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049A -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 Google Patents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049A
KR20160124049A KR1020160129778A KR20160129778A KR20160124049A KR 20160124049 A KR20160124049 A KR 20160124049A KR 1020160129778 A KR1020160129778 A KR 1020160129778A KR 20160129778 A KR20160129778 A KR 20160129778A KR 20160124049 A KR20160124049 A KR 20160124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anchor bolt
side plat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321B1 (ko
Inventor
서규선
Original Assignee
서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규선 filed Critical 서규선
Priority to KR102016012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3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04F13/085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일측면을 커버하면서 중앙 부분에 관통공(12A)이 형성된 측판(12)과, 하우징(11)의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하우징(11)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일단이 측판(12)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앵커볼트(B)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결합체(13)를 포함하는 지지브래킷(10) 및; 측판(12)에 면 접촉하도록 설치되면서 앵커볼트(B)의 선단 체결되는 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인 설치브래킷(20)으로 이루어지고, 측판(12)이 형성되지 않은 하우징(11)의 반대쪽에는 하우징(11)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11A)이 형성되고, 하우징(11)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돌기(11B)가 돌출 형성되며, 하우징(11)의 측판(12) 방향의 상, 하부에는 전동보조공구(40)가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홈(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지지브래킷을 단열재를 관통하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지지브래킷에 의해 앵커볼트가 더욱 강건하게 지지된다.

Description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Stone Mounting Bracket for Building wall}
본 발명은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이나 구조체의 벽면(이하 '벽체'라 통칭한다.)에 마감재로서 설치되는 대리석 등의 석재를 고정브래킷을 사용하여 벽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석재의 위치에 따라 고정브래킷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건물이 고급화되면서 건물 벽체의 마감재로서 유리 또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 등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석재와 같은 마감재를 건물의 벽체에 설치할 때에는 먼저 석재를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판상 형태로 가공한 다음, 이러한 판상의 석재를 고정브래킷을 사용하여 벽체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때 벽체에는 고정브래킷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벽체의 단열을 위해 일정 두께의 단열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브래킷을 설치할 때에는 앵커볼트가 석재 등의 마감재의 하중에 의해 처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브래킷을 단열재를 관통하여 벽체에 밀착시켜 설치하고, 그런 다음, 석재를 설치하지 위한 제2브래킷을 앵커볼트에 관통 설치한 다음, 앵커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제1, 2브래킷이 앵커볼트에 조립된 너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제1브래킷이 벽체에 밀착되어 설치되지 못하면, 앵커볼트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사용자는 단열재를 관통하여 제1브래킷이 벽체에 밀착되도록 별도의 공구로 선단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벽체를 따라 무수히 반복하게 됨으로써 많은 피로와 노동력이 요구되고, 석재의 설치 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402669호의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을 들 수 있는데, 이 특허문헌에 개시된 지지유닛은 원통 형상 일단은 단열부재가 표면에 시공된 건축물 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끝부분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앵커부재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고, 타단은 전동공구와 결합되어 전동공구의 회전 동력을 전달 받는 회전 툴 조립체; 회전 툴 조립체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여, 삽입위치에서 삽입측 끝단에 형성된 엣지부가 건축물 벽면에 접촉할 때까지 단열부재에 삽입되고, 엣지부의 타단은 단열부재의 노출면과 나란하게 정렬되는 원통형 지지부재; 및 원통형 지지부재와 면 접촉하면서 앵커부재 끝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가 체결되는 받침앵글;을 포함하며, 회전 툴 조립체는 앵커부재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내경을 가지는 가이드 파이프; 일단은 가이드 파이프와 연결되고, 타단은 원통형 지지부재 바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 가이드 파이프의 타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전동공구와 연결되는 공구 연결부; 및 가이드 파이프와 일정 거리 이격 되며 원통형 지지부재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가이드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에 상기 특허문헌의 지지유닛은 사용자가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원통형 지지부재를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원통형 지지부재를 설치한 다음, 공구 연결부가 제거되기 때문에 앵커볼트와 원통형 지지부재는 서로 간섭 없이 독립 설치되게 되고, 따라서 받침앵글에 석재의 하중이 작용하면서 앵커볼트의 선단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면 지지플레이트가 앵커볼트의 휨, 처짐 등의 변형에 맞추어 하향 이동되면서 앵커볼트의 처짐 등의 변형을 전혀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앵커볼트에 조립된 너트의 조립이 느슨해지면 이러한 앵커볼트의 변형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고,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석재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앵커볼트의 변형에 의해 받침앵글이 당초에 설치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서 석재간의 이음부에 틈이나 균열 등이 발생하고 심하게는 설치된 석재가 바닥으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지지유닛은 석재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가 정확한 간격으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석재의 크기에 맞추어 제2브래킷의 위치가 적절하게 조정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위치 조정이 대부분 사용자의 눈대중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던 문제도 있다.
