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545A - 피처리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피처리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545A
KR20160119545A KR1020150048355A KR20150048355A KR20160119545A KR 20160119545 A KR20160119545 A KR 20160119545A KR 1020150048355 A KR1020150048355 A KR 1020150048355A KR 20150048355 A KR20150048355 A KR 20150048355A KR 20160119545 A KR20160119545 A KR 20160119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support
plate
sea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078B1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4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07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23D79/02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9Work-clamping means for pressing workpieces against a work-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안착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피처리물의 표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처리물 처리장치{Object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피처리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처리물의 표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식성 평가 및 품질인증 등을 목적으로 실험소재에 대한 각종 실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실험소재에 전착도장을 실시한 후 밀착성 실험, 내수성 실험, 내습성 실험, 염수분무실험(SST; solt spray test), 복합부식실험(CCT; corrosion cycle test) 등과 같은 실험 항목에 따라 소재 표면에 홈을 새겨 실험을 진행한다.
그 중 복합부식실험(CCT)은 실험소재 표면의 홈과 연결 형성되는 브리스터(blister)의 크기를 측정하여 실험소재에 밀착된 전착도장층 소재의 부식 진행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이를 위해 실험소재의 표면에 X자형 홈을 형성하며,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나이프나 커팅치구를 이용하여 전착도장이 실시된 실험소재의 표면에 X자형 홈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전착도장이 실시된 실험소재를 테이블 상에 정렬하고, 실험소재와 같은 크기의 홈이 형성된 형틀을 실험소재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자를 대고 나이프나 커팅치구를 이용하여 실험소재 표면의 전착도장층을 긁어내어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는 X자형 홈을 형성한다.
그런데 X자형 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실험소재와 형틀이 어긋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직접 자를 대고 실험소재의 표면에 형성된 전착도장층을 긁어내기 때문에 X자형 홈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X자형 홈 주변에 형성되는 브리스터 형상이나 크기가 불규칙하게 형성되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형태로 형성되어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작업자가 많은 양의 실험소재를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작업으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6569A KR 2012-0075901A
본 발명은 피처리물의 표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 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안착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와 연결되는 승강프레임과, 하부는 상기 승강프레임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부에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핀이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피처리물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기 피처리물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복수의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공간으로 인입시키는 삽입구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고정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저면을 통해 상기 지지핀과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홀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상기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공홀은 직선형태 및 곡선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 장치에 따르면, 실험소재 등과 같은 피처리물의 표면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피처리물을 직접 정렬한 상태로 가공하던 종래에 비해 별도의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을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피처리물을 가공함으로써 피처리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의 표면을 실험에서 요구하는 형상을 갖도록 일정하게 가공함으로써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처리물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에서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주고, 반복적인 가공작업에 의한 능률 저하를 억제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처리물 가공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상부 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상부 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부(120)와,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부(120)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안착부(130) 및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홀(141)이 형성되고, 승강부(120)와 연결되어 안착부(130) 상부에 배치되며, 승강부(1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안착부(130)의 상부면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예컨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112)와, 지지플레이트(112)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114)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112)는 그 상부에 배치되는 승강부(120), 안착부(130), 고정부(140) 등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가 되며, 이에 일정한 두께와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14)는 하부가 지지플레이트(112)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는 안착부(130)에 연결되어 안착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114)는 지지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 모서리부분마다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114) 역시 상부에 지지되는 안착부(130)를 지지하여야 하고,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가해지는 하중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와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승강부(120)는 지지플레이트(112)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기(122)와, 구동기(122)와 연결되는 승강프레임(124) 및 하부는 승강프레임(124)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는 안착부(130)를 관통하며 고정부(140)의 저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핀(126)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122)는 지지플레이트(112)의 상부, 예컨대 지지플레이트(112)의 중심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지지플레이트(112)의 상부의 복수의 위치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기(122)는 승강프레임(124)를 지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즉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구동기(122)는 직선운동을 하는 구동축을 갖는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122)는 실린더 이외에도 승강프레임(12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승강프레임(124)은 구동기(122)에 연결되어 지지플레이트(112)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124)는 지지플레이트(112)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자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승강프레임(124)은 저면에 구동기(122)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고정부(14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핀(126)이 연결될 수 있다.
