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916A - 스마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916A
KR20160121916A KR1020150051774A KR20150051774A KR20160121916A KR 20160121916 A KR20160121916 A KR 20160121916A KR 1020150051774 A KR1020150051774 A KR 1020150051774A KR 20150051774 A KR20150051774 A KR 20150051774A KR 20160121916 A KR20160121916 A KR 20160121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oad
power
sens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700B1 (ko
Inventor
김백섭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71Bases, casings, or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switch and an electronic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5B37/02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는 필요할 때만 스마트 스위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단순히 부하 장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증감할 수 있다. 부하 장치가 조명 장치인 경우 조명의 디밍을 스마트 스위치가 스스로 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디밍 제어가 가능하며,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해당 공간에 위치하지 않을 때는 사용자가 별도로 원격 제어를 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스위치가 스스로 조명 장치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면으로 스위치 버튼 및 센서가 노출되고, 후면으로는, 스위치 버튼의 구동을 위한 스위치 박스가 배치되며, 스위치 박스에는 전선 삽입구를 구비하여 벽부에 가설된 전원 선과 연결되는 하우징, 전선 삽입구와 병렬 접속되어 전원 선과 부하(Load) 사이를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 스위치 모듈 및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부하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측정값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휴대단말기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전자 스위치 모듈 또는 부하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스위치{Smart switch}
본 발명은 스마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근거리에서 부하에 대한 전원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벽부에 매립된 기존의 스위치를 제거 후, 손쉽게 대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재실 여부 및 주변 조도를 참조하여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하는 스마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조명을 온-오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매립형 스위치는 사용자가 벽부에 위치한 스위치로 접근한 후 벽부에서 노출된 스위치 버튼을 직접 조작해야 한다. 이러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조명장치는 턴-온 되거나 턴-오프 되는데,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있거나, 또는 다른 옆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벽부에 위치하는 매립형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대해 공개특허 10-2014-0058862는 매립형 스위치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이 활성화된 스마트폰을 접근시켜 매립형 스위치를 원격 제어할 스마트폰을 인식시키고, 이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매립형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스위치를 제안한 바 있다.
공개특허 10-2014-0058862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매립형 스위치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일보한 측면이 있으나,
1) 스마트폰의 등록을 위해 NFC 기능이 활성화된 스마트폰을 벽부에 매립된 매립형 스위치에 접근시켜야 하고,
2) 매립형 스위치에 의해 등록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온-오프 제어와 같은 단순한 제어만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실제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나아졌다고 보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때에 따라, 매립형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여 조명장치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또는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다고하여 사용자가 방에 입실할 때마다 자동으로 스마트폰이 원격제어를 위해 매립형 스위치와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을 하고, 이후 매립형 스위치 조작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자신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스마트폰에 표시된 UI를 건드려서 조명 장치가 의도하지 않게 온-오프 제어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부하장치를 제어하며, 부하장치가 조명 장치인 경우, 사용자의 재실 여부나 주변 조도에 따라 부하장치로 제공되는 전력을 증감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조명장치의 종류를 통보하면, 조명장치의 종류에 따라 부하를 제어할 것인지 아닌지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면으로 스위치 버튼 및 센서가 노출되고, 후면으로는, 스위치 버튼의 구동을 위한 스위치 박스가 배치되며, 스위치 박스에는 전선 삽입구를 구비하여 벽부에 가설된 전원 선과 연결되는 하우징, 전선 삽입구와 병렬 접속되어 전원 선과 부하(Load) 사이를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 스위치 모듈 및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부하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측정값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휴대단말기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전자 스위치 모듈 또는 부하에 인가되는 전력에 대해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무선 제어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필요할 때만 스마트 스위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단순히 부하 장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증감할 수 있다. 