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543B1 -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543B1
KR100940543B1 KR1020090039201A KR20090039201A KR100940543B1 KR 100940543 B1 KR100940543 B1 KR 100940543B1 KR 1020090039201 A KR1020090039201 A KR 1020090039201A KR 20090039201 A KR20090039201 A KR 20090039201A KR 100940543 B1 KR100940543 B1 KR 10094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digital
sensor
illuminanc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길
제환철
Original Assignee
박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길 filed Critical 박병길
Priority to KR102009003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물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주변의 조도 레벨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 타이머; 상기 물체의 모션이 감지되거나, 상기 감지된 조도 레벨이 상기 조도 센서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조명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조명등으로 출력하여 상기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출력부; 복수의 응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응용에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응용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별적으로 제어하는 보조 출력부; 및 상기 모션 센서의 감도 레벨,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 레벨, 및 상기 동작 타이머의 동작 시간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설정부를 포함한다.
조명등, 디지털 조작, 모션 센서, 조도 센서, 출력 단자, 원격 조작

Description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LAMP BY DIGITAL TYP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빌딩 등의 복도, 통로, 현관, 계단,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조명등 제어 장치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감지센서와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조명등을 자동으로 점등시키기 위한 것으로 광센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근접센서 등이 있으며, 상기 타이머는 감지센서에 의해 점등된 조명등을 일정 시간 이후 소등하기 위한 것으로 점등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조명등 제어 장치는 감지센서와 타이머 외에도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바,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등을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조도센서는 주변 조도가 그 설정값보다 어두우면 조명등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감지센서와 타이머에 의한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설정값보다 밝으면 조명등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점등 및 소등 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조명등 제어 장치는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을 설정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조명등 제어 장치는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을 사용자가 직접 볼륨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절 및 설정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에 동작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응용에 대한 동작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물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주변의 조도 레벨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 타이머; 상기 물체의 모션이 감지되거나, 상기 감지된 조도 레벨이 상기 조도 센서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조명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조명등으로 출력하여 상기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출력부; 복수의 응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응용에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응용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별적으로 제어하는 보조 출력부; 및 상기 모션 센서의 감도 레벨,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 레벨, 및 상기 동작 타이머의 동작 시간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방법은 모션 센서를 통해 물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의 조도 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동작 타이머를 통해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물체의 모션이 감지되거나, 상기 감지된 조도 레벨이 상기 조도 센서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메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메인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등으로 출력하여 상기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보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응용에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응용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 센서의 감도 레벨,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 레벨, 및 상기 동작 타이머의 동작 시간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 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절 및 설정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에 동작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응용에 대한 동작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이 아닌 벽면에 설치됨으로써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컨으로부터 원격으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함으로써, 원격으로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시간 등을 FND와 같은 동작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 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상태를 LED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전면부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의 전면부에는 동작/정지키(ON/OFF Key)(101), 업키(UP Key)(102), 다운키(DOWN Key)(103), 기능키(FUNC Key)(104) 등의 키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동작/정지키(101)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키로서, 정지 중에는 동작키로 사용되어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을 동작시키고, 동작 중에는 정지키로 사용되어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업키(102)는 파라미터(parameter)에서 설정 모드로 진입하거나, 설정값을 증가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다운키(103)는 업키(102)와 마찬가지로 파라미터에서 설정 모드로 진입하거나, 업키(102)와는 반대로 설정값을 감소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값은 모션 센서와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PIR(Passive Infra Red) 센서의 감도 레벨, 조도 레벨에 대한 설정값을 가리킬 수 있으며, 또한 동작 타이머(미도시)의 동작 시간에 대한 설정값을 가리킬 수도 있다.
