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548A - 버킷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버킷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548A
KR20160122548A KR1020150052601A KR20150052601A KR20160122548A KR 20160122548 A KR20160122548 A KR 20160122548A KR 1020150052601 A KR1020150052601 A KR 1020150052601A KR 20150052601 A KR20150052601 A KR 20150052601A KR 20160122548 A KR20160122548 A KR 20160122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cket
coupled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528B1 (ko
Inventor
김병찬
Original Assignee
명성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5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1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characterised by having a lifting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닐 또는 종이 포대를 승강되는 버킷부에 고정시켜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다음, 버킷부를 회동시켜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킷 리프트 장치{LIFT DEVICE FOR A BUCKET}
본 발명은 버킷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 또는 종이 포대(자루)를 승강되는 버킷부에 고정시켜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다음,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킷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번기나 수확철에는 비료 또는 도정되지 않는 쌀 또는 쌀겨가 담겨진 포대를 지게차를 이용하여 용도에 따라 트럭 및 트랙터나 쌀껴 살포기에 저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고가의 지게차를 빌려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게차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사람이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을 손으로 직접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비용이 저렴한 리프트 장치(공개번호: 제10-2009-0109038호)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리프트 장치 사람이 포대와 같이 탑승하여 사람이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을 손으로 직접 배출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역시 발생된다.
따라서 비료 또는 도정되지 않는 쌀 또는 쌀겨가 담겨진 포대를 상승시키면서 동시에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을 한번에 과정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리프트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비닐 또는 종이 포대를 승강되는 버킷부에 고정시켜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다음,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킷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이동이 용이하고, 포대를 상승시키면서 동시에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을 한번에 과정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버킷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버킷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바퀴(111)가 부착된 이동부(10);와, 상기 이동부(1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구동수단(20);과, 상기 이동부(10)의 상부면에 직립고정되고, 구동수단(2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봉(30);과, 상기 스크류봉(30)에 스크류 결합되어 승강하는 승강바(40);와, 상기 이동부(10)의 상부면 양측에 직립고정되는 가이드프레임(50); 및 상기 승강바(40)의 승강에 따라 연결수단(80)을 매개로 연동되어 가이드프레임(50)을 따라 승강되는 버킷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50)은 버킷부(60)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만곡부(51)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방향(일측)으로 커브진 형태를 취하고, 상기 버킷부(60)는 가이드프레임(50)에 베어링(B) 결합된 틀프레임(70)에 결합되고,상기 틀프레임(70)은 연결수단(80)의 견인에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의 일단에 결합된 스토퍼(52)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면 연결수단(80)의 계속되는 견인에 의해 타측이 일측 보다 더 상승되어 버킷부(60)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이동부(10)는 전방 및 후방 저면에 바퀴(111)가 부착된 한쌍의 베이스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을 상호 간 연결하고 구동수단(20) 및 가이드프레임(50)을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20)의 회전력은 기어박스(미도시)를 통해 스크류봉(30)으로 전달하고, 상기 기어박스(미도시)는 외주면을 감싸는 하우징(22)을 통해 이동부(1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22)의 상부면에는 스크류봉(30)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바(40)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이 상호 간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승강바(40)는 길이방향 양측에 다수 결합되어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의 사이로 가이드되는 다수의 베어링(B)과, 일단 양측에 결합되는 스프로켓(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4발명에서, 상기 연결수단(80)은 스프로켓(41)에 결합되는 체인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수단(80)의 일단은 하우징(22)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틀프레임(70)의 타측에 연결되어 스프로켓(41)의 승강에 따라 상기 버킷부(60)를 견인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버킷부(60)는 틀프레임(70)에 고정되는 수직판(61)과, 상기 수직판(6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판(62)과, 상기 바닥판(62)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판(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판(61)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부(6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각 절개부(611)에는 비닐 및 종이로 이루어진 포대(65)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수단(64)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서, 상기 버킷부(60)의 양측 