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518A -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518A
KR20160120518A KR1020150049687A KR20150049687A KR20160120518A KR 20160120518 A KR20160120518 A KR 20160120518A KR 1020150049687 A KR1020150049687 A KR 1020150049687A KR 20150049687 A KR20150049687 A KR 20150049687A KR 20160120518 A KR20160120518 A KR 20160120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leather
weight
coating
leather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상현
김병운
김주태
신수범
박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화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화,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화
Priority to KR102015004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0518A/ko
Publication of KR2016012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0Tanning;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2Chemical tanning
    • C14C3/28Multi-step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0Tanning;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2Chemical tan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0Tanning;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2Chemical tanning
    • C14C3/30Chemical tanning using physical means combined with chem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 탈회, 탄닝 등의 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을 원료로 하여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키고,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탑코팅과 2 단계의 아이롱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유연성, 충전성 및 천연감이 우수한 동시에 기존의 에나멜 피혁에 비해 필름 두께가 얇아 천연 피혁 특유의 촉감을 보유하면서도 고광택도를 발현할 수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핸드백용, 가방용, 신발용, 가구용 등의 생활용 천연 피혁제품으로 유용한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RYSTAL TYPE NATURAL LEATHER}
본 발명은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 탈회, 탄닝 등의 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을 원료로 하여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키고,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탑코팅과 2 단계의 아이롱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유연성, 충전성 및 천연감이 우수한 동시에 기존의 에나멜 피혁에 비해 필름 두께가 얇아 천연 피혁 특유의 촉감을 보유하면서도 고광택도를 발현할 수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핸드백용, 가방용, 신발용, 가구용 등의 생활용 천연 피혁제품으로 유용한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수준 향상과 소비 형태의 다변화로 피혁 제품의 성능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가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천연 피혁에 있어서도 고광택, 내구성, 복원력 등의 기능성이 우수한 새로운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피혁소재로서 에나멜 피혁은 코팅공정에서 에나멜(Enamel) 수지를 두껍게 도포하여 고광택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소재로 구두, 핸드백, 액세서리 등의 용도에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에나멜 피혁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연성과 충전감을 부여해주기 위한 제혁공정과 고광택성을 부여해주기 위한 코팅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크린룸(Clean room)과 같은 고가의 시설이 필요하며, 필름 두께가 300 ㎛ 이상으로 매우 두꺼워 비닐 촉감이 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천연 피혁은 탈모, 탈회, 피클, 탄닝 등의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던 천연유지 성분이 대부분 제거되는데, 이러한 천연유지 성분의 결여는 천연 피혁의 유연성을 저하시켜 피혁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한다. 이에 이러한 품질 저하를 감소시키고,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염색 공정 후 피혁 공정에는 반드시 오일 또는 지방에 친수성기가 도입된 가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가지제는 콜라겐 섬유와 반응할 때 관능기가 술폰기 등으로 단순화 되어 있어 피혁과의 반응 시 결합 속도가 느리고, 처리량의 40~50%가 미반응한 잔류물질로 존재하여 피혁에 대한 흡착량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7852호에서는 단백질을 함유하는 중합 신탄을 사용하여 유성 공정을 거친 피혁에 대해 염색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천연 피혁 가공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가지제의 사용으로 인한 결합속도 및 흡착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낮은 생산성 및 품질저하와 제조공정의 복잡성, 높은 가격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인위적인 수지 촉감을 가지는 에나멜 피혁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7852호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탈모, 탈회, 탄닝 등의 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을 원료로 하여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키고,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탑코팅과 2 단계의 아이롱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유연성, 충전성 및 천연감이 우수한 동시에 기존의 에나멜 피혁에 비해 필름 두께가 얇아 천연 피혁 특유의 촉감을 보유하면서도 고광택도를 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성, 충전성 및 천연감이 우수한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피혁 특유의 촉감을 보유하면서 고광택도를 갖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닝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에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키는 공정; 상기 리탠닝된 