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626A -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626A
KR20160124626A KR1020150055570A KR20150055570A KR20160124626A KR 20160124626 A KR20160124626 A KR 20160124626A KR 1020150055570 A KR1020150055570 A KR 1020150055570A KR 20150055570 A KR20150055570 A KR 20150055570A KR 20160124626 A KR20160124626 A KR 20160124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laundry
frame
ejection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화
Original Assignee
일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4626A/ko
Publication of KR20160124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건조되는 빨래에 바람을 공급하여 빨래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는 지지다리와,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세탁된 빨래가 널리는 건조유닛과, 빨래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유닛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유닛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빨래가 걸리는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걸이대에 걸려 접어진 빨래의 내측으로 분출시키는 분출프레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clothes horse}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건조되는 빨래에 바람을 공급하여 빨래의 건조를 촉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중국에서 불어오는 황사의 영향이나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 초고층 아파트가 증가하며 창문을 열어서 자연건조를 할 수 없어 실내에서 건조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세탁물을 건조하는 종래의 빨래 건조대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자연 건조하는 것으로 우천 시 또는 장마철에는 실외에서 건조하지 못하고 실내에서 건조하게 되는데, 실내에서 건조하게 되면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장시간의 건조에 따른 건조 후 세탁물에서 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외에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꽃가루 또는 대기 오염물질이 세탁물에 묻게 되고 그 오염물이 묻은 상태로 건조됨으로 청결한 세탁물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청결을 유지해야 하는 영유아 또는 속옷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신규아파트의 발코니가 주거 공간으로 변화됨에 따라 천정 부착형 및 선반 등의 설치 공간이 크게 제한되고 있는 추세이며, 유휴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개념 빨래 건조대 또는 생활 거치대가 절실히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하는 대안상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빨래를 말리는데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는 빨래가 잘 마르지 않는다. 또한 저층 주택이나 아파트에서는 햇빛이 잘 들어오지 않아 빨래가 잘 마르지 않는다. 접이식 빨래 건조대를 이용하여 빨래를 건조하는 경우 습도가 높은 여름철이나 매우 추운 겨울철에는 빨래가 잘 마르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는 게 현실이다.
근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온풍을 공급하여 빨래를 건조시키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137776호에는 빨래건조대에 장착하는 온풍공급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온풍공급시스템은 빨래가 걸어지는 빨래거치봉에 출기공을 형성하여 온풍을 배출시켜 빨래를 건조시킨다. 하지만 이와 같은 온풍공급시스템은 빨래거치봉에 빨래를 걸게 되면 온풍이 배출되는 출기공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기공이 막히지 않더라도 빨래거치봉과 접촉되는 극히 일부의 영역에만 온풍이 가해지므로 빨래 건조 효과가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절기의 경우 실내에서 세탁물을 건조하게 되면 실내가 난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절기의 장마철의 경우 실내의 습도가 매우 높아 온풍을 가하더라도 건조 효과가 높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137776호: 빨래건조대에 장착하는 온풍공급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세탁된 빨래를 건조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바람과 빨래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빨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되며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빨래를 건조시키기 위한 바람의 온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동절기에는 열풍으로 빨래를 건조시키고 하절기에는 냉풍으로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음이온을 함께 배출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는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세탁된 빨래가 널리는 건조유닛과; 상기 빨래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유닛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유닛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빨래가 걸리는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걸이대에 걸려 접어진 빨래의 내측으로 분출시키는 분출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분출프레임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구조이고 양단이 상기 걸이대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연결되며 다수의 분출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대에 걸린 빨래가 상기 분출프레임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분출프레임의 단면은 상기 걸이대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분출홀들은 상기 분출프레임의 양단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분출프레임은 상기 걸이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 1패널과 제 2패널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가 중공인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패널에 다수의 분출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대에 걸린 빨래가 상기 분출프레임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분출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걸이대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바람공급수단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부와, 상기 바람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제 1 및 제 2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부와, 상기 분산부에서 분산된 상기 제 1방향의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의 일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1유입부와, 상기 분산부에서 분산된 상기 제 2방향의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의 타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2유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유입부는 상기 분산부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방향의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들의 일측으로 각각 유입시키는 다수의 제 1호스들로 구비되고, 상기 제 2유입부는 상기 분산부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방향의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들의 타측으로 각각 유입시키는 다수의 제 2호스들로 구비된다.
