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460A - 열기구 - Google Patents

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460A
KR20160119460A KR1020150048129A KR20150048129A KR20160119460A KR 20160119460 A KR20160119460 A KR 20160119460A KR 1020150048129 A KR1020150048129 A KR 1020150048129A KR 20150048129 A KR20150048129 A KR 20150048129A KR 20160119460 A KR20160119460 A KR 2016011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hot air
fire
gondo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국
Original Assignee
노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국 filed Critical 노태국
Priority to KR102015004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9460A/ko
Publication of KR2016011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BLIGHTER-THAN AIR AIRCRAFT
    • B64B1/00Lighter-than-air aircraft
    • B64B1/40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Abstract

공중살포식 화재진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는 공중에 부양하는 열풍선과 열풍선에 매달린 곤돌라를 갖춘 열기구유닛;열기구유닛에 설치되며 화재현장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지상에 배치된 영상표시부로 전송하는 촬영장치;곤돌라에 장착되며 급수호스를 통해 지상급수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화재현장으로 살포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조작부의 지령에 따라 열기구유닛, 촬영장치, 소화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지상에서 영상표시부를 보며 조작부를 조작하여 열기구유닛의 이동 및 소화장치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기구{Fire Ballon}
본발명은 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에 부양한 상태에서 화재 현장으로 소화수를 살포하여 산불이나 고층건물 등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산이나 고층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장비나 인력의 현장 접근이 어려워 진화에 어려움이 따른다. 산악지대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화염이 크기 때문에 진화인력의 근접 투입이 어렵고, 소화수 공급을 위한 소방호스를 현장까지 연장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곳에서는 화재의 진압을 위해 소방헬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소방헬기는 빈번한 급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화수를 얻기 위해 적합한 저수지나 물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무엇보다 이를 이용하려면, 운용을 위한 전문인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미국특허 4,421,204호(1983. 12. 20. 공고)는 고층 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진압 및 인명구조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장치는 사람과 소화장비를 탑재한 곤돌라를 열기구를 이용하여 공중에 부양시킨 상태에서 지상의 급수수단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화재 발생지점으로 살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사람이 직접 곤돌라에 탑승하여 소화수를 살포를 해야하기 때문에 위험이 따른다. 또 곤돌라와 지상의 트레일러가 윈치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이동의 제어가 어렵고 이동범위도 제한적이다.
미국특허 4,421,204호(1983. 12. 20.) 중국특허공개공보 103405867호(2013. 11. 27.)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5-139387호(1993.06.08)
본발명은 공중에 부양한 상태에서 원격조종에 의해 화재 현장 상부로 이동하여 화재 현장으로 물을 살포할 수 있으며, 이동이 용이한 열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화염이나 장애물로부터 이격을 유지하여 장비를 보호하면서도 화재 발생지점에 물을 근접 살포할 수 있는 열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야간에 원거리에서 원격조종을 하면서도 화재의 진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열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중에 부양하는 열풍선과 열풍선에 매달린 곤돌라를 갖춘 열기구유닛; 상기 열기구유닛에 설치되며 화재현장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지상에 배치된 영상표시부로 전송하는 촬영장치; 상기 곤돌라에 장착되며 급수호스를 통해 지상급수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화재현장으로 살포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조작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열기구유닛, 상기 촬영장치, 상기 소화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지상에서 상기 영상표시부를 보며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열기구유닛의 이동 및 상기 소화장치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열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기구유닛은 상기 곤돌라에 설치되며 횡방향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추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기구유닛, 상기 촬영장치, 상기 소화장치를 제어하는 공중제어부와, 상기 지상급수장치를 제어하는 지상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중제어부와 상기 지상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급수호스가 