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413A -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 - Google Patents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413A
KR20160119413A KR1020150047775A KR20150047775A KR20160119413A KR 20160119413 A KR20160119413 A KR 20160119413A KR 1020150047775 A KR1020150047775 A KR 1020150047775A KR 20150047775 A KR20150047775 A KR 20150047775A KR 20160119413 A KR20160119413 A KR 2016011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module
switch
thermoelectric
module pa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386B1 (ko
Inventor
권택율
윤영균
Original Assignee
리빙케어소재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빙케어소재기술(주) filed Critical 리빙케어소재기술(주)
Priority to KR1020150047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3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35/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H01L35/3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소형화된 열전 모듈을 구현하여 냉온수기능이 부여된 정수기 등에 적용할 경우 초소형 정수기 등의 구현이 가능하고, 필요시에만 냉수 및 온수를 추출하므로 전력을 절약 할 수 있다.
또한, 냉수 저장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항상 깨끗한 물의 음용이 가능하고, 원하는 냉온수 온도의 조절이 가능한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 {Thermoelectric modules for instant hot and cold}
본 발명은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 등과 같은 전자 제품에 부가 설치되어 순간적으로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제품의 사이즈가 점차 축소되면서 그 내부에 수용되는 여러 가지 부품들 역시 사이즈 축소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정수기는 사이즈는 작아지면서 기능은 기존과 동일하거나 기존 제품보다 우월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정수기에는 통상적으로 물을 저장하는 저수 탱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 탱크에는 저장된 물을 냉각시켜 냉수화할 수 있도록 냉각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냉각 장치의 사이즈는 전자 제품의 사이즈에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사이즈를 고려하였을 때 박형의 냉각 장치가 적용되고 추세이다.
이러한 냉각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특허등록 제0884645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정수기용 순간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각 코일에 의해 물을 냉각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정수기용 순간 냉각 장치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 공급 관련 부속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냉각 코일의 구동에 따른 전기 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수기 특성상 냉각 탱크를 구비하여 시간이 경과하면 냉각 탱크에 저장된 물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84645호 (등록일 2009.02.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소형화된 열전 모듈을 구현하여 냉온수기능이 부여된 정수기 등에 적용할 경우 초소형 정수기 등의 구현이 가능하고, 필요시에만 냉수 및 온수를 추출하므로 전력을 절약 할 수 있다.
또한, 냉수 저장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항상 깨끗한 물의 음용이 가능하고, 원하는 냉온수 온도의 조절이 가능한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 모듈에 있어서, 복수개의 열전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제1 열전 모듈부; 상기 제1 열전 모듈의 일 극단에 구비된 제1 스위치; 복수개의 열전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제2 열전 모듈부; 상기 제2 열전 모듈의 일 극단에 구비된 제2 스위치; 상기 제1 열전 모듈부와 상기 제2 열전 모듈부 연결하는 모듈 연결 스위치; 및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전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전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단락 되고, 상기 모듈 연결 스위치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연결되고, 상기 모듈 연결 스위치가 단락 되어,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 모듈은, 순차 배열되는 P형 및 N형 소자와, 상기 P형 및 N형 소자의 양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P형 및 N형 소자의 양면에 교호되게 부착되는 전극 및 상기 P형 및 N형 소자의 양면 코팅층과 상기 전극의 양면과의 사이에 개입되어 전극을 가고정시키는 접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전환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모듈 연결 스위치의 연결 또는 단락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의 직병렬 연결을 스위칭 하고,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 모듈은, 상기 열전 모듈의 크랙을 방지하는 크랙 방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랙 방지 구조체는, 최소 절연거리를 가지는 격자 프레임; 전해 연마용 구조물을 가지는 SUS플레이트; 및 상기 전해 연마용 구조물이 체결되는 도피홀을 구비하는 음용수 워터자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된 열전 모듈을 구현하여 냉온수기능이 부여된 정수기 등에 적용할 경우 초소형 정수기 등의 구현이 가능하고, 필요시에만 냉수 및 온수를 추출하므로 전력을 절약 할 수 있다.
또한, 냉수 저장통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항상 깨끗한 물의 음용이 가능하고, 원하는 냉온수 온도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 냉각시 열전 모듈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시 열전 모듈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정류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률보상회로 및 출력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적으로 개선된 출력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기술의 열전 모듈의 내부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거리를 확보한 열전 모듈의 내부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랙방지 구조체를 구비한 열전 모듈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랙방지 구조체를 구비한 열전 모듈 구성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연마용 구조물을 구비한 SUS플레이트와 열전 모듈의 체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연마용 구조물에 의한 크랙방지 도피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열전 모듈의 측면도이다.
