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640A -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640A
KR20160120640A KR1020150049976A KR20150049976A KR20160120640A KR 20160120640 A KR20160120640 A KR 20160120640A KR 1020150049976 A KR1020150049976 A KR 1020150049976A KR 20150049976 A KR20150049976 A KR 20150049976A KR 20160120640 A KR20160120640 A KR 20160120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liding
ventila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이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환 filed Critical 이규환
Priority to KR102015004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640A/ko
Publication of KR2016012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창틀, 중부 창틀, 하부 창틀이 구획된 프레임을 갖고, 상부 창틀에 상부 환기 창호가 장착되고, 하부 창틀에 하부 루버 창호가 장착되고, 중부 창틀에 미닫이 창호 및 여닫이 창호가 각각 1 이상 장착되되, 상기 프레임은 발코니 난간 측에 인접한 외부 레일로 지지되면서, 실내 측에 배치된 타 외부 레일을 침범하지 않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기존 건축물의 외부(외벽)에 제공되는 실외(난간) 측 레일과의 결합만으로 기존 창호와 함께 이중 창호의 구성을 달성하며, 이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각 창호에 제공된 블라인드는 외부 일사 차단 및 프라이버시 보호 효과를 제공하고, 중부 창틀에 제공되는 개폐 가능한 집진 필터용 창호를 통하여 가시성 확보, 미세먼지 차단, 실내공기 환기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중부 창틀의 환기구를 통하여, 빗물 유입 차단, 방범 문제 해소, 환기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창호 시스템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주로 주거용 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방충망을 위해 제공된 레일을 활용하여, 특히 에너지 절감을 위한 이중 창호 내지 차양을 위한 외부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베란다 난간 측에 설치된 외부 레일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대적으로 자원의 고갈과 온난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대책으로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절약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새롭게 건축물을 신축하는 경우는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미 준공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존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절약 대책은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기존 건축물은 그 수가 엄청나게 많고 또한 거의 미진한 건설기술로 지어진 관계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기술적 요소가 누락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그 결과 기존 건축물을 통한 에너지 손실이 막대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리 창문을 통한 에너지 손실이 가장 심각하게 일어나는 부분으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아파트를 포함한 건축물의 외벽은 벽체(2)와 창문(8a, 8b)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축물에서 창문의 역할은 (ⅰ) 시각적인 조망역할, (ⅱ) 외부 빛을 받아들이는 역할, (ⅲ)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역할, (ⅳ)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을 위한 역할 등이 있다.
공동주택 중 아파트 발코니 외측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창문(8a, 8b)과 창문틀(4, 14)을 살펴보면 실내 측으로 2개 이상의 창문 레일이 설치되어 유리가 결합되어 있는 창문(6a, 16a, 8a)(6b, 16b, 8b)을 서로 부딪히지 않고 미닫이(미서기라고도 함. 이하 같음)로 열고 닫게 되어 있으며, 외부 측으로 1개의 레일이 설치되어 방충망 창호(6c, 16c, 18)를 설치하고 있다.
이때 방충망 창호(6c, 16c, 18)의 가로 폭은 레일의 전체 가로 폭의 1/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옆으로 밀어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된다.
벽체(2)는 외부의 온도를 차단하는 단열재가 포함되어 있어 외부온도에 의한 실내의 온도 변화 영향이 적은 반면 창문(8a, 8b)은 유리부분에 단열재를 포함할 수 없는 관계로 외부의 온도를 차단하는 성능이 적고 그 결과 창문을 통해 실내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그래서 창문을 통한 외부 온도의 영향을 적게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창문의 면적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창문을 통한 외부의 온도영향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유리창을 복층창(2중 유리창), 3중 유리창 등으로 하거나, 단창 또는 복층창으로 구성된 창문을 2개 이상 설치하는 2중 창문 또는 3중 창문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복층창 또는 3중 유리창은 (ⅰ) 제작 기술의 난이도가 높아 결국 제품의 가격이 높고, (ⅱ) 1개의 창문에 3개의 유리가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무게가 무거워 청소 등을 위한 탈부착 등의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단창 또는 복층창으로 구성된 창문을 2중 창문 또는 3중 창문으로 구성하는 경우는 추가되는 창문만큼 창문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창문틀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어 실내공간이 그만큼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 이미 (발코니 난간에 인접해서) 창문틀과 창문이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인 경우는 추가로 창문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실외 측으로 창문틀을 추가하는 것은 발코니 난간(20)으로 막혀 추가 설치가 어렵고, 결국 실내 측으로 추가 창문틀을 설치해야 하는 관계로 (ⅰ) 실내 공간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ⅱ) 기존 창문 주변의 마감재 등을 모두 철거한 후에 창문을 추가하고 다시 마감재를 새롭게 시공해야 하는 점, (ⅲ) 새로운 창문틀 설치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는 점, (ⅳ) 철거와 새로운 설치 및 마감공사 등으로 거주자가 재실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점 등 많은 단점이 있으며, 결국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외부의 온도 영향을 적게 받고자 하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환경 개선 노력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환경 오염의 영향으로 외부 공기 질도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10μm 이하의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초미세먼지는 3μm 이하) 발생빈도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호흡기 질환을 비롯한 각종 질환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유해성 외부 공기 발생 이외에도 주거 공간에서의 실내 공기 오염도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서, 실내 공기의 오염을 줄이려면 적정한 환기를 실시함으로써 실내 공기 오염도를 낮출 수 있다.
