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179A -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 Google Patents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179A
KR20160117179A KR1020160024870A KR20160024870A KR20160117179A KR 20160117179 A KR20160117179 A KR 20160117179A KR 1020160024870 A KR1020160024870 A KR 1020160024870A KR 20160024870 A KR20160024870 A KR 20160024870A KR 20160117179 A KR20160117179 A KR 20160117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hinge
bench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905B1 (ko
Inventor
최병도
Original Assignee
최병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도 filed Critical 최병도
Publication of KR2016011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4Beach chairs ; Chairs for outdoor use, e.g. chairs for relaxation or sun-tanning
    • A47C1/143Chaise lou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6Seats made of wooden, plastics, or metal sheet material; Panel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에 덮개가 구비된 상태에서 좌판의 상부로 접혀지게 회동됨으로써, 공원이나 정류장에서 사용되는 벤치에 먼지나 빗물, 눈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되어 항상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종래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슈, 휴지 등의 소모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환경미화원의 노력이 절감되어 인력이 감소되고, 주위가 청결해져 공원 등의 벤치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십분 활용할 수 있으며, 벤치의 등받이가 평소에는 도어클로져에 의해 벤치의 등받이가 자동으로 덮어주는 역할기능을 함으로써, 벤치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으며 구성원리가 간단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의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Bench with repeated rotation back}
본 발명은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벤치의 등받이가 평소에는 도어클로져에 의해 벤치의 등받이가 자동으로 덮어주는 역할기능을 함으로써, 벤치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으며 구성원리가 간단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공원, 경기장 또는 팬션 등 일반인들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는 다수의 착석용 의자가 구비된 벤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벤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의자등받이(10)가 여러 판체로 평형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자좌판(20)이 여러 판체로 평형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의자등받이(11)이나 의자좌판(21)이 단일 판체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의자는 보통의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의자의 좌판은 상면이 항상 노출되어 있어 의자 좌판 상면에 먼지가 사이고, 눈비가 내릴 때에는 상면이 젖거나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닦기 위하여 휴지 등을 사용할 경우 주위에 휴지통이 없을 시에는 주위에 함부로 버려 공원 주위를 어지럽히고, 환경미화원들의 청소를 가일층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구나, 먼지가 쌓이고 눈비가 내린 후에는 벤치의자 좌판이 더러우므로, 거액을 투자하여 설치하였어도 전혀 활용가치가 없고, 처음부터 앉을 엄두를 못내어 벤치가 있더라도 무사용, 무관심, 무관리로 인하여 무용지물이 되는 실정에 놓여 있다.
따라서,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이전 시설은 친자연이라기 보다는 주위의 자연환경을 더럽히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38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50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등받이에 덮개가 구비된 상태에서 좌판의 상부로 접혀지게 회동됨으로써, 공원이나 정류장에서 사용되는 벤치에 먼지나 빗물, 눈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되어 항상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종래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슈, 휴지 등의 소모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환경미화원의 노력이 절감되어 인력이 감소되고, 주위가 청결해져 공원 등의 벤치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십분 활용할 수 있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벤치의 등받이가 평소에는 도어클로져에 의해 벤치의 등받이가 자동으로 덮어주는 역할기능을 함으로써, 벤치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으며 구성원리가 간단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등받이와 좌판으로 이루어진 벤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와 좌판 사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등받이가 회동되게 하는 힌지장치와;
상기 좌판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장치에 연결되어 등받이를 항시 좌판의 상부에 자동으로 접히게 하는 도어클로져와;
상기 좌판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장치의 일측에 연결되어 좌판의 상부에 접혀진 등받이를 세워주는 발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힌지장치는,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좌판에 지지되어 등받이를 회동시키고, 상기 도어클로져의 일측이 연결되는 힌지봉과;