기능키(104)는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저장할 때 사용될 수 있고, 파라미터의 동작 모드를 이동시킬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능키(104)는 최초 설정 모 드로 진입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기능키(140)를 1초 동안 연속으로 누르는 경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는 최초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의 전면부에는 수동 모드 선택 시 점등되는 수동 모드용 LED(105), 자동 모드 선택 시 점등되는 자동 모드용 LED(106), 조도 모드 선택 시 점등되는 조도 모드용 LED(107), 설정 모드에서 감도 설정 파라미터 선택 시 점등되며 동작 모드에서는 리모컨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감도 설정용 LED(108), 설정 모드에서 조도 설정 파라미터 선택 시 점등되며 동작 모드에서는 조도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조도 설정용 LED(109), 설정 모드에서 시간 설정 파라미터 선택 시 점등되며 동작 모드에서는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시간 설정용 LED(110) 등의 상태 알림 램프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설정용 LED(110)는 분 설정용 LED와 초 설정용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의 전면부에는 동작 표시부(111), 리모컨 수신부(112), 및 센서부(113)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동작 표시부(111)는 설정 모드에서는 각 파라미터 설정값을 표시하고 동작모드에서는 동작 잔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동작 표시부(111)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112)는 리모컨 입력창으로서 리모컨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전면부의 키들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센서부(113)는 물체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와, 주변의 조도 레벨을 감 지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13)는 무방향성(360도)의 PIR(Passive Infra Red)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천장에 설치되는 대신에, 4~5m 정도 높이의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다리는 놓고 올라가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를 4~5m 정도 높이의 벽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작 모드,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로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후면부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의 후면부에는 메인 입력부(210), 메인 출력부(220), 보조 입력부(230), 및 보조 출력부(240) 등과 같은 단자대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입력부(210)는 교류(AC) 입력 단자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교류 입력 단자는 모두 AC 220V/60Hz 상용 전원 입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입력부(210)는 전원을 입력 받아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 출력부(220)는 노멀 오픈(NO) 출력 단자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하나의 노멀 오픈 출력 단자는 릴레이 접점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노멀 오픈 출력 단자는 AC 220V Max 10A NO 출력용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출력부(220)에는 조명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 내부에서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조명등으로 출력하여 상기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30)는 제1 오픈 컬렉터(C) 출력 단자 1개와, 제1 공통(E) 단자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픈 출력 단자는 리모트 기능 입력 단자로 접점이나 오픈 컬렉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공통 단자는 상기 C 출력 단자의 입력 신호에 대한 기준 단자, 즉 그라운드(GND)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보조 출력부(240)는 제2 오픈 컬렉터(C) 출력 단자 1개와, 오픈 에미터(E) 출력 단자 1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픈 컬렉터 출력 단자는 절연된 오픈 컬렉터 출력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오픈 에미터 출력 단자는 24V/Max 20mA, 펄스폭 10ms 이상의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출력부(240)에는 복수의 응용(조명등, 기타 다른 기기)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 내부에서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응용에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응용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전원이 투입되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도 3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모드용 LED(310)에 불이 켜지면서, 1~15초 동안 수동 모드에 대한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자동 모드용 LED(320)에 불이 켜지면서, 1초 이내에 자동 모드에 대한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어서 도 3의 i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모드용 LED(330)에 불이 켜지면서, 3~30초 동안 조도 모드에 대한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가 진단 결과, 센서가 정상인 경우,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도 3의 iv)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모드용 LED(320), 감도 설정용 LED(340) 및 조도 설정용 LED(350)에 불이 켜지고, 동작 표시부(360)에 센서의 설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자가 진단 결과, 센서가 정상이 아닌 경우,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도 3의 v)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모드용 LED(330)에 불이 켜지고, 동작 표시부(360)에 에러(Er)를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자동 모드가 아닌 수동 모드 또는 조도 모드 시에는 진단 모드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전원 투입 시 자동 모드일 경우에만 각 동작 모드에 대한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작 모드 설정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i)과 같은 상태, 즉 자동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자동 모드용 LED(410)에 불이 켜짐)에서 도 1의 업키(102)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동작 모드를 자동 모드에서 수동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동작 모드를 수동 모드로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수동 모드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ii)와 같은 상태, 즉 상기 수동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수동 모드용 LED(420)에 불이 켜짐)에서 도 1의 다운키(103)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에서 상기 자동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자동 모드로 저장함과 동시에 감도 설정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도 4의 iii)과 같은 상태, 즉 상기 자동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자동 모드용 LED(430)에 불이 켜짐)에서 도 1의 다운키(103)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도 4의 iv)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자동 모드에서 조도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조도 모드로 저장함과 동시에 조도 모드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조도 모드용 LED(440)에 불이 들어오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모드의 설정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의 업/다운키(102, 103)가 눌러지는 경우, 