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571A -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571A
KR20160122571A KR1020150052674A KR20150052674A KR20160122571A KR 20160122571 A KR20160122571 A KR 20160122571A KR 1020150052674 A KR1020150052674 A KR 1020150052674A KR 20150052674 A KR20150052674 A KR 20150052674A KR 20160122571 A KR20160122571 A KR 2016012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membran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telescoping prevention
telesco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100B1 (ko
Inventor
한원상
김재성
김영태
임예훈
홍유식
최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5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1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 형태의 구조를 배제하고, 내구성 및 유로 확보가 용이한 형태의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역침투 장치, 나노 여과 장치, 초여과 장치 및 정밀 여과 장치 등의 멤브레인 분리 장치를 이용한 유체 분리 및 정화 기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Anti-telescoping device for membrane separation device}
본 발명은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 형태의 구조를 배제하고, 내구성 및 유로 확보가 용이한 형태의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역침투 장치, 나노 여과 장치, 초여과 장치 및 정밀 여과 장치 등의 멤브레인 분리 장치를 이용한 유체 분리 및 정화 기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인구 증가와 환경 오염 등으로 수처리 기술과 이를 이용한 다양한 사업은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멤브레인 분리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멤브레인 분리 장치는 물을 정화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수를 제공하기 위해 역삼투를 사용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에서 바닷물이 정화될 수 있다. 또한 폐수 처리에 있어서, 멤브레인 분리 장치는 고분자, 콜로이드 및 파티클을 제거하여 폐수를 소독(혹은 살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역삼투를 사용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농도차가 있는 두 용액을 반투막으로 분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농도가 낮은 용액이 농도가 높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일정한 수위차를 발생시키는데 이를 "삼투" 현상이라고 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위 차이만큼의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삼투" 현상과 반대로 압력을 이용해 농도가 높은 용액을 농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역삼투"라고 하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물 분자만 반투막을 통과시켜 물을 정화하는 장치를 역삼투압 설비라고 하며, 여기에 들어가는 반투막이 "역삼투 필터"이며, 이러한 필터를 모듈화한 것이 "역삼투 필터 모듈"이다.
이러한 역삼투 필터 모듈에서는, 물이 유입되는 곳과 유출되는 곳과의 압력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신축/연장(혹은 텔레스코핑(Telescoping)) 현상을 방지하는 단부캡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ATD; Anti-Telescoping Device)가 존재하게 된다.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는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역삼투 필터 모듈 사이에 유입되는 유체의 입구 및 출구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에 역삼투 필터 모듈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기능하며, 그 구조 형태에 따라서 자체 내구성과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 확보 정도가 정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1(a)의 경우 체결이 가능한 2중 구조로서 내구성이 양호하고 유로 확보가 양호하나, 체결 구조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도 1(b)의 경우 체결 구조는 없지만 판으로 막혀있는 부분이 많아서 내구성은 양호하나 유로 확보가 양호하지 않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도 1(c)의 경우 구조는 간단하나 날개 숫자가 적고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으로 구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구성 및 유로 확보 2가지 측면에서 성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는 모두 날개 형태의 구조를 기본적으로 채용하고 있어 상술된 날개 형태의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동일하게 가지게 된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112321호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날개 형태의 구조를 배제하고, 적어도 두 개의 동심의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측에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함으로써, 내구성 및 유로 확보가 용이한 형태의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유체의 정화 및 분리를 수행할 수 있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동심의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일정한 형태의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육각형 형태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사이의 분할벽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 사이의 분할벽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는, 내주환부 및 외주환부로 구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주환부와 상기 외주환부 사이에는 일정한 형태의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 분리 장치는 상기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사용되는 날개 형태의 구조를 배제하고, 적어도 두 개의 동심의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측에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함으로써, 내구성 및 유로 확보 성능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관통홀을 배치시키고 날개 형태의 구조를 배제하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에 대하여 보다 가벼우며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고, 유로 확보 측면에서 우수하며, 그리고 체결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구조면에서도 복잡하지 않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에 사용되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의 상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의 상측면도이며,
도 6은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의 내구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의 차압(a)과 유속 편차(b)를 테스트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리프 요소(leaf element)" 용어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에 사용되는 구성 요소로서, 역삼투막 사이에 메시 부재와 같은 스페이서를 개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 20') 구조