따라서 앵커볼트의 휨, 처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를 강건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가 쉽고 간단한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402669 B1 KR 10-1540963 B1 KR 20-2014-0006220 U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벽체에 석재를 설치하는 종래의 고정브래킷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벽체에 설치된 앵커볼트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지지브래킷을 단열재를 관통하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지지브래킷에 의해 앵커볼트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브래킷의 길이를 연장하여 보조브래킷이 사용될 때, 보조브래킷의 길이를 쉽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을,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면을 커버하면서 중앙 부분에 관통공이 형성된 측판과, 하우징의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하우징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일단이 측판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관체를 포함하는 지지브래킷 및; 측판에 면 접촉하도록 설치되면서 앵커볼트의 선단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인 설치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측판이 형성되지 않은 하우징의 반대쪽에는 하우징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하우징의 측판 방향의 상, 하부에는 전동보조공구가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나선 형상의 돌기가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하우징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쐐기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인 설치브래킷의 수직 및 수평면에 각각 장공의 구멍이 형성되고, 설치브래킷의 수직 및 수평면의 선단에는 석재 고정핀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설치브래킷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 설치브래킷의 길이를 연장하면서 일단 부분에는 석재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보조브래킷이 더 구비되고, 보조브래킷의 상면에는 설치브래킷의 선단 대비 보조브래킷의 인출 거리를 가늠하도록 격자 형상으로 표기된 눈금부가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치브래킷의 선단에 눈금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가늠부가 구비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관체의 관통 구멍에 앵커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나사가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은 지지브래킷이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되면서 그 선단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홈과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에 의해 단열재를 더욱 쉽게 파고들면서 벽체에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나선 형상의 돌기로 인해 지지브래킷에 단열재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단열재가 벽체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벽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설치브래킷을 너트로 조립하는 동안에도 지지브래킷이 강건하게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고정브래킷의 설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진행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지지브래킷과 앵커볼트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조립되므로 설치브래킷을 고정하는 너트의 조임이 느슨해지더라도 지지브래킷이 벽체에 밀착된 상태로 그대로 유지되고, 따라서 장기간 석재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앵커볼트가 지지브래킷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면서 앵커볼트의 변형이 방지되며, 그 결과 석재가 당초에 설치 상태 그대로 오래도록 유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래킷에는 사용자가 보조브래킷의 연장 길이 및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격자형 눈금부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설치브래킷의 선단을 기준으로 눈금부의 눈금에 맞춰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보조브래킷의 길이를 쉽고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a, 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6(a, b)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보조공구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브래킷의 끼움홈에 전동보조공구를 결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a, b)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브래킷의 예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9(a, 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래킷의 예를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0은 도 1의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을 설치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브래킷의 다른 실시에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설치브래킷을 이용하여 석재를 설치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된 앵커볼트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지지브래킷을 단열재를 관통하여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된 지지브래킷에 의해 앵커볼트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10) 및 설치브래킷(20)으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앵커볼트(B)가 석재(200)의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앵커볼트(B)를 지지하는 지지브래킷(10)은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일측면을 커버하면서 중앙 부분에 관통공(12A)이 형성된 측판(12)과, 하우징(11)의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하우징(11)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일단이 측판(12)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앵커볼트(B)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관체(13)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관체(12)의 관통 구멍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B)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나사(13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나사(13A)는 관통 구멍을 따라 그 내주면에 부분 형성되거나 또는 관통 구멍을 따라 내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지지브래킷(10)이 전동공구(300)에 결합된 전동보조공구(40)에 의해 회전 동작되면, 앵커볼트(B)와 고정관체(13)의 관통 구멍에 형성된 결합나사(13A)가 서로 나사 결합되고, 따라서 전동공구(300)에 의해 지지브래킷(10)의 회전이 지속됨에 따라 지지브래킷(10)이 벽체(100)를 향하여 단열재(110)를 관통하면서 삽입되어 벽체(100)에 지지브래킷(10)의 선단이 밀착 설치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지지브래킷(10)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2)이 형성되지 않은 하우징(11)의 반대쪽에 하우징(11)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11A)이 형성되는데, 이 절개홈(11A)에 의해 지지브래킷(10)이 회전되면 단열재(110)를 더욱 쉽게 파고들게 되면서 지지브래킷(10)이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더욱 신속하게 설치되게 된다.
