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734A - 능동 벤트를 갖는 에어백 - Google Patents
능동 벤트를 갖는 에어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3734A KR20160123734A KR1020150054262A KR20150054262A KR20160123734A KR 20160123734 A KR20160123734 A KR 20160123734A KR 1020150054262 A KR1020150054262 A KR 1020150054262A KR 20150054262 A KR20150054262 A KR 20150054262A KR 20160123734 A KR20160123734 A KR 201601237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cushion
- vent
- tube
- airbag
- vent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 B60R2021/2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용 에어백이 제공된다. 에어백은 승객과 접촉하는 정면을 갖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형성된 벤트홀 주변에 연결되고 근단 통공을 한정하는 근단부 및 상기 근단 통공과 마주하는 원단 통공을 한정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미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부로 돌출된 원단부를 포함하는 벤트 튜브; 및 상기 벤트 튜브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정면에 타측이 연결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 튜브는 다수의 튜브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강성 또는 전개 특성을 조절하도록 에어백 쿠션 내부로부터 에어백 쿠션 외부로 팽창 가스를 선택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능동 벤트를 가지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 충돌 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이 장착된다.
에어백의 에어백 쿠션은 차량 충돌 시 인플레이터로부터 그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한다.
통상의 에어백 쿠션의 내부 체적은 일반적인 성인을 보호할 수 있는 전개압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승객이 일반적인 성인이라 하더라도, 비정상 착좌(Out of Position, 이하 “OPP”라 칭함) 상태, 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과 승객과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울 경우, 예를 들면 승객이 시트를 당겨서 앉았거나 시트의 전방에 치우쳐서 앉았을 경우에 승객은 에어백 쿠션의 지나친 초기 전개압에 의해 오히려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은 승객의 조건, 예컨대 승객의 체격, 승객의 착좌 위치 등에 따라 어어백 쿠션의 전개압을 조절하는 전개압 조절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승객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에 접촉할 경우, 승객을 부드럽게 수용하도록 에어백 쿠션 상에 벤트홀을 제공하고, 벤트홀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의 내부로부터 에어백 쿠션의 외부로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에어백이 널리 알려져 있다.
미국 연방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A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은 2000년 5월에 새로운 FMVSS208 법규를 발표하였다. FMVSS208는 OOP 어린이 및 작은 성인 승객에 대한 에어백 전개의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요건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미국 연방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A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에서는 여성더미(AF05더미)와 남성더미(AM50더미)를 이용하여 에어백의 성능을 평가하고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 또는 다양한 착좌 상태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벤트홀이 복수개로 구비된 에어백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상시 개방된 벤트홀 및 에어백 상태, 예를 들면, 에어백 쿠션의 전개 상태 또는 에어백 쿠션에 접촉하는 승객의 사이즈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벤트홀 등이 에어백 쿠션에 구비된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더미) 사이즈에 따라 벤트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능동 벤트를 갖는 차량용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시 개방된 노멀 벤트 기능을 수행하면서, 에어백 쿠션에 접촉되는 승객의 사이즈에 따라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승객과 접촉하는 정면을 갖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형성된 벤트홀 주변에 연결되고 근단 통공을 한정하는 근단부 및 상기 근단 통공과 마주하는 원단 통공을 한정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미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부로 돌출된 원단부를 포함하는 벤트 튜브; 및 상기 벤트 튜브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정면에 타측이 연결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 튜브는 다수의 튜브홀을 포함하는 능동벤트를 갖는 차량용 에어백이 제공된다.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시에 중공 영역을 갖는 튜브 형상을 이루어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 상기 스트랩의 긴장력에 의해 상기 벤트 튜브의 근단부에서 상기 벤트 튜브가 뒤집어져 상기 벤트 튜브의 원단부가 상기 근단 통공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압에 의해 상기 벤트 튜브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서로 밀착되어 납작한 형태로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벤트홀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정면에 상기 승객이 충돌할 경우, 상기 승객으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해 상기 스트랩의 긴장력이 해제되어 상기 벤트 튜브의 대향하는 상기 두 영역이 서로 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튜브홀 및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튜브홀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에어백 쿠션에 충돌하는 승객(더미)의 사이즈에 따라 능동 벤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능동 벤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를 단순화하면서도 에어백 전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 쿠션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벤트 튜브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일부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일부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a는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승객(더미)와 접촉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b는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승객(더미)와 접촉된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벤트 튜브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일부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일부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a는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승객(더미)와 접촉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b는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승객(더미)와 접촉된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팽창 가능한 에어백 장치는 차량 충돌 시, 승객의 상해를 감소 또는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폭넓게 이용된다. 에어백 모듈은 차량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다양한 위치는 스티어링 휠, 인스트루먼트 패널, 옆문 또는 옆좌석의 내부, 자동차의 루프 레일에 인접한 위치, 머리위 위치, 또는 무릎 또는 다리 위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에어백”은 팽창 가능한 커튼 에어백, 머리 위 에어백, 전방 에어백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에어백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전방 에어백을 포함하는 실시 예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 다른 유형의 에어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전방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나. 설치 시, 에어백은 말림 또는 접힘되어 커버 뒤에 패키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충돌 시, 인플레이터가 동작되어 에어백 쿠션은 팽창 가스로 신속히 채워진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은 말림 또는 접힌 구성으로부터 팽창 또는 전개된 구성으로 신속히 변경된다. 인플레이터는 모든 적합한 장치 또는 시스템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고, 그 동작은 하나 이상의 차량 센서에 의하여 영향을 받거나 그에 응답할 수 있다.
