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218B1 -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218B1
KR102122218B1 KR1020190125416A KR20190125416A KR102122218B1 KR 102122218 B1 KR102122218 B1 KR 102122218B1 KR 1020190125416 A KR1020190125416 A KR 1020190125416A KR 20190125416 A KR20190125416 A KR 20190125416A KR 102122218 B1 KR102122218 B1 KR 10212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refrigerant
unit
case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삼
김석규
Original Assignee
김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삼 filed Critical 김병삼
Priority to KR102019012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5B41/06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68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DEHUMIDIFICATION DRYERS APPARATUS FOR BATHROOM}
본 발명은 제습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통풍구 또는 환기구를 이용한 환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환기 장치는 욕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환기만 시킬 수 있을 뿐 욕실에 존재하는 수분 및 습기를 제거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샤워 또는 목욕 후 욕실 내부가 다습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됨으로써 욕실 내부에 많은 수분이 존재하게 된다.
욕실 내부가 다습한 상태 및 많은 수분이 존재하는 상태가 장시간 유지되면 습기 및 수분에 의해 젖은 수건 및 욕실 내부에 세균이 증식하게 되고, 바닥 및 벽이 미끄러운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세균 증식에 따른 악취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하며, 사용자의 욕실 입실 시 미끄러운 바닥 및 벽에 의해 사용자가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36526호(2003.12.09 공고) 2. 한국등록특허 제10-1372318호(2014.03.04 공고)
본 발명은 단시간 내에 수건 건조 및 욕실 내부의 습기 제거를 통해 세균 증식을 최소화하고, 욕실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는 내부에 내장 공간이 형성되며,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 일면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지지대, 양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부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부, 상기 압축부와 상기 응축부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부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팽창시키는 증발부 및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응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증발부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부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상기 증발부로 전달하는 모세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부는 내부에 내장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시키고, 유입관을 통해 상기 응축부에 냉매를 유입하고, 회수관을 통해 상기 증발부의 냉매를 회수하는 압축기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압축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온풍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부면에 상기 이온풍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이온풍이 배출되는 이온풍 배출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온풍 발생기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면에 고정되며, 기설정된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는 전극판 지지대, 양단이 상기 전극판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이온풍 배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출홀이 형성되는 제 1 전극판, 상기 제 1 전극판의 하부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온침이 상기 방출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전극판 및 상기 전극판 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 1 전극판(720) 및 제 2 전극판(730)에 각각 다른 양의 전류를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며, 욕실 내부의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습도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습도의 기설정된 기준치에 따라 온 또는 오프로 작동되는 센서 스위치 및 상기 센서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압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절되어 상기 압축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공급 중단하는 전원 공급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부를 통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부로 유입시키고, 응축부가 전달받은 냉매를 응축하여 열을 발생시키면서 열을 방출하는 것에 의해 단시간 내에 젖은 수건을 건조시켜 수건에서 발생되는 세균 증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부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 모세관을 통해 증발부로 유입되면 냉매가 팽창하여 증발부 주위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욕실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증발부를 통해 냉각되는 공기에 의해 욕실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이온풍 발생기를 통해 발생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이온풍을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이온풍 배출홀로 배출하고, 압축부, 증발부 및 응축부에 의해 발생되는 자연 대류를 통해 이온풍이 욕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이온풍을 통한 욕실 내부의 공기 정화 및 살균에 의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의 냉매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1)는 압축부(100), 지지대(200), 응축부(300), 증발부(400) 및 걸림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100)는 내부에 내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냉매를 압축시켜 응축기(30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압축부(100)는 케이스(110), 이온풍 배출홀(120), 물받이(130) 및 습도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내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 이온풍 배출홀(120), 물받이(130) 및 습도 센서(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온풍 배출홀(120)은 