이때 실내 공기 오염을 낮추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외부 창문을 개방하여 외부 공기와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외부에서 (초)미세먼지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외부 창문을 개방해서 실내 환기를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초)미세먼지를 걸러내는 미세먼지 집진필터를 설치하여 환기를 실시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미세먼지 집진필터가 외부창문의 가시성을 훼손시키므로, 미세먼지 집진필터를 장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코니 난간과 창호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이중 창호 내지 차양을 위한 외부 블라인드를 구현하되, 실내 측으로 창문틀을 추가 설치함 없이 실내 공간을 확보하면서, 기존 설치물에 대한 철거 공사 없이 거주자의 재실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 창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외부창문의 가시성을 확보하면서도 (초)미세먼지의 실내유입을 막을 수 있고, 적정하게 오염된 실내공기도 환기시킬 수 있는 창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호 시스템은, 발코니 난간과 창호 장착용 외부 레일들이 제공되는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레일에 장착되는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으로 지지되는 내부 레일, 상기 내부 레일에 장착된 적어도 1 이상의 미닫이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의 개방 면적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1 이상의 여닫이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외곽 프레임은 발코니 난간에 인접한 외부 레일을 제외한 타 외부 레일들을 침범하지 않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내부 레일은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개폐 이동이 실내측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실외측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상기 미닫이 프레임에는 블라인드가 장착되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에는 블라인드와 방충망이 장착되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미닫이 프레임과 상기 여닫이 프레임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개방시에 상기 미닫이 프레임이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폐쇄 위치로 미닫이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부 창틀, 중부 창틀, 하부 창틀이 구획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창틀에는 상부 환기 창호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창틀에는 하부 루버 창호가 장착되고, 상기 중부 창틀에는 미닫이 창호와 여닫이 창호가 각각 적어도 1 이상 장착된다.
상기 여닫이 창호는 상기 중부 창틀 또는 상기 미닫이 창호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이로 개폐된다.
상기 프레임은 발코니 난간 측에 인접한 외부 레일로 지지되면서, 실내 측에 배치된 타 외부 레일을 침범하지 않도록 소정 두께를 가진다.
한편, 상기 유리 창호는 좌측 창호, 우측 창호, 중앙 창호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우측이 상기 중앙 창호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우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좌측이 상기 중앙 창호와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유리 창호는 좌측 창호, 우측 창호, 중앙 창호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좌측이 상기 중부 창틀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우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우측이 상기 중부 창틀과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환기 창호는 루버 창호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 환기 창호는 실외 측을 향하여 밀폐 창호, 집진 필터 창호, 방충 창호가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밀폐 창호와 상기 집진 필터 창호는 미닫이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환기 창호에 설치된 미닫이 창호는 상부 창틀의 중공부와 환기구를 슬라이딩하면서 환기구를 개폐한다.
상기 밀폐 창호 및 상기 집진 필터 창호의 미닫이 개폐 동작에 제공되도록 각 창호에 대응하여 풀리가 설치되는 바, 이 풀리는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고, 이 풀리에는 벨트가 연결된다.
상기 벨트는 일단이 밀폐 창호, 집진 필터 창호 등 상기 각 미닫이 창호에 연결되며 상기 풀리의 회전과 상기 미닫이 창호의 개폐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벨트에는 연결선이 연결되고, 이 연결선의 중앙에는 사용자를 위한 손잡이가 제공되며, 이 연결선 타단에는 상기 미닫이 창호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연결선은 사용자가 상기 연결선에 제공된 손잡이를 잡을 수 있도록, 적정 높이까지 아래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연결선에 인력이 가해지고, 가해진 인력에 상응하여 벨트가 이동하면서 풀리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미닫이 창호가 개폐된다.
상기 상부 창틀은 실외 측으로 연장 형성된 차양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기존 건축물의 외부(외벽)에 제공되는 실외(난간) 측 레일과의 결합만으로 기존 창호와 함께 이중 창호의 구성을 달성하며, 이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각 창호 또는 프레임에 제공된 블라인드는 외부 일사 및 빗물 차단효과와, 거주공간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환기 창호에 제공되는 집진 필터를 통하여 외부 창문의 가시성을 저해하지 않고서 (초)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막을 수 있고, 적정하게 오염된 실내 공기도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환기 창호와 차양을 통하여 빗물 유입을 방지하고, 방범 문제를 해소하면서, 환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정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평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루버 창호의 개폐 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환기 창호의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설치 시공시의 체결 예를 상부, 측부, 하부에서 각각 제시한 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창호의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창호 시스템을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각각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18은 창호 시스템의 하부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환기 창호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프레임의 창호 장착 구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종래의 창호 시스템에는 발코니 외벽(2, 12)에 고정된 창틀(4, 14)이 제공된다.
상기 창틀(4, 14)은 발코니 개방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 제공되며, 여기에 설치된 창호가 미닫이로 장착되도록 외부 레일을 가지되, 실내 측에는 유리 창호가 장착되도록 2개의 레일이 제공되고, 실외 측에는 방충망 창호가 장착되도록 1개의 레일이 제공된다.