에어백은 소정 범위의 크기 및 좌석 위치들에 걸쳐서 승객에게 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 내에서의 상태는 충돌 시나리오마다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좌석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은 승객이 요구하는 쿠션 기능 요건들에 적합한 강성 또는 지지력, 전개 속도를 가지고 전개될 수 있는 성능을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정 위치에서 벗어나 있을 때,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표면에 너무 가까이 앉아 있을 때, 작은 체구를 가질 때에는 에어백이 부드러운 쿠션을 갖고,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또는 부분적인 양으로 팽창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의 강도 및 전개 특성은 쿠션 내부로부터 쿠션의 외부로 팽창 가스를 선택적으로 배기시켜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백 장치(1)는 에어백 쿠션(10), 에어백 쿠션(10)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 에어백 쿠션(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능동 벤트 장치(100)를 포함한다.
미전개 상태에서, 에어백 장치(1)는 패키징 되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 또는 스티어링 휠(미도시) 안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충돌 시, 차량 센서들에 의하여 한 가지 이상의 미리 정해진 차량 조건이 검출되면, 에어백 쿠션(10)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 또는 스티어링 휠로부터 의도된 승객의 위치로 전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10)은 승객(O)과 마주하는 정면(13) 및 정면(13)의 양측에 구비된 측면(12), 정면(13)과 마주하는 후면(16), 측면(12)의 상, 하부에 구비된 상, 하면(15,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면(13), 후면(16), 양측면(12), 상, 하면(15,17)은 모든 적합한 형태로 서로 연결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단일 조각의 직물이 하나 이상의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각 면들은 별도의 재료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은 더 많거나 적은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은 직조 나일론 패브릭 (woven nylon fabric)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능동 벤트 장치(100)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에어백 쿠션(10)의 양측면(12)에 능동 벤트 장치(100)가 구비된 것이 도시된다. 다른 실시 예로, 능동 벤트 장치(100)는 차량의 구조물 또는 승객과 간섭되지 않는 모든 적절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능동 벤트 장치(100)는 에어백 쿠션(10)의 양측면에 구비된 벤트 튜브(110)와 일단측이 벤트 튜브(110)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에어백 쿠션(10)의 정면에 연결된 스트랩(130)을 포함한다.
벤트 튜브(110)는 에어백 쿠션(10)의 양측면(12)에 형성된 벤트홀(23) 주위에서 에어백 쿠션(10)에 연결된다. 벤트 튜브(110)는 양단이 개구된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트 튜브(110)는 에어백 쿠션(10)의 양측면(12)에 형성된 벤트홀(23)에 연통되는 근단 통공(111a)을 한정하며 에어백 쿠션(10)의 벤트홀(23) 주위에 연결되는 근단부(111) 및 근단 통공(111a)과 대향하는 원단 통공(113a)을 한정하는 원단부(113)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 벤트 튜브(110)는 재봉, 접착, 테이프, 무선 주파수 용접, 열 밀봉, 또는 모든 다른 적절한 기술, 또는 그 기술들의 조합에 의하여 에어백 쿠션(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벤트 튜브(110)가 재봉 라인(S1)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0)에 연결된 상태가 도시된다.
벤트 튜브(110)는 단일의 재료편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2개의 재료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벤트 튜브(110)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벤트 튜브(110)는 제1 영역(A1) 및 제1 영역(A1)과 마주하는 제2 영역(A2)을 포함하고, 튜브홀(115)은 제1 영역(A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튜브홀(115a) 및 제2 영역(A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튜브홀(115b)을 포함한다.