열전 모듈(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펠티어(Peltier) 효과에 따라 일측 접합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타측 접합부에서 열을 발산한다. 여기서, 열전 모듈(110)은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의 상호변환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에너지 재료로써,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기판을 사이에 두고 칩 형태의 p형과 n형의 열전 반도체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실장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열전 모듈(110)에 전기 에너지를 인가하게 되면 열전 모듈(110) 내부의 전하(전자, 정공)는 열전 모듈(110)의 일단에서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반대 면으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열전 모듈(110)의 일면은 냉각이 되고 반대면은 발열이 된다. 따라서 전원을 인가하는 양극과 음극의 극성을 바꿔 전하의 방향을 제어 할 수 있으므로, 열전 모듈(110)의 냉각 및 발열을 제어할 수 있다.
열전 모듈(11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 전극(112, 114), 상, 하부 접합층(112a, 114a), 상, 하부 코팅층(112b, 114b), N형 소자(116) 및 P형 소자 (118)를 포함하며, 전류의 발생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흡열면과 발열면에 온도 차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전 모듈(110)은 N형 소자(116) 및 P형 소자(118)의 상면에 상부 코팅층(112b), 상부 접합층(112a), 상부 전극(112)이 순차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N형 소자(116) 및 P형 소자(118)의 저면에 하부 코팅층(114b), 하부 접합층(114a), 하부 전극(114)이 순차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 하부 전극(112, 114)은 구리(무산소동)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전기와 열전도도 등이 우수한 재질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이중 하부 전극(114)에 양극과 음극이 연결된다. 하부 전극(114)에 연결되는 극성은 냉각, 발열의 용도에 따라 극성을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극전환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N형 소자(116) 및 P형 소자(118)는 복수개가 상, 하부 전극(112, 114)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 전극(112, 114)에 의해 통전될 수 있게 π형이면서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N형 소자(116) 및 P형 소자(118)는 그 양면에 코팅층(112b, 114b)을 형성하여 상, 하부 전극(112, 114)과의 부착성 향상과, 상기 N형 소자(116) 및 P형 소자(118)와 상기 상, 하부 전극(112, 114) 간의 상호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N형 소자(116) 및 P형 소자(118)가 교번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 하부 전극(112, 114)을 통해 상기 N형 소자(116) 및 P형 소자(118)의 양면에 교호되게 접속되며, 상기 상, 하부 전극(112, 114)을 통한 접속 형상이 온도 전달 면적을 넓히기 위해 지그재그 형상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순간 냉각시 열전 모듈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열전 모듈(110)이 직렬로 연결된 제1 열전 모듈부(120), 제1 열전 모듈부(120)에 인가되는 전원의 On, Close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140)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열전 모듈(110)이 직렬로 연결된 제2 열전 모듈부(130), 제2 열전 모듈부(130)에 인가되는 전원의 On, Close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150) 및 제1 스위치(140)와 제2 스위치(150) 전단에 구비되며 제1 열전 모듈부(120) 및 제2 열전 모듈부(130)간 전류를 제어하는 모듈 연결 스위치(16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열전 모듈(110)이 순간 냉각 구동시 필요한 열량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비전력 기준 약 800~1200W의 전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발열 구동시에는 약 2200~2600W의 전력이 필요하다. 열전 모듈(110)을 냉각시 사용할 경우, 비교적 적은 전압으로도 원하는 온도의 물로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스위치(140)와 제2 스위치(150)를 열고 모듈 연결 스위치(160)를 닫아 제1 모듈부의 양극에서 제2 모듈부의 음극으로 전류가 흐르는 직렬 연결로 구성하여 열전 모듈(110)이 순간 냉각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열시 열전 모듈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서 각 부의 구성은 도 2의 각 부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발열시에는 2.5KW의 전력이 필요한데, 도 2와 같은 직렬 연결로는 발열에 필요한 열량을 만족할 수 없으므로, 제1 스위치(140) 및 제2 스위치(150)는 Close 되고 모듈 연결 스위치(160)는 Open되어 제1 모듈부와 제2 모듈부가 병렬로 동작되게 한다. 병렬 연결시 열전 모듈(110) 1개당 인가 전압은 직렬 연결의 2배가 되고, 병렬 연결된 전체 전류 역시 2배가 되기 때문에 온수 추출에 필요한 열량을 충족할 수 있다. 이때. 열전 모듈(110)의 전극을 냉각시와 반대로 전환함으로써 동일한 회로에서 발열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극전환 제어부(200)는 제1 스위치(140) 및 제2 스위치(150) 및 모듈 연결 스위치(160)의 연결 및 단락을 제어하여 제1 열전 모듈(120)과 제2 열전 모듈(130)의 직병렬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140) 및 제2 스위치(150)를 통해 제1 열전 모듈(120) 및 제2 열전 모듈(130)로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을 제어하여 제1 열전 모듈(120)과 제2 열전 모듈(130)이 냉각 또는 발열로 동작할 수 있다. 이렇듯 극전환 제어부(200)의 명령에 의한 극성의 스위칭으로 냉수 또는 온수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냉수를 추출한다면, 극전환 제어부(200)에서 극전환 회로를 직렬로 연결하고, 정방향 전압을 인가하여 냉수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온수를 추출한다면 극전환 제어부(200)에서 병렬로 연결하고,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여 온수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 모듈(110)을 이용한 냉각 및 발열 구성 및 극전환 제어부(200)에 의한 극전환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열전 모듈(110)을 상용화 하기 위해서는 역률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 해외 대부분의 국가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역률이 90% 이상이어야 하는데, 역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커패시터와 같은 소자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커패시터를 제거하게 되면 출력 DC전압에서 상당한 리플이 발생하므로, DC전압의 질이 낮아져 원하는 온도의 냉수를 구현할 수 없다.