상기 바람공급수단은 상기 바람을 선택적으로 열풍 또는 냉풍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한다.
상기 바람공급수단은 건조유닛에 설치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부와, 상기 바람발생부로부터 발생되어 제 1방향으로 배출되는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의 일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1유입부와, 상기 바람발생부로부터 발생되어 제 2방향으로 배출되는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의 타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2유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바람발생부는 상기 제 1방향의 바람이 배출되는 제 1토출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유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2방향의 바람이 배출되는 제 2토출구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입부와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구비한다.
상기 바람공급수단은 상기 건조 유닛으로 음이온을 공급하기 위해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된 빨래가 걸리는 걸이대의 하부에 바람이 분출되는 분출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걸이대에 걸려 접어진 빨래의 내측으로 바람을 공급하기 때문에 바람과 빨래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빨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되며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빨래를 건조시키기 위한 바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열풍 또는 냉풍을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동절기에는 열풍으로 빨래를 건조시키고 하절기에는 냉풍으로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난방용으로 하절기에는 냉방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하절기의 장마철에는 제습된 냉풍으로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어 실내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도 빨래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과 함께 음이온을 배출하여 빨래의 표면 및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른 요부를 발췌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바람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적용된 요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작용을 나타내기 위해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요부를 발췌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지지다리(3)와, 지지다리(3)에 의해 지지되며 세탁된 빨래가 널리는 건조유닛(10)과, 빨래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 건조유닛(10)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수단(80)을 구비한다.
지지다리(3)는 ㄷ자형으로 굽어진 한 쌍의 지지프레임(5)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5)의 상부는 연결브라켓트에 힌지결합된다. 연결브라켓트는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지지프레임(5)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1연결브라켓트(7)와, 지지프레임(5)의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제 2연결브라켓트(9)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5)은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가까워져 포개지거나 멀어지면서 A자 형태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프레임(5)은 상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5)의 사이에는 빨래를 널 수 있는 보조건조대(2)가 설치된다. 보조건조대(2)는 접어졌다 펴질 수 있도록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다.
건조유닛(10)은 세탁된 빨래가 널린다. 건조유닛(10)은 바람을 분출시켜 빨래의 건조를 촉진시킨다.
건조유닛(10)은 베이스프레임(11)과, 베이스프레임(11)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빨래가 걸리는 걸이대(15)와, 걸이대(15)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출프레임(19)을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1)은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프레임(11)은 ㄷ자형으로 굽어진 형태이다. 베이스프레임(11)은 제 1 및 제 2연결브라켓트(7)(9)의 전후에 하나씩 마련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각 베이스프레임은 좌우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한 제 1 및 제 2세로바(12)(13)와, 제 1 및 제 2세로바(12)(13)를 상호 연결하는 가로바(13)로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가로바(12)(13)의 상면은 일부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일부에는 커버(17)가 결합된다. 커버(17)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가로바(12)(13)에 결합된다.
베이스프레임(11)의 일단, 즉 제 1세로바(12)의 단부는 제 1연결브라켓트(7)에 힌지결합되고, 베이스프레임(11)의 타단, 즉 제 2세로바(13)의 단부는 제 2연결브라켓트(9)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베이스프레임(11)은 회전하여 지지프레임(5)과 포개지거나 지지프레임(5)과 멀어져 수평상태로 펼쳐진다.
