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993A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993A
KR20160116993A KR1020150045520A KR20150045520A KR20160116993A KR 20160116993 A KR20160116993 A KR 20160116993A KR 1020150045520 A KR1020150045520 A KR 1020150045520A KR 20150045520 A KR20150045520 A KR 20150045520A KR 20160116993 A KR20160116993 A KR 2016011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ot
unit
cover
hous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366B1 (ko
Inventor
신종수
Original Assignee
신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수 filed Critical 신종수
Priority to KR102015004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36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와,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장치부를 내측에 포함하여 장치부의 외면을 감싸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로 인입될 때,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부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며,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존의 슬림한 전자기기를 만들기 위해 상하로 나뉜 하우징부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상하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개선을 없애, 내구성이 있으며, 외관상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고,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상기 커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외관을 구성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와,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장치부를 내측에 포함하여 장치부의 외면을 감싸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로 인입될 때,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부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며,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존의 슬림한 전자기기를 만들기 위해 상하로 나뉜 하우징부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상하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개선을 없애, 내구성이 있으며, 외관상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고,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상기 커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외관을 구성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들이 빠르게 진보하면서 스마트폰 등의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수요자들은 전자기기 구매시 전자기기의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적 측면 및 휴대의 편이성 측면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기능적 측면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수요자들은 과거보다 디자인적 측면을 더 많이 고려하며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전자기기를 선택하고자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Wearable 기기들이 많아지며 그 휴대성에 관한 측면도 구매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무래도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슬림(Slim)하게 만들 수 있다면 디자인적 측면 및 휴대의 편이성 측면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업계는 전자 기기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해나가고 있지만,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장치부 상의 전원 버튼 등과 같은 돌출된 조작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조작부를 하우징부에 넣는 과정에서 돌출된 정도만큼의 추가적인 잉여 공간이 하우징부에 더 필요하게 되었고, 상기 조작부를 다시금 하우징부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인서트를 잉여 공간에 채워넣어, 상기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는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공간을 채우기 위한 불필요한 부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이중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인 장치부와 하우징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전자기기의 경우, 돌출된 조작부(11)를 가지며, 후술할 하우징부(30)의 내측 형태와 동일한 장치부(10)와, 상기 장치부(1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장치부(10)를 내측에 포함시키는 하우징부(30)로 구성될 수 있었다. 상기 장치부(10)에는 전자기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돌출된 형태의 조작부(11)를 상기 장치부(10) 일면에 포함했으며, 상기 조작부(11)는 단일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장치부(10) 일면에 포함될 수도 있었고, 상기 하우징부(30)는 상기 조작부(11)를 수용하는 슬롯부(31)를 상기 조작부(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포함하였다.
이렇게 될 경우 돌출된 제1조작부(111)와 제2조작부(112)가 장치부(10) 전체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비교적 적음에도, 상기 조작부(11)의 돌출 정도까지 고려하여 하우징부(30)의 폭이 정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하여 조작부(11)의 돌출 정도를 제한해야 했음은 물론, 전자기기를 전체적으로 슬림(Slim)하게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부(10)의 측면 두께 및 그 너비와 동일한 내측 단면을 가지는 하우징부(30)를 설계하더라도,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인입하는 과정에서 돌출된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에 걸려 장치부(10)의 인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바, 돌출된 조작부(11)의 돌출 높이까지 고려한 하우징부(30)의 설계가 요구되었고, 이로써 슬림한 전자기기를 만드는데 제한이 있었다.