연결되는 접속장치와, 상기 곤돌라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살포유닛과, 상기 접속장치로부터 상기 살포유닛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며 유로를 개폐하는 급수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포유닛은 물을 살포하는 살포노즐과, 상기 살포노즐을 지지하며 상기 살포노즐의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곤돌라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살포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보조물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설치된 급수제어밸브와, 상기 보조물탱크로부터 상기 살포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배치된 보조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포유닛은 상기 살포노즐이 향하는 방향으로 빛줄기를 조사하여 야간에 살포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서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급수호스가 연결되는 접속장치와 상기 접속장치와 급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곤돌라 하부로 연장될 수 있는 연장호스와 상기 곤돌라에 장착되며 상기 연장호스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곤돌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호스의 길이를 조절하는 권취장치와 상기 연장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호스의 길이조절에 의해 승강하는 이동살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이동살포노즐에 장착된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곤돌라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연장호스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보조물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설치된 급수제어밸브와, 상기 보조물탱크로부터 상기 연장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배치된 보조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는 공중에 부양한 상태에서 원격조종에 의해 화재 현장 상부로 이동할 수 있고, 공중에서 화재 현장으로 물을 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고층건물이나 산악지대처럼 인력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서도 화재의 진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는 촬영장치가 촬영한 화재현장 영상을 지상에 위치하는 영상표시부로 확인하면서 원격조종 방식으로 이동 및 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진화인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영상표시부를 보고 화재의 발생지점으로 정확히 포착하여 물을 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의 진압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는 연장호스를 하방으로 길게 연장하여 이동살포노즐을 화염에 근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기구유닛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화재를 쉽게 진압할 수 있고, 열기구유닛을 화염이나 주변의 장애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는 서치라이트의 빛줄기를 이용해 야간에도 물이 살포되는 방향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야간에 원거리에서 원격조종을 하면서도 화재의 진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는 보조물탱크에 물을 채워 급수호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원거리로 자유롭게 비행한 후 보조물탱크의 물을 이용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기 때문에 지상급수장치와 멀리 이격된 곳에서 발생하는 화재도 쉽게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의 열기구유닛과 이에 장착된 소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의 곤돌라 및 이에 장착되는 소화장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의 곤돌라 및 이에 장착되는 소화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의 동작제어를 위한 구성들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본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기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중에 부양할 수 있는 열기구유닛(100), 열기구유닛(100)에 장착되어 공중에서 화재현장으로 물을 살포할 수 있는 소화장치(200), 열기구유닛(100)으로 화재진압을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상에 마련되는 지상급수장치(300), 지상급수장치(300)와 열기구유닛(100)의 소화장치(200)를 연결하는 급수호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재진압장치는 산이나 고층빌딩처럼 인력이나 장비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기구유닛(100)은 내부에 채워지는 열기에 의해 부양하는 열풍선(110), 열풍선(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풍선(100) 내부로 열기를 공급하는 가열기(120), 열풍선(120) 하부에 매달린 곤돌라(130), 횡향향 추진을 위해 곤돌라(130)의 양측에 설치된 횡방향추진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선(110)은 외측풍선(111)과, 외측풍선(111)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내측풍선(112)을 구비한다. 내측풍선들(112)은 외측풍선(111)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각각 외측풍선(111) 내에서 가열기(120)로부터 공급되는 열기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부양력을 발생시킨다.