베이스프레임(11)을 펼치는 경우 베이스프레임(11)을 펼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베이스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5)을 연결하는 연결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바의 일측은 지지프레임(5)에 결합되고 연결바의 타측은 베이스프레임(11)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고정홀에서 연결바의 타측을 분리하면 베이스프레임(11)은 하방으로 회전하여 접어지고, 베이스프레임(11)을 수평으로 펼친상태에서 고정홀에 연결바의 타측을 분리하면 베이스프레임(11)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연결브라켓트(7)(9)에 베이스프레임(11)의 펼쳐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통상적인 각도조절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걸이대(15)는 베이스프레임(11)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즉, 걸이대(15)는 베이스프레임(11)의 제 1세로바(12)와 제 2세로바(13) 사이에 위치한다. 걸이대(15)는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걸이대(15)에 세탁된 빨래가 걸린다. 걸이대(15)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걸이대(15)의 좌우 양단부에는 커넥터(20)가 각각 결합되고, 커넥터(20)는 베이스프레임(11)의 제 1세로바(12)와 제 2세로바(13)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27)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커넥터(20)는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커넥터(20)의 일측에는 베이스프레임(11)에 형성된 결합홀(27)에 삽입되는 제 1삽입부(21)가 마련되고, 커넥터(20)의 타측 단부에는 걸이대(15)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삽입부(23)가 마련되고, 커넥터(20)의 하부에는 분출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3삽입부(25)가 마련된다. 커넥터(20)의 내부에는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유로는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 1삽입부(21) 방향으로 유입된 바람이 제 2삽입부(23)와 제 3삽입부 방향(25)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프레임(11)의 제 1세로바(12)에 결합된 제 1삽입부(21)는 제 1호스(100)와 연결되어 커넥터(20)의 내부로 바람이 유입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의 제 2세로바(13)에 결합된 커넥터의 제 1삽입부는 제 2호스(101)와 연결되어 커넥터의 내부로 바람이 유입된다.
걸이대(15)에는 세탁된 빨래가 걸린다. 도 5와 같이 통상적으로 빨래의 중간 부분을 걸이대(15)에 걸쳐 널게 된다.
걸이대(15)는 내부 중앙에 격벽(1)이 형성되어 내부가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걸이대(15)의 양측으로 유입된 바람은 걸이대(15)에 형성된 분출홀(16)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분출홀(16)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분출홀(16)은 걸이대(15)에 걸린 빨래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걸이대(15)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출프레임(19)은 걸이대(15)의 하부에 설치되며 바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을 걸이대(15)에 걸린 빨래의 내측으로 분출시킨다. 걸이대(15)에서만 바람이 분출되는 경우 바람에 의한 건조효과는 국부적이므로 본 발명은 걸이대(15)의 하부에 분출프레임(19)이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분출프레임(19)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분출프레임(19)는 ㄷ자 형태로 굽어진 모양을 갖는다. 이와 달리 분출프레임는 곡선 모양으로 굽어진 호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분출프레임(19)의 양단부는 커넥터(20)에 결합된다. 분출프레임(19)의 일단부는 베이스프레임(11)의 제 1세로바(12에 결합되는 커넥터(20)의 제 3삽입부(25)와 결합된다. 그리고 분출프레임(19)의 타단부는 베이스프레임(11)의 제 2세로바(13)에 결합되는 커넥터(20)의 제 3삽입부와 결합된다.