도 2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에 사용되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의 상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의 상측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100)은 실제적으로 공급되는 물을 역삼투압 원리를 이용하여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의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100)은 투과성 캐리어(10), 한 쌍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anti-telescoping device)(20) 및 워터 튜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공지된 요소임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투과성 캐리어(10)는 하나 이상의 리프 요소(leaf element)가 부착되어 워터 튜브(30)를 축으로 하여 와인딩되며, 투과성 캐리어(10)의 양단은 한 쌍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때, 투과성 캐리어(10)는 추후 역삼투압에 의해 정화된 물을 워터 튜브(30)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워터 튜브(30)는 축 형태로 구성되어 정화된 물이 모아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는 물이 유입되는 곳과 유출되는 곳과의 압력 차이에 의해 와인딩된 캐리어(10)가 신축(혹은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는 적어도 두 개의 동심의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의 통로(21) 및 내측의 통로(22)는 일정한 형태의 복수의 관통홀(2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한 형태의 복수의 관통홀(23)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측의 통로(21) 및 내측의 통로(22)을 연결하는 동시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복수의 관통홀(23)은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관통홀(23)은 육각형 형태를 구비하며, 그리고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관통홀(23)은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이때, 복수의 관통홀(23) 사이의 분할벽(24)의 두께는 유체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내구성이 확보되는 한 가능한 얇은 것이 바람직함을 유의한다.
이러한 복수의 관통홀(23) 사이의 분할벽(24)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도 5(a) 참고). 이 경우,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좁은 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빨리지는 원리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유체가 보다 빠르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관통홀(23) 사이의 분할벽(24)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도 5(b) 참고). 이 경우, 공급되는 물이 흐를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공급되는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10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에서의 복수의 관통홀(23)의 모양, 형태 및 개수 그리고 분할벽(24)의 두께는 공정 조건 및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한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는 외주환부(21') 및 내주환부(22')로 구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외주환부(21') 및 내주환부(22') 사이에는 일정한 형태의 복수의 관통홀(23')이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는 날개 형태의 구조를 배제하고, 외주환부(21') 및 내주환부(22') 사이에 복수의 관통홀(23')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주환부(21') 및 내주환부(22')을 연결하는 동시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관통홀(23')은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관통홀(23')은 삼각형 형태 혹은 육각형 형태를 구비하며, 그리고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관통홀(23')은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이때, 복수의 관통홀(23') 사이의 분할벽(24')의 두께는 유체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내구성이 확보되는 한 가능한 얇은 것이 바람직함을 유의한다.
이러한 복수의 관통홀(23') 사이의 분할벽(24')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좁은 통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빨리지는 원리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유체가 보다 빠르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관통홀(23') 사이의 분할벽(24')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급되는 물이 흐를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공급되는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10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에서의 복수의 관통홀(23')의 모양, 형태 및 개수 그리고 분할벽(24')의 두께는 공정 조건 및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 20')에 의하면, 종래에 사용되는 날개 형태의 구조를 배제하고, 적어도 두 개의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측에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23, 23')을 포함함으로써, 내구성 및 유로 확보 성능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내구성 비교
도 6은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의 내구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도 1(a) 구조, DOW社 제품)를 이용하고, 도 6의 (b)는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도 1(b) 구조, Nitto Denko社 제품)를 이용하고, 도 6의 (c)는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도 1(c) 구조, NanoH20社 제품)를 이용하고, 그리고 도 6의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는 가동 중 통과하는 물의 압력(내압)을 받게 되고, 이 내압에 의해서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가 변형이 발생하게 됨을 고려하여, 내압의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내구성 분석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위해, 상술된 4개의 제품에 대하여,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동일한 내압이 가해지는 경우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를 확인함으로써 내구성을 비교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장 많은 날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a) 구조가 약 0.43Mpa을 나타내며, 그 다음 (b) 구조가 약 0.54Mpa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 구조가 약 0.63Mpa을 나타내며, 그리고 (a) 구조가 1Mpa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내압이 가해지는 경우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강건하고 내구성이 양호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는 날개 형태의 구조를 배제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내구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차압(a)과 유속 편차(b) 비교
도 7은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의 차압(a)과 유속 편차(b)를 테스트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도 1(a) 구조, DOW社 제품)를 이용하고, 도 7의 (b)는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도 1(b) 구조, Nitto Denko社 제품)를 이용하고, 도 7의 (c)는 종래의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도 1(c) 구조, NanoH20社 제품)를 이용하고, 그리고 도 7의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20)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의 유로 확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을 2개 연결하여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를 통과한 전후의 유속 및 압력을 확인하는 것을 유동 해석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위해, 상술된 4개의 제품에 대하여,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동일한 유량을 주입한 경우에 발생하는 유속 편차 및 차압을 확인함으로써 유로 확보 정도를 비교하였다.
도 7(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 구조가 약 0.09의 유속 편차를 나타내며, (a) 구조가 약 0.19의 유속 편차를 나타내며, 그 다음 (b) 구조가 약 0.48의 유속 편차를 나타내며, 그리고 (d) 구조가 약 1의 유속 편차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 구조가 약 0.18Pa의 차압을 나타내며, (a) 구조가 약 0.17Pa의 차압을 나타내며, 그 다음 (b) 구조가 약 0.9Pa의 차압을 나타내며, 그리고 (d) 구조가 약 1Pa의 차압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평균 대비 유속 편차값이 낮고, 차압이 낮을수록 유동 측면에서 유리한 구조임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는 날개 구조를 배제하고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유로 확보가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투과성 캐리어
20, 20' :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21 : 외측의 통로 22 : 내측의 통로
21' : 외주환부 22' : 내주환부
23, 23' : 복수의 관통홀
24, 24' : 분할벽
30 : 워터 튜브
100 : 역삼투압 멤브레인 모듈

