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848A -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848A
KR20160120848A KR1020150049762A KR20150049762A KR20160120848A KR 20160120848 A KR20160120848 A KR 20160120848A KR 1020150049762 A KR1020150049762 A KR 1020150049762A KR 20150049762 A KR20150049762 A KR 20150049762A KR 20160120848 A KR20160120848 A KR 20160120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pixel
electrode connected
gate electrode
drai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177B1 (ko
Inventor
이안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17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표시패널은 N개(N은 자연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1 화소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제1 화소가 제공되는 제1 서브 표시부; 및 M 개(M은 N과 상이한 자연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2 화소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제2 화소가 제공되는 제2 서브 표시부를 포함하며, 제2 서브 표시부는 일 방향을 따라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DISPLAY PANEL}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드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드 표시패널이 개발되고 있는데, 휘어진 표시패널은 곡면을 갖는 표시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입체감, 몰입감 및 임장감이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브드 표시패널의 평평한 주요 영역과 커브드 영역을 구성하는 화소들은 같은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브드 표시패널의 제작에 있어서, 평평한 형상을 갖는 주요 영역의 화소 회로는 아날로그 구동을 하는 구동회로로 구현하는데 반해,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드 영역의 화소 회로는 디지털 구동을 하는 구동회로로 구현한다. 그에 따라 커브드 영역의 회로를 간소화하고, 본 발명의 제작에 있어서 공정상의 효율성을 높이고, 커브드 영역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은 N개(N은 자연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1 화소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제1 화소가 제공되는 제1 서브 표시부; 및 M 개(M은 N과 상이한 자연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2 화소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제2 화소가 제공되는 제2 서브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 표시부는 일 방향을 따라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주요 영역의 구동 회로는 종래 아날로그 구동을 하는 아날로그 구동회로로 구현된다. 이에 반해, 커브드 영역의 구동 회로는 디지털 구동을 하는 디지털 구동회로로 구현된다. 디지털 구동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아날로그 구동회로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개수보다 적으므로, 커브드 영역에 구비되는 회로가 간소화 되고, 커브드 영역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화소의 구동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화소의 구동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시패널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1000)는 표시패널(400), 제어부(100),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400)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패널(400)은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능동형 표시패널이 아닌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표시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기 표시패널(400)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4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400)의 후방에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이 배치 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표시패널(4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패널(400)에 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패널(400)은 게이트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방향(D1)과 평행한 복수의 게이트라인들(GL1~GLn, n은 자연수)이 연결되고 제2 방향(D2)과 평행한 복수의 데이터라인들(DL1~DLm, m은 자연수)이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라인들(GL1~GLn)과 상기 데이터라인들(DL1~DLm)은 서로 절연되며 교차한다. 상기 표시패널(400)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 영역들이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에는 다수의 화소들(PX)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화소들(PX)은 화소(SPX)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소(PX)들은 박막 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를 각각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라인들(GL1~GLn)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데이터라인들(DL1~DLm)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캐패시터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1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입력 영상신호(RGB) 및 제어신호(CS)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기(100)는 상기 제어신호(CS), 예를 들면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메인 클럭,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을 입력 받아 제1 제어신호(G-CS), 제2 제어신호(D-CS)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10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의 인터페이스 사양에 맞도록 상기 입력 영상신호(RGB)의 데이터 포맷을 변환한다. 데이터 포맷이 변환된 출력 영상신호(R’G’B’)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제1 제어신호(G-CS)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이다. 상기 제1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클럭 및 수직개시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100)는 상기 제어신호(CS)로부터 베이스 클럭 및 게이트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베이스 클럭 및 상기 게이트 인에이블 신호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클럭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신호(D-CS)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신호이다. 