분출프레임(19)에는 다수의 분출홀들(18)이 형성된다. 분출홀(18)은 분출프레임(19)의 전면과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분출홀들(18)은 모두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나, 이와 달리 도 7과 같이 분출프레임(19)의 양단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출프레임(19)의 중앙부위(A)에 형성된 분출홀이 가장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바람이 유입되는 분출프레임(19)의 양단과 가까운 부분은 직경을 작게 하고, 먼 부분은 직경을 크게 하여 분출되는 바람의 양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빨래의 중앙 부위를 걸이대(20)에 걸면 빨래(30)는 걸이대(15)를 중심으로 접어져 하부로 늘어뜨려진다. 이 경우 좌우로 늘어뜨려진 빨래(30)의 내측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분출프레임(19)은 이러한 빈 공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분출프레임(19)의 분출홀(18)을 통해 분출되는 바람이 빨래(30)의 내측 빈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빨래(30)와 바람의 접촉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어 빨래를 전체적으로 빠른 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 특히, 빨래의 상부측에 위치한 걸이대(15)와 빨래의 하부에 위치한 분출프레임(19)을 통해 바람을 분출시키는 경우 건조 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걸이대(15)에 걸린 빨래(30)가 분출프레임(19)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분출프레임(19)의 단면은 걸이대(15)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대(15)의 외경보다 분출프레임(19)의 외경이 더 작으면 걸이대(15)에 걸려 하부로 늘어뜨려진 빨래의 내측과 분출프레임(19)은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빨래(30)가 분출프레임(19)에 형성된 분출홀(18)을 막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바람공급수단(80)은 분출프레임(19)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예에서 바람공급수단(80)은 걸이대(15)의 내부로도 바람을 공급한다.
바람공급수단(80)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부(81)와, 바람발생부(81)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제 1 및 제 2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부(95)와, 분산부(95)에서 분산된 제 1방향의 바람을 분출프레임(19)의 일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1유입부와, 분산부에서 분산된 제 2방향의 바람을 분출프레임(19)의 타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2유입부를 구비한다.
바람발생부(81)는 하우징(82)과, 하우징(82)의 내부에 설치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87)로 구비된다.
하우징(8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83)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82)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전원버튼 등이 마련된 조작부(84)와, 현재의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8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82)의 내부에는 제어부(85)가 설치된다. 제어부(85)는 통상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종 구동회로로 이루어진다.
송풍기(87)는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83)로 내보내기 위해 팬과 모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열풍 또는 냉풍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열선(90) 또는 냉각부(89)가 하우징(82)에 설치될 수 있다. 가열을 위해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통과하는 통로상에 열선(9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89)로 통상적인 냉동사이클 또는 펠티어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을 적용하는 경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가 통로상에 설치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에 의해 공기의 냉각과 제습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바람발생부(81)는 온도를 조절하여 바람을 열풍 또는 냉풍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열풍 또는 냉풍을 선택함으로써 동절기에는 열풍으로 빨래를 건조시키고 하절기에는 냉풍으로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절기에는 빨래 건조와 함께 실내 난방용으로, 하절기에는 빨래 건조와 함께 실내 냉방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절기의 장마철에는 제습된 냉풍으로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어 실내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빨래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음이온을 공급하기 위해 바람공급수단에 음이온발생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령, 하우징(82)의 내부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8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음이온발생기(88)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음이온발생기는 발진부, 고압발생부, 배전압부, 음이온출력부 및 접지부가 구비된다.
분출프레임(19)의 분출홀을 통해 바람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 음이온은 빨래의 표면 및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킨다. 음이온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실내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시켜 준다.
분산부(94)는 바람발생부(81)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제 1 및 제 2방향으로 분산시킨다.
분산부(94)는 하우징(82)의 토출구(83)와 연결되는 공급튜브(93)와, 공급튜브(93)와 연결되는 분기관(95)과, 분기관(95)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제 1 및 제 2연결브라켓트(7)(9)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연결관(96)(97)을 구비한다.
공급튜브(93)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토출구(83)와 분기관(95)을 연결한다. 공급튜브(93)는 분기관(95)의 하부에 결합된다.
분기관(95)은 T자 형태의 관으로 형성된다. 분기관(95)의 좌우 양측에는 제 1 및 제 2연결관(96)(97)이 결합된다. 제 1연결관(96)은 일측이 분기관(95)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 1연결브라켓트(7)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된다. 제 2연결관(97)은 일측이 분기관(95)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 2연결브라켓트(9)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된다.
하우징(82)에서 토출되는 바람은 공급튜브(93)를 통해 분기관(95)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분기관(95)에서 바람은 2개의 방향으로 분산된다. 즉, 제 1연결관(96)을 따라 흐르는 제 1방향의 바람과 제 2연결관(97)을 따라 흐르는 제 2방향의 바람으로 분산된다.