천연 피혁을 염색하는 공정; 상기 염색된 천연 피혁을 도장하는 공정; 및 상기 도장된 천연 피혁을 아이롱 처리하여 크리스탈 타입의 고분자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스탈 타입 천연피혁은 탈모, 탈회, 탄닝 등의 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을 원료로 하여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킴으로써 아크릴 화합물에 의한 리탠닝 역할과 유지 성분에 의한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유연성, 충전성 및 천연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탑코팅과 2 단계의 아이롱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에나멜 피혁에 비해 필름 두께가 얇아 천연 피혁 특유의 촉감을 보유하면서도 고광택도를 발현할 수 있는 크리스탈 타입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생산성 및 우수한 제품성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핸드백용, 가방용, 신발용, 가구용 등의 생활용 천연 피혁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닝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에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키는 공정; 상기 리탠닝된 천연 피혁을 염색하는 공정; 상기 염색된 천연 피혁을 도장하는 공정; 및 상기 도장된 천연 피혁을 아이롱 처리하여 크리스탈 타입의 고분자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을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제혁공정(Wet process)과 도장공정(Dry process)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혁공정은 피혁에 평활성, 유연성, 채움성, 무면뜸성 등을 부여하는 공정으로 수적공정, 탈모공정, 탈회공정, 효해공정, 피클공정, 탄닝공정, 재크롬공정, 중화공정, 리탠닝 공정 및 염색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적공정은 원료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건조된 원피에 수분을 침투시켜 원료피 고유의 형태로 되돌려 주는 공정이며, 상기 탈모공정은 원료피에 붙어 있는 털을 석회 및 유화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이다. 상기 탈회공정은 알칼리화를 위해 투입한 석회를 제거하는 공정이고, 상기 효해공정은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를 통하여 피혁을 구성하는 콜라겐 외 이물질을 제거시켜 주는 공정이다.
또한, 상기 피클공정은 탄닝 공정에 사용되는 양이온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크롬의 침투를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원료피의 수소이온농도를 산성(pH 2.8-3.2)으로 만들어주는 공정이며, 상기 탄닝공정은 가죽의 상품화를 위해 동물성에 광물성 성질을 부여하는 공정이다. 상기 재크롬 공정은 크롬 탄닝공정 후 원료피를 밴드 나이프를 이용하여 2층으로 분할하게 되는데 분할 후 부위별로 크롬의 흡착량을 대등하게 만들어주기 위하여 다시 한번 크롬을 이용하여 탠닝시켜 주는 공정이다. 상기 중화공정은 음이온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리탠닝제 및 염료, 가지제의 원할한 침투를 위하여 수소이온농도를 pH 4.5-5.5 정도로 높여주는 공정이다. 상기 리탠닝 공정은 크롬에 의한 탠닝으로는 효과가 부족한 유연성, 채움성, 무뜸현상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페놀, 아크릴, 멜라민 등의 고분자를 이용하는 공정이고, 상기 염색공정은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을 부여하고 제품을 고급스럽게 하여 피혁의 패션성을 부여해 주는 공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리탠닝 공정에서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투입하여 리탠닝시키고, 도장공정 중 탑코팅 공정에서 천연 피혁에 고광택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광택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천연 피혁의 원료피는 기존 외산 원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직이 치밀하고, 부드러운 국내산 한피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리탠닝시키는 공정 전에 재크롬 공정 및 중화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크롬 공정은 40 ℃의 온도에서 탄닝된 천역 피혁의 무게 대비 물 150 중량부, 탈지제 0.1 중량부, 크롬 2.5 중량부 및 유제간 가지제(친수성기가 도입된 오일)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90 분간 회전 후 하루 정치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화공정은 상기 재크롬 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에 40 ℃의 온도에서 의산소다(HCOONa) 3 중량부, 나프탈렌 신탄 3 중량부를 투입하여 회전시킨 후 아크릴 신탄 1 중량부 및 소듐바이카보네이트(NaHCO3) 0.5 중량부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중화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리탠닝시키는 공정은 자체적으로 함유하고 있던 천연유지 성분이 결여된 천연 피혁에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아크릴 화합물에 의해서 충전성을 증진시키는 리탠닝 역할을 하고, 유지 성분에 의해서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가지제 역할을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기존 에나멜 피혁 대비 천연 피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는 아크릴계 수지 20~35 중량% 및 유지 65~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써,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 보다 적으면 천연 피혁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함량이 35 중량% 보다 많으면 유연성이 불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는 아크릴계 수지 25~30 중량% 및 유지 70~7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A-는 COO-, PO3 - 및 SO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N+는 아민기 또는 아마이드기이며, R은 알킬기,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및 하이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X는 알킬기 및 술폰기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임)