측면판(63)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회전봉(641)과, 상기 회전봉(641)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회전봉(641)이 회전되면 수직판(61)에 형성된 절개부(611) 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걸림봉(642)과, 상기 버킷부(60)의 측면판(63) 외측으로 노출되게 회전봉(641)과 일체로 결합되고 이동부(10)의 베이스프레임(11)에 밀착되면 회전봉(641)을 회전시키는 레버봉(643)과, 상기 버킷부(60)의 측면판(63) 외측에 노출되게 회전봉(641)과 일체로 결합되는 회동플레이트(644)와, 측면판(63)과 회동플레이트(644)와 연결되는 탄성수단(6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틀프레임(7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50)에 연결되는 베어링(B)이 결합된 브라켓(71)과, 일단은 틀프레임(70)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50)에 베어링(B) 연결되는 힌지프레임(7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8발명에서,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일단의 이동이 구속된 틀프레임(70)은 각도가 가변된다 하더라도 힌지프레임(72)과의 힌지 결합된 부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틀프레임(70)과 가이드프레임(50)의 연결상태가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킷 리프트 장치에 따르면비닐 또는 종이 포대를 승강되는 버킷부에 고정시켜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다음,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만을 배출할 수 있어 빠른 시간에 내용물을 배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이 용이하고, 포대에 담겨 내용물은 배출시키면서 포대는 자동수거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버킷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스크류봉에 단계별로 설치되는 승강바 및 가이드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버킷부의 걸림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버킷 리프트 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리프트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버킷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스크류봉에 단계별로 설치되는 승강바 및 가이드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닐 또는 종이 포대를 승강되는 버킷부(60)에 고정시켜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다음, 포대에 담겨진 내용물만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버킷 리프트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버킷 리프트 장치(100)는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이동부(10)와, 구동수단(20)과, 스크류봉(30)과, 승강바(40)와, 가이드프레임(50) 및 버킷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10)는 바퀴(111)가 부착되어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및 후방저면에 바퀴(111)가 부착된 한쌍의 베이스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을 상호간 연결하고 구동수단 및 가이드프레임(50)을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2)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20)은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10)의 베이스플레이트(12) 상부면에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에는 구동수단(2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밧데리(미도시)가 탑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밧데리 이외에 전원플러그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봉(30)은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이동부(10)의 베이스플레이트(12) 상부면에 직립고정되고, 구동수단(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스크류봉(30)은 기어박스(미도시)를 통해 구동수단(2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미도시)는 외주면을 감싸는 하우징(22)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2)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바(40)는 도 4의 (b)와 같이, 스크류봉(30)에 스크류 결합되어 스크류봉(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22)의 상부면에는 도 4의 (c)와 같이, 스크류봉(30)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바(40)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이 상호 간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은 스크류봉(30) 및 승강바(40)의 수직 각도가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바(40)는 길이방향 양측에는 다수의 베어링(B)이 결합되어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의 사이로 롤링될 수 있도록 하여 마찰력 감소 및 승강바(40)의 승강이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바(40)의 일단 양측에는 자유회전하는 2개의 스프로켓(41)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프로켓(41)은 연결수단(80)을 매개로 상기 버킷부(60)를 연동시켜 상기 버킷부(60)가 가이드프레임(50)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은 이동부(10)의 베이스플레이트(12) 상부면 양측에 직립고정되어 버킷부(60)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은 버킷부(60)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만곡부(51)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방향(일측)으로 커브진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50)의 구성은 버킷부(60)의 타측을 일측 보다 상대적으로 더 상승되도록 하여 버킷부(60)의 내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버킷부(6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50)에 베어링(B)이 결합된 틀프레임(70)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버킷부(60)는 틀프레임(70)에 고정되는 수직판(61)과, 상기 수직판(6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판(62)과, 상기 바닥판(62)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판(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61)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부(6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각 절개부(611)에는 비닐 및 종이로 이루어진 포대(65)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수단(64)이 노출되는 구성이다.
