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187A -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187A
KR20160121187A KR1020150050834A KR20150050834A KR20160121187A KR 20160121187 A KR20160121187 A KR 20160121187A KR 1020150050834 A KR1020150050834 A KR 1020150050834A KR 20150050834 A KR20150050834 A KR 20150050834A KR 20160121187 A KR20160121187 A KR 20160121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velength
unit
warning message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410B1 (ko
Inventor
이순영
Original Assignee
이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영 filed Critical 이순영
Priority to KR102015005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41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5B37/02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투과창이 있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감지센서를 적외선이나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을 감지하여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불꽃감지부; 및 상기 불꽃감지부를 통해 수신되는 파장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저장하여 하나 이상의 일반파장정보를 생성하는 일반파장정보생성부, 상기 일반파장정보와 수신되는 파장과의 가용범위를 설정하는 범위설정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감지기를 통해 화재로 인식가능한 자외선, 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체가 위치한 특정 환경 내에서도 정확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불꽃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파장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파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까지 화재 경보를 출력치 않게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본 발명은 불꽃감지기를 통해 화재로 인식가능한 자외선, 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체가 위치한 특정 환경 내에서도 정확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불꽃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파장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파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까지 화재 경보를 출력치 않게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불꽃감지기란, 불, 화원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화재분별력 있는 특정 파장영역의 자외선파장이나 적외선파장에 의해 아날로그적 반응을 하는 자외선센서나 적외선센서에 의해 나타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가공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여 경보하는 화재감지기의 일종이다.
불꽃감지기가 비화재보(화재가 아닌 것을 화재로 판단하여 화재경보를 발하는 것)가 발생하는 것은 화재를 판단하는 요소로 특정 자외선이나 적외선 파장을 이용하는데 따른다.
즉, 자연계와 복잡, 첨단화된 환경하에서, 태양광, 할로겐등, 온열기, 용접, 방사능 유출장소, 뜨거운 물질 등이 화재로 인식할 수 있는 특정 파장대와 유사한 파장대의 자외선과 적외선을 방사하고 있어 비화재보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이 상존하고 이에따라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012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외선 감지센서 및 적외선 감지센서가 내장되어 화재 발생시 불꽃의 자외선과 적외선 파장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장치의 구조이다.
이러한 기존의 불꽃감지기는 전자파 또는 온열기에서 발생하는 자외선 및 적외선에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며 화재감지시 화재 초기의 적절한 대처를 위한 현장 상황 정보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불꽃감지기를 통해 화재로 인식가능한 자외선, 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체가 위치한 특정 환경 내에서도 정확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불꽃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파장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파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까지 화재 경보를 출력치 않게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파장대역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과창에 사파이어로 코팅하여 1차적 외란 요소를 제거한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경보를 발생케한 불꽃감지기로부터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출구방향까지 위치한 LED를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점멸토록 하여 화재발생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영상과 화재 영상을 자동으로 구분 저장하여 관리 및 유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화재발생 후 손쉽게 화재 영상을 검색 없이 찾을 수 있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시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문자 및 화재 동영상을 전송하여 무인상태일 때도 항상 화재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한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은, 전면에 투과창이 있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감지센서를 적외선이나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을 감지하여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불꽃감지부; 및 상기 불꽃감지부를 통해 수신되는 파장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저장하여 하나 이상의 일반파장정보를 생성하는 일반파장정보생성부, 상기 일반파장정보와 수신되는 파장과의 가용범위를 설정하는 범위설정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용범위는, 상기 일반파장정보생성부로부터 제1값까지의 제1범위와 상기 제1값부터 제2값까지의 제2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특정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되, 제2범위에 해당할 경우 화재예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꽃감지부의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에 포함된 불꽃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불꽃감지부가 파장을 감지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정 경보음을 울리고 수신된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재경고 메시지가 형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에 포함된 불꽃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기점으로 