열풍선(110)은 가열기(120)의 가열을 조절하여 내부에 채워지는 열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부양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승과 하강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의 열풍선(110)은 화재의 진압과정에서 외측풍선(111) 또는 내측풍선들(112)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부양력을 유지하여 곤돌라(130) 및 이에 장착되는 소화장치(2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곤돌라(130)는 복수의 연결줄(131)에 의해 열풍선(110) 하부에 매달릴 수 있고, 상부가 개방된 바구니 형태로 마련되어 그 내부 및 상부에 소화장치(200)가 탑재될 수 있다. 곤돌라(130)는 필요 시 사람이 탑승할 수도 있으므로 내부공간이 소화장치(200) 외에도 인력이 탑승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횡방향추진기(1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곤돌라(130)의 측면 또는 후부 쪽에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횡방향추진기(140)는 횡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축류팬 형태의 추진날개(141), 추진날개(141)를 회전시키는 모터(142), 추진날개(1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43)를 가지며 추진날개(141)의 주위를 포위하는 원통형 슈라우드(144), 곤돌라(130)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슈라우드(144)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14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곤돌라(130)의 양 측면 외측에 두개의 횡방향추진기(140)가 대칭을 이루도록 장착된 경우를 제시하지만, 횡방향추진기(140)의 형태나 설치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곤돌라(130)에 설치되는 소화장치(2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곤돌라(130)의 하부에 마련되며 지상급수장치(300)로부터 연장되는 급수호스(340)가 분리와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속장치(210)와, 곤돌라(130)의 상단 테두리부분에 장착된 복수의 살포유닛(220)과, 접속장치(210)로부터 분기되어 각 살포유닛(220)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관(230)과, 각 연결관(230)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의 급수제어밸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장치(210)는 급수호스(340)의 커넥터(341)가 접속될 때 내장된 걸림볼, 걸림턱 등의 결속수단(미도시)이 동작하여 커넥터(341)를 결속하여 급수호스(340)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내장된 결속수단은 전동식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결속 및 결속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필요 시 원격제어 등의 방식으로 급수호스(340)의 연결이 쉽게 해제할 수 있다. 물론 곤돌라(130)에 진화인력이 탑승한 경우라면, 수동조작에 의해 급수호스(340)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급수제어밸브(240)는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급수호스(34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해당 살포유닛(22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살포유닛(220)은 물을 살포하는 살포노즐(221)과 살포노즐(221)을 지지하는 노즐지지부(222)를 구비한다.
노즐지지부(222)는 곤돌라(130) 상부에 장착되며 살포노즐(221)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좌우회전부(222a)와 상하회전부(222b)를 구비한다. 또 노즐지지부(222)는 원격제어를 통해 살포노즐(22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회전부(222a)와 상하회전부(222b)를 동작시키는 구동부(223a,223b)를 구비한다. 따라서 살포유닛(220)은 원격조종방식으로 살포노즐(221)의 방향을 조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살포유닛(220)은 곤돌라(130)에 진화인력이 탑승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조작하여 살포노즐(221)의 방향을 조종하는 것도 가능하다.
살포유닛(2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 살포노즐(221)의 상부에 장착되는 서치라이트(225)를 포함할 수 있다. 서치라이트(225)는 살포노즐(221)의 살포방향으로 빛줄기를 조사하여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시간에 화재진압을 수행할 경우에도 살포노즐(221)의 살포 방향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야간에 원거리에서 살포유닛(220)을 조종하는 경우에도 물줄기의 방향을 쉽게 식별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소화장치(200)는 곤돌라(130) 하부로 연장될 수 있는 연장호스(250)와 곤돌라(130)에 장착되며 연장호스(250)를 감거나 풀어서 곤돌라(130)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호스(250)의 길이를조절할 수 있는 권취장치(251)와 연장호스(250)의 하단에 연결되는 이동살포노즐(2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이동살포노즐(260)에는 무게를 부여하여 이동살포노즐(260)을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261)가 설치될 수 있다. 무게추(261)는 승강하거나 물을 살포하는 과정에서 이동살포노즐(260)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살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살포노즐(260)은 산악지대의 협곡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열기구유닛(100)을 화재 발생지점으로 접근시키기 어려울 경우, 화염이 커서 열기구유닛(100)을 화재발생지점으로 접근시키기 어려운 경우, 잔불을 끄기 위해 근접살포가 필요한 경우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연장호스(250)를 하방으로 길게 연장하여 이동살포노즐(260)을 화염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물을 살포함으로써 접근이 어려운 곳의 화재를 쉽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열기구유닛(100)을 화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소화장치(200)는 접속장치(2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소정량 저장하였다가 연장호스(250)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270)와, 보조물탱크(270)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설치된 급수제어밸브(271)와, 보조물탱크(270)로부터 연장호스(250)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배치된 보조펌프(27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물탱크(270)에 담긴 물은 보조펌프(272)를 동작시켜 이동살포노즐(260)로 압송할 수 있다. 