지지핀(126)은 하부가 승강프레임(124)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에는 고정부(14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승강프레임(124)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핀(126)은 승강프레임(124)의 상부에 배치되는 안착부(130)를 관통하며 고정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승강프레임(124)과 지지핀(126)은 그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와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승강프레임(124)은 구동기(122)의 동작에 의해 지지플레이트(112)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부(1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안착부(130)는 승강프레임(124)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상부에 피처리물, 예컨대 시험소재를 안착시킬 수 있다. 안착부(130)는 상부에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공간(132a)이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132)와, 안착플레이트(132) 상부에서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공간(132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피처리물은 공간(132a)에 안착되면 피처리물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134a, 134b, 134c, 134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안착플레이트(132)와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는 별도의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연결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13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와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132)는 실질적으로 피처리물, 예컨대 시험소재가 안착되는 구성으로, 시험소재가 안착되는 상부면은 피처리물과 밀착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는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에 구비되며,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면보다 높은 단차를 갖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는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에서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공간(132a)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는 피처리물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공간(132a)에 피처리물을 안착시키고 구동기(122)의 작동에 의해 고정부(140)를 하강시켰을 때 고정부(140)가 가이드(134a, 134b, 134c, 134d)의 상부면 및 피처리물의 상부면에 밀착되거나, 피처리물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피처리물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134a, 134b, 134c, 134d)에 의해 피처리물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피처리물을 표면 가공하기 위한 위치, 즉 정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는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피처리물이 형성되는 공간(132a)을 정의하는데, 이때 공간(132a)으로 피처리물의 인입과 고정부(14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는 'L'자형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134a) 및 제2가이드(134b)와,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제3가이드(134c) 및 제4가이드(134d)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13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제1가이드(134a), 제2가이드(134b), 제3가이드(134c) 및 제4가이드(134d)는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가이드(134a)와 제2가이드(134b)는 안착플레이트(132)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134a)와 제2가이드(134b)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그 사이 간격에 고정부(140)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138)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가이드(134c) 및 제4가이드(134d)는 안착플레이트(132)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안착플레이트(132)의 타측에는 제3가이드(134c) 및 제4가이드(134d)에 의해 피처리물을 공간(132a)으로 인입시킬 수 있는 삽입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가이드(134c) 및 제4가이드(134d)는 제1가이드(134a) 및 제2가이드(134b)와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그 사이 간격에 고정부(140)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홈(138)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34a, 134b, 134c, 134d)에는 승강부(120)의 지지핀(126)이 관통되는 관통구(136)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36)는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공간(132a)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공간(132a)을 둘러싸고 있는 가이드(134a, 134b, 134c, 134d)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관통구(136)는 지지핀(126)이 고정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134a, 134b, 134c, 134d)마다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40)는 승강부(120)의 지지핀(126)을 통해 지지되어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에 배치된다. 고정부(14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가지며, 일정한 두께와 중량을 가지는 고정플레이트(142)를 포함한다. 고정플레이트(142)는 승강부(120)의 지지핀(126)과 연결되어 안착플레이트(132) 상부에 배치되며, 구동기(122)의 동작에 의해 하강 및 상승하며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면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고정플레이트(142)는 안착플레이트(132)의 공간(132a)에 안착된 피처리물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피처리물을 안착플레이트(132)의 공간(132a)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142)에는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홀(141)이 형성되는데, 가공홀(141)은 안착플레이트(132)에서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공간(132a)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가공홀(141)은 도 1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직선이 교차하는 X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피처리물, 예컨대 시험소재의 시험 항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가공홀(141)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직선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11자형 