이에 더해 지지브래킷(10)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돌기(11B)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는 지지브래킷(10)의 고정관체(13)에 결합나사(13A)가 부분 형성된 경우에는 앵커볼트(B)와 결합나사(13A)가 서로 나사 결합될 때 까지 지지브래킷(10)을 벽체(100)를 향하여 가압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지지브래킷(10)이 회전되면서 단열재(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하우징(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돌기(11B)에 의해 지지브래킷(10)이 벽체(100)를 향하여 전진하게 되면서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지지브래킷(10)이 벽체(100)를 향하여 단열재(110)를 쉽게 파고들면서 벽체(100)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나선 형상의 돌기(11B)는 위 기능에 더해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삽입된 지지브래킷(10)이 역 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단열재(110)와 지지브래킷(10)을 서로 고정하는 기능도 겸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의 돌기(11B)가 복수 개의 절개홈(11A)이 형성된 하우징(11)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기울기를 갖는 쐐기형 돌기(11B')로 실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나선 형상의 돌기(11B) 및 쐐기형 돌기(11B')는 지지브래킷(10)이 앵커볼트(B)에 나사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면, 단열재(110) 역시 지지브래킷(10)의 돌기(11B, 11B')에 의해 지지브래킷(10)에 고정(결합)된 상태가 되면서 단열재(110)도 벽체(10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따라서 단열재(110)가 벽체(100)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벽체(100)에 밀착 설치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면서 건물의 단열 성능도 담보된다.
또한 지지브래킷(10) 중, 하우징(11)의 측판(12) 방향의 상, 하부에는 전동보조공구(40)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끼움홈(H)이 형성되며, 이 끼움홈(H)을 통해 전동보조공구(40)의 끼움돌기(41)가 삽입되면서 전동공구(300)의 회전력이 전동보조공구(40)를 통해 지지브래킷(10)에 전달되면서 지지브래킷(10)이 전체적으로 회전 된다.
위에서 설명한 전동보조공구(40)는 도 6(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10)에 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H)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끼움돌기(41)가 구비되고, 이 한 쌍의 끼움돌기(41)의 일단을 연결하는 몸체(42)로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42)에는 한 쌍의 끼움돌기(4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전동공구(3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육각 또는 사각 단면 형상의 공구결합부(4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전동보조공구(40)는 지지브래킷(10)이 회전되어 벽체(100)를 향하여 전진하는 과정에서 함께 전진하는 몸체(42)가 앵커볼트(B)의 선단 부분과 접촉되면서 서로 방해되지 않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끼움돌기(41)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그럼에도 본 발명은 공구결합부(43)의 수평의 가상 중심선상의 몸체(42) 부분에 앵커볼트(B)와 마주하여 일정 크기의 홈(42A)을 더 형성하는데, 이 홈(42A)에 의해 앵커볼트(B)가 한 쌍의 끼움돌기(41)에 의한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였음에도 앵커볼트(B)의 선단 부분이 몸체(42)쪽으로 돌출되더라도 앵커볼트(B)의 선단 부분이 홈(42A) 부분에 위치되면서 서로 방해받지 않고 지지브래킷(10)의 설치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앵커볼트(B)에 지지브래킷(10)이 설치되고 나면, 외측으로 돌출된 앵커볼트(B)를 이용하여 석재 설치용 설치브래킷(20)이 조립 설치되는데, 이러한 설치브래킷(20)은 도 8(a, b)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수직 및 수평면에는 각각 장공의 구멍(21, 22)이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또한 수직 및 수평면의 선단에는 석재 고정핀(P)이 삽입되는 삽입공(23, 2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직 및 수평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상태에서 원하는 길이에 맞추어 앵커볼트(B)와 조립되는 면과 석재(200)가 설치되는 면을 변경함으로써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200)가 벽체(100) 또는 단열재(110)와 이격된 간격을 제한된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설치브래킷(20)에 형성된 구멍(21, 22)은 길이를 따라 장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앵커볼트(B)에 너트(N)로 조립하여 고정할 때 석재(200)의 높이에 맞추어 그 높이를 적정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설치브래킷(20) 중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쪽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보조브래킷(30)의 위치를 가늠하기 위한 가늠부(24)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늠부(24)는 앵커볼트(B)에 너트로(N)로 고정된 설치브래킷(20)의 선단을 기준으로 위치 조절되는 보조브래킷(30)의 위치를 쉽게 가늠하는 기능을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브래킷(20)이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석재(200)를 벽체(100) 또는 단열재(110)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는 폭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폭의 조절을 더욱 폭넓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 판 형상의 보조브래킷(30)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보조브래킷(30)은 설치브래킷(20)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기 위한 장공(31)이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보조브래킷(30)의 일단 부분에는 석재 고정핀(P)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삽입공(3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브래킷(30)의 상면에는 설치브래킷(20)의 선단 대비 보조브래킷(30)의 인출 거리를 가늠하도록 격자 형상으로 표기된 눈금부(33)가 형성된다.