또한 상기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은 에스테르 모노머와 불포화 오일의 이중결합에 의해 공중합된 화합물로써, 상기 에스테르 모노머가 가지고 있는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시기, 메톡시기 또는 아마이드기와 유지가 가지고 있는 하이드록시기 또는 술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은 유지의 불포화도를 최소화한 양쪽성 화합물로써 반응성을 향상시켜 천연 피혁에 높은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피혁과 반응 시 결합 속도가 빠르고, 흡착량이 우수하여 기존의 가지제 성분 대비 유연성이 30% 이상 증대시킬 수 있다. 있다. 또한 염색공정 후 가지제를 투입하여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가지공정을 거치지 않아, 기존의 제혁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고, 상기 유지는 대두유, 옥수수유, 팜유, 올리브유, 및 미강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천연 피혁 대비 1~10 중량%를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1 중량% 보다 적으면 유연성 및 채움성이 미흡할 수 있고, 10 중량% 보다 많으면 천연 피혁의 표면에 발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도장하는 공정은 천연 피혁에 광택도, 내마모성, 굴곡성 등을 부여하는 공정으로 베이스 코팅, 미디엄 코팅 및 탑코팅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코팅은 상기 염색된 천연 피혁 상에 아크릴 수지 250~35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50~200 중량부, 안료 150~200 중량부 및 필러 15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코팅액으로 코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수지와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2~4:1~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3: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크릴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접착력이 불량하여 코팅층이 박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아크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는 1액형 수지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팅액의 코팅량은 1~5 g/SF 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량이 1 g/SF 보다 적으면 필름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5 g/SF 보다 많으면 필름이 건조되기 전에 흘러내려 코팅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미디엄 코팅은 물리적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단계로, 상기 베이스 코팅된 천연 피혁 상에 아크릴 수지 150~20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250~300 중량부, 안료 150~200 중량부 및 필러 15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코팅액으로 코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 수지와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1~3:2~4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2: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크릴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마모성 등의 물성이 불량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팅액의 코팅량은 1~5 g/SF 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량이 1 g/SF 보다 적으면 제2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5 g/SF 보다 많으면 제2 코팅층의 필름이 건조되기 전에 흘러내려 코팅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코팅 및 미디엄 코팅은 롤코팅 방식으로 각각 3회씩 도포한 후 건식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탑코팅은 상기 천연 피혁의 표면에 광택성을 부여해주는 단계로써 스프레이 방식으로 2회 코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디엄 코팅된 천연 피혁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60~80 중량% 및 물 20~40 중량%를 포함하는 제3 코팅액을 코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60 중량% 보다 적으면 광택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80 중량% 보다 많으면 표면 촉감이 수지 느낌을 가지게 되어 천연감을 상실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성락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성락카는 유효성분이 18%, 수소이온농도 8, 음이온성을 나타내는 연한 유백색 액상으로 상기 천연 피혁의 표면에 고광택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코팅액의 코팅량은 1~5 g/SF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량이 1 g/SF 보다 적으면 광택도가 저하될 수 있고, 5 g/SF 보다 많으면 표면 촉감에서 천연감을 상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아이롱 공정은 상기 도장된 천연 피혁을 원형롤의 고광택 스테인레스가 장착된 장치로 다름질하여 크리스탈 타입의 고분자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상기 아이롱 공정은 5 rpm, 80~120 ℃의 온도 및 20~40 kg/cm2의 인장강도의 조건에서 1차 아이롱 처리하는 단계 및 5 rpm, 80~120 ℃의 온도 및 40~60 kg/cm2의 인장강도의 조건에서 2차 아이롱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도장 및 아이롱 공정에 의해 제조된 크리스탈 타입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은 필름 두께가 1~5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리스탈 타입 필름의 표면은 유연성이 높은 형태로 고광택을 발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필름의 두께가 1 ㎛ 보다 얇으면 광택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 ㎛ 보다 두꺼우면 천연피혁의 천연감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은 탈모, 탈회, 탄닝 등의 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을 원료로 하여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킴으로써 아크릴 화합물에 의한 리탠닝 역할과 유지 성분에 의한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유연성, 충전성 및 천연감이 우수한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첨가제는 신탄 및 가지제의 특성을 동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기존 에나멜 피혁 대비 유연성이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탑코팅과 2 단계의 아이롱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에나멜 피혁에 비해 필름 두께가 얇아 천연 피혁 특유의 촉감을 보유하면서도 고광택도를 발현할 수 있는 크리스탈 타입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생산성 및 우수한 제품성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핸드백용, 가방용, 신발용, 가구용 등의 생활용 천연 피혁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청혁(wet blue)의 제조
통상적인 방법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낸 통상적인 제혁공정에 의해 청혁을 제조하였다.