도면에는 보조물탱크(270)가 곤돌라(130)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보조물탱크(270)는 곤돌라(130)의 바깥 쪽 측면이나 저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화재진압장치는 보조물탱크(270)에 물을 채운 후, 급수호스(340)를 분리한 상태에서 원거리를 비행할 수 있고, 원거리로 이동한 상태에서 보조물탱크(270)의 물을 이용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장치(210)는 급수호스(340)의 커넥터(341)가 분리될 때 커넥터(341)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물이 역류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소화장치(200)는 보조물탱크(270)의 물이 이동살포노즐(260) 쪽으로 공급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지만, 별도의 급수관로를 마련할 경우 보조물탱크(270)에 저장된 물이 전술한 살포유닛(22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연장호스(250)가 접속장치(210)와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급수호스(34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보조물탱크(27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연장호스(250)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상급수장치(300)는 급수탱크(310)와, 급수탱크(310)의 물을 급수호스(340)로 공급하는 고압펌프(320)와 급수호스(340)를 감거나 풀어서 급수호스(340)의 길이를 조절하는 지상권취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예처럼 급수탱크(310), 고압펌프(320), 지상권취장치(330)는 이동이 가능한 차량(350)에 탑재될 수 있다. 물론 지상급수장치(300)가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트레일러에 탑재되는 형태일 수 있다. 건물이나 산악지대 등에 소화전이 마련된 경우라면, 지상급수장치(300)가 소화전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화재진압장치는 곤돌라(130)의 하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촬영장치(400)를 구비한다. 촬영장치(400)는 화재현장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지상에 마련되는 영상표시부(410, 도 5참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지상에 위치하는 진화인력은 원격조종을 통해 열기구유닛(100)을 공중에 부양시킨 후 촬영장치(400)가 촬영한 화재현장의 영상을 영상표시부(410)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보면서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열기구유닛(100), 소화장치(200), 촬영장치(40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 부호 (290)은 곤돌라(130) 내측에 설치된 제어박스를 나타낸다. 제어박스(290)는 그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제어패널 등과 전원공급을 위한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박스(290)는 방수가 가능한 케이스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5는 화재진압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진압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공중제어부(510)와 지상제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제어부(510)는 지상에 위치하는 조작부(500)의 지령에 따라 열기구유닛(100)에 마련된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급수제어밸브들(240,271), 살포유닛(220), 가열기(120), 횡방향추진부(140), 촬영장치(400), 접속장치(210), 권취장치(251), 보조펌프(272)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지상제어부(250)는 조작부(500)의 지령에 따라 지상급수장치(300)의 구성들, 즉 고압펌프(320), 지상권취장치(330)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촬영장치(400)가 촬영하여 공중제어부(510)로부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된 영상정보가 영상표시부(410)에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촬영장치(4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별도의 통신경로를 통하여 영상표시부(410)에 직접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중제어부(510)와 지상제어부(520)는 조작부(500)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공중제어부(510)와 지상제어부(520)도 무선통신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조작부(500)와 지상제어부(520)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중살포식 화재진압장치의 동작 및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산이나 고층빌딩의 화재를 진압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호스(340)를 곤돌라(130) 하부의 접속장치(210)에 연결한 상태에서 열기구유닛(100)을 공중에 부양시킨다. 열기구유닛(100)은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가열기(120)의 가열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고, 역시 조작부(500)를 통해 횡방향추진기(14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횡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양측 횡방향추진기(140)의 추진력 또는 추진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이동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을 조작하는 사람이 지상에 위치하면서도 열기구유닛(100)을 화재현장 쪽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열기구유닛(100)이 이동할 때는 지상권취장치(330)를 동작시켜 급수호스(3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지상권취장치(330)에 급수호스(340)의 인장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이를 토대로 지상권취장치(330)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열기구유닛(100)의 이동에 따라 급수호스(340)가 자동으로 풀리거나 감기도록 할 수도 있다.
화재현장의 상부 또는 근처로 열기구유닛(100)을 이동시킨 후에는 지상급수장치(300)를 동작시켜 열기구유닛(100)에 설치된 소화장치(200)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복수의 살포유닛(220)이나 이동살포유닛(26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물을 살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때 지상의 작업자는 촬영장치(400)로부터 전송된 화재현장의 영상을 지상의 영상표시부(410)로 확인하면서 열기구유닛(100)의 이동 및 소화장치(200)의 동작을 원격제어할 수 있다.