출구방향까지 복수개의 LED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상기 LED의 발광을 조절하는 LED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표시부에 출력되기 전에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간대보다 하루 또는 일주일 전의 시간대의 일반파장정보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비교한 후, 그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에서 설정된 가용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화재예방 메시지로 변경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꽃감지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파장이 수신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최저치 이하의 파장이 수신된다면 고장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시간범위와 가용범위를 설정하는 단기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상기 단기설정부에서 설정된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특정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상기 단기설정부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제어부에서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화재파장과 비교하여 화재의 종류을 검출하는 화재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화재검출부는, 화재의 종류가 검출되면, 상기 화재의 종류 및 상기 화재의 종류에 따른 화재진화 방법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감지기를 통해 화재로 인식가능한 자외선, 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체가 위치한 특정 환경 내에서도 정확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불꽃감지기로부터 수신되는 파장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파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까지 화재 경보를 출력치 않게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과창의 오염상태를 카메라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원인 분석, 화재위치 파악, 화재 확산 예측, 감지기 오작동 분석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화재 알람시 즉각적으로 현장상황 파악이 가능하여 적절한 화재진압 방법을 찾을 수 있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감지기의 광학, 전기전자기술과 영상기술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화재를 감지하여 불꽃 성능이 극대화되고 화재 발생 후,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가능한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영상과 화재 영상을 자동으로 구분 저장하여 관리 및 유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화재발생 후 손쉽게 화재 영상을 검색 없이 찾을 수 있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꽃시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문자 및 화재 동영상을 전송하여 무인상태일 때도 항상 화재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한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파장대역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과창에 사파이어로 코팅하여 1차적 외란 요소를 제거한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경보를 발생케한 불꽃감지기로부터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출구방향까지 위치한 LED를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점멸토록 하여 화재발생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영상과 화재 영상을 자동으로 구분 저장하여 관리 및 유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화재발생 후 손쉽게 화재 영상을 검색 없이 찾을 수 있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시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문자 및 화재 동영상을 전송하여 무인상태일 때도 항상 화재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한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이 실내에서 감지될 수 있는 여러 비화재보 요인들의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이 실내에서 화롯불을 비화재보로 인식하는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이 실내에서 화롯불을 비화재보로 인식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제어부가 화재발생 지점으로부터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불꽃감지부(100), 메인서버(200), 카메라부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300)를 포함한다.
불꽃감지부(100)는, 전면에 투과창이 있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감지센서를 적외선이나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을 감지하여 메인서버(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투과창은, 사파이어로 형성되되, 표면에 난반사 재질의 필름이 코팅되어 투과율을 향상시키거나 특정 파장대역의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재질의 필름을 코팅하여 특정 파장대역의 파장만을 투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이 실내에서 감지될 수 있는 여러 비화재보 요인들의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화재시 자외선 2.5~3nm 파장대역과 적외선 4~4.5μm 파장대역에서 가장 큰 민감도(강도, 세기)를 보이는 바, 이 파장대를 가장 잘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화재를 감지한다.
그러나, 아크(용접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꽃), 태양광, 온열기, 뜨거운 물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 파장 및 적외선 파장도 일부 존재하고 있어 비화재보가 발생할 경우, 화재경보기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고 이로 인한 비용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투과창은, 특정 파장대역의 파장이란 화재시 가장 구별되게 나타나는 대역인 자외선 파장(185~260nm)이나, 적외선 파장(4.0~4.5μm)의 파장대역만을 투과시키도록 AI코팅 또는 SIO2(산화실리콘)가 사파이어 재질의 표면에 코팅(증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서버(200)는, 일반파장정보생성부(210), 범위설정부(220), 제어부(230), LED조절부(240) 및 단기설정부(250)를 포함한다.
일반파장정보생성부(210)는, 상기 불꽃감지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파장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저장하여 하나 이상의 일반파장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하루로 설정된다면, 각 시간대별로 저장된 일반파장정보를 시간순서대로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일주일로 설정된다면, 각 시간대별로 저장된 일반파장정보를 시간순서 및 날짜순서별로 일주일로 저장하게 된다.