실내 측에 제공된 2개의 레일 중 실내 측에는 좌측 창호와 우측 창호(6a, 16a, 8a)가 동 레일을 공유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된다.
통상 좌측 창호(우측 창호)는 중앙 창호의 1/2 이하의 가로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하여 중앙 창호가 차지하는 창 면적을 제외한 부분에 대하여 좌우측 창호를 슬라이딩하여 최대한의 개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의 창호 시스템에서는 방충망 창호가 실외 측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좌측 창호 및 우측 창호의 면적과 동등한 면적으로 좌측 방충 창호와 우측 방충 창호가 설치되어, 좌측 또는 우측 창호가 열렸을 때 방충망(18)이 외부 공기는 소통시키되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종래에 방충망 창호를 위하여 제공되었던 상기 실외 측 레일에 방충망 창호를 대신하여 장착된다.
물론 방충망 창호를 위해 제공된 실외 측 레일이 미리 제공된 상태에서는 본 실시 예와 같이 동 레일에 설치하지만, 신규 설치와 같이, 방충망 창호를 위한 레일 없이도 상기 프레임을 직접 발코니 외벽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창호 시스템은 발코니의 개방 면적 테두리, 즉 상기 외부 레일을 따라 형성된 프레임을 가지며, 이 프레임은 외곽을 따라 지지 레일이 구비되며, 지지 레일은 상기 실외 측 레일에 결합되도록 내향된 홈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은 상부 창틀, 중부 창틀, 하부 창틀이 구획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창틀(182, 192)에는 상부 루버 창호(200a)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창틀(198, 199)에는 하부 루버 창호(200b)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 루버 창호와 상기 하부 루버 창호는 이들 창호들이 개방되면, 종래 창호 시스템과 본 실시 예의 창호 시스템 사이의 공기층에 대하여 이들 창호들이 유출입구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여름철이나 겨울철 실내외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공기층의 순환 내지 외부 배출를 야기시키고, 이를 통하여 난방/냉방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중부 창틀(194, 196)에는 실내 측으로 블라인드(119)가 부설된 유리 창호(127)가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은 발코니 난간(20) 측에 인접한 외부 레일로 지지되는데, 실내 측에 배치된 타 외부 레일 내지 좌우측 창호(6b, 8b, 16b)를 침범하지 않도록 소정 두께를 가진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정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상부 창틀, 중부 창틀, 하부 창틀이 구획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가진다.
상기 상부 창틀의 상부(182)는 외부 레일(4)에 의하여 고정 지지된다.
상기 상부 창틀의 하부(192)는 상기 중부 창틀의 상부(194)와 결합되고, 상기 중부 창틀의 하부(198)는 상기 하부 창틀의 상부(198)를 구성하며, 상기 하부 창틀의 하부(199)는 외부 레일(14)에 의하여 고정 지지된다.
상기 상부 창틀, 중부 창틀, 하부 창틀의 각 좌우측(105a, 105b)도 외부 레일에 의하여 고정 지지된다.
상기 상부 창틀에는 좌측 창호, 중앙 창호, 우측 창호가 설치되며, 이들 각 창호는 주면에 다수의 루버(200a)가 장착되고, 이들 루버는 회전되면서 창호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부 창틀에는 좌측 창호(127a), 중앙 창호(127b), 우측 창호(127a)가 설치된다.
여기서는 상기 상부 창틀 및 상기 중부 창틀 각각에 좌측, 중앙, 우측에 3개 창호가 설치되는 실시 예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들 창틀에 좌측, 우측 2개의 창호만을 설치할 수도 있고, 좌측 2개, 우측 2개 총 4개의 창호를 설치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개수의 창호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창호(125a, 125b, 127b)는 미닫이로 설치되며, 상기 좌측 창호(115a, 115b, 127a) 및 상기 우측 창호(115c, 115d, 127a)는 여닫이로 설치된다.
상기 좌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우측이 상기 중앙 창호의 좌측과 힌지 결합(121a)되며, 상기 우측 창호도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좌측이 상기 중앙 창호의 우측과 힌지 결합(121b)된다.
상기 좌우측 창호 및 중앙 창호는 유리 창호로 구성되되, 실외 측에 유리(127a, 127b)가 설치되고, 실내 측으로는 블라인드(119)가 설치되어 차양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 블라인드는 상기 좌우측 창호의 여닫이, 또는 상기 중앙 창호의 미닫이 등 작동에 의하여 그 위치가 교란되며, 이에 따라 원래 위치를 벗어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지 위하여 이들 창호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블라인드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블라인드 가이드(117)가 설치되어 블라인드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측(또는 우측) 창호는 상기 중앙 창호의 1/2 이하의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좌측 창호는 종래의 좌측 창호와 동등한 가로 폭을 가지며, 상기 우측 창호도 종래의 우측 창호와 동등한 가로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좌측 창호(5a, 5b, 8a)와 종래의 우측 창호(5c, 5d, 8a)는 실내 측 레일을 통하여 미닫이로 움직이고(S1, S2), 이러한 움직임을 통하여 창호의 개폐 동작을 실현한다.