부하 장치가 조명 장치인 경우 조명의 디밍을 스마트 스위치가 스스로 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디밍 제어가 가능하며,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해당 공간에 위치하지 않을 때는 사용자가 별도로 원격 제어를 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스위치가 스스로 조명 장치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외형 및 스마트 스위치가 벽부에 매립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가 기존의 매립형 스위치를 간단히 대체하는 대체 방법에 대한 참조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스위치의 배면 구조에 대한 참조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스위치 박스의 내부 결선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블록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무선 제어모듈에 대한 동작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외형 및 스마트 스위치가 벽부에 매립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가 기존의 매립형 스위치를 간단히 대체하는 대체 방법에 대한 참조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스위치의 배면 구조에 대한 참조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는 벽부(5)에 형성되는 매립 홀(50)에 배면이 장착되며, 전면에는 스위치 버튼(112), 센서(102, 103) 및 기능버튼(104)이 노출된다. 스위치 버튼(112)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가 조명 장치(예컨대 형광등)를 온-오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 버튼(112)을 눌러 조명 장치를 직접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센서(102)는 적외선 센서 또는 동작감지 센서일 수 있으며, 벽부(5)에서 노출되어 설치 공간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103)는 조도 센서일 수 있으며, 벽부(5)에서 노출되어 설치 공간 내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능버튼(104)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기능버튼(104)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기 전에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는 수동으로만 작동되나, 기능버튼(104)이 사용자 선택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는 원격으로 동작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는 자동/수동 겸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기능버튼(104)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는 근거리 무선통신,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와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으며, 페어링이 이루어지고 나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는 가로 80mm, 세로 120mm, 깊이 24mm의 매립형 스위치의 표준 사이즈에 따라 하우징(101)의 크기와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기존의 매립형 스위치와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함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는 기존의 매립형 스위치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그대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는 벽부(5)에 마련되는 매립 홀(50)을 확장하거나 변경하지 않고도 매립 홀(50)에 그대로 삽입 가능하며, 하우징(101)에 형성되는 체결 홈(100a, 100b)을 통해 벽부(5)에 마련되는 고정 홈(51, 52)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1)의 배면에 배치되는 스위치 박스(110)에는 상용 교류가 흐르는 전선(21, 22)의 삽입을 위한 전선 삽입구(111a, 111b, 111c, 111d)가 마련될 수 있다.
전선 삽입구(111a 내지 111d)는 원터치 방식으로서, 일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삽입 버튼(111e, 111f)을 누르면 전선 삽입구(111a 내지 111d)가 개방 상태가 되고, 이때, 전선(21, 22)을 전선 삽입구(111a 내지 111d)에 삽입하면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전선 삽입구(111a, 111b)에 상용 교류(AC)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용 교류(AC)를 연결하고 남은 전선 삽입구(111c, 111d)는 부하 장치, 예컨대 조명 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선 삽입구(111a)와 전선 삽입구(111c)는 내부적으로 결선 상태를 갖는다. 이는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 장치)와 연결되는 전선 중 하나를 온-오프 제어하면 부하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데 따른다. 이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스위치 박스의 내부 결선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박스의 전선 삽입구(111b, 111d)는 전자 스위치 모듈(130)에 마련되는 전선 삽입구(131, 132)와 병렬로 결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삽입구(111a, 111b)는 상용 교류(AC)와 결선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커버(112)가 토글되어 전선 삽입구(111b)와 전선 삽입구(111d)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용 교류(AC)는 부하 장치로 공급된다. 또한, 스위치 커버(112)가 토글되지 않더라도 전선 삽입구(111b) 및 전선 삽입구(111d)와 별렬 연결되는 전자 스위치 모듈(130)에 의해 전선 삽입구(111b)와 전선 삽입구(111d가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스위치 모듈(130)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벽부(5)에 배치되는 스위치 커버(112)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용 교류(AC)를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 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선(23, 24)에 의해 전자 스위치 모듈(130)에 마련되는 전선 삽입구(131, 132)는 각각 스위치 박스(110)에 마련되는 전선 삽입구(111b, 111d)는 전기적으로 항상 결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블록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의 전원부(140), 전자 스위치 모듈(130), 및 무선 제어모듈(120)은 하우징(101)의 배면에 설치되며, 그 높이가 하우징(101)의 배면에서 표준 규격인 24mm를 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벽부(5)에 설치되는 기존의 매립형 스위치를 그대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매립형 스위치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가 그 자리에 그대로 삽입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별도의 무선 케이블을 가설하거나, 별도의 장치를 가설하기 위해 벽부(5)를 타공하는 시공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는 기존의 매립형 스위치를 제거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형 스위치(10)가 제거된 매립 홀(50)에 그대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또는 시공자)는 매립 홀(50)에 남겨지는 상용 교류(AC) 케이블을 전선 삽입구(111b, 111d)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기존의 매립형 스위치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로 교체할 수 있다.
