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020A -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020A
KR20160123020A KR1020150052997A KR20150052997A KR20160123020A KR 20160123020 A KR20160123020 A KR 20160123020A KR 1020150052997 A KR1020150052997 A KR 1020150052997A KR 20150052997 A KR20150052997 A KR 20150052997A KR 20160123020 A KR20160123020 A KR 2016012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insulating plate
colum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비블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비블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비블럭
Priority to KR102015005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020A/ko
Publication of KR2016012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단열판이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내부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유동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액화가스의 표면의 유동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지지 강도를 극대화하여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슬로싱 현상 액화가스 양에 상관없이 저감 가능하고, 슬로싱 현상으로 인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강도 및 난연성의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액화가스 표면의 유동을 저감시킴에 따라,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표면의 기화 현상을 저감하여 증발가스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슬로싱 저감 장치를 형성함에 따라 간단하게 슬로싱 저감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ANTI SLOSHING APPARATUS USIGN THERMAL INSULATION BOAR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열판을 이용하여 액화가스 운반선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슬로싱 현상 및 기화 현상을 저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연료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연가스(natural gas) 및 석유가스(petroleum gas) 등은 효율적인 운반을 위하여 액화 과정을 거쳐 부피가 감소된 액화가스(liquefied gas) 상태로 운반된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가 되도록 하면, 그 부피가 약 600분의 1로 감소되어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는 양이 증가된다. 그리고, 목적지로 운반된 액화천연가스는 재기화(regasification) 되어 연료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액화가스를 원거리 수송하는 데에는 극저온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화물창(cargo tank)이 설치된 액화 가스 운반선이 사용되고 있다. 액화가스 운반선은 화물창의 방식에 따라 선체와 독립된 화물창을 갖춘 독립탱크 방식과 금속재 멤브레인(membrane)으로 방벽을 형성하여 액화가스의 유출을 차단하는 멤브레인 방식으로 크게 분류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액화가스 운반선의 과반수가 멤브레인 방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에는 멤브레인 방식 액화가스 운반선의 단면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멤브레인 방식 액화가스 운반선(11)의 선체(10) 내에는 화물창(20)이 구비된다.
선체(10)는 외측 선체(1) 및 내측 선체(12)로 형성되는 이중선체구조를 가질 수 있고, 화물창(20)은 액화가스(도시되지 않음)의 유출을 방지하는 멤브레인(21) 및 외부의 열이 액화가스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단열구조체(2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화물창(20) 내에는 액화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펌프타워(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멤브레인 방식 액화가스 운반선(1)의 화물창(20)은 내부에 저장된 액화가스의 유동에 의한 슬로싱(sloshing) 현상에 의해 화물창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즉, 액화가스 운반선(1)이 파도 및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해 흔들릴 경우, 이 흔들림이 화물창(20) 내에 저장된 액화가스로 전달되어 슬로싱 현상이 발생된다.
슬로싱 현상은 액화가스의 자유표면(free surface)의 면적이 넓을수록 심하게 발생되므로, 액화가스 운반선이 만재운항을 할 경우 보다 액화가스를 하역한 후 화물창(20)에 추진기관의 연료로 사용할 소량의 액화가스만 적재한 상태인 공선운항을 하는 중에 더욱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추세이다.