공정 함량(중량부) 구성성분 방법
예비수적공정 300 H2O(30℃) 180‘ 회전
0.2 세제
0.5 소다회
0.1 방부제
수세
수적공정 300 H2O(30℃) 30‘ 회전
30‘ 정지
Total 17hrs
0.2 세제
0.5 소다회
0.1 방부제
수세
탈모공정 300 H2O(30℃) 30‘ 회전
30‘ 정지
0.2 세제
0.5 석회 보조제
1.2 수유화소다 30‘ 회전, 30’ 정지 3회
0.5 유화소다 20‘ 회전, 40’ 정지
2회
2.0 석회
0.5 유화소다 20‘ 회전, 40’ 정지
3회
3.0 석회
매시간 10‘회전 반복
탈회/효해공정 150 H2O(40℃) 30‘ 회전
0.2 세제
1.5 유안
0.5 중아류산소다
0.5 P-606 60' 회전
수세
피클공정 80 H2O(22℃) 10' 회전
7.0 소금
0.5 의산소다
0.5 HCOOH 1/2X15'
1.2 H2SO4 1/3X15'+120'
Over night
탄닝공정 7.0 크롬분말 90' 회전
0.5 유제간 가지제 30' 회전
0.5 MgO 8hrs
배출 & 헹굼
실시예 1-2: 천연 피혁 원단(Crust)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탈모공정, 탈회공정, 피클공정, 탄닝공정 등 준비공정을 거친 청혁을 원료로 하여 코팅을 위한 천연 피혁 원단(크러스트)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나타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공정 함량(중량부) 구성성분 방법
재크롬공정 150 H2O(40℃) 90'→Over night
0.1 탈지제
2.5 크롬 분말
1.5 유제간 가지제
중화공정 3.0 HCOONa 20'
3 나프탈렌 신탄(SND/1)
1.0 아크릴 신탄(BF 30) 20'
0.5 NaHCO3 40'
배출 & 헹굼
리탠닝공정 80 H2O(40℃)
1.0 아크릴 신탄 30‘ 회전
3.0 멜라민신탄(585) 60'
2.5 나프탈렌신탄(SND/1)
5.0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3.0 Mimosa
100 H2O(60℃) 10'
1.0 HCOOH 20'
배출 & 헹굼
염색공정 150 H2O(60℃)
2.0 충전제(Filler-N) 20'
4.0 M 66 40'
4.0 BSFR
1.0 SWK
1.0 HCOOH 20'
1.0 Dyestuff 15'
2.0 HCOOH 30'
배출 & 헹굼→세팅→베큠 건조(Vacuum dryer)→헹거 건조(Hanger dryer)→바이브레이션
세제: BRTHON-D108, Brother사
방부제: TB30L, 소고상사
아크릴신탄: Polybit BF 30(Colorobbia)
멜라민신탄: Syntan DF 585(Smit & Zoon)
나프탈렌신탄: Alcotan SND/1(Alcover Italiana Srl)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Lubritan TG(Bayer)
충전제: Filler N(Cromogenia)
실시예 1-3: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의 탄닝공정, 중화공정, 리탠닝공정, 염색공정 등을 거친 천연 피혁 원단(Crust)을 원료로 하여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3(베이스 코팅), 표 4(미디엄 코팅)에 나타낸 제1 및 제2 코팅액으로 각각 3회를 코팅하였다. 그 다음 탑코팅을 위해 하기 표 5와 같이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제3 코팅액을 2회에 걸쳐 스프레이 코팅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탑코팅이 완료된 천연 피혁의 표면을 100 ℃의 온도, 30 kg/cm2의 인장강도 및 rpm 5의 조건에서 1차 아이롱 처리한 후 100 ℃의 온도, 50 kg/cm2의 인장강도 및 rpm 5의 조건에서 2차 아이롱 처리하여 크리스탈 타입의 고분자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중량부 방법
DC 111 30 (롤코팅 → 건조) X 3회
Matt-W(Matting agent) 40
136NK(Polyurethane binder) 50
U2(Polyurethane binder) 100
SB-100(Acryl binder) 250
College 150(Filler) 150
Black-A(Pigment) 200
합계 820
구성성분 중량부 방법
DC 111 30 (롤코팅 → 건조) X 3회
Matt-W(Matting agent) 40
136NK(Polyurethane binder) 100
U2(Polyurethane binder) 150
SB-100(Acryl binder) 150
College 150(Filler) 150
Black-A(Pigment) 200
합계 820
구성성분 중량부 방법
Freetop T-680(Free Tech Co., Ltd) 700 (스프레이 코팅 → 건조) X 2회
(액상)
Pigment(Black) 5
H2O 25
제3 코팅액의 용액 점도: 16 sec(Ford Cup No. 4(Dia. 4mm))
(점도측정: 약품이 Ford Cup을 통과하는 시간을 Sec로 측정함)
1회 코팅량: 2.5g/SF
비교예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을 이용한 첨가제를 넣지 않고 리탠닝시키고,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성바인더(탑코팅제)를 이용한 탑코팅 및 아이롱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 천연 피혁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유연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천연 피혁에 대해 KS M ISO 17235에 의한 방법으로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의 사용에 의한 유연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시험 결과
비교예 실시예 1
pH 5.1 5.1
Softness(mm) 3.1 6.9