Claims (15)

  1.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로서,
    적어도 두 개의 동심의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일정한 형태의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육각형 형태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사이의 분할벽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사이의 분할벽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8.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로서,
    내주환부 및 외주환부로 구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주환부와 상기 외주환부 사이에는 일정한 형태의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육각형 형태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사이의 분할벽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홀 사이의 분할벽의 두께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분리 장치.
KR1020150052674A 2015-04-14 2015-04-14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KR102045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74A KR102045100B1 (ko) 2015-04-14 2015-04-14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74A KR102045100B1 (ko) 2015-04-14 2015-04-14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71A true KR20160122571A (ko) 2016-10-24
KR102045100B1 KR102045100B1 (ko) 2019-11-14

Family

ID=5725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674A KR102045100B1 (ko) 2015-04-14 2015-04-14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10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7235A (en) * 1995-08-11 1998-10-06 Tortosa; Pedro J. Anti-telescoping device for spiral wound membrane modules
US6499606B1 (en) * 1999-08-04 2002-12-31 Technologies Avancees & Membranes Industrielles (Societe Anonyme) Cross-flow filter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2003340224A (ja) * 2002-05-30 2003-12-02 Ngk Insulators Ltd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44284A (ja) * 2003-11-13 2005-06-09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
WO2009023143A1 (en) * 2007-08-10 2009-02-19 Corning Incorporated Fluid treatment device having multiple layer honeycomb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90095544A (ko) * 2006-12-27 2009-09-09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 벌집형 필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4653387B2 (ja) * 2003-04-21 2011-03-16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および排出流体浄化システム
KR20110112321A (ko) 2009-02-06 2011-10-1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유체 분리 소자, 유체 분리 소자용 텔레스코핑 방지판, 및 유체 분리 장치
JP2012066184A (ja) * 2010-09-22 2012-04-05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
WO2014151695A2 (en) * 2013-03-15 2014-09-25 Hydranautics Anti-telescoping device and handle for spiral wound membrane element
US8940169B2 (en) * 2011-03-10 2015-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Spiral wound membrane element and treatment of SAGD produced water or other high temperature alkaline fluid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7235A (en) * 1995-08-11 1998-10-06 Tortosa; Pedro J. Anti-telescoping device for spiral wound membrane modules
US6499606B1 (en) * 1999-08-04 2002-12-31 Technologies Avancees & Membranes Industrielles (Societe Anonyme) Cross-flow filter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JP2003340224A (ja) * 2002-05-30 2003-12-02 Ngk Insulators Ltd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3387B2 (ja) * 2003-04-21 2011-03-16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および排出流体浄化システム
JP2005144284A (ja) * 2003-11-13 2005-06-09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
KR20090095544A (ko) * 2006-12-27 2009-09-09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 벌집형 필터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9023143A1 (en) * 2007-08-10 2009-02-19 Corning Incorporated Fluid treatment device having multiple layer honeycomb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10112321A (ko) 2009-02-06 2011-10-1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유체 분리 소자, 유체 분리 소자용 텔레스코핑 방지판, 및 유체 분리 장치
JP2012066184A (ja) * 2010-09-22 2012-04-05 Nitto Denko Corp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
US8940169B2 (en) * 2011-03-10 2015-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Spiral wound membrane element and treatment of SAGD produced water or other high temperature alkaline fluids
WO2014151695A2 (en) * 2013-03-15 2014-09-25 Hydranautics Anti-telescoping device and handle for spiral wound membran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100B1 (ko)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7559B1 (en) Reverse osmosis filter module
JP4445862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膜濾過装置と、その運転方法
CN101785973B (zh) 管式复合膜超、微滤膜组件
US20140174998A1 (en) Filtration assembly including multiple modules sharing common hollow fiber support
US20160346739A1 (en) Filtration apparatus
KR101508763B1 (ko)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RU2304018C2 (ru) Мембранный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рулонного типа
KR20160080010A (ko)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EP3107643B1 (en) Filtration element
US20140175003A1 (en) Filtration module including hollow fiber supports
KR101414944B1 (ko)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 다발 배치구조
KR20160122571A (ko)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JP7391887B2 (ja) 濾過システム及び水を濾過する方法
JP2013212456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20160134156A (ko) 멤브레인 분리 장치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JP2012030194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中空糸膜モジュール濾過装置および海水淡水化前処理濾過装置
KR101557544B1 (ko) 중공사막 모듈
JP4488402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20200137726A (ko) 수처리 모듈용 텔레스코핑 방지 장치
RU48807U1 (ru) Мембранный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рулонного типа
CN211586050U (zh) 净水过滤系统
KR102104083B1 (ko) 자연수압 정수장치
KR101974612B1 (ko) In-out 방식에서 세정 효율이 높은 중공사막 모듈
CN204550265U (zh) 一种新型的反渗透式多滤膜净水器装置
JP2001293338A (ja) スパイラル型膜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5

Effective date: 201910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