종래의 좌측 창호가 개방된 경우(S1), 상기 좌측 창호를 실내 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여닫이 공간이 확보되는 바, 이를 통하여 상기 좌측 창호의 개방이 가능하며(H1), 이로써 좌측 공간에 대한 완전 개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좌측 창호를 실내 측으로 당기면 상기 좌측 창호와 상기 중앙 창호를 연결하는 힌지(121a)를 축으로 하여 상기 좌측 창호가 실내 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좌측 공간이 외부로 개방하게 된다.
종래의 우측 창호가 개방된 경우(S2)도 마찬가지로, 상기 우측 창호의 개방을 위한 여닫이 공간이 확보되고(H2), 상기 우측 창호와 상기 중앙 창호를 연결하는 힌지(121b)를 축으로 상기 우측 창호를 실내 측으로 회전시켜 우측 공간에 대한 완전 개방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창틀에는 좌측, 중앙, 우측으로 구분된 3개의 루버 창호(200b)가 설치된다.
물론 루버 창호를 좌측, 중앙, 우측으로 구분하지 않고 1개 또는 임의의 개수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변형 실시 예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좌측, 중앙, 우측의 3개 루버 창호를 설치한 실시 예를 도시하였으나, 1개의 대형 루버 창호를 설치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4개 이상 등 다수 개로 분할된 루버 창호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부 창틀에는 좌측 창호(145a, 145b, 157a), 중앙 창호(155a, 155b, 157b), 우측 창호(145c, 145d, 157c)가 장착된다.
이들 창호는 실외 측으로 유리창(157a, 157b, 157c)이 장착되고, 실내 측으로 블라인드(149)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좌측이 상기 중부 창틀의 좌측과 힌지 결합(151a)되고, 상기 우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우측이 상기 중부 창틀의 우측과 힌지 결합(151b)된다.
종래의 좌측 창호(5a, 5b, 8a)와 종래의 우측 창호(5c, 5d, 8a)는 실내 측 레일을 통하여 미닫이로 움직이고(S1, S2), 이러한 움직임을 통하여 종래 창호의 개폐 동작을 실현한다.
종래의 좌측 창호가 개방된 경우(S1), 상기 좌측 창호를 실내 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여닫이 공간이 확보되는 바, 이를 통하여 상기 좌측 창호의 개방이 가능하며(H3), 이로써 좌측 공간에 대한 완전 개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좌측 창호를 실내 측으로 당기면 상기 좌측 창호와 상기 중부 창틀을 연결하는 힌지(151a)를 축으로 하여 상기 좌측 창호가 실내 측으로 회전하게 되고(H3), 이를 통하여 좌측 공간이 외부로 개방하게 된다.
종래의 우측 창호가 개방된 경우(S2)도 마찬가지로, 상기 우측 창호의 개방을 위한 여닫이 공간이 확보되고(151b, H4), 이로써 우측 공간에 대한 완전 개방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부 창틀 또는 하부 창틀에는 루버 창호가 설치되는 바, 이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루버 창호의 개폐 상태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루버 창호(200)는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루버(202)를 포함한다.
이들 루버는 그 중앙부가 홀더(204)를 통하여 지지되면서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루버가 회전하여 창호가 개방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루버가 회전하여 창호가 폐쇄된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루버가 창호를 폐쇄하는 경우 그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 루버와 하부 루버의 밀폐 지점에 밀폐 수단(206a, 206b)이 구비된다.
밀폐 수단은 상부 루버에 가스킷(206a)을 설치하고, 하부 루버에 홀(206b)을 형성하여, 가스킷이 홀에 삽입되어 밀폐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밀폐 수단으로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넷(206a, 206b)을 사용하여 루버가 창호를 폐쇄할 경우 닫힌 상태가 밀착되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
환기 창호는 루버 창호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집진 필터 창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환기 창호를 집진 필터로 구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창호는 외부 레일과 결합하는 상부 창틀 상부(182)에 실외 측을 향하여 연장하여 돌출되는 루프(roof, 180)가 구비된다.
상기 루프는 외부의 빛이나 눈, 비 등을 차단하는 차양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루프가 적정한 차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환기 창호의 높이(182 ~ 192)가 결정된다.
상기 환기 창호는 실외 측을 향하여 밀폐 창호(188), 집진 필터 창호(190), 방충 창호(186)가 차례로 배치된다.
물론 집진 필터 창호를 설치하지 않고 밀폐 창호와 방충 창호만을 배치하는 구성도 상정할 수 있다.
상기 밀폐 창호와 상기 집진 필터 창호는 미닫이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밀폐 창호와 상기 집진 필터 창호의 개폐를 위한 레일이 상기 환기 창호의 창틀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 창호 및 상기 집진 필터 창호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이를 수납하기 위한 중공부(167, 188)가 마련된다.
즉, 상기 환기 창호는 상부 창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중공부는 상부 창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 창호(또는 상기 집진 필터 창호)가 중앙 쪽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중공부에 수납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환기 창호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환기 창호에 집진 필터 창호와 밀폐 창호가 각각 미닫이 방식으로 장착되므로, 방충 상태만으로 환기를 하거나, 방충과 미세먼지 집진 상태를 동시에 적용하여 환기를 하거나, 환기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상태를 취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에는 풀리(179, 189)가 설치되고, 이 풀리에 벨트(177, 187)가 감긴다.