제 1연결관(96)을 따라 이동하는 제 1방향의 바람은 제 1유입부를 통해 분출프레임(19)와 걸이대(15)의 일측으로 유입된다.
제 1유입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제 1세로바(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 1호스들(100)로 구비된다. 제 1호스들(100)은 제 1세로바(12)에 결합된 커넥터(20)의 수만큼 마련된다. 각 제 1호스들(100)의 일단은 제 1세로바(12)의 내부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제 1세로바(12)에 결합된 커넥터(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1호스들(100)의 타단은 제 1연결관(96)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분기관(95)과 연결될 수 있다. 분기관(95)의 일측에는 원판형의 조인트부재(105)가 결합된다. 조인트부재(105)에는 다수의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각 관통홀들에 삽입관들(10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각 삽입관(107)에 제 1호스(100)가 하나씩 결합된다.
제 2연결관(97)을 따라 이동하는 제 2방향의 바람은 제 2유입부를 통해 분출프레임(19)와 걸이대(15)의 타측으로 유입된다.
제 2유입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제 2세로바(13)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 2호스들(101)로 구비된다. 제 2호스들(101)은 제 2세로바(13)에 결합된 커넥터(20)의 수만큼 마련된다. 각 제 2호스(101)의 일단은 제 2세로바(13)의 내부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제 2세로바의 측면에 결합된 커넥터(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2호스(101)의 타단은 제 2연결관(97)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분기관(95)과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기관(95)의 타측에도 도 4에 나타난 원판형의 조인트부재가 결합되고, 조인트부재 다수의 삽입관들이 형성된다. 각 삽입관에 제 2호스(101)가 하나씩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 1 및 제 2호스는 바람발생부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도 8 내지 10에 도시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분출프레임(120)은 걸이대(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분출프레임(120)은 걸이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다. 분출프레임(120)은 사각판 형상의 제 1패널(121)과 사각판 형상의 제 2패널(123)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가 중공인 구조를 갖는다. 제 1 및 제 2패널(121)(123)에는 다수의 분출홀들(125)이 형성된다.
걸이대(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구조이다. 걸이대(110)의 내부와 분출프레임(120)의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걸이대(110)의 하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슬롯(115)이 형성된다. 슬롯(115)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제 1패널(121)이 형성되고, 슬롯(115)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제 2패널(123)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걸이대(110)에 걸린 빨래가 분출프레임(120)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분출프레임(120)의 두께는 걸이대(110)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걸이대(110)의 일측은 베이스프레임의 제 1세로바(12)에 결합된 커넥터(140)에 연결되고, 걸이대(110)의 타측은 베이스프레임의 제 2세로바(13)에 결합된 커넥터에 연결된다.
커넥터(140)는 일자 형태로 형성된다. 커넥터(140)의 일측에는 베이스프레임(11)의 제 1세로바(12) 및 제 2세로바(13)에 형성된 결합홀(27)에 삽입되는 제 1삽입부(141)가 마련되고, 커넥터(140)의 타측에는 걸이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삽입부(143)가 마련되다. 커넥터(140)의 내부에는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유로는 제 1삽입부(141) 방향으로 유입된 바람이 제 2삽입부(143)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프레임의 제 1세로바(12)에 결합된 커넥터(140)의 제 1삽입부(141)는 제 1호스(100)와 연결되어 걸이대(110)의 일측 내부로 바람이 유입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의 제 2세로바(13)에 결합된 커넥터의 제 1삽입부는 제 2호스와 연결되어 걸이대(110)의 타측 내부로 바람이 유입된다.
걸이대(110)의 좌우 양측에서 유입된 바람은 분출프레임(120)의 내부로 이동하여 분출홀(1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판상으로 이루어진 분출프레임은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분출프레임에 비해 빨래와 대향하는 면적이 매우 넓어 분출홀의 위치를 넓게 분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빨래 건조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구성요소는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는 지지다리(3)와, 지지다리(3)에 의해 지지되며 세탁된 빨래가 널리는 건조유닛(10)과, 빨래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 건조유닛(10)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수단을 구비한다.