상기 힌지봉의 양끝단부에 형성되어 힌지봉이 정위치에서 회동되도록 지지하고, 일측이 좌판을 지지하는 가이드대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힌지봉의 중공된 내부에 일측이 구비되되, 상기 힌지봉의 중공된 내주연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지지대에 고정되어 등받이의 회동에 의해 탄성적으로 뒤틀려지고, 상기 뒤틀려지는 탄성력에 의해 등받이를 항시 세워주는 사각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각스프링의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대에는 사각스프링의 타측이 관통되도록 사각홀이 형성되는 각도조절판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사각홀에 사각스프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도조절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사각스프링의 뒤틀림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등받이의 하측면에는 등받이의 회동시,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스토퍼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등받이의 회동시, 지지대의 일측에 걸려 등받이가 넘어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등받이에는 좌판에 등받이가 접혀있을 때, 이물질이 좌판 또는 등받이에 부착되지 않도록 덮개가 덮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판장치는,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가이드대에 힌지 결합되어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면 타측이 회동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의 타측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발판부에 맞춰 구동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면서 반대측은 힌지장치에 고정되어 연결부의 구동에 맞춰 힌지장치를 회동하여 등받이를 세워주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는 등받이에 덮개가 구비된 상태에서 좌판의 상부로 접혀지게 회동됨으로써, 공원이나 정류장에서 사용되는 벤치에 먼지나 빗물, 눈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되어 항상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종래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티슈, 휴지 등의 소모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환경미화원의 노력이 절감되어 인력이 감소되고, 주위가 청결해져 공원 등의 벤치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십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벤치의 등받이가 평소에는 도어클로져에 의해 벤치의 등받이가 자동으로 덮어주는 역할기능을 함으로써, 벤치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으며 구성원리가 간단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의자의 구조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다른 일반적인 의자의 구조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클로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치에 설치된 발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클로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벤치에 설치된 발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1)는 등받이(4)와 좌판(2)으로 이루어진 벤치(1)로써, 상기 등받이(4)와 좌판(2) 사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등받이(4)가 회동되게 하는 힌지장치(5)와, 상기 좌판(2)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장치(5)에 연결되어 벤치(1)의 미사용시, 등받이(4)가 좌판(2)의 상부에 자동으로 접히게하는 도어클로져(3)와, 상기 좌판(2)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장치(5)의 일측에 연결되어 좌판(2)의 상부에 접혀진 등받이(4)를 세워주는 발판장치(70)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장치(5)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4)와 좌판(2) 사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등받이(4)가 회동되게 하는 장치로써, 힌지봉(10)과, 지지대(20)와, 사각스프링(30)과, 각도조절판(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봉(10)은 도 4에서처럼, 등받이(4)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지지대(20)에 의해 지지되어 등받이(4)를 회동시킬 때 중심축 역할을 하고, 상기 힌지봉(10)의 외주연에는 도어클로져(3)의 일측이 연결되어 도어클로져(3)에 의해 힌지봉(10)을 회전시켜 등받이(4)가 회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봉(10)은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원통형 관 형태로 형성되어 등받이(4)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거나, 상기 등받이(4)의 하단부가 힌지봉(10)의 외주연에 용접 접합되는 등 다양하게 연결가능하다.
그런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20)는 힌지봉(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대(20)는 힌지봉(10)이 관통되어 연결되거나, 상기 힌지봉(10)의 외주연에 용접 접합되어 연결되는 등 다양하게 연결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일측이 좌판(2)을 지지하는 가이드대(6)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힌지봉(10)을 지지함으로써, 등받이(4)도 함께 지지하며, 그로 인해 좌판(2)에 등받이(4)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20)의 일면 즉, 각도조절판(40)이 부착되는 일면에는 각도조절판(40)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연결홀(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홀(21)은 각도조절판(40)이 고정될 때 사용된다.
