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921A -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921A
KR20160122921A KR1020150052597A KR20150052597A KR20160122921A KR 20160122921 A KR20160122921 A KR 20160122921A KR 1020150052597 A KR1020150052597 A KR 1020150052597A KR 20150052597 A KR20150052597 A KR 20150052597A KR 20160122921 A KR20160122921 A KR 20160122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module
voltage
driving voltag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문
양천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2921A/ko
Priority to ES16162602.3T priority patent/ES2680843T3/es
Priority to EP16162602.3A priority patent/EP3082239B1/en
Priority to US15/098,252 priority patent/US9806709B2/en
Priority to CN201610232640.4A priority patent/CN106059267B/zh
Priority to JP2016080767A priority patent/JP6194047B2/ja
Publication of KR2016012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7/687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the output circuit comprising more than one controlled field-effect transis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6Arrangements for supplying an adequate voltage to the control circuit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드라이버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PWM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IC 모듈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이상일 때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IC 모듈의 구동을 위한 IC 모듈 구동 전압을 상기 IC 모듈에 인가하고,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이면 상기 IC 모듈 구동 전압의 인가를 중단하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에 적합한 기준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게이트 드라이버 내부의 IC 모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기준 전압 도달 시간 동안 발생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오동작 및 이에 따른 스위칭 소자의 오동작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FOR DRIVING INVERTER}
본 발명은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스위칭 소자가 스위칭 신호에 따라 변환된 직류 전압을 스위칭시켜 교류 전압을 생성하며, 생성된 교류 전압을 부하로 출력시키는 회로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 및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부하로 공급하여 부하의 구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3상 2레벨 인버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인버터의 정류부(104)는 외부의 전원(102)으로부터 인가된 3상 교류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한다. 이와 같이 정류된 DC 전압은 캐패시터(CDC)를 통해 평활화된다. 평활화된 DC 전압은 스위칭부(106)를 통하여 3상 교류 전류로 변환되고, 변환된 3상 교류 전류는 전동기(108)와 같은 부하로 입력되어 부하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인버터의 스위칭부(106)는 다수의 스위칭 소자(S1 내지 S6)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의 각 쌍(S1 및 S2, S3 및 S4, S5 및 S6)은 서로 상보적인 스위칭 동작을 통해 3상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데, 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은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해 인가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인가되어야 한다.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에 적합한 기준 전압에 도달하기까지는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와 같은 기준 전압 도달 시간의 존재로 인해 게이트 드라이버의 오동작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게이트 드라이버의 오동작은 도 1의 스위칭부(106)에 포함된 다수의 스위칭 소자(S1 내지 S6)의 오동작 및 소손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에 적합한 기준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게이트 드라이버 내부의 IC 모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기준 전압 도달 시간 동안 발생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오동작 및 이에 따른 스위칭 소자의 오동작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인버터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IC 모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즉시 차단함으로써 전원 이상으로 인한 게이트 드라이버의 오동작 및 이에 따른 스위칭 소자의 오동작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인버터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버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PWM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IC 모듈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이상일 때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IC 모듈의 구동을 위한 IC 모듈 구동 전압을 상기 IC 모듈에 인가하고,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이면 상기 IC 모듈 구동 전압의 인가를 중단하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에 적합한 기준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게이트 드라이버 내부의 IC 모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기준 전압 도달 시간 동안 발생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오동작 및 이에 따른 스위칭 소자의 오동작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IC 모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즉시 차단함으로써 전원 이상으로 인한 게이트 드라이버의 오동작 및 이에 따른 스위칭 소자의 오동작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3상 2레벨 인버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트스트랩 토폴로지(Bootstrap Topology)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회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기준 전압 도달 시간에 