즉, 원하는 날짜순서별, 시간순서별로 일반파장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수신되는 파장의 날짜 및 시간에 해당하는 일반파장정보와 비교함에 따라, 실내 환경의 변화가 주기적이라면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임의적으로 가용범위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이 실내에서 화롯불을 비화재보로 인식하는 예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이 실내에서 화롯불을 비화재보로 인식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화롯불에 대한 파형을 가용범위 내에 위치시키지 않았다면 화롯불을 켜는 순간부터 화재경보가 울렸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가용범위 내에 위치시켰기 때문에 화롯불을 켜더라도 화재경보가 울리지 않게 하였다.
또한, 무조건적으로 가용범위를 크게 했을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 무조건 적으로 가용범위를 넓게 설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장, 가정집 등과 같이 실내 환경이 시간대별로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환경이라면, 기준점(일반파장정보)을 시간대별로 설정하고, 입력되는 파형을 해당하는 시간대의 기준점(일반파장정보)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가용범위 내에 있을 경우 안전하다 판단하고,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가 발생했다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위설정부(220)는, 상기 일반파장정보와 수신되는 파장과의 가용범위를 설정한다.
즉, 일반파장정보생성부(210)에서 생성되는 일반파장정보와 수신되는 파장과의 파장의 크기 차이 범위(가용범위)를 설정하여 수신되는 파장의 크기가 일반파장정보와 비교하여 크기 차이 범위(가용범위) 내에 존재하면 안전하다 판단하고 크기 차이 범위(가용범위)를 초과하면 화재가 발생했다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용범위는, 상기 일반파장정보생성부(210)로부터 제1값까지의 제1범위와 상기 제1값부터 제2값까지의 제2범위를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되, 제2범위에 해당할 경우 화재예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즉, 수신되는 파장이 제1범위 내에 위치하면 안전, 제2범위 내에 위치하면 위험 제2범위를 초과하면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하도록 한다.
총 3단계로 화재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화재를 판단할 수 있고, 오작동을 감소시키는게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특정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표시부에 출력되기 전에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간대보다 하루 또는 일주일 전의 시간대의 일반파장정보와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비교한 후, 그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가용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화재예방 메시지로 변경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즉, 제어부(230)는,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특정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표시부에 출력되기 전에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간대보다 하루 또는 일주일 전의 시간대의 일반파장정보와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비교한 후, 그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가용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화재예방 메시지로 변경하여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만약,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표시부에 출력되기 전에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간대보다 하루 또는 일주일 전의 시간대의 일반파장정보와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비교한 후, 그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30)는,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특정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되, 제2범위에 해당할 경우 화재예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의 제어부(230)가 화재발생 지점으로부터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LED조절부(240)는,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화재경고 메시지가 형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에 포함된 불꽃감지부(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기점으로 출구방향까지 복수개의 LED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상기 LED의 발광을 조절한다.
즉, 복수개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되, 불꽃감지부(100)를 기점으로 하나 이상의 출구방향까지 위치한 모든 복수개의 LED를 출구방향으로 점멸시켜 화재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상기 불꽃감지부(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파장이 수신되지 않거나 미리설정된 최저치 이하의 파장이 수신된다면 고장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즉, 불꽃감지부(100)로부터 파장이 감지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최저치 이하의 파장이 수신된다면 정상상황이 아닌 이상상황이라 판단하고, 관리자가 센서의 불량여부, 감시창의 오염여부, 회로이상, 단선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기설정부(250)는, 시간범위와 가용범위를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상기 단기설정부(250)에서 설정된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특정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상기 단기설정부(250)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100)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즉, 특정 실내환경 하에서 불을 사용하거나 자외선, 적외선 파장이 높은 작업을 단기설정부(250)에서 설정된 시간이상 하게 된다면 관리자는 단기 설정부에서 설정된 시간동안만 가용범위를 용도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기설정부(250)에서 설정된 시간이 지나게 되면 범위설정부(220)에서 설정된 가용범위 그대로 사용되게 된다.