지지다리(3)와 건조유닛(10)은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람공급수단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건조유닛(10)에 설치되는 바람발생부(200)와, 바람발생부(200)로부터 발생되어 제 1방향으로 배출되는 바람을 분출프레임(19)의 일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1유입부와, 바람발생부(200)로부터 발생되어 제 2방향으로 배출되는 바람을 분출프레임(19)의 타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2유입부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람발생부(200)는 건조유닛(10)과 일체로 설치되므로 관리와 사용이 편리하다.
바람발생부(200)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미도시)로 구비된다.
하우징(210)은 통형으로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1)가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하우징(2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토출구(213)를 통해 제 1방향의 바람이 배출된다. 제 1토출구(213)는 제 1연결브라켓트(7)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 1토출구(213)는 제 1유입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토출구(215)를 통해 제 2방향의 바람이 배출된다. 제 2토출구(215)는 제 2연결브라켓트(9)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 2토출구(215)는 제 2유입부와 연결된다.
하우징(210)의 외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전원버튼 등이 마련된 조작부(225)와, 현재의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어부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통상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종 구동회로로 이루어진다.
송풍기는 하우징(210)의 유입구(211)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제 1 및 제 2토출구(213)(215)로 내보내기 위해 팬과 모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팬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열풍 또는 냉풍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열선 또는 냉각부가 하우징(21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음이온을 공급하기 위해 하우징(210)의 내부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발생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바람은 제 1토출구(213)와 제 2토출구(215)를 통해 하우징(2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바람은 2개의 방향으로 분산된다. 즉, 제 1토출구(213)로 배출되는 제 1방향의 바람과 제 2토출구(215)로 배출되는 제 2방향의 바람으로 분산된다.
제 1토출구(213)로 배출되는 제 1방향의 바람은 제 1유입부를 통해 분출프레임(19)과 걸이대(15)의 일측으로 유입된다.
제 1유입부는 베이스프레임(11)의 제 1세로바(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 1호스들(100)로 구비된다. 제 1호스들(100)은 분출프레임(19)의 수만큼 마련된다. 각 제 1호스들(100)의 일단은 하우징(210)의 제 1토출구(213)를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 1호스들(100)의 타단은 제 1세로바(12)의 내부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제 1세로바(12)에 결합된 커넥터(20)와 연결된다.
제 2토출구(215)로 배출되는 제 2방향의 바람은 제 2유입부를 통해 분출프레임(19)과 걸이대(15)의 타측으로 유입된다.
제 2유입부는 베이스프레임(11)의 제 2세로바(13)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 2호스들(101)로 구비된다. 제 2호스들(101)은 분출프레임(19)의 수만큼 마련된다. 각 제 2호스들(101)의 일단은 하우징의 제 2토출구(215)를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 2호스들(101)의 타단은 제 1세로바(12)의 내부공간을 따라 연장되어 제 1세로바(12)에 결합된 커넥터(20)와 연결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지지다리 5: 지지프레임
10: 건조유닛 11: 베이스프레임
12: 제 1세로바 13: 제 2세로바
15: 걸이대 19: 분출프레임
20: 커넥터 81: 바람발생부
82: 하우징 93: 공급튜브
94: 분산부 95: 분기관
96: 제 1연결관 97: 제 2연결관
100: 제 1호스

Claims (12)

  1.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세탁된 빨래가 널리는 건조유닛과;
    상기 빨래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유닛으로 바람을 공급하는 바람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유닛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다수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빨래가 걸리는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을 상기 걸이대에 걸려 접어진 빨래의 내측으로 분출시키는 분출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프레임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구조이고 양단이 상기 걸이대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연결되며 다수의 분출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에 걸린 빨래가 상기 분출프레임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분출프레임의 단면은 상기 걸이대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홀들은 상기 분출프레임의 양단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프레임은 상기 걸이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 1패널과 제 2패널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내부가 중공인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패널에 다수의 분출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에 걸린 빨래가 상기 분출프레임의 