산악지대의 협곡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열기구유닛(100)을 화재현장으로 접근시키기 어렵거나, 화염이 커서 열기구유닛(100)을 화재현장에 근접시키기 어려울 경우에는 연장호스(250)를 곤돌라(130)의 하부로 길게 연장하여 이동살포노즐(260)만을 화재 발생지점으로 근접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해 화재의 진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살포노즐(260)은 곤돌라(130)로부터 하강하여 화염에 근접한 상태에서 물을 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열기구유닛(100)을 화염으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열기구유닛(100)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접근이 어려운 곳의 화재를 쉽게 진압할 수 있다.
화재의 발생지점과 지상급수장치(300)가 위치하는 지점이 너무 멀어 급수호스(340)를 길게 연장하는데 한계에 이를 경우에는 보조물탱크(270)에 물을 채운 후, 급수호스(340)를 분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한 지점 상부로 이동할 수 있고, 보조물탱크(270)의 물을 이용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진화방식은 대용량의 소화수가 필요하지 않은 잔불진화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산악지대 등에서 야간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살포유닛(220)에 마련된 서치라이트(225)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지상에서 원격조종을 수행하는 관계로 살포유닛(220)으로부터 물이 살포되는 방향을 식별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데, 이때는 서치라이트(225)로 조사되는 빛줄기의 방향을 살핌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물이 살포되는 방향이 어느 쪽인지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이나 주변이 어두운 시간에 화재진압을 수행할 경우에도 살포유닛(220)을 쉽게 제어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100: 열기구유닛, 110: 열풍선,
120: 가열기, 130: 곤돌라,
140: 횡방향추진기, 200: 소화장치,
210: 접속장치, 220: 살포유닛,
221: 살포노즐, 225: 서치라이트,
250: 연장호스, 251: 권취장치,
260: 이동살포노즐, 261: 무게추,
270: 보조물탱크, 272: 보조펌프,
300: 지상급수장치, 310: 물탱크,
320: 고압펌프, 330: 지상권취장치,
340: 급수호스, 400: 촬영장치,
410: 영상표시부, 500: 조작부,
510: 공중제어부, 520: 지상제어부.

Claims (12)

  1. 공중에 부양하는 열풍선과 열풍선에 매달린 곤돌라를 갖춘 열기구유닛;
    상기 열기구유닛에 설치되며 화재현장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지상에 배치된 영상표시부로 전송하는 촬영장치;
    상기 곤돌라에 장착되며급수호스를 통해 지상급수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화재현장으로 살포할 수 있는 소화장치; 및
    조작부의 지령에 따라 상기 열기구유닛, 상기 촬영장치, 상기 소화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지상에서 상기 영상표시부를 보며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열기구유닛의 이동 및 상기 소화장치를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구유닛은 상기 곤돌라에 설치되며 횡방향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추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기구유닛, 상기 촬영장치, 상기 소화장치를 제어하는 공중제어부와, 상기 지상급수장치를 제어하는 지상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중제어부와 상기 지상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와 무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급수호스가 연결되는 접속장치와, 상기 곤돌라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살포유닛과, 상기 접속장치로부터 상기 살포유닛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며 유로를 개폐하는 급수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유닛은 물을 살포하는 살포노즐과, 상기 살포노즐을 지지하며 상기 살포노즐의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곤돌라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살포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보조물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설치된 급수제어밸브와, 상기 보조물탱크로부터 상기 살포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배치된 보조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유닛은 상기 살포노즐이 향하는 방향으로 빛줄기를 조사하여 야간에 살포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서치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급수호스가 연결되는 접속장치와, 상기 접속장치와 급수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곤돌라 하부로 연장될 수 있는 연장호스와, 상기 곤돌라에 장착되며 상기 연장호스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곤돌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호스의 길이를 조절하는 권취장치와, 상기 연장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호스의 길이조절에 의해 승강하는 이동살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이동살포노즐에 장착된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곤돌라에 장착되며, 상기 접속장치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연장호스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물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는 상기 보조물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설치된 급수제어밸브와, 상기 보조물탱크로부터 상기 연장호스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에 배치된 보조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구.