케이스(110)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온풍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압축부(100),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가 냉매를 가열 및 냉각하는 것에 의해 냉매의 온도 차이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압축부(100),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 주변 공기의 밀도 차이가 형성되어 압축부(100)에서 응축부(300)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연 대류를 통해 이온풍 배출홀(120)로부터 배출되는 이온풍이 욕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물받이(130)는 케이스(110)의 외측 상부면에서 증발부(4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증발부(400)에 의해 형성되는 수분(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물받이(130)에 수용된 수분은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된 드레인(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드레인(D)을 통한 수분 배출이 용이하도록 케이스(1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가 낮은 쪽에 드레인(D)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습도 센서(140)는 케이스(11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욕실 내부의 습도를 센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습도 센서(140)는 욕실 내부의 습도를 센싱하여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치에 도달하면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된 센서 스위치(16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센서 스위치(160)가 작동되는 것에 의해 압축기(140)와 전원 공급원(170)이 연결되어 압축기(14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대(200)는 케이스(110) 일면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200)는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가 견고하게 연결되기 위해 지지대(200)가 서로 마주보는 면은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부(300)는 양단이 지지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최상단에 수건과 같은 건조 대상물이 거치되어 건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축부(100)로부터 전달되는 냉매가 지지대(200)의 내부에 구비된 유입관(151)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응축부(300)는 압축부(100)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응축할 수 있으며, 냉매를 응축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응축부(300)가 열을 방출하는 것에 의해 냉매는 액화될 수 있으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수건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응축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관(151) 및 증발부(4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부(300)의 직경이 유입관(151) 및 증발부(4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지지대(200)를 통해 압축기(15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 용이하게 응축될 수 있다.
증발부(400)는 압축부(100)와 응축부(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양단이 지지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증발부(400)는 응축부(300)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증발부(400)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냉매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공기의 온도를 감소시키고, 공기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욕실 내부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증발부(400)의 표면에서 수분으로 응축되어 물받이(13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중의 수증기를 제거하여 욕실 내부를 제습할 수 있다. 증발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부(3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증발부(400)의 직경이 응축부(3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응축부(30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를 다수의 관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냉매의 유동 시간이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건 건조 및 욕실 내부의 습기 제거에 대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가 다수의 관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매의 유동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걸림부(500)은 지지대(200)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욕실 내에 구비되는 수건걸이에 걸릴 수 있다. 걸림부(500)의 형태는 한정하기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V자 형상, 반원 형상, 삼각 형상, 다각 형상 등 수건걸이에 걸려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1)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1)는 걸림부(500)을 형성하여 수건걸이에 고정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욕실 내 벽면에 기설정된 높이로 설치하거나 탈부착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틀을 벽면에 설치하고,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1)를 틀로부터 탈부착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1)는 압축기(150), 센서 스위치(160), 전원 공급원(170), 모세관(600) 및 이온풍 발생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축기(15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대(200)의 내부 중공에 구비되는 유입관(151)을 통해 응축부(300)로 압축된 냉매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기(150)는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를 순환한 냉매가 회수관(152)을 통해 회수될 수 있으며, 회수된 냉매를 압축한 후 압축된 냉매를 응축부(300)로 재유입시키는 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50)는 냉매를 압축하면서 발생되는 열을 케이스(110)의 상부에 구비된 이온풍 배출홀(120)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압축기(150)에 의해 발생되는 열과 증발기(400) 내부에서 냉각된 냉매에 의해 주변 공기가 밀도 차이를 형성하고, 이 밀도 차이에 의해 자연 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150)에서 발생되는 열이 보다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50)에서 발생되는 열이 보다 빠르게 배출되는 것에 의해 이온풍 배출홀(120)을 통해 배출되는 이온풍이 배출되는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압축기(150)와 증발기(400) 주변 공기의 밀도 차이에 의해 형성된 자연 대류를 통해 이온풍이 더 빠른 속도로 욕실 내부에 확산될 수 있다.