상기 동작 모드를 '자동 모드 <-> 수동 모드 <-> 조도 모드' 순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전환된 모드를 상기 동작 모드로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센서 감도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감도 설정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감도 설정용 LED(510)에 불이 들어오게 하고, 동작 표시부(520)에 현재의 감도 설정값(예: 53)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의 업키(102)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도 5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도 설정용 LED(510)에 불이 들어온 상태에서 동작 표시부(520)에 변경된 감도 설정값(예: 6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표시된 감도 설정값을 저장함과 동시에 조도 설정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도 5의 ii)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의 다운키(103)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감도 설정용 LED(510)에 불이 들어오게 한 상태에서 동작 표시부(520)에 변경된 감도 설정값(예: 4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표시된 감도 설정값을 저장함과 동시에 조도 설정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센서 감도 설정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의 업/다운키(102, 103)가 눌러지는 경우, 센서(모션 센서)의 감도 설정값을 변경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센서 조도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조도 설정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조도 설정용 LED(610)에 불이 들어오게 하고, 동작 표시부(620)에 현재의 조도 설정값(예: 53)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의 업키(102)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도 6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설정용 LED(510)에 불이 들어온 상태에서 동작 표시부(620)에 변경된 조도 설정값(예: 6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표시된 조도 설정값을 저장함과 동시에 동작 시간(분) 설정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도 6의 ii)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의 다운키(103)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조도 설정용 LED(510)에 불이 들어오게 한 상태에서 동작 표시부(620)에 변경된 조도 설정값(예: 4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표시된 조도 설정값을 저장함과 동시에 동작 시간(분) 설정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센서 조도 설정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의 업/다운키(102, 103)가 눌러짐에 따라 센서(조도 센서)의 조도 설정값을 변경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작 시간(분)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동작 시간 설정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시간 설정용 LED의 분 설정용 LED(710)에 불이 들어오게 하고, 동작 표시부(720)에 현재의 시간(분) 설정값(예: 53)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의 업키(102)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도 7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설정용 LED의 분 설정용 LED(710)에 불이 들어온 상태에서 동작 표시부(720)에 변경된 시간(분) 설정값(예: 6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표시된 시간(분) 설정값을 저장함과 동시에 시간(초) 설정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도 7의 ii)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의 다운키(103)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시간 설정용 LED의 분 설정용 LED(710)에 불이 들어오게 한 상태에서 동작 표시부(720)에 변경된 시간(분) 설정값(예: 4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표시된 시간(분) 설정값을 저장함과 동시에 시간(초) 설정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동작 시간 설정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의 업/다운키(102, 103)가 눌러짐에 따라 동작 시간(분) 설정값을 변경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작 시간(초)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동작 시간 설정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시간 설정용 LED의 초 설정용 LED(810)에 불이 들어오게 하고, 동작 표시부(820)에 현재의 시간(초) 설정값(예: 53)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의 업키(102)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도 8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설정용 LED의 초 설정용 LED(810) 에 불이 들어온 상태에서 동작 표시부(820)에 변경된 시간(초) 설정값(예: 6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표시된 시간(초) 설정값을 저장함과 동시에 자동 모드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ii)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의 다운키(103)를 누르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시간 설정용 LED의 초 설정용 LED(810)에 불이 들어오게 한 상태에서 동작 표시부(820)에 변경된 시간(초) 설정값(예: 43)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표시된 시간(초) 설정값을 저장함과 동시에 자동 모드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동작 시간 설정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의 업/다운키(102, 103)가 눌러짐에 따라 동작 시간(초) 설정값을 변경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리모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컨은 도 1의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의 전면부에 배치된 키들과 동일한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모컨은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동작/정지키(910)와, 파라미터(parameter)에서 설정 모드로 진입하거나, 설정값을 증가시킬 때 사용되는 업키(920)와, 파라미터에서 설정 모드로 진입하거나 설정값을 감소시킬 때 사용되는 다운키(930)와,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저장할 때 사용되거나 파라미터의 동작 모드를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기능키(9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는 모션 센서(1010), 조도 센서(1020), 동작 타이머(1030), 신호 발생부(1040), 메인 출력부(1050), 보조 출력부(1060), 디지털 설정부(1070), 센서 진단부(1080), 동작 표시부(1090), 리모컨 수신부(1095), 및 구동 제어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1010)는 물체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모션 센서(1010)의 감지 거리는 2~12m 범위 내에서 조절 및 설정될 수 있으며, 모션 센서(1010)의 감지 각도도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1010)의 감지 거리는 0~63단계(66~100% 조절 범위, 1단계: 2%)까지 조절 및 설정 가능하다. 모션 센서(1010)는 무방향성(360도)이면서 고감도의 PIR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조도 센서(1020)는 주변의 조도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조도 센서(1020)의 조도는 1~400Lux 범위 내에서 조절 및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조도 센서(1020)의 조도는 0~99단계(1단계: 0~400Lux 사이를 비직선 100등분)까지 조절 및 설정 가능하다. 조도 센서(1020)는 모션 센서(1010)와 마찬가지로 무방향성(360도)이면서 고감도의 PIR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동작 타이머(1030)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의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동작 타이머(1030)의 동작 시간은 1~99분 99초 범위 내에서 조절 및 설정될 수 있다.