스마트 스위치(10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전원부(140)는 스위치 박스(110)를 통해 상용 교류(AC)를 공급받아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전압(예컨대 5V)을 생성하고 이를 전자 스위치 모듈(130) 및 무선 제어모듈(120)로 공급할 수 있다.
전자 스위치 모듈(130)은 무선 제어모듈(120)에 의해 제어되어 전선 삽입구(111b) 및 전선 삽입구(111d) 사이를 단락시키거나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전자 스위치 모듈(130)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전자 스위치나 릴레이(Re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기계식 릴레이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무선 제어모듈(120)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치 커버(112)를 대신하여 스위치 박스(110)와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 장치) 사이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제어모듈(120)은 부하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증감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제어모듈(120)은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상용 교류(AC)에서 부하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100% ∼ 10%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제어모듈(120)은 조광모듈을 내장할 수 있는데, 조광 모듈은 부하 장치가 백열등인 경우 이용될 수 있으며, 상용 교류(AC)에서 부하 장치로 공급되는 교류의 파형을 슬라이스(Slice) 처리하여 부하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제어모듈(120)은 PWM(Pulse Width Modulation)장치를 내장할 수 있는데, PWM 모듈은 부하 장치가 직류로 구동하는 LED 조명기기일 때, 적용될 수 있다. PWM 모듈은 상용 교류(AC)를 정류하여 직류를 생성하는 직류 전원 생성부와 생성된 직류 전원에 대해 PWM 제어를 적용하여 출력 전압을 증감하는 PWM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LED 조명기기는 별도의 아답터가 요구되지 않아 배선과 설치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무선 제어모듈(120)은 휴대단말기를 통해 부하 장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부하 장치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제어모듈(120)은 휴대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부하 장치 정보에 따라 부하 장치에 대해 전력제어를 수행하지 않아야 할 경우,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부터 디밍 제어가 요구되더라도 이를 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제어를 거절할 경우 거절 사유를 휴대단말기로 통보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제어모듈(120)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부터 부하 장치(조명 장치)에 대한 전력을 50% 낮추도록 요구받았고, 전력 제어대상인 부하 장치가 삼파장 형광등인 경우, 전력제어를 중단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로는 "부하장치는 전력제어가 불가합니다"라는 형태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삼파장 형광등의 경우, 삼파장 형광등과 상용 교류 사이에 안정기가 배치되고, 안정기가 펄스를 생성하여 삼파장 형광등에 공급하여 구동하는 방식이므로, 무선 제어모듈(120)이 전력 제어를 수행할 경우, 안정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아 삼파장 형광등이 점등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선 제어모듈(120)이 안정기로 공급되는 상용 교류(AC)의 전력을 낮춘다면 디밍 제어가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삼파장 형광등의 점등 자체를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무선 제어모듈(120)은 부하 장치가 전력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 후, 전자 스위치 모듈(130)을 제어하여 상용 교류(AC)와 부하 장치가 전류 패스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무선 제어모듈(120)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제어모듈(120)은 전력 제어부(121) 및 정류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122)는 상용 교류(AC)를 정류하여 직류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직류의 전압은 12V 내지 48V에 이를 수 있으며, 부하 장치의 전력 수요에 따라 출력 전압을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 제어모듈(120)은 휴대단말기의 지시에 따라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12V, 24V, 48V와 같은 형태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121)는 트라이악 또는 싸이리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상용 교류(AC)의 전압 파형을 쵸핑(Chopping)하거나 슬라이스 처리하여 상용 교류(AC)의 전력을 증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제어부(121)은 정류부(12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에 대해서도 PWM 제어하여 직류 전압을 증감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121)에서 제어된 전력(상용 교류 또는 직류)은 전자 스위치 모듈(130)을 통해 부하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는 부하 장치(도 7에서는 전등)의 온-오프 제어메뉴(31), 기능설정 메뉴(32 내지 35), 센서정보 표시메뉴(36) 및 상태정보 표시메뉴(37)가 표시될 수 있다.