한편, 상기 사각스프링(30)은 힌지봉(10)의 중공된 내주연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대(20)에 고정되어 등받이(4)의 회동에 의해 뒤틀려지는데, 상기 뒤틀려지는 탄성력에 의해 등받이(4)를 항시 세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사각스프링(30)은 사각봉 형태로 형성되어 뒤틀려졌을 때, 원형으로 복원되려는 성질에 의해 탄성적으로 되돌아온다.
여기서, 상기 사각스프링(30)은 도 5에서처럼, 사각봉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힌지봉(10) 내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대(20)에 고정되어 뒤틀리지 않는 중심점이 된다. 즉, 상기 지지대(20)의 사각스프링(30) 타측은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봉(10)이 회동시, 사각스프링(30)의 일측도 힌지봉(10)의 회동방향으로 뒤틀려지는데, 상기 사각스프링(30)은 원상태로 되돌아가려는 복원 탄성력에 의해 힌지봉(10)을 회동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런데 이때, 상기 힌지봉(10)은 등받이(4)와 연결되는데, 상기 등받이(4)의 하중이 사각스프링(30)의 탄성력보다 무겁기 때문에 등받이(4)를 곧추 세우지는 못하고, 대신, 등받이(4)의 하중을 탄성력에 의해 저감시켜 접혀진 등받이(4)를 노약자나 어린이, 여성이 쉽게 세울 수(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판(40)은 연결홀(21)이 형성된 지지대(20)에 고정되는데, 상기 힌지봉(10)의 양끝단면에 형성되어 힌지봉(10)의 중공된 내부를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판(4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부에 사각스프링(30)의 타측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사각홀(41)이 형성되고, 상기 사각홀(41)은 사각스프링(30)의 사각크기와 동일하여 사각스프링(30)의 타측이 꽉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판(40)의 가장자리에는 지지대(20)의 연결홀(21)과 동일선상에 고정홀(4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42)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43)가 삽입된 뒤, 지지대(20)의 연결홀(21)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각도조절판(40)이 지지대(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각스프링(30)이 사각홀(41)에 고정된 상태에서 각도조절판(40)은 회전시킨 뒤,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하면 사각스프링(30)이 뒤틀어지기에 탄성력이 가중되고, 이렇게 사각스프링(30)의 탄성력을 제어하여 등받이(4)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등받이(4)의 하측면에는 등받이(4)의 회동시, 소정각도 이상으로 등받이(4)가 회동되지 않도록 스토퍼(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0)는 등받이(4)의 회동시, 지지대(20)의 일측에 걸려 등받이(4)가 넘어가지 않는다.
상기 도어클로져(3)는 도 3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클로져의 본체부(100)와 연결구성된 회전축대(101)가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구성된 유압 또는 스프링방식의 복원기능(세부도면 미표시)으로 인하여, 외력을 가해서 회전축대(101)를 움직이면 본체부(100)와 연결구성된 회전축대(101)는 항상 제자리로 돌아오려고 하는 기능적 특성이 있는데, 이것을 일반 사무실등의 문과 벽체사이에 고정 부착한 것이 통상의 "도어클로져"(3)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클로져가 부착된 문은 사람이 문을 열고(외력) 지나간후(외력제거) 도어클로져(3)의 회전축대(101)가 제자리로 돌아오려는 고유기능으로 인하여 문이 저절로 닫혀지는 원리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으로 구성된 벤치의 구조 역시 이러한 원리를 적용시킨 기능이 있는 도어클로져(3)가 장착된 벤치로서, 벤치(1) 전용의 등받이(4) 부분을 필요에 따라 사람의 손(외력) 또는 발판장치(70)를 이용하여 가변식으로 열고(외력이라 칭함) 자동으로 닫혀지는(외력제거) 것이 가능토록 다음과 같은 벤치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도어클로져(3)의 부착 방법에 있어서는 본체부분의 본체부(100)는 벤치의 좌판(2) 하부면에 고정식으로 탄탄하게 부착하고, 상기 도어클로져(3)의 회전축대(101)와 함께 수평회전이 가능토록 관절식으로 연결구성되어진 연결막대(102)는 말미부를 힌지장치의 힌지봉(10) 외주연에 용접 접합하여 탄탄하게 고정부착한다.