카메라부는, 상기 불꽃감지부(100)의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에 포함된 불꽃감지부(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불꽃감지부(100)가 파장을 감지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메인서버(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메인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그리고, 메인서버(200)의 제어부(230)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3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클라이언트(300)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정 경보음을 울리고 수신된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200)는, 화재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화재검출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화재파장과 비교하여 화재의 종류을 검출한다.
여기서, 화재파장은, 제1화재파장, 제2화재파장, 제3화재파장 및 제4화재파장을 포함한다.
목재, 종이, 섬유 등 가연물에 의한 화재시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제1파장이 저장된 제1화재파장, 유류, 가스 등 가연성 액체나 기체로 인한 화재시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제2파장이 저장된 제2화재파장, 누전, 수변전 설비 등의 전기로 인한 화재시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제3파장이 저장된 제3화재파장, 가연성 금속 및 금속분으로 인한 화재시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제4파장이 저장된 제4화재파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재검출부는, 화재의 종류가 검출되면, 상기 화재의 종류 및 상기 화재의 종류에 따른 화재진화 방법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화재파장으로 인한 화재인 경우 분말소화기를 사용하여 진화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표시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해주고, 제2파장으로 인한 화재인 경우 분말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소화기 및 포말소화기를 사용하여 진화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표시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해주며, 제3파장으로 인한 화재인 경우 분말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소화기를 사용하여 진화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표시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해주고, 제4파장으로 인한 화재인 경우 금속소화기를 사용하여 진화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표시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화재의 종류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고, 화재의 종류에 따라 각 화재에 적합한 소화기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해주기 때문에 빠르고 적합한 화재 진화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불꽃감지부 200: 메인서버
210: 일반파장정보생성부 220: 범위설정부
230: 제어부 240: LED조절부
250: 단기설정부 300: 사용자 클라이언트

Claims (9)

  1. 전면에 투과창이 있는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감지센서를 적외선이나 자외선 또는 적외선 및 자외선 영역에 해당하는 파장을 감지하여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불꽃감지부; 및
    상기 불꽃감지부를 통해 수신되는 파장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저장하여 하나 이상의 일반파장정보를 생성하는 일반파장정보생성부, 상기 일반파장정보와 수신되는 파장과의 가용범위를 설정하는 범위설정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범위는,
    상기 일반파장정보생성부로부터 제1값까지의 제1범위와 상기 제1값부터 제2값까지의 제2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날짜 및 시간대에 해당하는 특정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되, 제2범위에 해당할 경우 화재예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감지부의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에 포함된 불꽃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불꽃감지부가 파장을 감지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정 경보음을 울리고 수신된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화재경고 메시지가 형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에 포함된 불꽃감지부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기점으로 출구방향까지 복수개의 조명이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상기 조명의 발광을 조절하는 조명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표시부에 출력되기 전에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된 날짜 및 시간대보다 하루 또는 일주일 전의 시간대의 일반파장정보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비교한 후, 그 비교값이 상기 범위설정부에서 설정된 가용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를 화재예방 메시지로 변경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꽃감지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파장이 수신되지 않거나 미리 설정된 최저치 이하의 파장이 수신된다면 고장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시간범위와 가용범위를 설정하는 단기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과 상기 파장이 감지되는 상기 단기설정부에서 설정된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특정 일반파장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비교값이 상기 단기설정부에서 설정된 가용범위를 초과할 경우 화재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화재경고 메시지와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제어부에서 화재경고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불꽃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파장을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화재파장과 비교하여 화재의 종류을 검출하는 화재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화재검출부는,