따라서, 역률 기준에 맞는 열전 모듈 전원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커패시터를 제거하고, 역률보상회로(PFC Power Factor Correction)를 적용함으로써 질 좋은 DC를 출력하여 열전 모듈(110)에 의한 순간 냉각(800W~1200W)이 가능해 진다. 발열에 경우 브릿지다이오드 정류 방식을 이용하여 2200W~2600W의 전력을 구현 할 수 있다. 역률보상회로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후술한다. 도 5는 브릿지 정류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브릿지 정류회로는 AC를 DC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이때 입력된 전압은 사인파형을 나타는 것에 비해 출력파형은 AC에서 DC로 변환됨에 따라 편극된 출력파형을 나타낸다. 열전 모듈이 발열할 경우에는 발열 전력외에도 회로에서 발생하는 주울열이 추가되기 때문에, 리플에 의한 질낮은 DC전압으로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냉수에 경우, 리플에 의한 DC전압으로 제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6의 역률보상회로를 통해 선형적인 출력파형을 얻을 수 있다. 도 7은 브릿지 정류회로의 출력파형과 역률이 보상하여 선형적으로 개선된 출력파형을 나타낸다.
순간 냉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8~12이상의 다량의 열전 모듈(110)이 필요하다. 열전 모듈(110)의 개수를 만족하면서 소형화 하기 위해선 열전 모듈(110)의 크기가 작아야 한다. 또한 순간적인 냉각을 위해서 열부하의 열용량이 작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형화된 열전 모듈(110)은 대상에 닿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대상체의 열용량이 감소하여 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또는 발열에 사용되는 열전 모듈(110)을 통해 순간냉각, 순간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전원이 필요하다. 특히 열전 모듈(110)의 특성상 DC 전압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기존의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사용하면 제작비용이 증가하여 양산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AC 및 DC를 직접 변환하고, 정류하여 공급한다면 양산이 가능할 정도의 제작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에 절연을 구성하면 제작비용이 상승되므로, 부하인 열전 모듈(110)에서 최소 절연 거리인 4mm이상 확보하여 제작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조립 과정에서 열전 모듈(110)의 크랙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열전 모듈(110)을 조립하기 위한 특수한 구조체가 필요하다. 이는 절연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으나, 절연거리인 4mm에는 열전 모듈을 지지하는 부재가 없는 빈 공간이기 때문에 크랙에 취약해 지기 때문에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가 필요한 것이다.