상기 발판장치(7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2)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장치(5)의 일측에 연결되어 좌판(2)의 상부에 접혀진 등받이(4)를 세워주도록 발판부(71)와, 연결부(72)와, 회동부(7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71)는 좌판(2)을 지지하는 가이드대(6)에 힌지 결합되어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면 타측이 회동되는데, 즉, 놀이기구인 시소와 같은 방식으로 가이드대(6)의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양측이 상,하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발판부(71)의 일측 끝단부에는 벤치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하중이 전달되도록 발판(74)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72)는 발판부(71)의 타측 끝단부 즉, 발판(74)의 반대측에 힌지 결합되어 발판부(71)의 상,하 회동에 맞춰 구동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72)는 발판부(71)의 타측에 의해 밀렸다 당겨졌다 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73)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72)의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73)의 타측은 힌지장치(5)의 힌지봉(10) 외주연에 고정되어 연결부(72)의 구동에 맞춰 힌지장치(5)의 힌지봉(10)을 회동시킴으로써, 도어클로져(3)에 의해 좌판(2)의 상부에 접혀진 등받이(4)를 세워준다.
이렇듯, 벤치 사용자가 발 등을 이용하여 발판(74)에 하중을 가하면 상기 발판(74)은 하측으로 회동되면서 발판부(71)의 타측이 상측으로 회동되고, 동시에 힌지 연결된 연결부(72)가 당겨지면서 회동부(73) 또한 당겨지고, 그로 인해 힌지봉(10)이 회동되면서 힌지봉(10)에 연결된 등받이(4)가 세워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등받이(4)에는 등받이(4)가 좌판(2)에 접혀있을 때, 이물질이 좌판 또는 등받이(4)에 부착되지 않도록 덮개(60)가 덮혀지고, 상기 덮개(60)는 다양한 등받이(4)에 맞춰 덮힐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거나, 비, 눈 등의 이물질 및 장시간의 햇빛 노출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스틸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1 : 벤치 2 : 좌판
3 : 도어클로져 4 : 등받이
5 : 힌지장치 6 : 가이드대
10 : 힌지봉 20 : 지지대
21 : 연결홀 30 : 사각스프링
40 : 각도조절판 41 : 사각홀
42 : 고정홀 43 : 고정부재
50 : 스토퍼 60 : 덮개
70 : 발판장치 71 : 발판부
72 : 연결부 73 : 회동부
74 : 발판
100 : 본체부 101 : 회전축대
102 : 연결막대

Claims (6)

  1. 등받이(4)와 좌판(2)으로 이루어진 벤치(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4)와 좌판(2) 사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등받이(4)가 회동되게 하는 힌지장치(5)와;
    상기 좌판(2)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장치(5)에 연결되어 등받이(4)를 항시 좌판(2)의 상부에 자동으로 접히게 하는 도어클로져(3)와;
    상기 좌판(2)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힌지장치(5)의 일측에 연결되어 좌판(2)의 상부에 접혀진 등받이(4)를 세워주는 발판장치(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5)는,
    상기 등받이(4)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좌판(2)에 지지되어 등받이(4)를 회동시키고, 상기 도어클로져(3)의 일측이 연결되는 힌지봉(10)과;
    상기 힌지봉(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되어 힌지봉(10)이 정위치에서 회동되도록 지지하고, 일측이 좌판(2)을 지지하는 가이드대(6)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대(20)와;
