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063A -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063A
KR20160120063A KR1020150049092A KR20150049092A KR20160120063A KR 20160120063 A KR20160120063 A KR 20160120063A KR 1020150049092 A KR1020150049092 A KR 1020150049092A KR 20150049092 A KR20150049092 A KR 20150049092A KR 20160120063 A KR20160120063 A KR 20160120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ckets
powder
fish
weight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557B1 (ko
Inventor
이삼구
Original Assignee
이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구 filed Critical 이삼구
Priority to KR102015004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5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사료 제조 시, 영양성분 중 특히 단백질, 오메가-3 계열 지방산,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귀뚜라미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사료를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영양성분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은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귀뚜라미 8 ~ 11 중량부, 칼슘공급원 5 ~ 7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는 쌀겨, 대두박, 면실박, 깻묵,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우뭇가사리액, 해초, 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귀뚜라미는 대량 사육된 생물상태의 귀뚜라미를 냉동하여 동결건조기에서 -30 ~ -38 ℃의 온도조건으로 동결건조한 뒤, 30 ~ 40 메쉬로 분쇄한 분말형태이며, 상기 칼슘공급원은 멸치분말 또는 계란껍질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상기 멸치분말은 육수를 끓이고 남은 멸치찌꺼기를 건조하여 30 ~ 40 메쉬로 분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란껍질분말은 계란껍질을 20 ~ 30 메쉬로 분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ultured fish or crustacean feed using cricket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사료 제조 시, 영양성분 중 특히 단백질, 오메가-3 계열 지방산,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귀뚜라미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사료를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영양성분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귀뚜라미는 인가 주위에서 살며 초원이나 정원의 돌밑 등에서 숨어 있는 습성이 있으며, 수컷의 경우 영역을 설정한다. 대부분 땅 위에 살지만 물 위, 집안, 개미의 집에 공생하는 것 등도 있다. 산란관을 땅속에 꽂고 산란하며 알 상태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연 1회, 8월 중순에서 10월 말까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잡식성이며, 썩은 풀을 주식으로 하지만, 여치와 마찬가지로 자기보다 작은 벌레 등을 잡아먹는 등의 육식도 한다. 또한 곤충이나 지렁이 등의 시체를 먹어 치우기도 한다. 또한 세대가 짧아 타 생물자원에 비해 시간적 경제적 측면에서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유용생물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귀뚜라미는 사료용곤충(거저리, 파리유충 등)과 곤충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높아, 주로 애완동물(파충류, 조류), 양식업(어류 먹이, 낚시미끼), 양서류 등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다.
광우병 등 동물 질병에 대한 관심 높아지면서 안전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사료 곤충의 가치가 부각되면서, 곤충을 섭취한 동물(가축, 조류, 애완, 어류 등)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강해지고, 고단백질 영양분 섭취로 성장이 촉진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어류나 어류가공 식품들을 풍부하게 섭취하는 국가의 국민들의 심장질환 발병률은 어류를 섭취하지 않은 국가의 국민보다 낮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의 원인을 규명한 결과 어류에는 다른 식품보다 오메가-3 다중 불포화 지방산이라는 필수 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이란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도 탄소 측쇄의 맨 끝에서부터 3번째 탄소에 이중결합을 갖는 필수 지방산으로서, 이 필수 지방산은 세포의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함은 물론 신체의 성장과 두뇌 발달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일 뿐 아니라,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은 혈액 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통한 각종 심장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항종양 효과 및 학습 능력의 저하 예방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어류의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의 공급원으로 유채종실, 어분, 아마씨, 아마종실, 들깨종실을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하여 채식위주에서 육식위주로 바뀜에 따라 육식 섭취에 의한 동맥경화증을 비롯한 심혈관 질환이 국내에서도 사망의 원인으로 증가하면서,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을 갖는 요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어류의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사료에 첨가되는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의 공급원인 식물성 종실의 급여가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의해 사료 섭취량이 감소되는 현상과 간에서 체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이 저하되는 현상으로 체중의 증체가 지연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백질 및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사료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0028호(2014.12.