상기 벨트는 그 일단이 상기 밀폐 창호(175)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사용자의 개폐 손잡이(171)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결선(미도시)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밀폐 창호의 타단도 사용자의 개폐 손잡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결선(173)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 손잡이를 당기는 방향에 따라, 또는 어느 연결선을 당기는지에 따라 상기 제1연결선 또는 상기 제2연결선에 선택적으로 인력이 가해지고, 이 인력이 풀리의 회전을 매개로 벨트를 통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밀폐 창호에 전달되며, 따라서 상기 밀폐 창호는 인력을 통하여 슬라이딩되어 환기 창호의 개폐를 실현한다.
상기 집진 필터 창호도 이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손잡이의 인출 방향에 따라 풀리의 회전과 함께 창호의 개폐를 실현한다.
도 19 및 도 20은 상부 환기 창호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환기 창호(430)는 중공부와 환기구를 포함하는 창틀(431)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집진 필터 창호(432)와 밀폐 창호(433)로 제공된다.
상기 집진 필터 창호와 상기 밀폐 창호는 각각 레일(438, 439)을 따라 움직이며 미닫이로 환기구를 개폐한다.
상기 집진 필터 창호의 일단은 제 1 스프링(434)을 통하여 상기 상부 환기 창호의 창틀(431)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제어용 와이어(436)가 연결된다.
상기 밀폐 창호의 일단은 제 2 스프링(435)을 통하여 상기 상부 환기 창호의 창틀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제어용 와이어(437)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스프링은 상기 집진 필터 창호를 완전 개방 상태로 복원시키고, 상기 제 1 제어용 와이어는 상기 제 1 스프링의 복원력과 반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밀폐 창호를 완전 폐쇄 상태로 복원시키고, 상기 제 2 제어용 와이어는 상기 제 2 스프링의 복원력과 반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제어용 와이어는 상기 창틀(431) 내부에 구비된 풀리(440)에 걸림으로써 와이어의 인출 방향이 역전되는 바, 이로써 상기 제 1 제어용 와이어와 상기 제 2 제어용 와이어는 모두 동일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배치되며, 다만 제 1 제어용 와이어를 당기면 상기 집진 필터 창호가 폐쇄되되, 상기 제 2 제어용 와이어를 당기면 상기 밀폐 창호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 제 1 및 2 제어용 와이어는 상기 창틀(431)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을 잡아당긴 후 외곽 프레임에 제공된 고정 고리(441, 442)에 당겨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두 와이어가 상기 고정 고리에 고정되면, 상기 집진 필터 창호는 폐쇄되고, 상기 밀폐 창호는 개방된다.
한편 상기 고정 고리로부터 상기 두 와이어를 모두 분리시키면, 상기 제 1 스프링 및 상기 제 2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동하며, 이로써 상기 집진 필터 창호는 개방되고, 상기 밀폐 창호는 폐쇄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설치 시공시의 체결 예를 상부, 측부, 하부에서 각각 제시한 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창호 시스템의 상부는 "ㄱ"자 브라켓(218)을 통하여 일측은 상부 창틀에 피스(219b)로 고정시키고, 타측은 외부 창틀에 피스(219a)로 고정시켜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실내 측의 종래 창호는 통상적으로 상부 레일과의 여유 간격을 가지므로, 상기 브라켓은 실내 측에서 설치할 수 있다. 즉 상부의 체결은 실내 측에서 시공이 가능하므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창호 시스템의 측부 결합을 도시하고 있는 바, "ㄱ"자 브라켓(214)을 통하여 일측은 본 창호 시스템의 프레임 측부에 피스(216b)로 고정시키고, 타측은 측부 외벽에 피스(216a)로 고정시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창호 시스템의 하부 결합을 도시하고 있는 바, 측부와 마찬가지로 "ㄱ"자 브라켓(218)을 통하여 일측은 본 창호 시스템의 프레임 하부에 피스(219a)로 고정시키고, 타측은 하부 외벽(12)에 피스(219b)로 고정시켜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창틀의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의 하부 창틀에는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층층이 미닫이 덮개(230, 232), 방충망(234), 고정 그릴(236)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그릴(236)은 햇빛과 빗물을 차단하는 차양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 창틀에 2개의 레일이 제공되고, 상기 미닫이 덮개는 이들 레일 위를 미닫이로 움직이며 상기 하부 창틀을 개폐한다.
물론 실내 측에서 실외 측으로 층층이 미닫이 덮개, 고정 그릴, 방충망의 순서로 설치되는 실시 구성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창호 시스템을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각각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18은 창호 시스템의 하부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300)은 종래 창호 시스템과 함께 장착되되, 종래에 방충망을 위하여 제공되었던 실외 측 레일(352)에 방충망을 대신하여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종래 창호 시스템은 발코니의 내주면을 따라 3개의 외부 레일이 제공되며, 이들 외부 레일에 창호가 장착된다.