이때 눈금부(33)를 따라 눈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숫자 등이 함께 표기되거나 또는 일정 단위로 눈금이 채색되어 식별이 용이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눈금부(33)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앵커볼트(B)에 너트(N)로 조립되어 고정된 설치브래킷(20)의 가늠부(24)를 기준으로 보조브래킷(30)의 눈금부(33)의 위치를 길이방향 또는 좌우 폭 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켜 가면서 석재(200)가 설치되는 삽입공(32)의 위치가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절된 위치는 다른 위치에 또 다른 고정브래킷을 설치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그 위치를 쉽고 정확에 일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0)에 설치된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돌출된 앵커볼트(B)의 선단에 맞추어 지지브래킷(10)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관체(13)의 관통 구멍에 앵커볼트(B)를 삽입하여 그 위치를 임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전동공구(300)에 조립된 전동보조공구(40)의 끼움돌기(41)를 지지브래킷(10)의 끼움홈(H)에 맞춘 후, 전동공구(300)를 앵커볼트(B)와 수평이 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전동공구(300)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시키면, 전동보조공구(40)에 의해 지지브래킷(10)이 회전되면서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전동공구(300)를 이용하여 벽체(100) 방향으로 가볍게 누르기만 하면, 지지브래킷(10)의 절개홈(11A) 및 돌기(11B)에 의해 단열재(110)를 쉽게 파고들면서 지지브래킷(10)이 벽체(10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고정관체(13)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나사(13A)와 앵커볼트(B)가 서로 나사 결합되기 시작하면, 그 이후에는 지지브래킷(10)이 회전 동작에 의해 더욱 쉽고 빠르게 벽체(100)를 향해 전진하면서 벽체(100)에 밀착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브래킷(10)이 벽체(100)에 밀착 설치되거 나면, 설치브래킷(20)을 앵커볼트(B)의 선단에 너트(N)로 고정시킨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설치브래킷(20)의 삽입공(23, 23'')에 고정핀(P)을 삽입하여 석재(200)가 설치되거나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래킷(20)에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하여 보조브래킷(30)을 더 조립하여 길이를 연장하고, 보조브래킷(30)의 삽입공(32)에 고정핀(P)을 삽입하여 석재(200)가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은 지지브래킷이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되면서 그 선단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홈과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에 의해 단열재를 더욱 쉽게 파고들면서 벽체에 쉽게 밀착 설치되고, 이와 동시에 나선 형상의 돌기로 인해 지지브래킷에 단열재가 고정되면서 단열재가 벽체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설치브래킷을 너트로 조립하는 동안에도 지지브래킷이 강건하게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10: 지지브래킷 11: 하우징
11A: 절개홈 11B: 돌기
11B': 쐐기형 돌기 12: 측판
12A: 관통공 13: 고정관체
13A: 결합나사 20: 설치브래킷
21, 22: 장공 23, 23': 삽입공
24: 가늠부 30: 보조브래킷
31: 장공 32: 삽입공
33: 눈금부 40: 전동보조공구
41: 끼움돌기 42: 몸체
42A: 홈 43: 공구결합부
100: 벽체 110: 단열재
200: 석재 300: 전동공구
B: 앵커볼트 B': 볼트
H: 끼움홈 N, N': 너트
P: 고정핀

Claims (6)

  1. 건물의 벽체에 석재를 설치하기 위해 벽체에 일단이 매립 설치된 앵커볼트(B)에 결합되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에 있어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을 커버하면서 중앙 부분에 관통공(12A)이 형성된 측판(12)과, 상기 하우징(11)의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하우징(11)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측판(12)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앵커볼트(B)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관체(13)를 포함하는 지지브래킷(10) 및;
    상기 측판(12)에 면 접촉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앵커볼트(B)의 선단 체결되는 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인 설치브래킷(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12)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하우징(11)의 반대쪽에는 상기 하우징(11)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절개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외주면에는 나선 형상의 돌기(11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의 상기 측판(12) 방향의 상, 하부에는 전동보조공구(40)가 삽입되는 한 쌍의 끼움홈(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나선 형상의 상기 돌기(11B)는 상기 복수 개의 절개홈(11A)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11)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쐐기형 돌기(1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인 상기 설치브래킷(20)의 수직 및 수평면에는 각각 장공의 구멍(21, 2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브래킷(20)의 수직 및 수평면의 선단에는 석재 고정핀(P)이 삽입되는 삽입공(23, 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래킷(20)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설치브래킷(20)의 길이를 연장하면서 일단 부분에는 석재 고정핀(P)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삽입공(32)이 형성된 보조브래킷(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브래킷(30)의 상면에는 상기 설치브래킷(20)의 선단 대비 상기 보조브래킷(30)의 인출 거리를 가늠하도록 격자 형상으로 표기된 눈금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래킷(20)의 선단에는 상기 눈금부(33)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가늠부(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6.