를 무선모듈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대기전력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차단 또는 복귀토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콘센트; 및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부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대기전력차단이 가능한 장치와 항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장치를 위해 각각 구비된 제어부하 플러그인 및 항시부하 플러그인; 릴레이를 이용하여 제어부하와 항시부하로 분리하고 계량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모듈; 전기사용장치의 전력 사용 상태를 통합제어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통합제어모듈로부터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대기전력 차단을 복귀시키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 복귀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상기 대기전력을 수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수동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매입 콘센트형, 시스템 박스형, 멀티 콘센트형, 분전반 지선 계측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합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부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하고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수신된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표준 XML 데이터 형태로 변경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원격제어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키 입력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부; 및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전력사용량 제어에 따른 설정 값에 따라 스마트 콘센트의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스마트 콘센트가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콘센트가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통합제어모듈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제어모듈이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제어모듈이 사용자의 제어 신호 입력 또는 전력사용량 제어에 따른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 전력사용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콘센트가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는 지선으로 들어오는 전력이 제어부하 또는 항시부하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로 공급될 때 스마트미터를 통해 검침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으로 상기 통합제어모듈로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공간에 구비된 전기사용장치들을 스마트 콘센트와 통합제어모듈을 통해 손쉽게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 콘센트가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들의 전력사용량을 실시간 감지하여 통합제어모듈로 전송함으로써, 모든 전기사용장치들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로 전기사용장치에 대한 전력사용량 정보를 무선네트워크 및 웹을 통해 제공하여 원격지에서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은, 일정 공간에 구비된 각각의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체크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지선으로 들어오는 전력을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전력사용량 정보를 무선모듈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대기전력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차단 또는 복귀토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콘센트(30)와,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로부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부(204)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별로 연결된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전기사용장치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TV(10), 히터(20), 공기청정기(25), 복사기(40), 정수기(50) 등 사무실과 가정 등에 구비된 모든 전열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전기사용장치'로 기재하기로 한다.
사무실에 구비된 전기사용장치는 지선과 연결된 상기 스마트 콘센트(30)의 플러그에 연결되어 있고,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제어모듈(200)은 일정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로부터 수신받는다.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는 상기 통합제어모듈(200)로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에 관한 실시간 데이터를 DLMS와 같은 표준 형태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은 안드로이드와 같은 개방형 플랫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Obix(for Open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와 같은 표준 XML 데이터 형태로 변경 저장하는데, 이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웹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60)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obix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빌딩 제어 시스템을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표준으로써, 컨트롤 시스템을 기초로 하는 고도의 상호 대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웹서비스 인터페이스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팀장, 과장, 대리가 각각 사용하는 TV(10), 히터(20), 공기청정기(25) 및 사용자단말기(60, 60a, 60b, 60c)와 공용으로 사용하는 복사기(40), 정수기(50) 등은 각 스마트 콘센트(30)에 연결되어 전력사용량 정보가 상기 통합제어모듈(200)로 전송되고,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은 전력사용량 정보를 취합하여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을 통해 전력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이 전력제어신호가 무선통신으로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로 전송되어 각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이 제어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는 대기전력차단이 가능한 장치와 항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장치를 위해 각각 구비된 제어부하 플러그인(33) 및 항시부하 플러그인(32)과, 릴레이를 이용하여 제어부하와 항시부하로 분리하고 스마트미터를 위한 계량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모듈(36)과, 전기사용장치의 전력 사용 상태를 통합제어모듈(200)로 전달하고 상기 통합제어모듈(200)로부터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37)과,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31)과, 대기전력 차단을 복귀시키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 