    상기 힌지봉(10)의 중공된 내부에 일측이 구비되되, 상기 힌지봉(10)의 중공된 내주연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은 지지대(20)에 고정되어 등받이(4)의 회동에 의해 탄성적으로 뒤틀려지고, 상기 뒤틀려지는 탄성력에 의해 등받이(4)를 항시 세워주는 사각스프링(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스프링(30)의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대(20)에는 사각스프링(30)의 타측이 관통되도록 사각홀(41)이 형성되는 각도조절판(4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사각홀(41)에 사각스프링(30)이 끼워진 상태에서 각도조절판(40)을 회전시킴으로써, 사각스프링(30)의 뒤틀림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4)의 하측면에는 등받이(4)의 회동시,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스토퍼(5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0)는 등받이(4)의 회동시, 지지대(20)의 일측에 걸려 등받이(4)가 넘어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4)에는 좌판(2)에 등받이(4)가 접혀있을 때, 이물질이 좌판(2) 또는 등받이(4)에 부착되지 않도록 덮개(60)가 덮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장치(70)는,
    상기 좌판(2)을 지지하는 가이드대(6)에 힌지 결합되어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면 타측이 회동되는 발판부(71)와;
    상기 발판부(71)의 타측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발판부(71)에 맞춰 구동되는 연결부(72)와;
    상기 연결부(72)의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반대측은 힌지장치(5)에 고정되어 연결부(72)의 구동에 맞춰 힌지장치(5)를 회동하여 등받이(4)를 세워주는 회동부(7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KR1020160024870A 2015-03-31 2016-03-02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KR101814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44717 2015-03-31
KR1020150044717 201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79A true KR20160117179A (ko) 2016-10-10
KR101814905B1 KR101814905B1 (ko) 2018-01-04

Family

ID=5714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870A KR101814905B1 (ko) 2015-03-31 2016-03-02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1244U1 (ru) * 2019-06-07 2019-07-31 Александр Гурамович Пленингер Уличное мягкое антивандальное всепогодное экологи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383Y1 (ko) 2003-11-26 2004-02-18 박대진 덮개가 구비된 벤치
KR200435508Y1 (ko) 2006-08-24 2007-01-26 장수희 등받이가 개폐되는 벤치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383Y1 (ko) 2003-11-26 2004-02-18 박대진 덮개가 구비된 벤치
KR200435508Y1 (ko) 2006-08-24 2007-01-26 장수희 등받이가 개폐되는 벤치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1244U1 (ru) * 2019-06-07 2019-07-31 Александр Гурамович Пленингер Уличное мягкое антивандальное всепогодное экологи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д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905B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864B1 (ko) 먼지부착이 방지되는 자동 차양막 클린 벤치
KR20100103438A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WO1991018538A2 (en) Rotatable sun chair
KR101814905B1 (ko) 등받이가 회동되는 벤치
KR20100051295A (ko) 휴대용 변기
CN210507244U (zh) 一种便于交叉折叠市政维修用护栏
EP0005242B1 (de) In der Höhe verstellbares Waschbecken
US20130074253A1 (en) Tri-Seat For Toilet
CN206719215U (zh) 一种圆筒壁载人容器用壁式折叠椅
CN113349580B (zh) 一种广场用可自动收取的公共座椅
JP3155979U (ja) 組立て式簡易トイレ
CN106108395A (zh) 一种预防近视的椅子
RU174249U1 (ru) Опора для ног для кресла
CN210086416U (zh) 一种患者坐便器
CN209884014U (zh) 一种户外用方便携带的简易式坐便器
CN206284609U (zh) 一种预防近视的椅子
CN201328557Y (zh) 摇式户外保洁椅
KR200228211Y1 (ko) 경기장 스탠드 청결의자
JP2019019550A (ja) 仮設トイレ
CN213962555U (zh) 一种园林座椅
CN210672750U (zh) 一种沙发扶手折叠装置及其沙发
CN212307311U (zh) 一种抗晒抗雨椅
CN211633042U (zh) 多功能的折叠式马桶圈
JPS581264Y2 (ja) 椅子
CN109350377A (zh) 一种心内科护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