센서 스위치(16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압축기(150)와 전원 공급원(16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습도 센서(14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스위치(160)는 습도 센서(140)에서 센싱한 습도에 의해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센서 스위치(160)는 습도 센서(140)에 의해 기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의 습도가 센싱되면 스위치가 ON 될 수 있으며, 센서 스위치(160)가 ON 되는 것에 의해 전원 공급원(170)과 압축기(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축기(15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스위치(160)는 습도 센서(140)에 의해 기설정된 제 2 기준치 이하의 습도가 센싱되면 스위치가 OFF 될 수 있으며, 센서 스위치(160)가 OFF 되는 것에 의해 전원 공급원(170)과 압축기(150)의 연결이 단절되어 압축기(150)에 전원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전원 공급원(17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 스위치(160)의 ON/OFF에 따라 압축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절되어 전원을 공급 또는 공급 중단할 수 있다.
모세관(600)은 지지대(200)의 내부에서 일단이 응축부(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증발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모세관(600)은 응축부(300)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증발부(4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증발부(400)에서 모세관(600)을 통해 전달받은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모세관(600)은 길이가 조절되는 것에 의해 응축기(300) 내부 냉매의 유동 속도를 조절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출되는 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모세관(600)은 적어도 1회 이상 지그재그로 절곡될 수 있으며, 지그재그로 절곡되는 횟수를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600)이 지그재그로 절곡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응축부(300) 내부 냉매의 유동이 지연될 수 있으며, 냉매의 유동이 지연됨에 따라 응축부(300) 내부 냉매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출되는 열의 양을 상승시켜 응축기(300)에 거치되는 건조 대상물을 보다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이온풍 발생기(70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압축기(15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온풍을 발생시켜 이온풍 배출홀(120)을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이온풍을 배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온풍 발생기(700)는 전극판 지지대(710), 제 1 전극판(720), 제 2 전극판(730) 및 전력 공급원(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판 지지대(710)는 일단이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극판 지지대(710)는 제 1 전극판(720) 및 제 2 전극판(730)에 흐르는 전류가 케이스(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전극판(720)은 양단이 전극판 지지대(71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전력 공급원(740)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판(720)은 케이스(110)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 상부면에 구비된 이온풍 배출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출홀(721)이 형성될 수 있다. 방출홀(721)은 제 1 전극판(720)과 이온침(731) 사이에서 발생되는 이온풍을 이온풍 배출홀(120)로 방출할 수 있다.
제 2 전극판(730)은 양단이 전극판 지지대(71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전력 공급원(740)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 2 전극판(730)은 제 1 전극판(720)의 하부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전극판(730)은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온침(7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온침(731)은 방출홀(7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방출홀(721)을 향하고, 제 2 전극판(730)의 직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판(730)은 제 1 전극판(730)과 이온침(731) 사이에서 발생되는 이온풍이 제 2 전극판(730)의 하부 공기의 유동에 의해 이온풍 배출홀(120) 및 방출홀(721)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732)이 구비될 수 있다.
전력 공급원(740)은 전극판 지지대(7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전극판(720) 및 제 2 전극판(730)에 각각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원(740)은 제 1 전극판(720) 및 제 2 전극판(730)에 전류 공급 시 제 1 전극판(720) 및 제 2 전극판(730)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다르게 하여 전압 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공급원(740)은 제 1 전극판(720) 보다 제 2 전극판(730)의 전압이 높도록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전극판(720)과 제 2 전극판(73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그 전기장은 제 2 전극판(730)에서 제 1 전극판(720)을 향할 수 있다. 이때, 이온침(731)에서 생성된 음전하를 가지는 이온은 제 1 전극판(720)과 제 2 전극판(730)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제 2 전극판(730) 측에서 제 1 전극판(7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전극판(730)에서 제 1 전극판(720)을 향하는 이온풍이 생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압축기(150)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유입관(151)을 통해 응축부(30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응축부(300)에 의해 응축되면서 액화된 냉매가 모세관(600)을 통해 증발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냉매가 응축되면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어 건조 대상물을 건조할 수 있으며, 모세관(600)을 통해 응축부(300)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방출되는 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세관(600)을 통해 증발부(400)로 전달된 냉매가 팽창되면서 기화될 수 있으며, 증발부(400)가 냉매를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기화된 냉매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공기의 온도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증발부(400) 표면에서 수분으로 응축되는 것에 의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제거되어 욕실 내부를 제습할 수 있다. 증발부(400)를 통해 팽창된 냉매는 회수관(152)을 통해 압축기(150)로 회수될 수 있으며, 회수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부(300)로 재유입할 수 있다.