KR1020150048129A 2015-04-06 2015-04-06 열기구 KR20160119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29A KR20160119460A (ko) 2015-04-06 2015-04-06 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29A KR20160119460A (ko) 2015-04-06 2015-04-06 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60A true KR20160119460A (ko) 2016-10-14

Family

ID=5715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129A KR20160119460A (ko) 2015-04-06 2015-04-06 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946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1914A (zh) * 2019-03-19 2019-07-12 襄阳宏伟航空器有限责任公司 一种热气球辅助起球装备及起球方法
CN111068202A (zh) * 2020-01-09 2020-04-28 武汉工程大学 一种基于杠杆原理的露天矿火灾及隐患快速处置装置
KR102311018B1 (ko) * 2021-04-26 2021-10-08 주식회사 대성티엠씨 도로 터널의 소화 설비 시스템
CN116353869A (zh) * 2023-05-25 2023-06-30 成都庆龙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机载光电成像吊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0A (en) 1853-12-20 Hand-loom
US4421204A (en) 1981-04-27 1983-12-20 La Donna Lawrence Fire rescue system
JPH05139387A (ja) 1991-11-22 1993-06-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ヘリコプ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0A (en) 1853-12-20 Hand-loom
US4421204A (en) 1981-04-27 1983-12-20 La Donna Lawrence Fire rescue system
JPH05139387A (ja) 1991-11-22 1993-06-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ヘリコプ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1914A (zh) * 2019-03-19 2019-07-12 襄阳宏伟航空器有限责任公司 一种热气球辅助起球装备及起球方法
CN111068202A (zh) * 2020-01-09 2020-04-28 武汉工程大学 一种基于杠杆原理的露天矿火灾及隐患快速处置装置
KR102311018B1 (ko) * 2021-04-26 2021-10-08 주식회사 대성티엠씨 도로 터널의 소화 설비 시스템
CN116353869A (zh) * 2023-05-25 2023-06-30 成都庆龙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机载光电成像吊舱
CN116353869B (zh) * 2023-05-25 2023-08-22 成都庆龙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机载光电成像吊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9460A (ko) 열기구
CN102179017B (zh) 高层建筑外墙面悬挂式遥控灭火装置及方法
US10065059B2 (en) Autonomous firefighting tower
CN102100953B (zh) 远程遥控式高层建筑灭火装置
CN103223211B (zh) 一种用于高层建筑的救援系统
KR102137839B1 (ko) 산불 확산차단 및 진화장치
KR20200050081A (ko) 드론을 이용한 산불 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058943A (zh) 直升机或飞艇吊升高楼火灾救生舱及灭火射水枪设计方案
CN102343978A (zh) 细水雾消防直升机
US20130277074A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WO2018091943A1 (en) A firefighting arrangement
CN107088274A (zh) 一种高层建筑消防与救援飞行器及其工作方式
CN102755707A (zh) 高楼火灾灭火喷水枪吊升方法及灭火喷水枪
CN103661945A (zh) 一种地面供电的空中消防机器人
CN105920760A (zh) 一种高空灭火设备
CN106178296B (zh) 一种建筑物消防救生系统
CN107914879A (zh) 一种智能高空无人救援设备
CN107243120A (zh) 一种建筑结构及其灭火系统与灭火方式
CN201969225U (zh) 高层建筑灭火飞行器
CN202036716U (zh) 远程遥控式高层建筑灭火装置
CN209612059U (zh) 一种高空消防实验系统
CN102179016A (zh) 超高层火灾救援系统
CN209984827U (zh) 系留无人机及基于系留无人机的灭火系统
CN202163618U (zh) 一种细水雾消防直升机
CN111672049A (zh) 消防无人机控制系统及灭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