가공홀(144a)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을 갖는 S자형 가공홀(144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42)에 형성되는 가공홀(141)의 형상에 따라, 또는 가공홀(141)이 손상된 경우에는 고정플레이트(142)를 지지핀(126)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인 시험소재의 시험 항목에 따라 시험소재의 표면에 적절한 형태의 가공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안착플레이트(132)와 고정플레이트(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자석은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면이나 고정플레이트(142)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에 홈을 형성하고, 홈에 매립시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처리물이 자성체인 경우, 안착플레이트(132)나 고정플레이트(142)에 자석을 구비하여 피처리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안착플레이트(132)와 고정플레이트(142) 각각에 자석을 구비하여 피처리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플레이트(142)와 안착플레이트(132)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을 배치하여 고정플레이트(142)와 안착플레이트(132) 간에 발생하는 인력을 이용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142)와 안착플레이트(132) 사이에 피처리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피처리물을 안착플레이트(132)와 고정플레이트(142)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가공홀(141)을 통한 피처리물의 표면 가공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처리물 처리방법은, 피처리물(P)을 마련하는 과정과, 피처리물(P) 처리장치의 구동기(122)를 동작시켜 고정부(140)를 상승시키는 과정과, 피처리물(P)의 고정부(140)와 안착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구(135)를 통해 피처리물(P)을 삽입하여 안착부(130) 내에 형성되는 공간(132a)에 안착시키는 과정과, 구동기(122)를 동작시켜 고정부(140)를 하강시켜 안착부(130)에 안착된 피처리물(P)을 가압하는 과정과, 고정부(140)에 형성되는 가공홀(141)을 통해 피처리물(P)의 표면을 가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먼저, 피처리물(P)인 시험소재를 도장 용액에 침지시켜 표면에 전착도장층을 형성한다.
이렇게 전착도장층이 형성된 시험소재의 부식 진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소재의 표면에 X자홈을 형성한다.
실험소재의 표면에 X자형 홈을 형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우선, 피처리물(P) 처리장치의 구동기(122)를 동작시켜 승강프레임(124)을 상승시킨다. 이에 승강프레임(124)에 지지핀(126)을 통해 연결된 고정부(140)가 상승하여 안착플레이트(132)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고정부(140)가 상승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132)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구(135)가 개방되고, 개방된 삽입구(135)를 통해 피처리물(P)을 슬라이딩시켜 안착플레이트(132)의 공간(132a)에 삽입한다. 이때, 안착플레이트(132)의 가이드(134a, 134b, 134c, 134d), 예컨대 제1가이드(134a) 및 제2가이드(134b)가 스토퍼로 작용하여 피처리물(P)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피처리물(P)이 정위치, 즉 표면 가공을 위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피처리물(P)이 안착플레이트(132)의 공간(132a)에 안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122)를 동작시켜 승강프레임(124)을 하강시킨다. 이에 승강프레임(124)에 연결된 고정부(140)가 하강하여 그 저면이 안착플레이트(132)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134a, 134b, 134c, 134d)의 상부면과 피처리물(P)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피처리물(P)이 안착플레이트(132)와 고정부(140) 사이에 고정된다.
이렇게 피처리물(P)이 고정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40)에 형성되는 가공홀(141)에 나이프나 커팅치구 등과 같은 가공툴(200)을 삽입한 후 가공홀(141)을 따라 이동시켜 피처리물(P)의 표면에 가공홈을 형성한다. 이때, 작업자가 직접 가공홀(141)에 가공툴(200)을 삽입하여 피처리물(P)의 표면에 가공홈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물론 가공툴(200)을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여 피처리물(P)의 표면에 가공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공툴(200)에 일정한 압력은 가한 상태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어 피처리물(P)의 표면에 형성되는 가공홈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피처리물(P)의 표면에 가공홈이 형성되면 구동기(122)를 동작시켜 승강프레임(124)을 상승시킴으로써 고정부(140)를 피처리물(P)과 가이드(134a, 134b, 134c, 134d)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삽입구(135)를 통해 피처리물(P)을 인출하고, 다음 가공을 위해 새로운 피처리물(P)을 안착플레이트(132)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하면, 작업자가 피처리물과 형틀을 직접 정렬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줄 수 있고,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한 피로를 줄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피처리물의 표면 가공시 발생하는 오류도 감소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지지부 112: 지지플레이트
114: 지지대 120: 승강부
122: 구동기 124: 승강프레임 용기
126: 지지핀 130: 안착부
132: 안착플레이트 132a: 공간
134a, 134b, 134c, 134d: 가이드 135: 삽입구
136: 관통구 138: 파지홈
140: 고정부 141: 가공홀
142: 고정플레이트 200: 가공툴

Claims (11)

  1.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어 안착부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상부면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면적을 갖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기와,
    상기 구동기와 연결되는 승강프레임과,
    하부는 상기 승강프레임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핀을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부에 피처리물이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핀이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피처리물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기 피처리물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복수의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공간으로 인입시키는 삽입구인 피처리물 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고정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홈인 피처리물 처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저면을 통해 상기 지지핀과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홀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상기 공간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공홀은 직선형태 및 곡선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석이 구비되는 피처리물 처리 장치.