발생하는 IC 모듈의 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인버터에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의 컬렉터 전류(IC) 및 컬렉터-이미터 전압(VCE)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1 기준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드라이버 구동 전압 및 IC 모듈 구동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이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질 때 드라이버 구동 전압 및 IC 모듈 구동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전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6)는 전원부(10)에 의해 드라이버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어전원 감시부(7)는 전원 단자(9)를 통해 전원부(10)에 의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감시하고, 전원 이상이 감지되면 트리거부(8)의 스위치(SW1)와 연결된 IC 모듈(IC2)을 통해 게이트 드라이버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전원부(10)는 제어전원 감시부(7)의 제어전원(9)이 고장 또는 차단시라도 일정시간 게이트 드라이버를 동작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전원을 보유하기 위한 충전 캐패시터(CC1)와, 교류전원을 정류하고 충전 캐패시터(CC1)의 보유전원이 게이트 드라이버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손실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0), 충전 캐패시터(CC1)의 보유전원이 일정 전압(예컨대, 13.5V) 이하가 되면 게이트 드라이버에 전원을 인가하지 못하도록 하여 낮은 전압에서 게이트 드라이버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ZD1) 및 콘덴서(CO)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게이트 드라이버 구성 및 그에 다른 전원 관리 방법은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고 추가되는 소자의 수로 인하여 게이트 드라이버의 크기 및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을 기준 전압(제1 기준 전압, 제2 기준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 내부의 IC 모듈 및 인버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트스트랩 토폴로지(Bootstrap Topology)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부트스트랩 토폴로지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는 단일 전원으로 3상 2레벨 인버터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예컨대, IGBT)를 구동할 수 있는 회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 드라이버는 CPU(302)로부터 입력된 PWM 신호(HIN, LIN)을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Q1, Q2)의 상보적인 스위칭(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HO, LO)를 출력하는 IC 모듈을 포함한다.
도 3의 게이트 드라이버는 외부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드라이버 구동 전압(VDD)에 의해 구동되는데, 게이트 드라이버는 이와 같은 드라이버 구동 전압(VDD)을 이용하여 IC 모듈(304)의 전원 단자(VIC) 및 접지 단자(COM)를 통해 IC 모듈 구동 전압을 인가한다.
이와 같은 IC 모듈 구동 전압은 스위칭 소자(Q1)을 구동시키거나 스위칭 소자(Q2)의 구동을 위한 전압 충전을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전류가 실선 화살표(31)와 같은 방향으로 흐를 경우 스위칭 소자(Q1)이 구동되는 동시에 캐패시터(C)가 충전된다. 그 후 전류가 점선 화살표(32) 방향으로 흐르게 되면 캐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스위칭 소자(Q2)가 구동된다.
한편, 도 3과 같은 게이트 드라이버의 IC 모듈(304) 내부에는 UV 디텍터(Under Voltage Detector)(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UV 디텍터는 IC 모듈(304)의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IC 모듈 구동 전압이 제1 검출 레벨(예컨대, 8.6V)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스위칭 신호(HO, LO)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저전압 구동에 의한 스위칭 소자(Q1, Q2)의 소손을 방지한다.
또한 UV 디텍터는 입력 단자(HIN, LIN)로 입력되는 각각의 PWM 신호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PWM 신호(HIN)의 크기가 제2 검출 레벨(예컨대, 2.2V) 이상이거나 검출된 PWM 신호(LIN)의 크기가 제3 검출 레벨(예컨대, 0.8) 이하인 경우에만 IC 모듈(304)의 스위칭 신호(HO, LO) 출력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PWM 신호(HIN, LIN)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는 것은 PWM 신호(HIN, LIN)를 출력하는 CPU(302)의 구동을 위한 CPU 구동 전압이 CPU의 정상적인 구동을 위한 전압(예컨대, 2.8V)에 도달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PWM 신호(HIN, LIN)의 전압 크기도 서서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기준 전압 도달 시간에 발생하는 IC 모듈의 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는 CPU 구동 전압(41), 드라이버 구동 전압(42), 스위칭 신호(HO) 전압(43), 스위칭 신호(LO) 전압(44), 스위칭 소자(Q2) 구동 전압(45)이 각각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하여 게이트 드라이버에 드라이버 구동 전압(VDD)이 인가될 때, 드라이버 구동 전압(VDD)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에 적합한 기준 전압에 도달하기 까지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그런데 IC 모듈(304)에 내장된 UV 디텍터는 IC 모듈 구동 전압이 제1 검출 레벨을 넘어서게 되면 IC 모듈(304)에 의한 스위칭 신호(HO, LO)의 출력을 허용한다. 비록 IC 모듈 구동 전압의 크기가 제1 검출 레벨을 넘어섰다고 하더라도 IC 모듈(304)의 완전한 구동을 위한 제1 기준 전압(예컨대, 12V)에 도달하기까지는 일정 시간이 더 소요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IC 모듈 구동 전압의 크기가 제1 검출 레벨과 제1 기준 전압 사이인 상태에서 CPU(302)에 의해 출력되는 PWM 신호(HIN, LIN)가 제2 검출 레벨 및 제3 검출 레벨을 만족시키는 경우 IC 모듈(304)은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없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스위칭 신호(HO, LO)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의 지점(402)과 같이 스위칭 소자(Q2)의 오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CPU(302)의 동작 특성에 따라 CPU 구동 전원에 도달하게 되면 CPU(302)의 주변 포트(Peripheral Port) 출력이 리셋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도 4의 지점(404)과 같이 스위칭 신호(HO. LO) 출력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칭 신호(HO. LO) 출력의 오동작은 인버터의 암 단락(Arm-short)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암 단락 발생 시 스위칭 소자는 열화에 의하여 소손될 수 있다.