상기의 냉매 흐름에서 압축기(150)가 냉매를 압축하여 발생되는 열이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고, 압축기(150) 상부에 구비되는 응축부(300)가 냉매를 응축하여 발생되는 열을 응축부(300) 외부로 방출하고, 압축기(150)와 응축기(300) 사이에 구비되는 증발기(400)가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400)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것에 의해 압축부(100),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 주위에 공기의 밀도 차이가 형성되어 압축기(150)에서 응축부(300) 방향으로 자연 대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온풍이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면 자연 대류에 의해 욕실 내부에 확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온풍이 포함하고 있는 음이온이 욕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욕실 내부가 살균되면서 공기를 정화하는 것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전극판(730)이 구비된 공기 유입홀(732)로 압축기(1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유입되는 것에 의해 이온풍이 이온풍 배출홀(120)로 배출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100 : 압축부
200 : 지지대
300 : 응축부
400 : 증발부
500 : 걸림부
600 : 모세관
700 : 이온풍 발생기

Claims (5)

  1. 내부에 내장 공간이 형성되며,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부(100);
    상기 압축부(100) 일면의 양측으로부터 상부로 각각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지지대(200);
    양단이 상기 지지대(200)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부(100)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부(300);
    상기 압축부(100)와 상기 응축부(300)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지지대(200)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부(300)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팽창시키는 증발부(400); 및
    상기 지지대(200)의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응축부(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증발부(400)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부(300)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상기 증발부(400)로 전달하는 모세관(600); 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100)는
    내부에 내장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시키고, 유입관(151)을 통해 상기 응축부(300)에 냉매를 유입하고, 회수관(152)을 통해 상기 증발부(400)의 냉매를 회수하는 압축기(150) 및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서 상기 압축기(1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온풍 발생기(70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는 상부면에 상기 이온풍 발생기(700)에서 발생되는 이온풍이 배출되는 이온풍 배출홀(120)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이온풍 발생기(700)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 상부면에 고정되며, 기설정된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는 전극판 지지대(710),
    양단이 상기 전극판 지지대(710)에 연결되며, 상기 이온풍 배출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출홀(721)이 형성되는 제 1 전극판(720),
    상기 제 1 전극판(720)의 하부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온침(731)이 상기 방출홀(7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전극판(730) 및
    상기 전극판 지지대(7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 1 전극판(720) 및 제 2 전극판(730)에 전원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판(730)은 상기 제 1 전극판(720)과 상기 이온침(731) 사이에서 발생되는 이온풍이 상기 제 2 전극판(730)의 하부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이온풍 배출홀(120) 및 상기 방출홀(721)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홀(732)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100), 응축부(300) 및 증발부(400) 주변 공기의 밀도 차이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부(100)에서 상기 응축부(300)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연 대류를 통해 상기 이온풍 배출홀(120)로부터 배출되는 이온풍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100)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며, 욕실 내부의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140),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서 상기 습도 센서(140)와 연결되며, 상기 습도 센서(140)에 의해 센싱된 습도의 기설정된 기준치에 따라 온 또는 오프로 작동되는 센서 스위치(160) 및