온-오프 제어메뉴(31)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ON" 버튼을 선택하거나 "OFF"버튼을 설정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OFF"버튼을 터치하면 휴대단말기는 무선 제어모듈(120)로 턴-오프를 지시하고, 무선 제어모듈(120)은 전자 스위치 모듈(130)을 제어하여 부하 장치(전등)로 제공되는 상용 교류(또는 직류)를 차단할 수 있다.
기능설정 메뉴(32 내지 35)는 센서 스위치 메뉴(32), 타임 스위치 메뉴(33), 조도 스위치 메뉴(34) 및 시간 예약 메뉴(3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스위치 메뉴(32)는 센서(102)에 의해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가 위치하는 공간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무선 제어모듈(120)은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을 스스로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센서(102)는 적외선 센서 또는 동작감지 센서에 해당한다.
타임 스위치 메뉴(33)는 휴대단말기를 통해 전달된 시 구간에 따라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를 온-오프 제어하는 메뉴에 해당한다.
타임 스위치 메뉴(33)가 선택되면 시작시간과 종료시 설정하기 위한 시간 설정메뉴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이 구동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 값은 무선 제어모듈(120)로 전달되고, 무선 제어모듈(120)은 설정 값에 따라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조도 스위치 메뉴(34)는 센서(103)에서 측정된 센서 값을 이용하여 부하 장치(전등)를 온-오프 자동 제어하는 메뉴에 해당한다. 센서 스위치 메뉴(32)가 사용자 선택되는 경우, 무선 제어모듈(120)은 센서(103)의 측정값에 따라 조도가 어둡다고 판단되면 부하 장치(조명)을 턴-온 하거나, 디밍 제어를 하여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주변 조도가 밝다고 판단되면, 디밍 제어를 하여 부하 장치(조명)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디밍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시간 예약 메뉴(35)는 사용자가 미래의 어느 시점에 설정한 시간에 따라 무선 제어모듈(120)이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를 구동하는 메뉴에 해당한다. 예컨대, 현재 시간이 2015년 4월 9일인 경우, 4월 20일에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가 턴-온 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 정보 표시메뉴(36)는 무선 제어모듈(120)로부터 센서(103)에 의해 측정된 센서 값, 즉 조도값을 획득하여 표시하는 메뉴에 해당한다.