상기 제2 제어신호(D-CS)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평개시신호,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신호,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압이 출력되는 시기를 결정하는 출력지시신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는 상기 표시패널(400)에 구비된 상기 게이트라인들(GL1~GLn)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라인들(GL1~GLn)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는 상기 제1 제어신호(G-CS)에 기초하여 상기 게이트라인들(GL1~GLn)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라인들(GL1~GLn)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상기 제2 제어신호(D-CS)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영상신호(R’G’B’)가 변환된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들(DL1~DLm)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패널(400)은 OLED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상기 OLED 패널의 화소들은 유기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OLED 패널은상기 유기 물질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킨다. 상기 OLED 패널은 선명도와 명암비가 다른 패널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전술한 내용은 상기 표시패널(400)의 구동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패널(400)은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기 표시패널(4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패널(400)은 부분적으로 커브드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표시패널(400)은 밴딩축(IL)을 기준으로 상기 밴딩축(IL)의 좌측에 제공되는 제1 표시부(FP)와 상기 밴딩축(IL)의 우측에 제공되는 제2 표시부(BP)를 포함한다. 상기 밴딩축(IL)은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딩축(IL)은, 상기 표시 패널(400)의 우측의 에지로부터 제1 거리(DT1)만큼 떨어져 정의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400)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단변 및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축(IL)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400)의 좌측의 에지까지는 제2 거리(DT2)가 정의 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FP)는 휘어지지 않으며,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FP)는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단변 및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FP)의 단변은 상기 제2 거리(DT2)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BP)는 상기 밴딩축(IL)에 인접한 라운드 부분(BP1)과 상기 라운드 부분(BP1)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연속한 플랫 부분(BP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표시부(BP)는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BP)는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단변 및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BP)의 단변은 상기 제1 거리(DT1)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거리(DT1)는 상기 제2 거리(DT2)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표시부(BP)는 상기 제1 표시부(FP)로부터 연장되고, 휘어진 형상을 가지면 충분하고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2 표시부(BP)는 플랫한 부분 없이 상기 밴딩축(IL)의 우측으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표시부(FP), 및 상기 제2 표시부(BP)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FP)를 메인 화면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2 표시부(BP)를 서브 화면으로 사용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FP)는 동영상과 같은 영상의 표시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상기 제2 표시부(BP)는 정지 영상과 같은 영상의 표시용도로 주로 사용 된다.
그 결과, 상기 제1 표시부(FP)를 통해 표시되는 동영상의 빈도수는 상기 제2 표시부(BP)를 통해 표시되는 동영상 빈도수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부(FP)를 통해 표시되는 정지영상의 빈도수는 상기 제2 표시부(BP)를 통해 표시되는 정지영상의 빈도수보다 작다. 상기 정지영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텍스트와 같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400)은 상기 화소들(PX,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표시부(FP)는 복수 개의 제1 화소(PX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부(BP)는 복수개의 제2 화소(PX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1 표시부(FP)의 제1 면적은 상기 제2 표시부(BP)의 제2 면적보다 넓다. 따라서, 상기 제1 표시부(FP)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화소(PX1)의 개수는 상기 제2 표시부(BP)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2 화소(PX2)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화소(PX1)에 구비되는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상기 제2 화소(PX2)에 구비되는 트랜지스터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 화소(PX1) 중 제e, 및 e-1 게이트 라인(GLe, GL(e-1), e는 1보다 큰 자연수, 제(e-1) 게이트 라인은 제e 게이트 라인의 전 게이트 라인을 지칭)에 연결되고, 제f 데이터 라인(DLf)에 연결되는 화소를 도시 하였다.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제1 화소(PX1)는 제1 게이트라인들(GL1~GLk, k는 n보다 작은 자연수, e는 2이상 k이하의 자연수)과 제1 데이터라인들(DL1~DLp, p는 m보다 작은 자연수, f는 1이상 p이하의 자연수)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화소(PX1)는 제1 유기발광다이오드(OLED1)와 제1 화소 구동회로(PDC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화소의 구동회로(PDC1)는 구동 트랜지스터인 제1 트랜지스터(T1), 스위칭 트랜지스터인 제2 트랜지스터(T2), 문턱전압보상용 트랜지스터인 제3 트랜지스터(T3), 초기화용 트랜지스터인 제4 트랜지스터(T4), 발광전압공급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인 제5 트랜지스터(T5), 구동전류 공급 스위칭 트랜지스터인 제6 트랜지스터(T6), 및 데이터신호 저장용 제1 캐패시터(Cst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X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소스전극은 제2 노드(X2)에 연결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은 제3 노드(X3)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제4 노드(X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소스전극은 제1 데이터라인들(DL1~DLp)에 연결된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노드(X2)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게이트라인들(GL1~GLk)은 상기 제4 노드(X4)에 연결된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4 노드(X4)에 연결되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T3)의 소스전극은 상기 제1 노드(X1)에 연결된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T1)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3 노드(X3)에 연결된다.
상기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은 전 게이트 라인들에 연결되고, 상기 제4 트랜지스터(T4)의 소스전극은 초기화 전압원(Vini)과 연결된다. 상기 제4 트랜지스터(T4)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1 노드(X1)에 연결된다.