스트랩(130)은 벤트 튜브(110) 측에 연결된 일단측(131) 및 에어백 쿠션(10)의 정면(13)에 지지되는 타단측(13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130)의 타단측(133)은 고정 플랩(140)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의 정면에 고정될 수 있다. 스트랩(130)은 재봉, 접착, 테이프, 무선 주파수 용접, 열 밀봉, 또는 모든 다른 적절한 기술 또는 그러한 기술들의 조합에 의하여 에어백 쿠션(10) 및 벤트 튜브(110)에 연결 할 수 있다.
스트랩(130)은 에어백 쿠션(10)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 테더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에어백 쿠션(10)이 초기 전개된 상태로서, 에어백 쿠션(10)이 일부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다.
에어백 쿠션(10)의 초기 전개 시에는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가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인플레이터(3)로부터 생성된 팽창 가스에 의해 에어백 쿠션(10)이 초기에 전개 된 경우, 벤트 튜브(110)는 완전한 튜브 형상을 갖는다. 이때, 스트랩(130)은 에어백 쿠션(10)이 완전히 팽창되지 않아 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벤트 튜브(110)는 스트랩(130)에 의해 당겨짐 없이 완전한 튜브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벤트 튜브(110)의 근단 통공(111a) 및 원단 통공(113a)은 완전히 개방되고, 에어백 쿠션(10)내의 가스는 벤트홀(23) 및 근단통공(111a)을 통하여 벤트 튜브(110)내로 유입되고, 벤트 튜브(110)의 원단 통공(113a)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벤트 튜브(110)에 형성된 튜브홀(115)을 통해서도 가스가 배출되어 가스가 신속하게 에어백 쿠션(10)으로부터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0)의 초기 전개 시, 벤트홀(21)은 완전한 튜브 형상을 갖는 벤트 튜브(110)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가스가 벤트홀(21)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된다. 그 결과, 에어백 쿠션(10)의 내압이 감소되어 OPP 승객, 어린이 및 작은 성인 승객 등에 대하여 에어백 전개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10)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 타단측(133)이 에어백 쿠션(10)의 정면(13)과 연결된 스트랩(130)이 긴장된다. 스트랩(130)의 긴장력에 의해 벤트 튜브(110)가 에어백 쿠션(10)의 내부로 당겨지고, 에어백 쿠션(10)의 정면(13)을 향하여 당겨진다. 그 결과, 벤트 튜브(110)는 벤트 튜브(110)의 근단부(111)가 연결된 부분에서 벤트 튜브(110)가 뒤집어져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가 근단 통공(111a)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10)내에 수용된 팽창 가스압에 의해 벤트 튜브(110)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이 서로 밀착되어 벤트 튜브(110)가 납작해진다. 그리하여, 벤트 튜브(110)의 근단 통공(111a) 및 원단 통공(113a), 특히 근단 통공(111a)이 폐쇄되어 벤트홀(23)이 차단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은 적정의 강성을 갖게 된다.
벤트 튜브(110)의 제1 영역(A1)에 형성된 제1 튜브홀(115a)은 벤트 튜브(110))의 제2 영역(A2)에 형성된 제2 튜브홀(115b, 점선 표시)과 어긋난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벤트 튜브(110)가 납작해진 경우, 엇갈린 제1, 2튜브홀(115a, 115b)에 의하여 가스가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벤트 튜브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벤트 튜브(110)는 에어백 쿠션(10)이 완전히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벤트 튜브(110)가 에어백 쿠션(10)의 내부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다. 벤트 튜브(110)는 근단부(111), 구체적으로 벤트 튜브(110)의 근단부(111)가 에어백 쿠션(10)에 연결된 부분에서 벤트 튜브(110)가 뒤집어진다.
벤트 튜브(110)는 벤트 튜브(110)의 제1 영역(A1)을 구성하는 제1 패널(116) 및 벤트 튜브(110)의 제2 영역(A2)을 구성하는 제2 패널(117)을 포함한다.