KR1020150048355A 2015-04-06 2015-04-06 피처리물 처리장치 KR10174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55A KR101749078B1 (ko) 2015-04-06 2015-04-06 피처리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55A KR101749078B1 (ko) 2015-04-06 2015-04-06 피처리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545A true KR20160119545A (ko) 2016-10-14
KR101749078B1 KR101749078B1 (ko) 2017-07-03

Family

ID=5715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355A KR101749078B1 (ko) 2015-04-06 2015-04-06 피처리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8450A (zh) * 2020-09-29 2021-01-19 广州优尼冲压有限公司 生产器件配件用的机械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4466B (zh) * 2018-12-24 2020-10-30 海马汽车有限公司 一种压紧工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69A (ko) 2002-07-12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막 부착성 평가장치
KR20120075901A (ko) 2010-12-29 2012-07-09 (주)태형 사출물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779B1 (ko) * 2011-02-22 2012-10-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기판 고정 장치
KR101279279B1 (ko) * 2011-08-01 2013-06-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테인리스강의 버핑 시험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핑 시험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69A (ko) 2002-07-12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막 부착성 평가장치
KR20120075901A (ko) 2010-12-29 2012-07-09 (주)태형 사출물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8450A (zh) * 2020-09-29 2021-01-19 广州优尼冲压有限公司 生产器件配件用的机械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078B1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8248B2 (ja) ステンシルプリンターのためのリフトツールアセンブリ
KR101559468B1 (ko) 공작기계용 부정형 가공품 고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749078B1 (ko) 피처리물 처리장치
CN108832444B (zh) 一种板间三通电连接器搪锡工装及其使用方法
KR20120108229A (ko) 레이저 가공용 워크 테이블
CN113878375A (zh) 一种环境微振动下超精密金属零部件加工方法及设备
KR20060122715A (ko) 펀칭 장치
KR101746665B1 (ko) 방전가공용 전극 고정장치
KR20140000824U (ko) 샤링기
KR20160127423A (ko)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공 장치
KR20090006462A (ko) 파이프 홀 가공 장치
CN109963964B (zh) 工件保持夹具和在工件保持夹具上的工件安装方法
KR20100008974A (ko)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CN211278144U (zh) 一种剪刀式手臂单臂加工用定位夹具
EP4040936A1 (en) Substrate support pin installation jig, and method for installing substrate support pin
CN106378652A (zh) 数控加工装置
CN210443541U (zh) 基板夹持装置
CN209829603U (zh) 一种双工位方形凸台检测机
CN111975667B (zh) 可调式治具
CN216830432U (zh) 固定夹具及摄像头支架生产设备
CN106736166B (zh) 一种定子定位夹具
KR102479641B1 (ko) 시트 시편 제조 장치
JP7231774B2 (ja) 保持装置、及び該保持装置を用いて実行する保持方法
JP2021510127A (ja) ステンシルプリンターのためのリフトツールアセンブリ
US20170008154A1 (en) Hold-down clamp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