    화재의 종류가 검출되면, 상기 화재의 종류 및 상기 화재의 종류에 따른 화재진화 방법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20150050834A 2015-04-10 2015-04-10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1720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834A KR101720410B1 (ko) 2015-04-10 2015-04-10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834A KR101720410B1 (ko) 2015-04-10 2015-04-10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187A true KR20160121187A (ko) 2016-10-19
KR101720410B1 KR101720410B1 (ko) 2017-03-27

Family

ID=5725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834A KR101720410B1 (ko) 2015-04-10 2015-04-10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4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1132A (zh) * 2017-08-04 2017-11-07 深圳航天智慧城市系统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城市火灾隐患动态预测监控的方法及系统
CN107949131A (zh) * 2017-12-14 2018-04-20 太仓鼎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防盗防火及照明控制系统
KR101889505B1 (ko) * 2017-04-03 2018-08-17 이도희 해양플랜트용 화재 감지기
KR102001595B1 (ko) * 2019-04-08 2019-10-01 주식회사 코어세이프티 화재감지 오보 방지기능을 구비한 화재감지기 및 이의 오동작 판별 방법
JP2019166320A (ja) * 2018-03-23 2019-10-03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消火システムおよび消火方法
CN111947248A (zh) * 2020-07-27 2020-11-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消毒机、消毒机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994B1 (ko) 2020-09-10 2021-07-1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비화재보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감지 시스템
US11959857B2 (en) 2020-09-25 2024-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Raman scatter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ue fire using the apparatus
US11747270B2 (en) 2020-11-23 2023-09-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ire det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dual optical waveleng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742A (ko) * 2005-01-28 2005-02-21 전춘기 진단 및 교정 기능을 가지는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3362A (ko) * 2008-08-21 2010-03-04 랜스(주)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화재 방어시스템
KR20100023593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니즈텍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KR101098969B1 (ko) * 2010-08-06 2011-12-28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태양광에 연동하여 감도 자동조절되는 화재감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6742A (ko) * 2005-01-28 2005-02-21 전춘기 진단 및 교정 기능을 가지는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3362A (ko) * 2008-08-21 2010-03-04 랜스(주)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화재 방어시스템
KR20100023593A (ko) *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니즈텍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KR101098969B1 (ko) * 2010-08-06 2011-12-28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태양광에 연동하여 감도 자동조절되는 화재감지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505B1 (ko) * 2017-04-03 2018-08-17 이도희 해양플랜트용 화재 감지기
CN107331132A (zh) * 2017-08-04 2017-11-07 深圳航天智慧城市系统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城市火灾隐患动态预测监控的方法及系统
CN107949131A (zh) * 2017-12-14 2018-04-20 太仓鼎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防盗防火及照明控制系统
JP2019166320A (ja) * 2018-03-23 2019-10-03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消火システムおよび消火方法
KR102001595B1 (ko) * 2019-04-08 2019-10-01 주식회사 코어세이프티 화재감지 오보 방지기능을 구비한 화재감지기 및 이의 오동작 판별 방법
WO2020209528A1 (ko) * 2019-04-08 2020-10-15 주식회사 코어세이프티 화재감지 오보 방지기능을 구비한 화재감지기 및 이의 오동작 판별 방법
CN111947248A (zh) * 2020-07-27 2020-11-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消毒机、消毒机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410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10B1 (ko)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US11326955B2 (en) Intelligent flame thermogram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infrared
US8228182B2 (en) Self-testing notification appliance
US6967582B2 (en) Detector with ambient photon sensor and other sensors
CA2995121C (en) Flame detectors and testing methods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864612B1 (ko) 자동 환기 시스템과 연동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JP6360673B2 (ja) 火災感知器
JP2019508791A (ja) 照明兼用火災感知装置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816769B1 (ko) Ip 카메라와 화염 감지부가 결합된 화재감지기 및 그의 화재감지 방법
JP2019179573A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US20170023402A1 (en) Ultraviolet light flame detector
RU150429U1 (ru) Автономное сигналь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2015111327A (ja) 自動火災報知設備
JP6396750B2 (ja) 火災感知器又は火災警報器
Rose-Pehrsson et al. Volume sensor for damage assessment and situational awareness
JP7138521B2 (ja) 物体検出センサ及び警報器
JP6321403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KR100947059B1 (ko) 불꽃감지기
KR20160097779A (ko) 가상 불꽃 생성 장치
TWI521479B (zh) Abnormal detection device
TWM498932U (zh) 異常偵測裝置
KR102286478B1 (ko) 복합형 화재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