복귀 스위치(35)와, 상기 대기전력을 수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수동차단 스위치(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모듈(37)은 지그비(Zigbe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는 공간의 형태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매입 콘센트형, 시스템 박스형, 멀티 콘센트형, 분전반 지선 계측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는 전기사용장치의 대기전력 차단 기준(최소 전류량 및 지속시간 등)을 설정하도록 하여, 이에 따라 대기전력을 파악하여 자동으로 차단하는 데 있어, 통합제어모듈(200)의 지그비 등 무선 통신을 통해 차단 기준을 변경하거나 차단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거나 복귀시키는 기능을 다양하고 지능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항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부하(냉장고, 정화기, 셋톱박스, 통신라우터, 보안장비 등)용으로 별도의 차단기능이 없는 기존 형태의 콘센트 인입구를 차단 기능을 갖는 인입구와 분리 설정함으로써 원격이나 자동으로 여러개의 스마트미터를 일괄 차단하거나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마트분전반의 단일 지선별로 그룹화하여 총 실시간 전력량 혹은 전류량을 측정하여 분전반의 차단 최대 전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시하여 알려주거나 지능적으로 제어부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시부하의 전력량 정보를 통하여 운전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은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로부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하고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202)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4)와, 수신된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표준 XML 데이터 형태로 변경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06)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원격제어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키 입력부(208)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60)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부(210)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전력사용량 제어에 따른 설정 값에 따라 스마트 콘센트(30)의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은 여러 개의 스마트 콘센트(30)로부터 전력량 사용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화면에 제공하거나 전력량 사용 통계 및 분석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화면도 제공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개별 혹은 일괄적으로 차단 설정 및 해지를 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화를 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되거나 통합제어모듈(200) 자체가 서버 기능을 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이 이에 접속하여 자신의 PC(Personal Computer)나 원격지에서 노트북이나 휴대폰 등으로 스마트 콘센트(30)의 정보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여러 가지 설정이나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할 경우 분전반의 동일 지선에 연결된 스마트 콘센트(30)를 그룹화하여 이를 동시에 감시하고 사용량 혹은 전류량을 합산하여 지선의 정격 차단 전류와의 여유도를 계산하여, 통합제어모듈(200) 화면 혹은 각각의 사용자 PC 화면에서 보여주도록 하여 전력이 불시에 차단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며 또한 자동차단 기능을 프로그램화하여 적용함으로써 분전반 지선 전체가 차단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 콘센트(30)가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S400), 상기 스마트 콘센트(30)가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통합제어모듈(200)로 실시간 전송하면(S402),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은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204)에 표시한다(S404).
이후,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이 사용자의 제어 신호 입력 또는 전력사용량 제어에 따른 자동설정 값에 따라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로 전력사용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전기사용장치를 제어한다(S406).
이때, 상기 통합제어모듈(200)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Obix와 같은 표준 XML 데이터 형태로 변경 저장하여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콘센트(30)이 실시간으로 전력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은 지선으로 들어오는 전력이 제어부하 플러그(33) 또는 항시부하 플러그(32)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로 공급될 때 스마트미터를 통해 검침하여 확인한다.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제어모듈(200)로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 공간에 구비된 전기사용장치들의 전력 사용량을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해 스마트 콘센트(30)와 통합제어모듈(200)이 설치되면, 상기 스마트 콘센트(30)가 각각의 전기사용장치들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제어모듈(200)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한 눈에 전기사용장치들의 전력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키 입력부(208)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하면 무신신호로 상기 스마트 콘센트(30)로 전송되어 전력제어가 가능해지고, 표준 XML 데이터로 저장되어 무선네트워크 또는 웹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60)로 제공되어 원격지에서도 전기사용장치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30: 스마트 콘센트 60: 사용자단말기
200: 통합제어모듈

Claims (11)

  1. 일정 공간에 구비된 각각의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체크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지선으로 들어오는 전력을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사용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전력사용량 정보를 무선모듈을 통해 전송하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대기전력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차단 또는 복귀토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콘센트; 및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부터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 콘센트별로 연결된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제어모듈은 서버 기능을 수행하여 원격지에서 노트북 또는 휴대폰 으로 상기 스마트 콘센트의 정보를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부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하고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수신된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표준 XML 데이터 형태로 변경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원격제어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된 키 입력부;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량 정보를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부; 및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전력사용량 제어에 따른 설정 값에 따라 스마트 콘센트의 전력 사용량을 조절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대기전력차단이 가능한 장치와 항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는 장치를 위해 각각 구비된 제어부하 플러그인 및 항시부하 플러그인;