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13)의 관통 구멍에는 상기 앵커볼트(B)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나사(13A)가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KR1020160129778A 2016-10-07 2016-10-07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KR10181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78A KR101812321B1 (ko) 2016-10-07 2016-10-07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78A KR101812321B1 (ko) 2016-10-07 2016-10-07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049A true KR20160124049A (ko) 2016-10-26
KR101812321B1 KR101812321B1 (ko) 2018-01-04

Family

ID=5725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778A KR101812321B1 (ko) 2016-10-07 2016-10-07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92A (ko) 2017-08-11 2019-02-20 신은경 건축용 석재패널 장착용 앵글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69B1 (ko) 2013-10-14 2014-06-09 송미선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
KR20140006220U (ko)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신아석재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KR101540963B1 (ko) 2014-04-11 2015-07-31 송미선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부재 설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지부재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511A (ja) * 2006-02-10 2007-08-23 Kyowa:Kk 外壁材固定具
KR200420002Y1 (ko) * 2006-03-27 2006-06-27 (주)대동석재공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6220U (ko)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신아석재 석재고정 브라켓 구조 및 석재 복합 패널
KR101402669B1 (ko) 2013-10-14 2014-06-09 송미선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
KR101540963B1 (ko) 2014-04-11 2015-07-31 송미선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부재 설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지부재 설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92A (ko) 2017-08-11 2019-02-20 신은경 건축용 석재패널 장착용 앵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321B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53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able door frame assembly
KR101812321B1 (ko) 건물 벽체의 석재 설치용 고정브래킷
KR101402669B1 (ko)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
KR101797583B1 (ko) 전기 배선홈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배선홈 시공 방법
KR20140071621A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US9447589B2 (en) Crown molding framing assembly
KR102018224B1 (ko) 석재 설치용 앵커볼트 어셈블리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KR102255364B1 (ko) 건축 내장재 설치용 앵커 조립체
KR20150144596A (ko)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
KR101567417B1 (ko)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JP6334227B2 (ja) ナット締着具及び座金付きナットの締着方法
KR20230003704A (ko) 외벽 고정용 앵커 조립체
EP2957686A1 (en) Jig for setting an oblong expansion element in a dowel
KR101616543B1 (ko) 마감재 지지앵커 시공장치, 마감재 지지앵커 시공방법 및 마감재 지지앵커
EP3495581B1 (en) Mounting frame for a floor drain and procedure for mounting of the floor drain by means of the mounting frame
JPH10144131A (ja) 埋込み型照明器具
WO2004068666A1 (en) Alignment tool
KR101743207B1 (ko) 건축외장재 설치 기구
GB2533143A (en) Adjustable whipstock
KR20100066959A (ko)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GB2462582A (en) Duct support assemblies
KR101980005B1 (ko) 전기 배선홈 시공장치
EP4090811B1 (en) Fastening assembly with a rotatable fastening element
JP2007026034A (ja) 火災報知器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