슬로싱 현상이 발생되면 멤브레인(21)에 부분적으로 큰 압력이 가해지거나, 액화가스가 충돌하는 충격력에 의해 화물창(20)이 손상될 수 있다. 화물창(20)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더라도 이 부분을 통하여 액화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면 대형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액화가스의 유동으로 인해 액화가스의 표면에서의 기화 현상으로 인해 증발가스가 발생하고 이러한 증발가스로 인한 폭발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액화가스의 표면을 지지하면서 상하 이동하여 액화가스의 유동으로 인한 슬러싱 및 액화가스의 기화를 방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의 표면에서 부유 방식으로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는 단열판을 설치함에 따라 액화가스의 양에 관계없이 액화가스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유동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액화가스의 유동에 따른 슬로싱 현상 및 기화 현상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는,
액화가스 저장 탱크의 방벽에 설치되고 관통홀을 가지며 일부가 개구된 다수의 기둥과,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다수의 기둥에 지지되고 상기 액화가스보다 비중이 낮은 표면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유동수단은,
40~300 kg/m3 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계열 및 40~300 kg/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의 단열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열판은,
40~300 kg/m3 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면에 각각 가압하여 적층된 플라이우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기둥은,
상기 방벽의 수와 동일한 수를 가지며,
상기 단열판은,
상기 기둥의 수와 동일한 수의 다각형으로 구비되며, 이웃하는 단열판 사이에 상기 관통홀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를 일체로 마련하되, 상기 돌출부를 상기 관통홀에 끼움 조작으로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제작 방법은,
관통홀을 가지며 일부가 개구된 다수의 기둥을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병벽과 동일한 수로 마련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기둥의 수와 동일한 수의 다각형으로 마련된 거푸집 및 금형 중 하나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 및 성형한 후 거푸집 및 금형 중 하나를 제거하는 단열재를 형성하고 상기 단열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에 플라이우드를 가압 적층하여 단열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판과 이웃하는 단열판 사이에 상기 관통홀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를 상기 단열판과 일체로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내부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유동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각각의 기둥의 관통홀에 끼움 조작하여 액화가스 표면에 상기 단열판을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열판은,
40~300 kg/m3 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계열 및 40~300 kg/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면에 각각 가압하여 적층된 플라이우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액화가스의 표면에서 부유 방식으로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는 단열판을 설치함에 따라 액화가스의 양에 관계없이 액화가스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유동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액화가스의 표면의 유동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지지 강도를 극대화하여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슬로싱 현상 액화가스 양에 상관없이 저감 가능하고, 슬로싱 현상으로 인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강도 및 난연성의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액화가스 표면의 유동을 저감시킴에 따라,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표면의 기화 현상을 저감하여 증발가스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화가스 운반선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를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장치의 부분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판의 밀도에 따른 방향 별 압축 및 인장강도를 보인 그래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제조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 발명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 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를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 자아치의 부분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판의 밀도에 따른 방향별 압축 및 인장강도를 보인 그래프들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는, 액화가스 표면에서 단열판을 다수의 기둥의 길이 방향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10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기둥(130), 및 표면유동수단인 단열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는, 통상의 금속재 멤브레인으로 액화가스의 방벽을 형성하는 멤브레인 방식 액화가스 운반선 내에 설치되고, 방벽은 제조자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방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기둥(130)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각 방벽의 상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 다양한 형상의 관통홀을 가지며 일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선체가 수면 위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할 때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하며, 나란하다는 것은 수학적이거나 기하학적인 평행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인 가공오차 등을 고려한 실질적인 나란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기둥(130)에 지지되는 단열판(15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판(150)는 상기 다수의 기둥 수와 동일한 수의 다각형으로 마련된 거푸집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한 후 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단열판(150)은 다수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판은 제1 플라이우드, 폴리우레탄 단열재, 및 제2 플라이우드 순으로 적층하여 마련된다. 즉, 상기 단열재의 상하면에 제1 및 제2 플라이우드가 각각 가압하여 적층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성분으로 마련되며, 이때. 주제는 폴리올,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MDI)로 의미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의 단열재의 물성은 주제의 조성 및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에 따라 달라지며, 여기서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는 1:1 에서1:4 사이의 비를 가진다. 여기서, 물성 중에서 밀도는 폴리우레탄 폼의 단열재의 가장 기본적인 물성으로 강도와 단열성에 영향을 많이 주는 인자이다. 이러한 밀도의 조절은 주제에 포함되는 발포제의 종류 및 함량으로 조절합니다.
상기 발포제의 종류는 HCFC계, HFC 계, HC 계 등 다양한 발포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HCFC-141b, HFC-365/227, HFC-245fa, Cyclopentane, CO2 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발포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외의 여러 화학 물질이 발포제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밀도가 높을수록 제품의 강도는 강한 특성을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열재(110)는 40~300 kg/m3 의 밀도를 가지는 고강도의 폴리우레탄 계열 및 40~300 kg/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중 하나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폼의 단열재는 거푸집 내의 자유 발포 형태로 만들어서 가공하여 만들 수도 있고 금형에서 원하는 모양으로 제작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의 밀도에 따른 방향 별 압축 및 인장강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 밀도의 변동에 따라 인정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판(150)은, 이웃하는 단열판(150) 사이에 단열판(150)을 각각의 기둥(130)에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151)를 일체로 마련하고 상기 돌출부(151)는 상기 관통홀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기둥(130)의 관통홀에 끼움 조작 후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151)의 사이즈가 관통홀의 사이즈 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판(150)은 상기 다수의 기둥(130)에 지지하여 액화가스 표면의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저장된 액화가스 표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단열판(150)은 상기 다수의 기둥(130)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액화가스의 표면의 유동을 방지하여 슬로싱 및 액화가스 표면의 기화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가 직사각형의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다수의 각,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 탱크(110)의 방벽의 형상에 따라 기둥(130) 및 단열판(150)의 형상이 결정됨을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의 편의 상 금속재 멤브레인 방식으로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다양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이용 가능하다.