3개의 외부 레일은 실내 측(356), 중간 층(354), 실외 측(352)으로 구분되며, 실내 측 레일(356)에는 좌측 유리 창호(364, 374)와 우측 유리 창호(368, 378)가 장착되고, 중간 층 레일(354)에는 중앙 유리 창호(366, 376)가 장착되며, 실외 측 레일(352)은 방충망을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창호 시스템(300)은 상기 실외 측 레일(352)에 방충망을 대신하여 장착된다.
상기 창호 시스템(300)은 직사각 형상의 외곽 프레임(302)을 가지고, 그 내부는 직사각으로 3등분되어 좌측 프레임(304), 중앙 프레임(306), 우측 프레임(308)이 배치된다.
상기 좌측 프레임(304)과 상기 우측 프레임(308)은 상호 폭이 동일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306)은 상기 좌측 프레임의 2배 정도의 폭을 가진다.
상기 외곽 프레임(302)은 내주면을 따라 “凸” 단면을 가진 레일(303)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 프레임(306)은 상기 외곽 프레임(302)의 내주면 레일(30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凹” 단면의 암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좌측 프레임(304)과 상기 우측 프레임(308)은 상기 외곽 프레임에 대하여 여닫이 방식으로 장착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외곽 프레임의 좌측 실내면에는 힌지(322, 324)가 마련되며, 이 힌지를 통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좌측 프레임은 상기 힌지(322, 324)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여닫이로 작동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외곽 프레임과 상기 우측 프레임도 상기 외곽 프레임의 우측실내면에 마련된 힌지(326, 328)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외곽 프레임의 레일(303)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의 여닫이 개폐시, 이들 프레임이 실내 측을 향하여만 개폐 가능하도록 하고, 실외 측으로는 개방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의 외주면은 “凹“의 단면 형태에서 실외 측 가이드부분이 소거된 형태, 즉 “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 프레임(306)에는 블라인드(316)가 장착되며, 블라인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날개들이 상단에 축적되어 있다가, 아래 방향으로 내려오면서 차양 면적을 확대시키는 하향식으로 구성되며, 다만, 블라인드 날개들이 하단에 축적되어 있다가 위 방향으로 올려가면서 차양 면적을 확대시키는 상향식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상기 중앙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블라인드 날개 또는 구동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만약 블라인드를 상향식으로 장착한 경우에는 커버는 상기 중앙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 프레임에도 방충망(336)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통상 중앙 창호를 개방하는 빈도가 적어, 상기 중앙 프레임은 블라인드만 장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상기 좌측 프레임(304)과 우측 프레임(308)에도 마찬가지로 각각 좌측 프레임용 블라인드(314) 및 우측 프레임용 블라인드(318)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좌측 프레임(304)과 우측 프레임(308)에는 각각 좌측 프레임용 방충망(334)과 우측 프레임용 방충망(338)이 장착되며, 이들 방충망(334, 338)은 상기 블라인드들(314, 318)보다 실내 측으로 배치되어, 실외 층에는 블라인드(314, 318)가, 실내 층에는 방충망(334, 338)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반대로 실내 층에 블라인드를, 실외 측에 방충망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상기 좌우측 프레임(304, 308)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304, 308)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프레임을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경하려면, 우선 좌측 창호(364, 374a, 374b)와 우측 창호(368, 378a, 378b)를 개방한다(S3, S4).
이들 창호는 미닫이로 구성되므로, 실내 측 레일(356)을 따라 좌우측 창호들이 중앙으로 모이는 방식으로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들 좌우측 창호가 완전 개방되면, 상기 좌우측 프레임(304, 308)이 힌지(322, 326)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초기 폐쇄 상태에서 90도 정도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좌우측 프레임이 개방되면, 폐쇄 상태에서 좌측 프레임 또는 우측 프레임이 점유하였던 공간이 자유 공간으로 개방되며, 따라서 상기 중앙 프레임(306)은 상기 내부 레일(303)을 따라 미닫이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S1, S2).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모두 개방하더라도 개방 면적이 발코니 개구 면적의 1/4 정도밖에 안되지만, 상기 좌측 창호와 우측 창호를 중앙으로 모아 완전 개방하고,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완전 개방하면, 상기 좌우측 창호 및 중앙 창호와 상기 중앙 프레임을 모두 좌우 어느 한쪽으로 미닫이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좌우 어느 한쪽으로 밀착시키면 발코니 개구 면적의 1/2 까지 개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 상기 창호 시스템(300)은 종래 창호 시스템이 좌측, 중앙, 우측의 3개 창호로 구성된 경우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좌측, 중앙, 우측의 3개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창호 시스템이 좌측 및 우측 2개 창호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창호 시스템(300)을 이에 대응시켜, 좌측과 우측 2개의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어느 일측을 여닫이로, 타측을 미닫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종래 창호 시스템이 외곽 좌측, 중앙 좌측, 중앙 우측, 외곽 우측의 4개 창호로 구성된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창호 시스템(300)을 외곽 좌측, 중앙 좌측, 중앙 우측, 외곽 우측의 4개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외곽 좌측과 외곽 우측을 여닫이로 구성하고, 중앙 좌측과 중앙 우측을 미닫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창호 시스템(300)과 같이 3개 프레임으로 구성하되, 중앙 프레임이 종래 창호 시스템의 중앙 좌측과 중앙 우측 창호 면적을 합한 것에 대응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a는 프레임의 창호 장착 구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21b는 동 실시 예의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창호 시스템의 외곽 프레임(420)은 그 내주면을 따라 2개의 레일(421a, 42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곽 프레임(420)의 내부에는 미닫이 프레임(422)과 여닫이 프레임(424)이 장착된다.