특히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1 기준 전압에 도달하기까지의 기준 전압 도달 시간 동안에는 암 단락 보호 회로를 포함한 인버터 보호 회로가 정상 동작하지 않으므로, 암 단락 및 인버터 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도 5는 인버터에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의 컬렉터 전류(IC) 및 컬렉터-이미터 전압(VCE)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3의 스위칭 소자(Q1, Q2)가 IGBT 소자로 구성될 경우, 동일한 컬렉터 전류가 흐를 시 베이스 전압이 낮아질수록 컬렉터-이미터 전압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IGBT 구동 시 과도한 전도 손실(Conduction Loss)을 발생시킨다. 또한 베이스 전압이 낮아질수록 배이스 충전 전류가 줄어들게 되어 스위칭 손실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IGBT의 손실은 결과적으로 열화에 의한 IGBT 손실을 야기 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는 IC 모듈(604) 및 전원 관리부(606)를 포함한다.
IC 모듈(604)은 외부, 예컨대 CPU(602)로부터 입력되는 PWM 신호(HIN, LIN)를 이용하여 스위칭 소자(미도시)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스위칭 신호(HO, LO)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IC 모듈(604)은 전원 단자(VIC) 및 접지 단자(COM)를 통해 인가되는 IC 모듈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된다.
전원 관리부(606)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IC 모듈 구동 전압의 인가 여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 관리부(606)는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이상일 때 드라이버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IC 모듈(604)의 구동을 위한 IC 모듈 구동 전압을 IC 모듈(604)에 인가하고,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이면 IC 모듈 구동 전압의 인가를 중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 관리부(606)는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VDD) 및 접지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 관리부(606)는 IC 모듈(604)의 구동을 위한 IC 모듈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Vout)를 포함한다.
한편, 입력 단자(VDD)와 접지 단자(▽) 사이에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R1), 제2 저항(R2) 및 제너다이오드(ZD)가 배치된다. 또한 전원 관리부(606)에는 스위칭 소자(Q)가 포함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Q)의 이미터 단자는 입력 단자(VDD)와 연결되고 컬렉터 단자는 출력 단자(Vout)와 연결되며 베이스 단자는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 간 연결점에 연결된다.