외측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분출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걸이대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공급수단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부와, 상기 바람발생부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제 1 및 제 2방향으로 분산시키는 분산부와, 상기 분산부에서 분산된 상기 제 1방향의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의 일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1유입부와, 상기 분산부에서 분산된 상기 제 2방향의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의 타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2유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입부는 상기 분산부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방향의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들의 일측으로 각각 유입시키는 다수의 제 1호스들로 구비되고,
    상기 제 2유입부는 상기 분산부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방향의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들의 타측으로 각각 유입시키는 다수의 제 2호스들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공급수단은 상기 바람을 선택적으로 열풍 또는 냉풍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공급수단은 건조유닛에 설치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바람발생부와, 상기 바람발생부로부터 발생되어 제 1방향으로 배출되는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의 일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1유입부와, 상기 바람발생부로부터 발생되어 제 2방향으로 배출되는 바람을 상기 분출프레임의 타측으로 유입시키는 제 2유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발생부는 상기 제 1방향의 바람이 배출되는 제 1토출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유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2방향의 바람이 배출되는 제 2토출구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유입부와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공급수단은 상기 건조 유닛으로 음이온을 공급하기 위해 음이온발생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KR1020150055570A 2015-04-20 2015-04-20 빨래 건조대 KR20160124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70A KR20160124626A (ko) 2015-04-20 2015-04-20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70A KR20160124626A (ko) 2015-04-20 2015-04-20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626A true KR20160124626A (ko) 2016-10-28

Family

ID=5724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570A KR20160124626A (ko) 2015-04-20 2015-04-20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46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9933A (zh) * 2019-10-21 2020-01-17 徐州木牛流马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晾衣架机器人
KR102122218B1 (ko) * 2019-10-10 2020-06-12 김병삼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KR20200145513A (ko) 2019-06-21 2020-12-30 박재곤 온열 냉풍 건조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776A (ko) 2013-05-24 2014-12-03 김동연 빨래건조대에 장착하는 온풍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776A (ko) 2013-05-24 2014-12-03 김동연 빨래건조대에 장착하는 온풍공급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513A (ko) 2019-06-21 2020-12-30 박재곤 온열 냉풍 건조대
KR102122218B1 (ko) * 2019-10-10 2020-06-12 김병삼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CN110699933A (zh) * 2019-10-21 2020-01-17 徐州木牛流马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晾衣架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580B1 (ko) 전열교환 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CN208464720U (zh) 消毒柜烘干装置及消毒柜
CN105568639A (zh) 烘干衣架
KR20160124626A (ko) 빨래 건조대
ES2382169T3 (es) Aparato y sistema para controlar la temperatura en una serie de zonas de un edificio
US6481228B1 (en) Air conditioning module for room partition unit
KR101436754B1 (ko) 옷 건조시스템
CN105276782A (zh) 风道结构、室内机及空气调节装置
US3833057A (en) Induced air cooling and heating system
JP2003190072A (ja) 乾燥装置
JP5913151B2 (ja) 冷暖房換気システム
KR101950418B1 (ko) 벽걸이형 다기능 실내 공기조화시스템
JP5369260B2 (ja) 空気熱交換システム及び使用する空気熱交換器
KR20070053399A (ko) 공기 조화 시스템
JP2001090983A (ja) 空気調和機
CN208108306U (zh) 空调柜机
KR200276936Y1 (ko) 히터
CN212057476U (zh) 一种热风供暖装置
CN108361836A (zh) 空调器
CN205641188U (zh) 竖款挂壁式空调器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WO2022122671A1 (en) System for simultaneously heating and dehumidifying a room
CN212252880U (zh) 竖式壁挂空调室内机
CN111457454B (zh) 一种具有辅助散吹暖气功能的取暖器
JP3751756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200391772Y1 (ko) 플로우 바아형 디퓨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