제1 패널(116) 및 제2 패널(117)의 양측은 재봉, 접착, 테이프, 무선 주파수 용접, 열 밀봉, 또는 모든 다른 적절한 기술 또는 그러한 기술들의 조합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제1,2 패널(116,117)이 재봉 라인(S2)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튜브(110)는 납작해진 경우, 대략 사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가 벤트 튜브(110)의 근단부(111)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 벤트 튜브(110)가 납작해진 경우, 사각형상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트랩(130)의 일단측(131)은 벤트 튜브(110)의 중심축(A)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패널(116) 및 제2 패널(117)이 당겨질 경우, 근단 통공(111a)의 폐쇄성을 높힌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의 동작 원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일부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일부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차량 충돌 시, 인플레이터(3)로부터 가스가 발생되고, 인플레이터(3)로부터 발생된 팽창 가스는 에어백 쿠션(10)내로 공급된다. 이때, 능동 벤트 장치(100)의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는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에어백 쿠션(10)내로 급속하게 공급된 가스는 에어백 쿠션(10)의 벤트홀(2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는 에어백 쿠션(10)으로부터 돌출되어 벤트홀(23)을 통해 배출되는 팽창 가스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어 중공의 튜브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벤트 튜브(110)가 중공의 튜브 형상을 이룸에 따라 벤트 튜브(110)의 근단 통공(111a) 및 원단 통공(113a)은 완전히 개방되어 에어백 쿠션(10) 내의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고, 에어백 쿠션(10)의 내압은 감소된다. 그리하여, OPP 승객, 어린이 및 작은 성인 승객 등에 대한 에어백 전개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a는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인플레이터(3)로부터 가스가 지속적으로 에어백 쿠션(10)내로 공급되는 동안 에어백 쿠션(10)의 정면(13)에 연결된 스트랩(130)이 당겨진다. 그 결과,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가 에어백 쿠션(10) 내로 당겨지면서 벤트 튜브(110)의 근단부(111)에서 뒤집어진다. 에어백 쿠션(10)이 완전히 팽창되면, 벤트 튜브(110)는 스트랩(130)에 의해 팽팽히 당겨져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가 폐쇄되고, 에어백 쿠션(10) 내의 가스압(P)에 의해서 납작해진다. 이때, 벤트 튜브(110)의 제1,2 영역(A1, A2)에 제1,2튜브홀(115a, 115b)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벤트 튜브(110)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밀폐되어 에어백 쿠션(110) 내의 가스가 에어백 쿠션(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더미와 접촉된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b는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더미와 접촉된 완전히 팽창된 에어백 쿠션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10)이 완전히 팽창된 상태에서 승객(O)이 에어백 쿠션(10)의 정면(13)에 접촉할 경우, 에어백 쿠션(10)의 정면(13)은 에어백 쿠션(10)의 후방을 향하여 가압된다.
그 결과, 스트랩(130)은 느슨해져 밴트 튜브(110)의 원단부(113)의 구속력이 해제된다. 그리하여 에어백 쿠션(10)내의 가스는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를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면서 가스압에 의해 벤트 튜브(110)는 근단부(111)에서 다시 뒤집어져 벤트 튜브(110)의 원단부(113)가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상태에서, 벤트 튜브(110)의 제1,2영역(A1, A2)에 형성된 제1,2 튜브홀(115a, 115b)를 통하여 가스가 벤트 튜브(110)내로 유입되어 가스가 원활하게 에어백 쿠션(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에어백 쿠션(10)의 충돌 상태, 예를 들면 승객의 체격에 따라 스트랩(130)에 작용하는 긴장력이 변경되어 상기 제1,2 영역(A1, A2)이 원활하게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2 튜브홀(115a, 115b)은 벤트 튜브(110)내로 가스 유입을 허용하여 에어백 쿠션(10)내의 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능동 벤트 장치(100)는 에어백 쿠션(10) 내의 가스를 상시 배출 시키는 종래의 노멀 벤트 기능을 수행하면서, 에어백 쿠션(10)에 접촉되는 승객(더미) 사이즈에 따라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벤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에어백 쿠션
13: 에어백 쿠션 정면
100: 벤트 장치 110: 벤트 튜브
111: 근단부 111a: 근단통공
113: 원단부 113a: 원단통공
A1,A2: 제1,2영역 115a,115b: 제1,2튜브홀
116,117: 제1,2패널
100: 벤트 장치 110: 벤트 튜브
111: 근단부 111a: 근단통공
113: 원단부 113a: 원단통공
A1,A2: 제1,2영역 115a,115b: 제1,2튜브홀
116,117: 제1,2패널
Claims (6)
- 승객과 접촉하는 정면을 갖는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형성된 벤트홀 주변에 연결되고 근단 통공을 한정하는 근단부 및 상기 근단 통공과 마주하는 원단 통공을 한정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미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외부로 돌출된 원단부를 포함하는 벤트 튜브; 및