또한 리플 전류의 발생으로 인한 IC 모듈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력 단자(Vout)와 제너다이오드(ZD) 사이에는 캐패시터(C)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 관리부(606)는 입력 단자(VDD)를 통해 입력되는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이상일 때 스위칭 소자(Q)를 턴 온(turn on)시킴으로써 출력 단자(Vout)를 통해 IC 모듈 구동 전압을 IC 모듈(604)의 전원 단자(VIC)로 인가한다. 또한 전원 관리부(606)는 입력 단자(VDD)를 통해 입력되는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일 때 스위칭 소자(Q)를 턴 오프(turn off)시킴으로써 출력 단자(Vout)를 통한 IC 모듈 구동 전압의 IC 모듈(604)로의 인가를 중단한다. 이 때 스위칭 소자(Q)가 턴 온되는 제1 기준 전압 및 턴 오프되는 제2 기준 전압은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저항값과 제너다이오드(ZD)의 문턱 전압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 전압 및 제2 기준 전압은 서로 같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1 기준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드라이버 구동 전압 및 IC 모듈 구동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7에는 게이트 드라이버의 드라이버 구동 전압(72)의 인가가 시작되어 드라이버 구동 전압(72)의 크기가 서서히 상승하며, 별도의 전원을 통한 CPU 구동 전압(71) 또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IC 모듈 구동 전압(73)은 드라이버 구동 전압(72)이 제1 기준 전압(702)에 도달하기 전까지 인가되지 않다가, 드라이버 구동 전압(72)이 제1 기준 전압(702)에 도달하는 지점부터 인가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드라이버 구동 전압(72)이 제1 기준 전압(702)에 도달하기 전까지 IC 모듈 구동 전압(73)의 인가를 차단함으로써 도 4를 통해 설명한 IC 모듈(604)의 불완전한 동작 및 이로 인한 스위칭 소자의 오동작 및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이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질 때 드라이버 구동 전압 및 IC 모듈 구동 전압의 파형을 나타낸다.
게이트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는 도중에 드라이버 구동 전압(82)이 제2 기준 전압(802)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도 8과 같이 IC 모듈 구동 전압(83)의 인가는 중단된다. 이 때 CPU 구동 전압(81)은 IC 모듈 구동 전압(83)과 관계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의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낮아질수록 스위칭 소자의 전도 손실 및 스위칭 손실이 증가하고, 열화에 의하여 스위칭 소자가 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 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은 제2 기준 전압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2 기준 전압(예컨대, 13.09V) 이하로 떨어지면 도 8과 같이 IC 모듈 구동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스위칭 소자의 오동작 및 소손을 방지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5)

  1. 인버터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드라이버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PWM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IC 모듈;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이상일 때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IC 모듈의 구동을 위한 IC 모듈 구동 전압을 상기 IC 모듈에 인가하고,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이면 상기 IC 모듈 구동 전압의 인가를 중단하는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단자 및 접지 단자;
    상기 IC 모듈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
    상기 입력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 저항, 제2 저항 및 제너다이오드;
    이미터 단자가 상기 입력 단자와 연결되고 컬렉터 단자는 상기 출력 단자와 연결되며 베이스 단자는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 간 연결점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제너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턴 온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드라이버 구동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 턴 오프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KR1020150052597A 2015-04-14 2015-04-14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KR20160122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97A KR20160122921A (ko) 2015-04-14 2015-04-14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ES16162602.3T ES2680843T3 (es) 2015-04-14 2016-03-29 Excitador de compuerta para la excitación de un inversor
EP16162602.3A EP3082239B1 (en) 2015-04-14 2016-03-29 Gate driver for driving inverter
US15/098,252 US9806709B2 (en) 2015-04-14 2016-04-13 Gate driver for driving inverter
CN201610232640.4A CN106059267B (zh) 2015-04-14 2016-04-14 用于驱动逆变器的栅极驱动器
JP2016080767A JP6194047B2 (ja) 2015-04-14 2016-04-14 ゲートドライ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97A KR20160122921A (ko) 2015-04-14 2015-04-14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21A true KR20160122921A (ko) 2016-10-25

Family

ID=5563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597A KR20160122921A (ko) 2015-04-14 2015-04-14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06709B2 (ko)
EP (1) EP3082239B1 (ko)
JP (1) JP6194047B2 (ko)
KR (1) KR20160122921A (ko)
CN (1) CN106059267B (ko)
ES (1) ES268084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117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전압 보호 회로가 구비된 유도 가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921A (ko) * 2015-04-14 2016-10-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GB201610369D0 (en) * 2016-06-15 2016-07-27 Rolls Royce Plc Control of an electrical converter