상기 미닫이 프레임(422)은 상기 외곽 프레임 레일들 중 실외 측 레일(421b)에 장착되어, 동 레일(421b)을 따라 미닫이로 개폐된다.
상기 여닫이 프레임(424)은 상기 외곽 프레임에 힌지(427) 결합하여 여닫이로 개폐되면서, 폐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외곽 프레임 레일들 중 실내 측 레일(421a)에 걸림으로써 폐쇄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여닫이 프레임(424)은 그 내부에 블라인드 창호(425)가 장착되고, 상기 미닫이 프레임(422)은 그 내부에 방충망(423)이 장착된다.
좌, 우 창호 및 중앙 창호로 구성된 창호 시스템(도 19의 도면부호 300 참고)에서는, 상기 여닫이 프레임(424)은 좌 창호 및 우 창호로 장착되고, 상기 미닫이 프레임(422)도 좌 창호 실외측 및 우 창호 실외측에 장착된다.
중앙 창호는 상기 실내 측 레일(421a)에 미닫이 방식으로 장착되어, 동 레일을 상기 여닫이 프레임(424)과 공유하게 되며, 상기 여닫이 프레임이 개방 상태일 때, 상기 중앙 창호의 미닫이 작동 공간이 확보되어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다양한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시스템은 좌, 우, 중앙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은 여닫이로 장착되고, 중앙 프레임은 미닫이로 장착된다.
이 경우, 좌우 어느 일측 프레임에 대하여 다시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여 환기 창호(402)로 사용할 수 있고, 혹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분리 구성하여 각각 환기 창호(403, 404)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411)의 프레임으로 구성한 후, 상부 프레임을 다시 좌(412), 우(414), 중앙(413)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411)은 고정된 프레임이며, 여기에는 환기 창호(415)가 장착될 수 있는 바, 하부 프레임을 여닫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발코니 난간으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약하므로, 환기 역할만 수행하는 루버 창호, 그릴 등의 환기 창호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상부 프레임 중 좌측 프레임(412)과 우측 프레임은 여닫이로 구성되며, 중앙 프레임(413)은 미닫이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프레임의 상부를 분리하여 별도 프레임으로 구성한 후, 여기에 환기 창호(416)를 장착할 수도 있다.
2, 12: 외벽 1, 3a, 4, 14: 외부 레일
6a, 16a: 중앙 창호 레일 8a: 중앙 창호 유리
6b, 16b: 우측 창호 레일 8b: 우측 창호 유리
5a~d, 15a~b: 창호 창틀 20: 난간


105a~b, 135a~b: 측면 창호 레일
107a~b, 137a~b: 스토퍼
145a~d, 155a~b, 115a~d, 125a~b: 창호 창틀
121a~b, 151a~b: 창호 힌지 157a~c, 127a~b: 창호 유리
117, 147: 블라인드 가이드 119, 149: 블라인드
165, 182, 192: 상부 창틀 198, 199: 하부 창틀
194, 196: 중부 창호 창틀 127: 중부 창호 유리
186, 220, 222: 방충망 180: 루프
175, 188: 밀폐 창호 185, 190: 집진 필터 (창호)
173, 183: 연결선 171, 181: 손잡이
177, 187: 벨트 179, 189: 풀리
167, 188: 중공부


220, 220a~b: 루버 창호 202: 루버
204: 홀더 206a~b: 밀폐수단
214, 218: 브라켓 216a~b, 219a~b: 피스


230, 232: 미닫이 덮개 234: 방충망
236: 고정 그릴


300: 창호 시스템 302, 304, 306, 308: 프레임
314, 316, 318: 블라인드 322, 324, 326, 328: 힌지
334, 338: 방충망 352, 354, 356: 레일
364, 366, 368: 유리창 374, 376, 378: 창틀

Claims (20)

  1. 발코니 난간과 창호 장착용 외부 레일들이 제공되는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레일에 장착되는 외곽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으로 지지되는 내부 레일;
    상기 내부 레일에 장착된 적어도 1 이상의 미닫이 프레임;
    상기 외곽 프레임의 개방 면적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1 이상의 여닫이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외곽 프레임은 발코니 난간에 인접한 외부 레일을 제외한 타 외부 레일들을 침범하지 않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부 창틀, 중부 창틀, 하부 창틀이 구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창틀에는 상부 환기 창호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창틀에는 하부 환기 창호가 장착되고;
    상기 내부 레일은 상기 중부 창틀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미닫이 프레임은 유리 창호이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상기 중부 창틀 또는 상기 미닫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유리 창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프레임은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창호이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창호 및 우측 창호이며;
    상기 좌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우측이 상기 중앙 창호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우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좌측이 상기 중앙 창호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프레임은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창호이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측 창호 및 우측 창호이며;
    상기 좌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좌측이 상기 중부 창틀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우측 창호는 실내 측으로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그 우측이 상기 중부 창틀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환기 창호 또는 상기 하부 환기 창호 중 적어도 일측은 루버 창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환기 창호는 실외 측의 방충 창호와 실내 측의 밀폐 창호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 창호는 미닫이 창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밀폐 창호와 상기 방충 창호 사이에는 집진 필터 창호가 미닫이로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창틀은 실외 측으로 연장 형성된 차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9.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환기 창호에 설치된 미닫이 창호는 상부 창틀의 중공부와 환기구를 슬라이딩하면서 환기구를 개폐하되,
    상기 중공부에 설치된 풀리와,
    일부가 상기 풀리에 감기고, 일단이 상기 미닫이 창호에 연결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과 상기 미닫이 창호의 개폐를 연동시키는 벨트와,
    상기 미닫이 창호 또는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가해진 인력에 상응하여 상기 미닫이 창호를 개폐시키는 연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레일들에 설치된 실내측 창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환기 창호와 상기 하부 환기 창호를 상호 개방시, 이들 환기 창호들을 유출입구로 하고, 상기 실내측 창호와 상기 중부 창틀에 장착된 창호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유로로 하는, 공기 순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 환기 창호는 미닫이 유리 창호, 방충망, 고정 그릴을 포함하되,