아울러, 기둥(130)에 마련된 관통홀 및 단열판(150)의 돌출부(151)는 다양한 형상을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하 이동 시 기둥(13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의 제작·설치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각으로 이루어진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방벽과 일치하는 수의 거푸집을 형성한 후 거푸집 내에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충진시킨 후 성형하고 이어 거푸집을 제거하여 단열재를 형성한 후 단열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의 플라이우드를 가압 적층하여 다수의 판상으로 마련된 단열판(150)이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각으로 이루어진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방벽 각과 일치하는 수의 기둥(130)은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151)를 삽입하기 위해 일부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하면에 고정 설치한다.
이어 기둥(130)에 단열판(150)이 지지하면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단열판(150)의 돌출부(151)를 상기 기둥(130)의 관통홀에 끼움 조작으로 액화가스가 저장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액화가스 표면에 놓여진다.
이에 따라, 단열판(150)은 액화가스 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액화가스 표면에서 부유 상하 이동하므로,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상하 유동이 가능하다. 즉, 저장된 액화가스가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벽면에 충돌하는 충격력에 의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손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고, 아울러, 액화가스의 표면의 유동으로 발생하는 액화가스의 기화 현상을 방지하여 증발가스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열판이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내부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유동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액화가스의 표면의 유동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지지 강도를 극대화하여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슬로싱 현상 액화가스 양에 상관없이 저감 가능하고, 슬로싱 현상으로 인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강도 및 난연성의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액화가스 표면의 유동을 저감시킴에 따라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표면의 기화 현상을 저감하여 증발가스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슬로싱 저감 장치를 형성함에 따라 간단하게 슬로싱 저감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판를 이용하여 슬로싱 저감 장치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의 제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의 제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단열판(150)은 다수의 각으로 이루어진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방벽과 일치하는 수의 거푸집을 형성한 후 거푸집 내에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충진시킨 후 성형하고 이어 거푸집을 제거하여 형성한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플라이우드를 가압 적층하여 형성한다 (단계 501).
그리고, 상기 단열판과 이웃하는 단열판 사이에 관통홀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를 마련한다(단계 502).
그리고, 다수의 각으로 이루어진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방벽과 일치하는 수의 액화가스 저장탱크(110) 하면에 상기 관통홀이 마련된 기둥(130)을 고정 설치한다(단계 503).
그리고, 기둥(130)의 관통홀에 단열판(150)과 이웃하는 단열판(150) 사이에 마련된 돌출부의 끼움 조작으로 상기 단열판(150)은 액화가스가 저장된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액화가스 표면에 놓여진다(단계 505).