발광 제어신호는 발광 제어 라인(ECL)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발광 제어 라인(ECL)은 상기 제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제5 트랜지스터(T5)의 소스전극은 제1 발광 전압원(V1)과 연결되고 상기 제5 트랜지스터(T5)의 드레인 전극은 제2 노드(X2)와 연결된다.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발광 제어 라인(ECL)에 연결되고,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의 소스전극은 상기 제3 노드(X3)에 연결된다.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1 유기발광다이오드(OLED1)의 애노드 전극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캐패시터(Cst1)의 일단은 상기 제1 발광 전압원(V1)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노드(X1)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데이터라인들(DL1~DLp)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구동전류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상기 제1 데이터라인들(DL1~DLp)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캐패시터(Cst1)는 상기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저장한다.
상기 제3 트랜지스터(T3)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전압을 보상한다. 상기 제4 트랜지스터(T4)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초기화한다.
상기 제5 트랜지스터(T5)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1 발광전압원(V1)으로부터 발생되는 발광전압의 공급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제1 유기발광다이오드(OLED1)로 흐르는 제1 구동전류(I1)의 공급을 스위칭한다.
상기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1)의 캐소드 전극은 제2 발광전압원(V2)를 통해 발광전압을 인가 받는다. 상기 제1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1)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가 상기 제6 트랜지스터(T6)에 공급하는 제1 구동전류(I1)량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1 화소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발광다이오드(OLED1)를 효과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on전류가 큰 것이 좋다. 한편 상제 제2 트랜지스터(T2)는 off전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off전류가 크면 off상태에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가 상기 제1 캐패시터(Cst1)에 저장된 상기 제1 데이터라인들(DL1~DLp)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의 방전패스로 작용하므로, 1프레임동안 데이터를 충분히 유지시켜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턴 온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는 off전류가 작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는 on전류가 큰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화소 구동회로(PDC1)은 예를 들어, 아날로그 구동 방식으로 구동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PDC1)는 상기 제1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제공되는 제1 구동 전류(I1)의 크기를 조절 하여, 상기 제1 유기발광다이오드(OLED1)에서 생성되는 광의 휘도를 제어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화소의 회로도 이다.
도 4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2 화소(PX2) 중 제g 게이트 라인(GLg)에 연결되고, 제h 데이터 라인(DLh)에 연결되는 제2 화소(PX2)을 도시 하였다.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제2 화소(PX2)는 제2 게이트라인들(GL(k+1)~GLn, g는 k+1이상 n이하의 자연수)과 제2 데이터라인들(DL(p+1)~DLm, h는 p+1이상 m이하의 자연수)이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화소(PX2)는 제2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와, 제2 화소 구동회로(PDC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제2 화소의 구동회로(PDC2)는 구동 트랜지스터인 제7 트랜지스터(T7), 스위칭 트랜지스터인 제8 트랜지스터(T8), 및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인 제9 트랜지스터(T9)를 포함한다.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의 소스 전극은 제3 발광전압원(V3)을 통해 발광전압을 제공받고,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다.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게이트라인들(GL(k+1)~GLn)에 연결된다.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제2 데이터라인들(DL(p+1)~DLm)에 연결된다.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의 드레인 전극은 제5 노드(X5)에 연결된다.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은 상기 제2 게이트라인들(GL(k+1)~GLn)을 통해 제공받은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된다. 턴 온된 상기 제8 트랜지스터(T8)은 상기 제2 데이터라인들(DL(p+1)~DLm)을 통해 제공 받은 데이터신호를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에 제공한다.
상기 제2 캐패시터(Cst2)의 일단은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캐패시터(Cst2)는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상기 제 8트랜지스터(T8)이 턴 오프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의 게이트 전극은 발광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발광 제어 라인(ECL)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된다.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다. 턴 온된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는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에 흐르는 제2 구동전류(I2)를 상기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2)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2)의 캐소드 전극은 제4 발광전압원(V4)를 통해 공급되는 발광전압를 인가 받는다. 상기 제2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2)는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를 통해 상기 제7 트랜지스터(T7)가 공급하는 상기 제2 구동전류(I2)량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한다..