상기 표 6의 결과에 의하면,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의 사용 전후 pH 변화는 없었으나, 상기 첨가제를 넣지 않은 비교예는 유연성이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한 실시예 1의 경우 상기 비교예에 비해 유연성이 2배 이상 크게 증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광택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천연 피혁에 대해 BYK-GARDENER, MICRO-TRI-GLOSS 방법으로 광택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시험 결과
비교예 실시예 1
광택도(60도) 4.6 12.0
상기 표 7의 결과에 의하면,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제3 코팅액을 이용한 탑코팅 후 2회에 걸쳐 아이롱 공정을 수행한 실시예 1의 경우 광택도(60도)가 12.0으로 높은 반면에, 상기와 같은 탑코팅 및 아이롱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예는 4.6으로 그 값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에서 광택도는 정반사를 원칙으로 하여 입사각과 반사각의 각도를 동일시하여 정해진 각도(20도, 60도)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광택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피혁의 광택도는 60도에서 측정한다.
실험예 3: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천연 피혁의 물성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주요성능 Spec)
시험방법 적합범위(Spec) 실시예 1 비교예
필름 두께(㎛) 전자현미경법 150 이하 15.4 25.5
내굴곡성(Cycle) KSM ISO 5402-1 50,000 이상 62,300 43,000
광택도(60도) KSM ISO 2813 10.0 이상 12.0 4.6
내마모도(mg loss) ASTM D 3884 50 이하 6.8 34.2
은면균열강도(kgf) KS M ISO 3379 10 이상 16.3 15.9
상기 표 8의 결과에 의하면,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인 실시예 1에서는 필름 두께, 내굴곡성, 광택도, 내마모도 및 은면균열강도에서 요구하는 물성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필름 두께가 매우 얇으며, 광택도가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상기 비교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 비해 특히, 내굴곡성, 광택도 및 내마모도에서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요구하는 물성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은 탈모, 탈회, 탄닝 등의 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을 원료로 하여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킴으로써 천연 피혁에 유연성, 충전성 및 천연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광택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탑코팅과 2 단계의 아이롱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에나멜 피혁에 비해 필름 두께가 얇아 천연 피혁 특유의 촉감을 보유하면서도 고광택도를 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닝공정을 거친 천연 피혁에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를 첨가하여 리탠닝시키는 공정;
    상기 리탠닝된 천연 피혁을 염색하는 공정;
    상기 염색된 천연 피혁을 도장하는 공정; 및
    상기 도장된 천연 피혁을 아이롱 처리하여 크리스탈 타입의 고분자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을 제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는 아크릴계 수지 20~35 중량% 및 유지 65~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의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고, 상기 유지는 대두유, 옥수수유, 팜유, 올리브유, 및 미강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의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유지 공중합 화합물 첨가제의 함량은 상기 천연 피혁 대비 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의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하는 공정은 베이스 코팅, 미디엄 코팅 및 탑코팅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은 아크릴 수지 250~35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150~200 중량부, 안료 150~200 중량부 및 필러 15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코팅액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액의 코팅량은 1~5 g/SF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엄 코팅은 아크릴 수지 150~20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250~300 중량부, 안료 150~200 중량부 및 필러 15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코팅액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액의 