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9906호(2010.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사료 제조 시, 영양성분 중 특히 단백질, 오메가-3 계열 지방산,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귀뚜라미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사료를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영양성분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귀뚜라미 8 ~ 11 중량부, 칼슘공급원 5 ~ 7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는 쌀겨, 대두박, 면실박, 깻묵,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우뭇가사리액, 해초, 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귀뚜라미는 대량 사육된 생물상태의 귀뚜라미를 냉동하여 동결건조기에서 -30 ~ -38 ℃의 온도조건으로 동결건조한 뒤, 30 ~ 40 메쉬로 분쇄한 분말형태이며, 상기 칼슘공급원은 멸치분말 또는 계란껍질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상기 멸치분말은 육수를 끓이고 남은 멸치찌꺼기를 건조하여 30 ~ 40 메쉬로 분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란껍질분말은 계란껍질을 20 ~ 30 메쉬로 분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는 제조 시, 영양성분 중 특히 단백질, 오메가-3 계열 지방산,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귀뚜라미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사료를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영양성분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칼슘공급원을 첨가함으로써 칼슘증진에 따른 효과는 물론, 칼슘공급원으로써 육수를 끓이고 남은 멸치찌꺼기 또는 계란껍질을 이용함에 따라 폐기되는 음식물찌꺼기를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제조 시,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셀레늄을 첨가하면 생존율을 높이고 항생제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유청 분말을 첨가하면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를 1일 3회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폐사율을 50 ~ 70 %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는 증체율 증대, 폐사율 저하, 영양성분 증대의 효과를 현저히 증대시켜, 고품질의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를 사육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조단백질, 오메가3지방산인 DHA와 EPA, 비타민, 무기질 등의 함량을 월등히 높여, 영양성분, 맛, 식감이 증대됨에 따라 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인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는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귀뚜라미 8 ~ 11 중량부, 칼슘공급원 5 ~ 7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는 쌀겨, 대두박, 면실박, 깻묵,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우뭇가사리액, 해초, 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귀뚜라미는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쑥 14~16 중량부, 부추 14~16 중량부, 칡 14~16 중량부, 헛개나무 14~16 중량부, 청국장 14~16 중량부, 시금치 14~16 중량부, 양파 14~16 중량부, 토마토 14~16 중량부, 마늘 14~16 중량부, 꾸지뽕 14~16 중량부, 호박 14~16 중량부, 고구마 14~16 중량부를 포함하는 사료를 1일 3회 급여하여 사육됨으로써, 탁월한 간기능 효과 및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이렇게 사육된 상기 귀뚜라미는 대량 사육된 생물상태의 귀뚜라미를 냉동하여 동결건조기에서 -30 ~ -38 ℃의 온도조건으로 동결건조한 뒤, 30 ~ 40 메쉬로 분쇄한 분말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귀뚜라미가 11 중량부를 초과하면 귀뚜라미의 중량 증가 대비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증체율 증대, 폐사율 저하, 영양성분 증대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 되지 않으므로, 원료를 낭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8 중량부 미만 시 증체율 증대, 폐사율 저하, 영양성분 증대의 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귀뚜라미는 영양성분 중 특히 단백질, 오메가-3 계열 지방산,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하여, 귀뚜라미를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사료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상기 사료를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증체율 증대, 폐사율 저하, 영양성분 증대의 효과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귀뚜라미의 영양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귀뚜라미의 영양성분
Figure pat00001