도 4에 도시된 구동회로에서 상기 제2 캐패시터(Cst2)와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 구동회로(PDC2)는 예를 들어,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구동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화소 구동 회로(PDC2)는 상기 제2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에 제공되는 상기 제2 구동 전류(I1)가 제공되는 시간축 상의 구간을 조절 하여, 상기 제2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에서 생성되는 광의 휘도를 제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화소 구동 회로(PDC1, 도 3에 도시됨) 는 6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 구동 회로(PDC2)의 구동회로는 3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 또는 텍스트 영상 표시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상기 제2 표시부(BP)의 구동회로에 제공되는 소자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상기 제2 표시부(BP)의 회로를 간소화하고, 상기 제2 표시부(BP)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00: 표시패널 IL: 밴딩축
PX1: 제1 화소 PX2: 제2 화소
FP: 제1 표시부 BP: 제2 표시부

Claims (13)

  1. N개(N은 자연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1 화소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제1 화소가 제공되는 제1 표시부; 및
    M 개(M은 N과 상이한 자연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제2 화소 구동회로를 구비하는 제2 화소가 제공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부는 일 방향을 따라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휘어지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상기 M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의 제1 구동 방식은 상기 제2 화소의 제2 구동 방식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5. 상기 제1 구동 방식은 아날로그 구동 방식이고, 상기 제2 구동 방식은 디지털 구동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구동 방식은 유기발광소자에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통해 유기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조절하고,
    상기 디지털 구동 방식은 유기발광소자에 제공되는 전류의 시간조절을 통해 유기발광소자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 구동회로는
    제1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K+1(K는 자연수)번째 발광 제어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제5 트랜지스터;
    K+1번째 스캔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 K+1번째 제1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5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K+1번째 발광 제어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제6 트랜지스터;
    상기 제6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을 구비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5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1 캐패시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상기 K+1(K는 자연수)번째 스캔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K번째 스캔 라인에 스캔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 초기화 전압 라인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는 상기 제6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2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1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 구동회로는
    제3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을 구비하는 제7 트랜지스터; 및
    L(L은 자연수)번째 스캔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 L번째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구비하는 제8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는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4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2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제2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캐패시터의 일단이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제9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9 트랜지스터는 L번째 발광 제어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7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소스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소는 상기 제9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4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는 제2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정지 영상의 빈도수는 상기 제1 서브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정지 영상의 빈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 또는 텍스트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동영상 빈도수는 상기 제2 서브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동영상 빈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KR1020150049762A 2015-04-08 2015-04-08 표시 패널 KR10235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62A KR102353177B1 (ko) 2015-04-08 2015-04-08 표시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762A KR102353177B1 (ko) 2015-04-08 2015-04-08 표시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848A true KR20160120848A (ko) 2016-10-19
KR102353177B1 KR102353177B1 (ko) 2022-01-20

Family

ID=5725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762A KR102353177B1 (ko) 2015-04-08 2015-04-08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0916A (zh) * 2019-06-27 2020-1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曲面显示屏及其驱动方法和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436A (ko) * 2004-12-23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소자를 내장한 표시 장치
KR20080013281A (ko) * 2006-08-08 2008-0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10013689A (ko) * 2009-08-03 2011-02-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30271661A1 (en) * 2010-12-28 2013-10-1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KR20150009861A (ko) * 2013-07-17 2015-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32071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436A (ko) * 2004-12-23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소자를 내장한 표시 장치
KR20080013281A (ko) * 2006-08-08 2008-0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10013689A (ko) * 2009-08-03 2011-02-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30271661A1 (en) * 2010-12-28 2013-10-17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KR20150009861A (ko) * 2013-07-17 2015-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32071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0916A (zh) * 2019-06-27 2020-12-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曲面显示屏及其驱动方法和电子设备
CN112150916B (zh) * 2019-06-27 2022-05-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曲面显示屏及其驱动方法和电子设备
US11527218B2 (en) 2019-06-27 2022-12-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urved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177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6610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787431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889650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30548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thereof
WO2016065789A1 (zh) 阵列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7482997B2 (en) Voltage/current driven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937867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566176B2 (ja) 表示駆動回路
CN112992069A (zh) 显示控制装置、显示装置、记录介质及控制方法
JP200729326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1004343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ith pixel shifting compensation data
JP6803450B2 (ja) 発光表示装置
KR10203751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9111496B2 (en)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precharge period
JP2011128442A (ja) 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079599A (ja) 画像表示装置
JP2013003364A (ja) 画像処理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2353177B1 (ko) 표시 패널
KR20160117817A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073928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623354B1 (ko) 멀티 비전 장치 및 멀티 비전 장치에 포함된 표시 장치
US9959817B2 (en) Display and scanning method thereof
KR1023069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153455A1 (en) Gray inser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82171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