코팅량은 1~5 g/SF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은 폴리우레탄 수지 60~80 중량% 및 물 20~40 중량%를 포함하는 제3 코팅액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코팅액의 코팅량은 1~5 g/SF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롱 공정은 80~120 ℃의 온도 및 20~40 kg/cm2의 인장강도의 조건에서 1차 아이롱 처리하는 단계 및 80~120 ℃의 온도 및 40~60 kg/cm2의 인장강도의 조건에서 2차 아이롱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역 피혁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스탈 타입 필름이 형성된 천연 피혁은 필름 두께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역 피혁의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탠닝시키는 공정 전에 재크롬 공정 및 중화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KR1020150049687A 2015-04-08 2015-04-08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KR20160120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687A KR20160120518A (ko) 2015-04-08 2015-04-08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687A KR20160120518A (ko) 2015-04-08 2015-04-08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518A true KR20160120518A (ko) 2016-10-18

Family

ID=5724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687A KR20160120518A (ko) 2015-04-08 2015-04-08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0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678A (ko) * 2020-12-23 2022-07-01 화이트산업 주식회사 피혁 도장용 탑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피혁 탑 도장방법
KR102485971B1 (ko) * 2021-09-16 2023-01-09 (주)태화 자가복원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천연가죽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가죽 소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852A (ko)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해성아이다 천연 피혁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852A (ko)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해성아이다 천연 피혁 가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678A (ko) * 2020-12-23 2022-07-01 화이트산업 주식회사 피혁 도장용 탑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피혁 탑 도장방법
KR102485971B1 (ko) * 2021-09-16 2023-01-09 (주)태화 자가복원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천연가죽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가죽 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2895B (zh) 一种负氧离子多功能汽车内饰皮革的生产方法
JPWO2009084227A1 (ja) トップコート
CN101993962A (zh) 防水软面皮革的制作方法
WO2011061945A1 (ja) 自動車シート用床革下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自動車シート用床革下地を用いた自動車シート用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88492B1 (ko) 육면혁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천연가죽의 제조방법
CN111169123A (zh) 一种鞋里革的制备方法
CN111534650B (zh) 一种皮包用耐久型抗菌柔软皮革及其制备方法
CN101691693B (zh) 合成革用水性pu烫亮处理剂
KR100829316B1 (ko) 천연가죽의 제조방법
CN115612756A (zh) 一种白色运动鞋面革的涂饰工艺
CN110128936B (zh) 一种合成革用表面处理剂及其制备方法
KR20160120518A (ko) 크리스탈 타입 천연 피혁의 제조방법
CN108977595B (zh) 一种水性湿法制备真皮箱包革的方法
CN104451001A (zh) 一种抛光皮料的制备方法
CN111518967A (zh) 真皮制品
JP5871502B2 (ja) 光輝性天然皮革
CN1089304A (zh) 牛皮修面、蜡变色效应革及其生产方法
CN107699644B (zh) 疯马皮革及其制备工艺
KR101609662B1 (ko) 스폰지형 육면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28712B (zh) 一种用于汽车饰件的抗菌耐水复合皮革制备工艺
CN110846446A (zh) 一种防水皮革的生产工艺
KR101003347B1 (ko) 전투화용 위장무늬 가죽원단의 제조방법
KR20050114842A (ko) 환경친화적 천연 피혁 소재를 이용한 신발용 기능성깔창의 제조방법
JP5469545B2 (ja) 耐オレイン酸性に優れた天然皮革製品
CN105154597A (zh) 阻燃、耐光、低雾化可降解牛皮汽车坐垫革制造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