    릴레이를 이용하여 제어부하와 항시부하로 분리하고 계량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모듈;
    전기사용장치의 전력 사용 상태를 통합제어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통합제어모듈로부터 전력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
    상기 전기사용장치의 전력사용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대기전력 차단을 복귀시키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 복귀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상기 대기전력을 수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수동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매입 콘센트형, 시스템 박스형, 멀티 콘센트형, 분전반 지선 계측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24811A 2010-03-19 2010-03-19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0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11A KR101006499B1 (ko) 2010-03-19 2010-03-19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11A KR101006499B1 (ko) 2010-03-19 2010-03-19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499B1 true KR101006499B1 (ko) 2011-01-07

Family

ID=4361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11A KR101006499B1 (ko) 2010-03-19 2010-03-19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4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65B1 (ko) * 2011-11-23 2013-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식 대기전력 차단 제어시스템
WO2013073771A1 (ko) * 2011-11-17 2013-05-23 Baek Hyo Jung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296548B1 (ko) * 2011-12-26 2013-08-20 안기철 대기전력 차단이 용이한 전기공사 시공방법
WO2013176449A1 (ko) * 2012-05-21 201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장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08968B1 (ko) 2013-06-28 2016-04-04 (주)성광유니텍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KR20160047015A (ko) * 2014-10-21 2016-05-02 창신정보통신(주)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82U (ko) * 2008-04-11 2009-10-15 박형필 콘센트 이원화 절전 멀티탭
KR20100007053A (ko) * 2008-07-11 2010-01-22 전현상 대기전력 절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82U (ko) * 2008-04-11 2009-10-15 박형필 콘센트 이원화 절전 멀티탭
KR20100007053A (ko) * 2008-07-11 2010-01-22 전현상 대기전력 절감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771A1 (ko) * 2011-11-17 2013-05-23 Baek Hyo Jung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장치
KR101242165B1 (ko) * 2011-11-23 2013-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식 대기전력 차단 제어시스템
KR101296548B1 (ko) * 2011-12-26 2013-08-20 안기철 대기전력 차단이 용이한 전기공사 시공방법
WO2013176449A1 (ko) * 2012-05-21 201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장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772669B2 (en) 2012-05-21 2017-09-26 Lg Electronics Inc. Power device, power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608968B1 (ko) 2013-06-28 2016-04-04 (주)성광유니텍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KR20160047015A (ko) * 2014-10-21 2016-05-02 창신정보통신(주)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659453B1 (ko) * 2014-10-21 2016-09-26 창신정보통신(주) 홈 에너지 관리 서버 및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161B1 (ko) 건물의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06499B1 (ko)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2893233B (zh) 管理局域电力网络中使用的电力
US9652014B2 (en)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2687463B (zh) 网络系统和控制网络系统的方法
KR101724135B1 (ko)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1873009A (zh) 家庭智能用电监控系统
US201200047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CN102418988A (zh) 一种针对空调的节能监控与管理系统
JP2011129085A (ja) 電力消費を制御するスマート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20072016A (ko) 지능형 전력망 연동 홈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관리 시스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40104284A (ko) 빌딩 에너지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342687B1 (ko) 스마트 미터에서의 전력 소비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0213367A (ja) ユビキタスセンサとインテリジェントテーブルタップによる省エネシステム
Sayed et al.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BEMS)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94375B1 (ko) 스마트 미터가 내장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CN204880344U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云计算分时分区分温控制装置及系统
KR101153133B1 (ko) 소비전력 패턴분석시스템용 지능형 콘센트
KR101486386B1 (ko) 전기기기 및 전력제어방법
KR101043828B1 (ko)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의 주거환경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1368A (ko) 전력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74761A (ko)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56833B1 (ko) 공공 기상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자동 목표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20114708A (ko)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전력제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