상태정보 표시메뉴(37)는 부하 장치(예컨대 조명)의 현재 상태, 부하 장치가 구동중인지 아니면 오프 상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101 : 하우징 110 : 스위치 박스
111 : 전선 삽입구 120 : 무선 제어모듈
130 : 전자 스위치 모듈

Claims (7)

  1. 전면으로 스위치 버튼 및 센서가 노출되고, 후면으로는, 스위치 버튼의 구동을 위한 스위치 박스가 배치되며, 상기 스위치 박스에는 전선 삽입구를 구비하여 벽부에 가설된 전원 선과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전선 삽입구와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전원 선과 부하(Load) 사이를 온-오프 제어하는 전자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부하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측정값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되는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원격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스위치 모듈 또는 상기 부하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무선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동작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에 의해 사람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부하의 전력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부하로 제공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값에 따라 상기 부하로 인가되는 전력을 증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모듈은,
    상기 부하가 조명장치일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상기 부하의 조명 종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조명 종류에 따라 상기 전력제어에 대한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무선 제어모듈의 제어를 위한 기능버튼이 노출되며, 상기 제어버튼은,
    제1시간 동안 누름 상태일 때, 상기 휴대단말기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
KR1020150051774A 2015-04-13 2015-04-13 스마트 스위치 KR10170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74A KR101701700B1 (ko) 2015-04-13 2015-04-13 스마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774A KR101701700B1 (ko) 2015-04-13 2015-04-13 스마트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916A true KR20160121916A (ko) 2016-10-21
KR101701700B1 KR101701700B1 (ko) 2017-02-03

Family

ID=5725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774A KR101701700B1 (ko) 2015-04-13 2015-04-13 스마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917A (ko) * 2017-04-20 2018-10-30 비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전등 스위치의 IoT 구현을 위한 DC 전원공급시스템
CN109308036A (zh) * 2018-09-25 2019-02-05 广州先越宝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台灯远程开关控制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381A (ko) 2022-09-27 2024-04-03 삼성물산 주식회사 무전원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페어링 간소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886B1 (ko) * 2007-02-01 2008-06-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감지센서를 구비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20110113726A (ko) * 2011-10-04 2011-10-18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무선 조명 상태 검출 장치
KR20130050440A (ko) * 2011-11-08 2013-05-16 구공희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20130108402A (ko) * 2010-11-24 2013-10-02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하 제어 스위치 및 부하 제어 스위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886B1 (ko) * 2007-02-01 2008-06-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 감지센서를 구비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20130108402A (ko) * 2010-11-24 2013-10-02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하 제어 스위치 및 부하 제어 스위치 시스템
KR20110113726A (ko) * 2011-10-04 2011-10-18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무선 조명 상태 검출 장치
KR20130050440A (ko) * 2011-11-08 2013-05-16 구공희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917A (ko) * 2017-04-20 2018-10-30 비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전등 스위치의 IoT 구현을 위한 DC 전원공급시스템
CN109308036A (zh) * 2018-09-25 2019-02-05 广州先越宝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台灯远程开关控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700B1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5046A2 (en) Dimmer device with feedback function
KR100899018B1 (ko) 조명등의 그룹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9313855B1 (en) Intelligent lighting system and integrated circuit for determining ambient light intensity
KR20110005899A (ko) 국지적 조명 기구 제어를 포함하는 영역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WO2006004735A2 (en)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devices
JP2014060162A (ja) 照明装置
KR101701700B1 (ko) 스마트 스위치
US9525306B1 (en) Automatic emergency lighting load control
KR101555236B1 (ko) 스마트 led 조명장치
KR20150116945A (ko) 조도 설정 가변 제어형 led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211510B (zh) 开关装置和开关系统
US9226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control and ambient light detection using an LED light fixture
KR20160079638A (ko) 조명기의 디밍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940543B1 (ko)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35638B1 (ko) Dc 전원 부하 제어 장치
KR200490046Y1 (ko) 3접점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 구동 장치
KR101934429B1 (ko) 센서등 조명제어장치
KR101934262B1 (ko) 무선통신제어방식으로 전자식 스위치와 기기 간의 연동 시스템
EP2690932B1 (en) Switch
KR101701000B1 (ko) 스위치 장치 및 조립체
JP5554021B2 (ja) 壁スイッチ
KR20120062326A (ko) 외부기기 제어를 위한 콘센트
JP6743467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KR20160133666A (ko) 조명 센서의 동작 모드에 기반한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75494A (ko) 센서등과 비상등 겸용 램프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