도 8은 종래기술의 열전 모듈의 열전 모듈 내부 패턴을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순간냉각용 열전 모듈의 경우 절연 거리 확보가 필수적인데, 종래기술의 열전 모듈 내부 패턴은 2mm의 절연 거리만을 확보하고 있어, 추가적인 절연을 구성해야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절연 거리를 확보한 열전 모듈 내부 패턴으로 구성된다. 도9의 열전 모듈 내부 패턴은 최소 절연 거리(901)인 4mm를 확보한다. 최소 절연 거리(901) 확보는 상술한 효과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 장치 설계에서 공간적인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10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열전모듈의 크랙방지 구조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크랙방지 구조체를 구비한 열전 모듈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격자 프레임(101)은 상술하였듯이 열전 모듈(110)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조립시 체결압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격자 프레임(101) 하단에는 음용수 워터자켓(102) 및 SUS플레이트(103)이 구비되며 SUS플레이트(103)하단에는 열전 모듈(110)과 방열수 워터자켓(104)가 구비된다. 도11은 방열수 워터자켓(104)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2 및 13은 열전 모듈의 크랙 방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열전 모듈(110)과 SUS플레이트(103) 및 음용수 워터자켓(102)의 크랙방지 결합 구조를 나타낸다. SUS플레이트(103)는 열전 모듈(110)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고, 전해연마용 구조물(103a)을 구비하고 있다. 전해연마용 구조물(103a)은 도13과 같이 음용수 워터자켓(102)의 도피홀(102a)에 체결되어 상기 도피홀(102a)이 전해연마용 구조물(103a)에 의해 열전 모듈(110)에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전 모듈에 있어서,
    복수개 열전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제1 열전 모듈부;
    상기 제1 열전 모듈의 일 극단에 구비된 제1 스위치;
    복수개의 열전 모듈이 직렬로 연결된 제2 열전 모듈부;
    상기 제2 열전 모듈의 일 극단에 구비된 제2 스위치;
    상기 제1 열전 모듈부와 상기 제2 열전 모듈부 연결하는 모듈 연결 스위치; 및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전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열전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단락 되고, 상기 모듈 연결 스위치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열전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연결되고, 상기 모듈 연결 스위치가 단락되어,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열전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은,
    순차 배열되는 P형 및 N형 소자와, 상기 P형 및 N형 소자의 양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P형 및 N형 소자의 양면에 교호되게 부착되는 전극 및 상기 P형 및 N형 소자의 양면 코팅층과 상기 전극의 양면과의 사이에 개입되어 전극을 가고정시키는 접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열전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전환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모듈 연결 스위치의 연결 또는 단락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의 직병렬 연결을 스위칭 하고, 상기 제1 열전 모듈부 및 상기 제2 열전 모듈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열전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모듈은,
    상기 열전 모듈의 크랙을 방지하는 크랙 방지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냉온수용 열전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구조체는,
    최소 절연거리를 가지는 격자 프레임; 전해 연마용 구조물을 가지는 SUS플레이트; 및 상기 전해 연마용 구조물이 체결되는 도피홀을 구비하는 음용수 워터자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열전 모듈.
KR1020150047775A 2015-04-03 2015-04-03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 KR10167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775A KR101674386B1 (ko) 2015-04-03 2015-04-03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775A KR101674386B1 (ko) 2015-04-03 2015-04-03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413A true KR20160119413A (ko) 2016-10-13
KR101674386B1 KR101674386B1 (ko) 2016-11-10

Family

ID=5717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775A KR101674386B1 (ko) 2015-04-03 2015-04-03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468A (ko) * 2017-03-13 2018-09-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보조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45B1 (ko) 2007-04-30 2009-02-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순간 냉각 장치
KR20130066314A (ko) *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듀얼 열전 시스템
KR20140125638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리빙케어 순간 냉수용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45B1 (ko) 2007-04-30 2009-02-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순간 냉각 장치
KR20130066314A (ko) *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듀얼 열전 시스템
KR20140125638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리빙케어 순간 냉수용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468A (ko) * 2017-03-13 2018-09-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보조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터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386B1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67759A (ja) メインバッテリ用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20150204585A1 (en) Thermoelectric module and heat convers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298164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US20160192495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997994B1 (ko) 열전소자
JP6870531B2 (ja) パワーモジュール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2016158358A (ja) 半導体モジュール
CN109586588B (zh) 紧凑型逆变器和包括这种逆变器的机动车辆
CN102569223B (zh) 一种功率器件绝缘散热结构及电路板、电源设备
WO2014030254A1 (ja) 半導体装置
US20160268921A1 (en) Capaci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capacitor arrangement
KR101674386B1 (ko) 순간 냉온수용 열전 모듈
CN1917203B (zh) 具有线路元件的功率半导体模块
JP2006032850A (ja) 熱電変換モジュール
CN105281544B (zh) 变流器
JP6424961B2 (ja) 熱電変換素子、熱電変換モジュールおよび電気機器
JP2015138877A (ja) 熱電変換モジュール
KR20120070906A (ko) 열전 장치
JP2008099553A5 (ko)
CA2578363A1 (en) Welding power supply with laminated bus
CN108029189B (zh) 多功能高电流电路板
US20120111029A1 (en) Ac powered thermoelectric device
CN104054252B (zh) 功率转换装置
KR20080089926A (ko) 알루미늄 산화피막이 형성된 알루미늄 금속판 또는합금판을 이용한 열전모듈
KR100755449B1 (ko) 스위칭소자와 방열판이 일대일로 접촉된 용접기용 인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