신호 발생부(1040)는 모션 센서(1010)에 의해 상기 물체의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 타이머(1030)에 의해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turn 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신호 발생부(1040)는 조도 센서(1020)에 의해 감지된 조도 레벨이 조도 센서(1020)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 경우, 동작 타이머(1030)에 의해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메인 출력부(1050)는 조명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조명등으로 출력하여 상기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인 출력부(1050)는 원격의 조명등으로 턴온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원격의 조명등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보조 출력부(1060)는 복수의 응용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복수의 응용에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응용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응용은 상기 조명등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이 계단에 설치되어 있고,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의 보조 출력부(1060)와 연결된 조명등들이 지하 주차장에 장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계단을 지나 지하 주차장에 진입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계단에 들어서면,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보조 출력부(1060)을 통해 턴온 신호를 지하 주차장에 장착된 조명등들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기 전에 지하 주차장에 장착된 조명등들을 온 시킬 수 있다. 이때, 조명등 디지털 제 어 장치(100)는 지하 주차장에 장착된 조명등들을 일괄적으로 온 시킬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지하 주차장에 장착된 조명등들 중 일부를 선별적으로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지하 주차장의 차량 출입구에 주차장 셔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는 보조 출력부(1060)를 통해 턴온 신호를 상기 주차장 셔터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주차장 셔터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출력부(1060)는 복수의 응용(조명등, 주차장 셔터 등의 전기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설정부(1070)는 모션 센서(1010)의 감도 레벨, 조도 센서(1020)의 조도 레벨, 및 동작 타이머(1030)의 동작 시간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설정부(1070)는 감도, 조도, 동작 시간 등의 각각의 설정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각각의 설정값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된 설정값 각각을 새로운 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설정부(1070)는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조절/설정된 각각의 설정값을 새로운 설정값으로서 갱신할 수 있다.
센서 진단부(1080)는 전원 투입에 따라 진단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모션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도 3 참조).
동작 표시부(1090)는 모션 센서(1010), 조도 센서(1020), 및 동작 타이머(1030)에 대한 각각의 파라미터 설정값을 설정 모드 시에 표시하고, 동작 타이머(1030)의 동작 잔여 시간을 동작 모드 시에 표시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1095)는 리모컨(도 9 참조)으로부터 리모트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는 상기 리모트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100)는 자동 모드, 수동 모드, 또는 조도 모드 중 어느 하나가 동작 모드로서 선택되는 경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100)를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 제어부(1100)는 상기 자동 모드 시, 모션 센서(1010)와 조도 센서(1020)를 구동시키고, 상기 수동 모드 시, 동작/정지 키의 입력에 따라 메인 출력부(1050)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로 토글(toggle)시키며, 상기 조도 모드 시, 조도 센서(10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메인 출력부(1050)의 출력을 온시킬 수 있다. 상기 조도 모드 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조도 센서(1020)에 의해 감지된 조도 레벨이, 조도 센서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 경우(어두운 경우), 구동 제어부(1100)는 메인 출력부(1050)의 출력을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모드 시, 상기 조명등의 동작 중 상기 동작과 관련된 재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구동 제어부(1100)는 동작 타이머(1030)의 잔여 동작 시간을 동작 타이머(1030)에 설정된 동작 시간으로 재장전하고, 상기 재장전된 동작 시간 동안 보조 출력부(1060)의 출력을 온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장전된 동작 시간이 종료되면, 구동 제어부(1100)는 상기 동작과 관련된 입력이 발생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방법은 도 10의 조명등 디 지털 제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1110)에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모션 센서를 통해 물체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1120)에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조도 센서를 통해 주변의 조도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1130)에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동작 타이머를 통해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1140)에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물체의 모션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물체의 모션이 감지된 경우, 단계(1150)에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 레벨이 상기 조도 센서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 레벨이 상기 조도 센서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 경우(주변의 조도가 어두워지는 경우), 단계(1160)에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타이머에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모션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에 모션 및 조도가 모두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동작 타이머에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모션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모션 또는 조도 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동작 타이머에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1170)에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메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메인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명등으로 출력하여 상기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보조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응용에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응용의 동작을 일괄적 또는 선별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도 레벨,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 레벨, 및 상기 동작 타이머의 동작 시간을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자동 모드, 수동 모드, 또는 조도 모드 중 어느 하나가 동작 모드로서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동작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자동 모드 시, 상기 모션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를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 수동 모드 시, 동작/정지 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 출력부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로 토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조도 모드 시, 상기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 출력부의 출력을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모드 시, 상기 조명등의 동작 중 상기 동작과 관련된 재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 타이머의 잔여 동작 시간 을 상기 동작 타이머에 설정된 동작 시간으로 재장전하고, 상기 재장전된 동작 시간 동안 상기 보조 출력부의 출력을 온 시킬 수 있다. 