    상기 센서 스위치(1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압축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절되어 상기 압축기(150)에 전원을 공급 또는 공급 중단하는 전원 공급원(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의 일단에 걸림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KR1020190125416A 2019-10-10 2019-10-10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KR10212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416A KR102122218B1 (ko) 2019-10-10 2019-10-10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416A KR102122218B1 (ko) 2019-10-10 2019-10-10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218B1 true KR102122218B1 (ko) 2020-06-12

Family

ID=7108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416A KR102122218B1 (ko) 2019-10-10 2019-10-10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21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845Y1 (ko) * 1986-11-28 1988-08-06 노승준 베일사의 제조장치
KR19980011582U (ko) * 1996-08-16 1998-05-25 김정 냉장고 응축기 열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
JP2001153546A (ja) * 1999-11-25 2001-06-08 Bridgestone Corp バスル−ムの乾燥システム
KR20020076438A (ko) * 2001-03-28 2002-10-11 김진웅 냉각 건조 옷장
KR20030031975A (ko) * 2000-08-11 2003-04-23 램코 홀딩스 엘티디 개선된 히터
KR200336526Y1 (ko) 2003-08-01 2003-12-24 임승 핸드 드라이어 겸용 수건 건조장치
KR200420298Y1 (ko) * 2006-04-20 2006-06-29 김재구 빨래 건조기
KR20120061519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건조대가 장착된 냉장고
KR101372318B1 (ko) 2013-09-25 2014-03-12 김인석 수건건조 장치
WO2015040910A1 (ja) * 2013-09-18 2015-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装置、及び加湿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150146235A (ko) * 2014-06-23 2015-12-31 천용기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KR20160124626A (ko) * 2015-04-20 2016-10-28 일산이엔지 주식회사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845Y1 (ko) * 1986-11-28 1988-08-06 노승준 베일사의 제조장치
KR19980011582U (ko) * 1996-08-16 1998-05-25 김정 냉장고 응축기 열을 이용한 빨래 건조대
JP2001153546A (ja) * 1999-11-25 2001-06-08 Bridgestone Corp バスル−ムの乾燥システム
KR20030031975A (ko) * 2000-08-11 2003-04-23 램코 홀딩스 엘티디 개선된 히터
KR20020076438A (ko) * 2001-03-28 2002-10-11 김진웅 냉각 건조 옷장
KR200336526Y1 (ko) 2003-08-01 2003-12-24 임승 핸드 드라이어 겸용 수건 건조장치
KR200420298Y1 (ko) * 2006-04-20 2006-06-29 김재구 빨래 건조기
KR20120061519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건조대가 장착된 냉장고
WO2015040910A1 (ja) * 2013-09-18 2015-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装置、及び加湿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1372318B1 (ko) 2013-09-25 2014-03-12 김인석 수건건조 장치
KR20150146235A (ko) * 2014-06-23 2015-12-31 천용기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KR20160124626A (ko) * 2015-04-20 2016-10-28 일산이엔지 주식회사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42063U (zh) 一种多功能鞋柜
US7430816B1 (en) Footwear dryer and sanitizer apparatus
US7458171B1 (en) Dehumidifier clothes dryer apparatus
KR101140218B1 (ko) 피복류용 건조실을 갖는 제습기
KR20100090087A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JP6883237B2 (ja) 微細水導出装置
KR101068655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KR102122218B1 (ko) 욕실용 제습 건조 장치
EP3077586B1 (en) A heat pump dryer
US6591517B1 (en) Shoe dryer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KR20110054666A (ko) 제습기능을 가진 신발장
KR101870943B1 (ko) 제습장치와 연동되는 상온건조식 건조기
CA2520914A1 (en) Kiln with process water evaporation system
KR20150092530A (ko)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TW200901915A (en) Structure of shoes cabinet
CN103344098B (zh) 排水式干燥空气干燥装置
US20220192465A1 (en)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05344987A (ja) 除湿乾燥装置
KR200381151Y1 (ko) 기능성 신발장
KR20140104940A (ko) 축냉제습기
KR101926088B1 (ko) 열풍 재순환 구조를 갖는 농산물 열풍 건조장치
KR20000071978A (ko) 신발 건조기
KR20020068023A (ko) 에어컨의 응축수 자동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