또한 상기 칼슘공급원은 멸치분말 또는 계란껍질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데, 상기 멸치분말은 육수를 끓이고 남은 멸치찌꺼기를 건조하여 30 ~ 40 메쉬로 분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란껍질분말은 계란껍질을 20 ~ 30 메쉬로 분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칼슘공급원이 7 중량부를 초과하면 칼슘과다섭취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고, 5 중량부 미만 시 칼슘의 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양식어류는 향어, 메기, 장어, 숭어, 넙치, 광어, 전어, 우럭, 참돔, 볼락를 포함하고, 상기 갑각류는 새우, 게를 포함하며, 상기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를 1일 3회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폐사율을 50 ~ 70 % 낮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는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생존율을 높이고 항생제 사용을 감소시키는 셀레늄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유청 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셀레늄은 체내 필수 미량 원소로, 몸 안의 유해산소를 없애는 강력한 항산화 효소인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제의 구성성분이며, 면역기능을 높여 암을 예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셀레늄은 나노 셀레늄으로 입자크리가 10~150㎚로, 일반 셀레늄에 비해 작고 흡수가 빠르며 독성이 10분의 1정도로 알려져 있다. 상기 셀레늄은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가 유기태 셀레늄을 함유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약물과 중금속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셀레늄을 800~1200 ppm (w/v)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청은 우유가 응고되고 걸러 낸 뒤 남은 액체로, 우유로 치즈 또는 카세인을 제조할 때 생기는 부산물이다. 액체 유청은 미황색의 액체로 수분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4% 내지 5%의 락토오스, 1% 이하의 단백질, 소량의 지방과 회분으로 구성되고, 유청은 알부민 등 수용성 단백질이 비교적 많이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유청을 분말의 형태로,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청 분말 1 ~ 3 중량부를 첨가한다.
< 실시예 1>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의 제조 (귀뚜라미 10% 함유)
먼저 쌀겨, 대두박, 면실박, 깻묵,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우뭇가사리액, 해초, 황토로 구성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를 준비한다.
또한 대량 사육된 생물상태의 귀뚜라미를 냉동하여 동결건조기에서 -35 ℃의 온도조건으로 동결건조한 뒤, 40 메쉬로 분쇄하여 귀뚜라미분말을 제조한다.
또한 칼슘공급원으로 육수를 끓이고 남은 멸치찌꺼기를 건조하여 40 메쉬로 분쇄하여 멸치분말을 제조한다.
또한 칼슘공급원으로 계란껍질을 30 메쉬로 분쇄하여 계란껍질분말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귀뚜라미분말 10 중량부, 상기 멸치분말 3 중량부 및 상기 계란껍질분말 3 중량부를 혼합하여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의 제조를 완료한다.
< 비교예 1 ~ 3> 사료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1 사료의 효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 ~ 3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은 귀뚜라미 및 칼슘공급원이 포함되지 않은 사료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를 준비한다. (일반 사료)
비교예 2는 귀뚜라미를 3% 함유하는 사료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귀뚜라미분말 3 중량부, 상기 멸치분말 3 중량부 및 상기 계란껍질분말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나머지 과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귀뚜라미 3% 함유)
비교예 3은 귀뚜라미를 15% 함유하는 사료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귀뚜라미분말 15 중량부, 상기 멸치분말 3 중량부 및 상기 계란껍질분말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고, 나머지 과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귀뚜라미 15% 함유)
< 시험예 1> 증체율 비교
참돔 100마리를 대상으로 3개월 동안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의 사료를 각각 1일 3회씩 급여하고, 실험 초기 및 마감시의 체중을 측정하여 증체율을 조사하였다.
상대 중량증가율(%) = (실험 마감시 물고기의 평균체중 - 실험 초기 물고기의 평균체중) / 실험 초기 물고기의 평균체중 × 100
(표 2) 체중 증가율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체중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는데, 특히, 귀뚜라미를 10% 함유한 실시예 1은 귀뚜라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체중 증가율이 약 1.5배로 나타나, 귀뚜라미를 첨가함에 따라 체중 증가율이 증가되어, 고품질의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를 사육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 시험예 2> 폐사율 비교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사육하고, 각각의 폐사 미수를 조사하여 폐사율을 조사하였다.
(표 3) 폐사율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폐사율이 낮게 나타나는데, 특히 귀뚜라미를 10% 함유한 실시예 1은 귀뚜라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폐사율이 50 ~ 70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귀뚜라미를 첨가함에 따라 폐사율이 감소되어, 생산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 시험예 3> 영양성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사육하고, 각각의 영양성분을 월1회마다 측정하여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표 4) 영양성분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영양성분이 탁월한데, 특히 조단백질, 오메가3지방산인 DHA와 EPA, 비타민, 무기질 함량이 월등히 높아, 고품질의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를 사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 시험예 4> 관능평가
10~50대의 일반인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하게 사육된 참돔을 각각 50g씩 시식하게 하여 맛(고소함, 뒷맛의 깨끗함 정도), 향(비린내가 적을수록 높은점수), 식감(쫀득거림, 육질의 차짐 정도) 및 종합적인 선호도에 대하여 7점법에 의해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관능평가 결과
Figure pat00005