상기에서 걸림수단(64)은 상기 버킷부(60)의 양측 측면판(63)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회전봉(641)과, 상기 회전봉(641)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회전봉(641)이 회전되면 수직판(61)에 형성된 절개부(611) 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걸림봉(642)과, 상기 버킷부(60)의 측면판(63) 외측으로 노출되게 회전봉(641)과 일체로 결합되고 이동부(10)의 베이스프레임(11)에 밀착되면 회전봉(641)을 회전시키는 레버봉(643)과, 상기 버킷부(60)의 측면판(63) 외측에 노출되게 회전봉(641)과 일체로 결합되는 회동플레이트(644)와, 측면판(63)과 회동플레이트(644)와 연결되는 탄성수단(645)으로 구성된다.(도 5에 도시)
이러한 상기 걸림수단(64)은 상기 버킷부(60)의 바닥판(62)에 포대(65)를 올려놓고, 버킷부(60)를 상승시키면 회동플레이트(644)에 연결된 탄성수단(645)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회동플레이트(644)가 회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회동플레이트(644)가 회전하면 회전봉(641)이 동반되전하고, 회전봉(64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봉(641)에 결합된 각각의 걸림봉(642)이 절개부(611)로 돌출되어 바닥판(62)에 올려진 포대(65)의 표면을 찢겨 들어가 포대(65)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포대(65)에 담겨진 내용물이 배출된다 하더라도 포대(65)는 버킷부(60)에 남게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킷부(60)는 틀프레임(70)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틀프레임(70)의 일단에는 가이드프레임(50)에 연결되는 베어링(B)을 갖는 브라켓(71)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틀프레임(70)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50)에 베어링(B) 연결되는 힌지프레임(72)이 힌지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연결수단(80)은 스프로켓(41)에 결합되는 체인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수단(80)의 일단은 하우징(22)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틀프레임(70)의 타측에 연결되어 스프로켓(41)의 승강에 따라 상기 버킷부(60)를 견인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연결수단(80)은 와이어 또는 벨트 연결구조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의 일단에는 틀프레임(70)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5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이동이 구속된 틀프레임(70)의 타측은 연결수단(80)의 견인에 의해 힌지프레임(72)과의 힌지 결합된 부위가 상승하면서 일측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상승된다 하더라도 틀프레임(70)이 가이드프레임(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버킷부(60)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도 4의 (d)와 같이,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의 외측에는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브라켓(42)이 외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브라켓(42)은 상기 승강바(40)에 결합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리프트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버킷부의 걸림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버킷 리프트 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버킷 리프트 장치(100)는 가이드프레임(50)의 측면에 콘트롤박스(9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박스(90)는 구동수단(20)을 제어하는 상승버튼(91)과 하강버튼(92) 및 정지버튼(9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와 같이, 같이, 버킷부(60)가 하강하면 레버봉(643)이 이동부(10)의 베이스플레이트(12)에 접촉되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레버봉(643)과 일체로 연결된 회전봉(641)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봉(641)에 결합된 걸림봉(642)은 절개부(611)로 돌출된 상태에서 절개부(611)의 내측으로 유입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포대(65)를 버킷부(60)의 바닥판(62)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상승버튼(91)을 눌러 구동수단(20)을 정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수단(20)의 회전력은 스크류봉(30)에 전달된다.
도 6과 같이, 스크류봉(30)이 회전하면 상기 승강바(40)는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을 가이드 삼아 상승하고, 상기 승강바(40)에 결합된 스프로켓(41) 역시 동반 상승하여 연결수단(80)을 잡아당기게 되고, 상기 연결수단(80)은 틀프레임(70)을 견인하게 된다.
그러면 틀프레임(70)은 연결수단(80)의 견인에 따라 가이드프레임(50)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기 틀프레임(70)에 결합된 버킷부(60) 역시 동반 상승하게 된다.
이 때 도 5의 (b)와 같이, 버킷부(60)가 상승하면 회동플레이트(644)에 연결된 탄성수단(645)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회동플레이트(644)가 회전된다.
그리고 회동플레이트(644)가 회전하면 회전봉(641)이 동반회전하고, 회전봉(64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봉(641)에 결합된 각각의 걸림봉(642)이 절개부(611)로 돌출되어 바닥판(62)에 올려진 포대(65)의 표면을 찢겨 들어가 포대(65)를 고정시킨다.
한편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승되는 틀프레임(70)이 가이드프레임(50)의 일단에 결합된 스토퍼(52)에 도달하면,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일단의 이동이 구속되어 버킷부(60)의 상승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틀프레임(70)과 힌지 결합된 힌지프레임(72)의 이동은 구속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연결수단(80)의 계속되는 견인에 의해 틀프레임(70)의 타측이 일측 보다 더 상승되어 버킷부(60)의 상부 각도가 하향으로 가변된다.