상기 재장전된 동작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는 상기 동작과 관련된 입력이 발생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리모트 원격 제어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컨트롤러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을 대폭적으로 없앨 수 있으며, 디지털 수치 설정을 통해 조도/감도의 미세 조정을 허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후면부의 출력 단자를 통해, 다양한 설치 응용예(예, 계단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지하 주차장에 장착된 복수의 조명수단을 일괄적, 또는 특정의 조명수단을 선별적으로 제어함)를 지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작 모드 설정을 수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센서 감도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센서 조도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작 시간(분)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작 시간(초)을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있어서, 리모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 디지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모션 센서
1020: 조도 센서
1030: 동작 타이머
1040: 신호 발생부
1050: 메인 출력부
1060: 보조 출력부
1070: 디지털 설정부
1080: 센서 진단부
1090: 동작 표시부
1095: 리모컨 수신부
1100: 구동 제어부

Claims (10)

  1.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 타이머;
    모션 센서에 의해 물체의 모션이 감지되거나, 또는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 레벨이 상기 조도 센서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제1 조명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제1 조명등으로 출력하여 상기 제1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출력부;
    상기 물체가 이동하는 공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2 조명등, 또는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셔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제2 조명등 또는 상기 셔터에 출력하여 상기 제2 조명등 또는 상기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 출력부; 및
    상기 모션 센서의 감도 레벨,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 레벨, 또는 상기 동작 타이머의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설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명등의 동작에 대한 제어시, 상기 보조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조명등 중 일부의 제2 조명등을 선별적으로 온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제2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온시키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를 구동시키는 자동 모드, 동작/정지 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 출력부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로 토글시키는 수동 모드, 또는 상기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 출력부의 출력을 온시키는 조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동작 모드로서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자동 모드를 동작 모드로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조명등의 동작 도중 상기 동작과 관련된 재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동작 타이머의 잔여 동작 시간을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으로 재장전하고, 상기 재장전된 동작 시간 동안 상기 보조 출력부의 출력을 온 시키며, 상기 재장전된 동작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동작과 관련된 입력이 발생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 또는 상기 조도 센서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센서 진단부
    를 더 포함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 상기 조도 센서, 또는 상기 동작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파라미터 설정값을 표시하거나, 상기 동작 타이머의 동작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리모컨으로부터 리모트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 또는 상기 조도 센서는,
    무방향성의 PIR(Passive Infra Red)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8.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동작 타이머에서,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신호 발생부에서, 모션 센서에 의해 물체의 모션이 감지되거나, 또는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 레벨이 상기 조도 센서에 설정된 조도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턴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메인 출력부에서,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제1 조명등으로 출력하여 상기 제1 조명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보조 출력부에서, 상기 발생된 턴온 신호를, 상기 물체가 이동하는 공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2 조명등, 또는 상기 공간을 외부와 연결시키는 셔터에 출력하여 상기 제2 조명등 또는 상기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디지털 설정부에서, 상기 모션 센서의 감도 레벨, 상기 조도 센서의 조도 레벨, 또는 상기 동작 타이머의 동작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지털 방식으로 조절하여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명등 또는 상기 셔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조명등의 동작에 대한 제어시, 상기 복수의 제2 조명등 중 일부의 제2 조명등을 선별적으로 온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제2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의 구동 제어부에서, 상기 모션 센서와 상기 조도 센서를 구동시키는 자동 모드, 동작/정지 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 출력부의 출력을 온 또는 오프로 토글시키는 수동 모드, 또는 상기 조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 출력부의 출력을 온시키는 조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동작 모드로서 구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로서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자동 모드를 동작 모드로서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조명등의 동작 도중 상기 동작과 관련된 재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동작 타이머의 잔여 동작 시간을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으로 재장전하는 단계;
    상기 재장전된 동작 시간 동안 상기 보조 출력부의 출력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장전된 동작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동작과 관련된 입력이 발생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명등 디지털 제어 방법.