즉, 단열판(150)은 액화가스 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기둥의 상하 이동 가능하다. 즉,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벽면에 충돌하는 충격력에 의해 액화가스 저장탱크(110)의 손상이 근본적으로 방지되고, 아울러, 액화가스 기화로 인한 증발가스 생성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열판이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내부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유동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액화가스의 표면의 유동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지지 강도를 극대화하여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슬로싱 현상 액화가스 양에 상관없이 저감 가능하고, 슬로싱 현상으로 인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강도 및 난연성의 폴리우레탄 계열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의 단열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액화가스 표면의 유동을 저감시킴에 따라,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표면의 기화 현상을 저감하여 증발가스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슬로싱 저감 장치를 형성함에 따라 간단하게 슬로싱 저감 장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단열판이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내부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유동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액화가스의 표면의 유동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지지 강도를 극대화하여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슬로싱 현상 액화가스 양에 상관없이 저감 가능하고, 슬로싱 현상으로 인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강도 및 난연성의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액화가스 표면의 유동을 저감시킴에 따라, 액화가스 유동에 의한 표면의 기화 현상을 저감하여 증발가스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 계열의 단열재를 이용하여 슬로싱 저감 장치를 형성함에 따라 간단하게 슬로싱 저감 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액화가스 저장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5)

  1. 액화가스 저장 탱크의 방벽에 설치되고 관통홀을 가지며 일부가 개구된 다수의 기둥과,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다수의 기둥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액화가스보다 비중이 낮은 표면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유동수단은,
    40~300 kg/m3 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계열 및 40~300 kg/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의 단열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은,
    40~300 kg/m3 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계열 및 40~300 kg/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면에 각각 가압하여 적층된 플라이우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둥은,
    상기 방벽의 수와 동일한 수를 가지며,
    상기 단열판은,
    상기 기둥의 수와 동일한 수의 다각형으로 구비되며, 이웃하는 단열판 사이에 상기 관통홀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를 마련하되, 상기 돌출부를 상기 관통홀에 끼움 조작으로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4. 액화가스 저장 탱크의 방벽에 설치되고 관통홀을 가지며 일부가 개구된 다수의 기둥을 액화가스 저장탱크 내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기둥의 수와 동일한 수의 다각형으로 마련된 거푸집 및 금형 중 하나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 및 성형한 후 거푸집 및 금형 중 하나를 제거하여 단열재를 형성한 후 형성된 단열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플라이우드를 가압 적층하여 단열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판과 이웃하는 단열판 사이에 상기 관통홀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부를 상기 단열판과 일체로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하 방향으로 내부 액화가스 표면을 지지하면서 유동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각각의 기둥의 관통홀에 끼움 조작하여 액화가스 표면에 상기 단열판을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제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은,
    40~300 kg/m3 의 밀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계열 및 40~300 kg/m3 범위의 밀도를 가지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하면에 각각 가압하여 적층된 플라이우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제작 방법.
KR1020150052997A 2015-04-15 2015-04-15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KR20160123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97A KR20160123020A (ko) 2015-04-15 2015-04-15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97A KR20160123020A (ko) 2015-04-15 2015-04-15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20A true KR20160123020A (ko) 2016-10-25

Family

ID=5744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997A KR20160123020A (ko) 2015-04-15 2015-04-15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21A (ko) * 2018-04-16 2019-10-2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621A (ko) * 2018-04-16 2019-10-2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4276B1 (ko) 밀봉 탱크 내 단열 벽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단열 블록
US1031701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barrier for a storage tank
AU2012291901B2 (en) Sealed, thermally-insulating vessel
KR102125733B1 (ko) 유체 저장을 위한 밀폐 단열 탱크
JP2014521556A (ja) タンク壁を製造するための絶縁ブロック
CN109477610B (zh) 纳入多面体支撑结构中的密封且热绝缘的贮罐
KR102051365B1 (ko) 유동 공간을 포함하는 단열 박스
CN104508347B (zh) 包括被间隔支撑元件的密封隔热罐壁
KR20210146953A (ko) 용기의 단열체의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 블록 및 그것의 제조 과정
KR20140015474A (ko) 밀폐된 탱크 벽 제조용 단열 블록
AU2014255598B2 (en) 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vessel
KR101670869B1 (ko)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JP2020514643A (ja) 補強断熱栓部を備えた密閉断熱タンク
KR102569951B1 (ko) 1차 절연 패널을 2차 절연 패널에 앵커링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밀봉된 단열 탱크
KR20160123020A (ko) 단열판을 이용한 슬로싱 저감 장치
AU2014286010B2 (en) Lagging element suited to the creation of an insulating barrier in a sealed and insulating tank
KR102051355B1 (ko) 강화 뚜껑 패널을 포함하는 유밀한 단열 탱크용 래깅 요소
CN104214510A (zh) 用于液货储罐的支承结构
KR101393329B1 (ko) Lng 저장탱크용 단열박스의 단열재 설치방법
KR101703387B1 (ko) 액체저장탱크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210146950A (ko) 용기의 단열체의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 블록 및 그것의 제조 과정
KR20100125627A (ko) 선박용 수직 배치형 압력탱크
RU2805353C2 (ru) Герметичный и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резервуар
RU2799199C2 (ru) Блок полиуретановой/полиизоциануратной пены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корпуса резервуар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KR20150000855U (ko) 초저온 화물창 단열시스템의 단열박스 구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