이 때 틀프레임(70) 및 버킷부(60)는 각도가 가변된다 하더라도 힌지프레임(72)과의 힌지 결합된 부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틀프레임(70)과 가이드프레임(50)의 연결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버킷부(60)의 상부 각도가 하향으로 가변되면 포대(65)에 담겨진 내용물이 배출되고, 포대(65)는 걸림봉에 의해 버킷부(60)에 남겨지게 된다.
이 후 하강버튼(92)을 누르면 스프로켓(41)은 하강하고, 틀프레임(70)은 타측은 힌지프레임(72)의 하강에 따라 상부 각도가 상향으로 복귀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부(10)의 베이스플레이트(12) 저면에는 핸드 자키(jack)를 결합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이동부 11: 베이스프레임 111: 바퀴
12: 베이스플레이트
20: 구동수단 21: 하우징
22: 수직가이드프레임
30: 스크류봉
40: 승강바 41: 스프로켓 42: 가이드브라켓
50: 가이드프레임 51: 만곡부 52: 스토퍼
60: 버킷부 61: 수직판 611: 절개부
62: 바닥판 63: 측면판
64: 걸림수단 641: 회전봉
642: 걸림봉 643: 레버봉
644: 회동플레이트 645: 탄성수단 65: 포대
70: 틀프레임 71: 브라켓 72: 힌지프레임
80: 연결수단
90: 콘트롤박스 91: 상승버튼 92: 하강버튼
93: 정지버튼
B: 베어링
100: 버킷 리프트 장치

Claims (9)

  1. 바퀴(111)가 부착된 이동부(10);
    상기 이동부(1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구동수단(20);
    상기 이동부(10)의 상부면에 직립고정되고, 구동수단(2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봉(30);
    상기 스크류봉(30)에 스크류 결합되어 승강하는 승강바(40);
    상기 이동부(10)의 상부면 양측에 직립고정되는 가이드프레임(50); 및
    상기 승강바(40)의 승강에 따라 연결수단(80)을 매개로 연동되어 가이드프레임(50)을 따라 승강되는 버킷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50)은 버킷부(60)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만곡부(51)를 통해 내용물의 배출방향(일측)으로 커브진 형태를 취하고,
    상기 버킷부(60)는 가이드프레임(50)에 베어링(B) 결합된 틀프레임(70)에 결합되고,
    상기 틀프레임(70)은 연결수단(80)의 견인에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의 일단에 결합된 스토퍼(52)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면 연결수단(80)의 계속되는 견인에 의해 타측이 일측 보다 더 상승되어 버킷부(60)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리프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는 전방 및 후방 저면에 바퀴(111)가 부착된 한쌍의 베이스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을 상호 간 연결하고 구동수단(20) 및 가이드프레임(50)을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리프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0)의 회전력은 기어박스(미도시)를 통해 스크류봉(30)으로 전달하고,
    상기 기어박스(미도시)는 외주면을 감싸는 하우징(22)을 통해 이동부(1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22)의 상부면에는 스크류봉(30)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바(40)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이 상호 간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리프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40)는 길이방향 양측에 다수 결합되어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221)의 사이로 가이드되는 다수의 베어링(B)과, 일단 양측에 결합되는 스프로켓(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리프트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80)은 스프로켓(41)에 결합되는 체인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수단(80)의 일단은 하우징(22)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틀프레임(70)의 타측에 연결되어 스프로켓(41)의 승강에 따라 상기 버킷부(60)를 견인하여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리프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60)는 틀프레임(70)에 고정되는 수직판(61)과, 상기 수직판(6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판(62)과, 상기 바닥판(62)의 양측에 결합되는 측면판(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판(61)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절개부(611)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각 절개부(611)에는 비닐 및 종이로 이루어진 포대(65)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수단(64)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리프트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64)은 상기 버킷부(60)의 양측 측면판(63)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회전봉(641)과, 상기 회전봉(641)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회전봉(641)이 회전되면 수직판(61)에 형성된 절개부(611) 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걸림봉(642)과, 상기 버킷부(60)의 측면판(63) 외측으로 노출되게 회전봉(641)과 일체로 결합되고 이동부(10)의 베이스프레임(11)에 밀착되면 회전봉(641)을 회전시키는 레버봉(643)과, 상기 버킷부(60)의 측면판(63) 외측에 노출되게 회전봉(641)과 일체로 결합되는 회동플레이트(644)와, 측면판(63)과 회동플레이트(644)와 연결되는 탄성수단(6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프레임(7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50)에 연결되는 베어링(B)이 결합된 브라켓(71)과, 일단은 틀프레임(70)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50)에 베어링(B) 연결되는 힌지프레임(7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리프트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일단의 이동이 구속된 틀프레임(70)은 각도가 가변된다 하더라도 힌지프레임(72)과의 힌지 결합된 부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틀프레임(70)과 가이드프레임(50)의 연결상태가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 리프트 장치.