* 관능평가 기준 : 7점법
(1점 : 아주나쁘다, 2점 : 나쁘다, 3점 : 조금나쁘다, 4점 : 보통이다, 5점 : 조금 좋다, 6점 : 좋다, 7점 : 아주좋다)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관능평가 결과가 우수한데, 이는 귀뚜라미가 첨가됨에 따라 단백질과 같은 영양성분이 증대되어, 맛과 식감이 증대됨에 따라 종합적인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체율, 폐사율, 영양성분 및 관능성을 종합해보면, 사료 제조 시 첨가되는 귀뚜라미의 함량이 높을수록 증체율이 증대되고, 폐사율이 저하되며, 영양성분 및 관능성이 증대되지만, 상기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귀뚜라미 중량 증가 대비 증체율 증대, 폐사율 저하, 영양성분 및 관능성 증대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 되지 않으므로, 귀뚜라미 원료를 낭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귀뚜라미를 10% 내외로 첨가하는 것이 원료 첨가량 대비 효율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중량이 된다.

Claims (4)

  1.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귀뚜라미 8 ~ 11 중량부, 칼슘공급원 5 ~ 7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는 쌀겨, 대두박, 면실박, 깻묵,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우뭇가사리액, 해초, 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귀뚜라미는 대량 사육된 생물상태의 귀뚜라미를 냉동하여 동결건조기에서 -30 ~ -38 ℃의 온도조건으로 동결건조한 뒤, 30 ~ 40 메쉬로 분쇄한 분말형태이며,

    상기 칼슘공급원은 멸치분말 또는 계란껍질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되, 상기 멸치분말은 육수를 끓이고 남은 멸치찌꺼기를 건조하여 30 ~ 40 메쉬로 분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란껍질분말은 계란껍질을 20 ~ 30 메쉬로 분쇄하여 구성되는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어류는 향어, 메기, 장어, 숭어, 넙치, 광어, 전어, 우럭, 참돔, 볼락를 포함하고, 상기 갑각류는 새우, 게를 포함하는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는,
    상기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를 1일 3회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폐사율을 50 ~ 70 % 낮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4. 쌀겨, 대두박, 면실박, 깻묵,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우뭇가사리액, 해초, 황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를 준비하는 단계;

    대량 사육된 생물상태의 귀뚜라미를 냉동하여 동결건조기에서 -30 ~ -38 ℃의 온도조건으로 동결건조한 뒤, 30 ~ 40 메쉬로 분쇄하여 귀뚜라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육수를 끓이고 남은 멸치찌꺼기를 건조하여 30 ~ 40 메쉬로 분쇄하여 멸치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계란껍질분말은 계란껍질을 20 ~ 30 메쉬로 분쇄하여 계란껍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일반 배합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귀뚜라미분말 8 ~ 11 중량부, 상기 멸치분말 또는 계란껍질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칼슘공급원 5 ~ 7 중량부를 혼합하여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는 향어, 메기, 장어, 숭어, 넙치, 광어, 전어, 우럭, 참돔, 볼락, 새우, 게를 포함하고,

    상기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를 1일 3회 급여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의 폐사율을 ~% 낮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150049092A 2015-04-07 2015-04-07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92A KR101761557B1 (ko) 2015-04-07 2015-04-07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92A KR101761557B1 (ko) 2015-04-07 2015-04-07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63A true KR20160120063A (ko) 2016-10-17
KR101761557B1 KR101761557B1 (ko) 2017-07-26