GB2601532A (en) * 2020-12-03 2022-06-08 Dyson Technology Ltd Gate driv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418B2 (ja) * 1988-04-22 1994-10-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負荷駆動装置の過電圧保護回路
KR100277499B1 (ko) 1998-09-24 2001-01-15 김덕중 전원 전압 감지 회로
KR20000014874U (ko) 1998-12-31 2000-07-25 추호석 브레이크 쵸퍼용 게이트 드라이버
US6297615B1 (en) * 1999-06-09 2001-10-02 Snap-On Technologies, Inc. Battery pack and over-voltage alarm therefor
US7526659B2 (en) * 2005-02-01 2009-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use of power in a computer system
EP1811639A1 (en) * 2006-01-23 2007-07-25 Thomson Licensing S.A. Overpower-pro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1309007A (zh) * 2007-05-18 2008-11-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池充电保护电路
KR100902608B1 (ko) 2007-12-28 2009-06-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전력 모듈
KR20110068014A (ko) 2009-12-15 2011-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버터용 전원 공급 장치
KR20110089907A (ko) * 2010-02-02 2011-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Uvlo 회로
JP5464196B2 (ja) * 2011-11-18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パワー半導体素子の駆動回路
CN103199832B (zh) * 2012-01-06 2015-11-25 中国北车股份有限公司 Igbt驱动保护电路及系统
US8995158B2 (en) * 2012-07-11 2015-03-31 Infineon Technologies Dresden Gmbh Circuit arrangement with a rectifier circuit
KR20140081569A (ko) 2012-12-21 2014-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JP6107204B2 (ja) * 2013-02-15 2017-04-05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源用集積回路装置
JP5972817B2 (ja) 2013-03-29 2016-08-17 ニチコン株式会社 ゲートドライバ
US20150003118A1 (en) * 2013-06-27 2015-01-01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Ltd. Start-up circuit, switch control circuit having the start-up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witch control circuit
CN203562941U (zh) * 2013-07-16 2014-04-23 西子电梯集团有限公司 一种具备驱动芯片电源过压保护功能的开关电源电路
US9837893B2 (en) * 2013-07-31 2017-12-05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Ltd. Charge pump and switch control circuit
KR102091584B1 (ko) * 2013-08-07 2020-03-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장치
KR102199331B1 (ko) * 2013-08-22 2021-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장치
JP6233568B2 (ja) 2013-09-27 2017-11-2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電源回路及び照明装置
KR20160122921A (ko) * 2015-04-14 2016-10-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US11152857B2 (en) * 2015-05-06 2021-10-19 Flextronics Ap, Llc Gate driver circuit for half bridge MOSFET switches providing protection of the switch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117A (ko) * 2018-11-08 2020-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전압 보호 회로가 구비된 유도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2239B1 (en) 2018-06-13
CN106059267B (zh) 2018-12-18
EP3082239A1 (en) 2016-10-19
JP2016208825A (ja) 2016-12-08
JP6194047B2 (ja) 2017-09-06
CN106059267A (zh) 2016-10-26
US20160308530A1 (en) 2016-10-20
US9806709B2 (en) 2017-10-31
ES2680843T3 (es)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676B2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and overcurrent protection system
US8547074B2 (en) Sequential switching shunt regulator cell with non-redundant rectifier
US11063422B2 (en) Power semiconductor module and power converter
EP3996239B1 (en) Troubleshoo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upply device
CN109039221B (zh) 一种主动短路电路以及电机控制器
US10840800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EP3038223B1 (en) Load driving circuit
US10033310B2 (en) Drive control device for motor
KR20160122921A (ko) 인버터의 구동을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EP3264549B1 (en) Load drive circuit and load short-circuit detection circuit
KR20170078437A (ko) 양방향 dc-dc 컨버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02281737A (ja) Igbt直列接続式ゲート駆動回路
US20180110107A1 (en) Isolated driver
JP6459519B2 (ja) 電力変換装置の保護装置
JP2012034528A (ja) 電力変換装置
JP6394036B2 (ja) 電力用半導体素子の駆動装置
US9913346B1 (en) Surg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LED driver
CN105262061B (zh) 一种无刷直流电机的保护电路和控制装置
CN111668807A (zh) 电池测试设备输出端口过压保护电路
KR100807547B1 (ko) 인버터용 반도체 스위치의 구동회로
US9819257B2 (en) DC-to-DC converter input node short protection
US20170358982A1 (en) Multi-phase power conversion device control circuit
KR101025535B1 (ko) 단락보호회로를 구비한 스위치 제어 회로
JP6622405B2 (ja) インバータ駆動装置
KR101364993B1 (ko) 직류 모터의 안전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