상기 벤트 튜브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정면에 타측이 연결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 튜브는 다수의 튜브홀을 포함하는 능동벤트를 가지는 에어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시에 중공 영역을 갖는 튜브 형상을 이루어 상기 벤트홀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능동벤트를 가지는 에어백.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된 경우, 상기 스트랩의 긴장력에 의해 상기 벤트 튜브의 근단부에서 상기 벤트 튜브가 뒤집어져 상기 벤트 튜브의 원단부가 상기 근단 통공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압에 의해 상기 벤트 튜브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서로 밀착되어 납작한 형태로 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기 벤트홀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능동 벤트를 가지는 에어백.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팽창된 에어백 쿠션의 상기 정면에 상기 승객이 충돌할 경우, 상기 승객으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해 상기 스트랩의 긴장력이 해제되어 상기 벤트 튜브의 대향하는 상기 두 영역이 서로 떨어지도록 구성된 능동 벤트를 가지는 에어백.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제1 튜브홀 및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제2 튜브홀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능동 벤트를 가지는 에어백.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튜브는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능동 벤트를 가지는 에어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4262A KR101684987B1 (ko) | 2015-04-17 | 2015-04-17 | 능동 벤트를 갖는 에어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4262A KR101684987B1 (ko) | 2015-04-17 | 2015-04-17 | 능동 벤트를 갖는 에어백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3734A true KR20160123734A (ko) | 2016-10-26 |
KR101684987B1 KR101684987B1 (ko) | 2016-12-09 |
Family
ID=5725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4262A KR101684987B1 (ko) | 2015-04-17 | 2015-04-17 | 능동 벤트를 갖는 에어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498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01046B2 (en) | 2017-05-19 | 2019-12-10 | Hyundai Motor Company |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0955A (ja) * | 1997-12-09 | 1999-06-29 | Toyota Motor Corp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US8070183B2 (en) | 2008-08-06 | 2011-12-06 | Takata Corporation | Airbag and airbag apparatus |
US20120306187A1 (en) | 2010-04-19 | 2012-12-06 | Tk Holdings Inc. | Airbag module |
KR20130038561A (ko) * | 2011-10-10 | 2013-04-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조수석 에어백 장치 |
KR20130038692A (ko) * | 2011-10-10 | 2013-04-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조수석 에어백 장치 |
KR20150008131A (ko) * | 2012-06-18 | 2015-01-21 |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 능동 벤트를 구비한 에어백 |
-
2015
- 2015-04-17 KR KR1020150054262A patent/KR1016849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0955A (ja) * | 1997-12-09 | 1999-06-29 | Toyota Motor Corp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US8070183B2 (en) | 2008-08-06 | 2011-12-06 | Takata Corporation | Airbag and airbag apparatus |
US20120306187A1 (en) | 2010-04-19 | 2012-12-06 | Tk Holdings Inc. | Airbag module |
KR20130038561A (ko) * | 2011-10-10 | 2013-04-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조수석 에어백 장치 |
KR20130038692A (ko) * | 2011-10-10 | 2013-04-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조수석 에어백 장치 |
KR20150008131A (ko) * | 2012-06-18 | 2015-01-21 |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 능동 벤트를 구비한 에어백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01046B2 (en) | 2017-05-19 | 2019-12-10 | Hyundai Motor Company |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4987B1 (ko) | 2016-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263921B1 (en) | Airbag device | |
US8646808B2 (en) | Airbag with active vent | |
JP4129758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US8020891B2 (en) | Vehicular airbag device | |
WO2013114591A1 (ja) |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
JP6781118B2 (ja) | 車の搭乗者拘束装置用の順応型膝用エアバッグ | |
US20100102542A1 (en) | Airbag device | |
KR101081274B1 (ko) | 조수석 에어백 장치 | |
US9821751B2 (en) | Airbag module | |
JP2008184159A (ja) | 乗員保護装置 | |
JP2009143549A (ja) | 可変インナーベントホールを備えたエアバッククッション構造 | |
JP4569310B2 (ja) |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 |
US20110148080A1 (en) | Airbag assembly | |
KR20150007499A (ko) | 에어백 장치 | |
WO2017146847A1 (en) | Adaptive vent for knee airbag | |
JP6217350B2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
JP4993452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KR101684987B1 (ko) | 능동 벤트를 갖는 에어백 | |
KR101708203B1 (ko) |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 |
KR20100031370A (ko) | 에어백 모듈 | |
KR100857353B1 (ko) | 전개거동 제어식 에어백 장치 | |
KR100655209B1 (ko) | 가슴 에어백의 쿠션 | |
JP4466462B2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
KR101695221B1 (ko) | 차량용 에어백 | |
KR20180055149A (ko) | 조수석 에어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