Family

ID=5725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092A KR101761557B1 (ko) 2015-04-07 2015-04-07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5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14A (ko) * 2017-09-22 2019-04-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귀뜰 단호박을 함유한 귀뚜라미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1025B1 (ko) * 2020-05-04 2020-09-29 신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나무잎과 줄기를 이용한 발효추출물과 분말을 포함하는 새우 사료용 조성물
KR102272902B1 (ko) * 2020-11-27 2021-07-02 송영선 흰다리 새우 양식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다리 새우 양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906B1 (ko) 2008-02-13 2010-02-03 한라산영어조합법인 한방 추출액을 이용한 어류 양식용 사료첨가제
KR101480028B1 (ko) 2013-06-17 2015-01-07 (주)창조바이오텍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sj-30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어류용 사료첨가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4185B2 (ja) 1993-03-22 1998-11-11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魚類免疫賦活剤
KR100511502B1 (ko) * 2005-04-13 2005-08-31 김종칠 한약재를 이용한 어류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EP2334196B1 (en) 2008-09-11 2012-08-29 The IAMS Company Animal feed kibble with protein-based core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906B1 (ko) 2008-02-13 2010-02-03 한라산영어조합법인 한방 추출액을 이용한 어류 양식용 사료첨가제
KR101480028B1 (ko) 2013-06-17 2015-01-07 (주)창조바이오텍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sj-30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어류용 사료첨가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14A (ko) * 2017-09-22 2019-04-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귀뜰 단호박을 함유한 귀뚜라미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1025B1 (ko) * 2020-05-04 2020-09-29 신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나무잎과 줄기를 이용한 발효추출물과 분말을 포함하는 새우 사료용 조성물
KR102272902B1 (ko) * 2020-11-27 2021-07-02 송영선 흰다리 새우 양식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흰다리 새우 양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557B1 (ko)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vell Diet and fish husbandry
KR101773851B1 (ko) 귀뚜라미를 이용한 애완견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0381B1 (ko) 고dha 및 저콜레스테롤 계란 생산용 양계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6688B1 (ko) 밀웜과 동애등에를 포함하는 관상어 사료
WO2015030008A1 (ja) ウナギ用飼料、ウナギ稚魚の成育方法及び養殖ウナギの生産方法並びにウナギ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CN104996784A (zh) 一种以南极磷虾为主要原料的鱼用饲料及其制备方法
JP5992461B2 (ja) ウナギ稚魚の成育方法及び養殖ウナギの生産方法、並びにウナギ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CN104161217A (zh) 一种伪棘甲鲶鱼类(Pseudacanthicus)专用配合饲料制备方法
KR101761557B1 (ko) 귀뚜라미를 이용한 양식어류 또는 갑각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6215074B2 (ja) スッポン用飼料及び養殖スッポンの生産方法ならびにスッポン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Lim et al. Practical feeding—penaeid shrimps
KR102164339B1 (ko) 스파이니 랍스터 유생용 사료 조성물
KR20190033814A (ko) 단호박을 함유한 귀뚜라미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15616A1 (ja) スッポン用飼料及び養殖スッポンの生産方法ならびにスッポン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JP5524431B1 (ja) スッポン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KR20160120061A (ko) 귀뚜라미를 이용한 가금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1878A (ko) 쌍별귀뚜라미를 이용한 동물 사료용 조성물
Pigott et al. Special feeds
KR20100065977A (ko) 산자나무를 포함하는 기능성 배합사료
CN105341322A (zh) 一种提高草鱼生长性能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319208A (zh) 一种水产饲料及其在石斑鱼饲养中的应用
JP2013179929A (ja) 魚類又は甲殻類用飼料組成物、及び魚類又は甲殻類の飼育方法
KR101815626B1 (ko) 실뱀장어의 초기 냉동사료
JPH11313617A (ja) アロエを用いた養魚用天然飼料及びこれを用いた養魚用飼料
JP2021007303A (ja) ナリルチンを用いた魚類の養殖方法、生産方法、魚類の可食部および魚類のナルリチン含有配合飼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