KR1020090039201A 2009-05-06 2009-05-06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4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01A KR100940543B1 (ko) 2009-05-06 2009-05-06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201A KR100940543B1 (ko) 2009-05-06 2009-05-06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543B1 true KR100940543B1 (ko) 2010-02-10

Family

ID=4208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201A KR100940543B1 (ko) 2009-05-06 2009-05-06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5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61B1 (ko) * 2013-01-15 2013-10-23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감도조절이 가능한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된 엘이디 램프
CN106664771A (zh) * 2014-03-31 2017-05-10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用于改进占用确定的系统和方法
KR20190001155U (ko) * 2017-11-07 2019-05-15 오정연 자동 점소등 발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177A (ko) * 2002-07-02 2005-08-26 장민호 조명기기 제어기 및 제어방법
KR20060026537A (ko) * 2004-09-21 2006-03-24 김동완 마이컴 제어를 이용한 디지털 조명제어시스템
KR20080014128A (ko) * 2008-01-24 2008-02-13 송성규 가로등 원격 무선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177A (ko) * 2002-07-02 2005-08-26 장민호 조명기기 제어기 및 제어방법
KR20060026537A (ko) * 2004-09-21 2006-03-24 김동완 마이컴 제어를 이용한 디지털 조명제어시스템
KR20080014128A (ko) * 2008-01-24 2008-02-13 송성규 가로등 원격 무선 제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861B1 (ko) * 2013-01-15 2013-10-23 주식회사 엘아이티씨 감도조절이 가능한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된 엘이디 램프
CN106664771A (zh) * 2014-03-31 2017-05-10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用于改进占用确定的系统和方法
US10231313B2 (en) 2014-03-31 2019-03-12 Philips Lighting Holding B.V.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occupancy determination
CN106664771B (zh) * 2014-03-31 2019-08-30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用于改进占用确定的系统和方法
KR20190001155U (ko) * 2017-11-07 2019-05-15 오정연 자동 점소등 발광장치
KR200490108Y1 (ko) * 2017-11-07 2019-09-25 오정연 자동 점소등 발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0335B2 (en) Control device having buttons with multiple-level backlighting
US7122976B1 (en) Light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US11497104B2 (en) Control device having an illuminated portion controll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sensor
US6888323B1 (en) Light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US6522078B1 (en) Remotely controlled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EP3305028B1 (en) Control device having buttons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lighting
KR200446786Y1 (ko) 조명 장치
KR20110136897A (ko) 지능형 조명 제어 시스템
US8035513B2 (en) Wireless variable illumination level lighting system
US11700681B2 (en) Self-test procedure for a control device
JP2019012661A (ja) モニタ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940543B1 (ko) 조명등 디지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33469B1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KR101555236B1 (ko) 스마트 led 조명장치
KR100975480B1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KR20160141120A (ko)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동작감지형 무선조명제어방법
TW201436640A (zh) 開關系統及使用於該開關系統之牆壁開關
JP6035265B2 (ja) 照明制御装置
KR101597664B1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JP4356940B2 (ja) 電子安定器付き照明器具に用いる調光センサ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1058154B1 (ko) 적외선 센서 조명 제어 장치
KR200430723Y1 (ko) 온도 조절기
KR20130033852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100233A (ko) 비상등 겸용 센서등
KR20140112993A (ko) 밝기조절이 가능한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