    상기 미닫이 유리 창호는 실내 측에 배치되고,
    상기 방충망과 상기 고정 그릴은 실외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상기 외곽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개폐 이동이 실내측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도록 실외측 방향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그 여닫이 동작 구간 내에 상기 외부 레일이 배치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 레일과의 상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내부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프레임에는 블라인드가 장착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에는 블라인드와 방충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프레임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프레임과 상기 여닫이 프레임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개방시에 상기 미닫이 프레임이 상기 여닫이 프레임의 폐쇄 위치로 미닫이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 프레임과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각각 유리 창호가 장착되되,
    상기 여닫이 프레임 또는 상기 미닫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또는 하부에 환기 창호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일은 실내 측 내부 레일과 실외 측 내부 레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2개 층으로 프레임이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미닫이 프레임 중 하나는 상기 실내 측 레일에 장착되어, 그 내부에 블라인드가 구비되고,
    상기 미닫이 프레임 중 하나는 상기 실외 측 레일에 장착되어, 그 내부에 방충망이 장착되며,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상기 외곽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고, 그 내부에 블라인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1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집진 필터 창호의 일단은 제 1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상부 환기 창호의 창틀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1 제어용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밀폐 창호의 일단은 제 2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상부 환기 창호의 창틀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제어용 와이어가 연결되되,
    상기 제 1 스프링은 상기 집진 필터 창호를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복원시키고, 상기 제 1 제어용 와이어는 상기 제 1 스프링의 복원력과 반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스프링은 상기 밀폐 창호를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복원시키고, 상기 제 2 제어용 와이어는 상기 제 2 스프링의 복원력과 반대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제어용 와이어 또는 상기 제 2 제어용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는 풀리에 걸려 인출 방향이 역전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제 1 제어용 와이어와 상기 제 2 제어용 와이어가 복원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부 창틀과 하부 창틀이 구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창틀에는 하부 환기 창호가 장착되고;
    상기 내부 레일은 상기 상부 창틀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미닫이 프레임은 유리 창호이고;
    상기 여닫이 프레임은 상기 상부 창틀 또는 상기 미닫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유리 창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150049976A 2015-04-08 2015-04-08 창호 시스템 KR20160120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976A KR20160120640A (ko) 2015-04-08 2015-04-08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976A KR20160120640A (ko) 2015-04-08 2015-04-08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640A true KR20160120640A (ko) 2016-10-18

Family

ID=5724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976A KR20160120640A (ko) 2015-04-08 2015-04-08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6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802A (zh) * 2018-05-29 2018-10-12 鹤山联塑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中置防护栅栏的平开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802A (zh) * 2018-05-29 2018-10-12 鹤山联塑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中置防护栅栏的平开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708B1 (ko)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RU2612994C2 (ru) Изолированное окно в сборе
US5379824A (en) Double window apparatus
KR101472189B1 (ko) 고층용 환기구조를 구비한 창호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CN211313984U (zh) 一种防雨窗
US8672015B2 (en) Window privacy and protective covering
KR20160120640A (ko) 창호 시스템
KR20160120857A (ko) 창호 시스템
US20070266653A1 (en) Combination window, screen, storm shutter and fire escape
KR20160120635A (ko) 창호 시스템
KR101173175B1 (ko)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CN101592008A (zh) 建筑外门窗遮阳一体化系统的门窗边框
KR20170018264A (ko) 창호 시스템
KR20160116526A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복합식 창호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20150038763A (ko) 이중창 구조로 이루어진 오르내리창
CN202926116U (zh) 一种改进的推拉窗
KR20180123613A (ko) 샤시레일 부착형 롤방충망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JP2014125846A (ja) 住宅内外の中間領域創出構造
KR101318730B1 (ko) 복합 여닫이 창호
CN102409953A (zh) 一种多功能叶片式门窗
CN202937144U (zh) 一种改进的内平开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