KR1020150052601A 2015-04-14 2015-04-14 버킷 리프트 장치 KR101672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01A KR101672528B1 (ko) 2015-04-14 2015-04-14 버킷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01A KR101672528B1 (ko) 2015-04-14 2015-04-14 버킷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48A true KR20160122548A (ko) 2016-10-24
KR101672528B1 KR101672528B1 (ko) 2016-11-03

Family

ID=5725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601A KR101672528B1 (ko) 2015-04-14 2015-04-14 버킷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948A (zh) * 2018-07-16 2018-12-18 新疆泰宇达环保科技有限公司 便于循环进料的冶炼进料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4864A (zh) * 2017-12-08 2018-07-17 安徽省光明粮油工业有限公司 一种菜籽油装载桶运输车
KR102026897B1 (ko) * 2018-03-12 2019-09-30 조민규 휴대용 쓰레기 수거 장치
KR20230002140U (ko) 2022-05-02 2023-11-09 세원오케이 주식회사 중량물 덤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011U (ja) * 1993-12-22 1995-07-14 大成建設株式会社 ゴミ収納容器類のリフト式反転払出し装置
JPH10167682A (ja) * 1996-12-13 1998-06-23 Hatakeyama Kikai Seisakusho:Kk 荷台の昇降傾斜装置
JP3337908B2 (ja) * 1996-05-08 2002-10-28 株式会社タイガーカワシマ 穀類を充填した袋類等の昇降装置
KR200423135Y1 (ko) * 2006-04-24 2006-08-03 김원석 승강반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011U (ja) * 1993-12-22 1995-07-14 大成建設株式会社 ゴミ収納容器類のリフト式反転払出し装置
JP3337908B2 (ja) * 1996-05-08 2002-10-28 株式会社タイガーカワシマ 穀類を充填した袋類等の昇降装置
JPH10167682A (ja) * 1996-12-13 1998-06-23 Hatakeyama Kikai Seisakusho:Kk 荷台の昇降傾斜装置
KR200423135Y1 (ko) * 2006-04-24 2006-08-03 김원석 승강반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8948A (zh) * 2018-07-16 2018-12-18 新疆泰宇达环保科技有限公司 便于循环进料的冶炼进料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528B1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528B1 (ko) 버킷 리프트 장치
CN105559341B (zh) 一种智能化数字讲台
CN210998689U (zh) 一种工业机器人安装底座
CN104554980B (zh) 可折叠式容器
CN204324191U (zh) 新型垂直提升机
CN107381091A (zh) 一种新型提升机
EP3521078A1 (en) Protection cover of battery box of electric vehicle
CA3030004A1 (en) Battery box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CN205025462U (zh) 采掘机械及其平衡器组件
KR101295986B1 (ko) 이동식 칠판
CN211107515U (zh) 一种电子商务用物流运输装置
US9145093B1 (en) Trunk server/butler
CN109592396A (zh) 一种自锁式移动平台顶部抓取电池装置
CN207028744U (zh) 用于行走装置的悬挂机构和具有其的行走机器人
KR100979995B1 (ko) 승강구조형 캐리어
WO2018233515A1 (zh) 无人搬运车
CN209051503U (zh) 自动爬杆机
CN205311512U (zh) 一种多功能电子车载摄像头
KR101261897B1 (ko) 높이 조절가능한 짐칸을 구비한 운송장치
CN217517170U (zh) 一种装饰布染色设备
CN209957300U (zh) 一种沙盘搬运架
CN218343533U (zh) 一种智能便携多功能老年车
CN204474268U (zh) 医疗提升装置
CN217910070U (zh) 一种硅橡胶生产送料装置
CN215924256U (zh) 一种蒸馏水桶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