도 2는 도 1의 장치부의 측면(a)과 하우징부의 상측(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2의 (a)는 도 1의 장치부(10)를 바닥에 눕혀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장치부(10)가 눕혀진 바닥에서부터 제1조작부(111) 상면까지의 높이를 h1이라고 하고, 장치부(10)가 눕혀진 바닥에서부터 제2조작부(112) 상면까지의 높이를 h2라고 한다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30) 내측 폭의 길이를 h3이라고 할 때, h3의 길이는 상기 h1과 h2의 길이 가운데 더 긴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했다. 따라서 장치부(10)의 일부 요소인 제1조작부(111) 또는 제2조작부(112)가 돌출된 정도에 의해 하우징부(30) 전체의 폭이 결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3은 도 1의 장치부와 하우징부를 결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 3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라 조작부(11)가 돌출 형성된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부(30)의 폭은 돌출된 조작부(11)까지 고려하여 정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도 3의 (b)는 인입된 장치부(10)의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 외면의 슬롯부(31)로(도 1 참고)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뒷 공간(S)을 형성하며 앞으로 밀리는 과정을 도시한 것인데, 결국 상기 공간(S)은 단순히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인입시키는데 필요한 추가적 공간(S)에 지나지 않는다. 도 3의 (c)는 상기 잉여 공간(S)에 인서트(I)를 삽입하여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밀착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d)는 종래 기술에 따라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결국, 장치부(10)를 삽입하는 방향에서부터 상기 슬롯부(31)를 형성하지 않은 까닭에, 상기 하우징부(30)에 상기 장치부(10)를 인입시 돌출된 조작부(11)까지 고려하게 되어 불필요한 공간(S)이 발생하고, 그 공간을 매우기 위한 추가적인 인서트(I)가 삽입되는 문제까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서트(I)의 성형을 위해 또 다른 금형이나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부를 절개하여 그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절반으로 나뉜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이 고려되었지만, 이는 하우징부의 내구성에 문제를 낳았고, 외관에 드러나는 절개선이 미관상의 또 다른 문제를 낳게 되었다.
도 4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인 장치부와 하우징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는 다른, 종래의 다른 실시예로,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30)를 반으로 절개하여 장치부(10)를 사이에 두고 다시 절개된 하우징부(30)를 결합하여 전자기기의 전체적 두께를 슬림하게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난 추가적인 잉여 공간(S)의 문제 및 인서트(I)의 추가 문제는 없지만, 도 4의 (b)에 도시된 대로 하우징부(30) 측면에 절개선(L)이 나타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절개선(L)이 없는 것보다 하우징부(30)의 강성이 약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측에 포함되는 장치부(10)를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되며, 또한 외관상 상기 절개선(L)이 드러나게 되면서 전체적인 미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관한 설명을 참고하면, 추가적인 잉여 공간(S)과 인서트(I)가 요구되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전체적으로 슬림한 전자기기를 구성하고, 하우징부(30) 측면에 절개선(L)이 생기는 것을 막아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장치부, 하우징부, 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장치부에 돌출 형성된 조작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에 슬롯부를 두고, 하우징부 외면에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한 전자기기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장치부를 인입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슬림한 전자기기를 만들기 위해 상하로 분리된 하우징부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상하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개선을 없애, 내구성이 있으며, 외관상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는 전자기기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상기 커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자기기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슬롯부를,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하여,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슬롯부와 상기 조작부가 밀착 결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만들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하우징부를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에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여 장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커버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와,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장치부를 내측에 포함하여 장치부 외면을 감싸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로 인입될 때,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는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형성하는 슬롯부 형성단계와, 돌출된 조작부가 있는 장치부를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하는 장치부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롯부가 포함되는 하우징부의, 상기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부착하는 커버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 부착단계에서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상기 커버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부, 하우징부, 커버부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장치부에 돌출 형성된 조작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 일면에 슬롯부를 두고, 하우징부 외면에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슬림한 전자기기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장치부를 인입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슬림한 전자기기를 만들기 위해 상하로 분리된 하우징부 사이에 장치부를 넣고 상하 하우징부를 다시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절개선을 없애, 내구성이 있으며, 외관상의 미감을 해치는 요소가 없는 전자기기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상기 커버부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자기기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슬롯부를,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하여,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슬롯부와 상기 조작부가 밀착 결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부의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만들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하우징부를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버부에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포함하여 장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커버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인 장치부와 하우징부에 관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장치부의 측면(a)과 하우징부의 상측(b)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장치부와 하우징부를 결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인 장치부와 하우징부에 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담배에 관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하우징부에 관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하우징부의 슬롯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부의 슬롯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부의 슬롯부에 관한 도면.
도 11은 도 5의 커버부에 관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다른 실시예로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판을 가진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하판을 가진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자동차리모컨에 관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레이저포인터에 관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기기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원 발명을 설명하는 내용 가운데 사용한 구성요소명은 '홀(Hole)', '홈', '슬롯(Slot)' 을 구분하여 정하며, '홀'은 어느 일면에서 그 반대편 면까지 관통되어 뚫린 구멍을, '홈'은 어느 일면을 뚫고는 있지만 그 반대편 면까지는 관통되지 않은 것을, '슬롯'은 어느 일면에서 그 반대편 면까지 관통되어 뚫린 기다란 구멍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담배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원 발명은 크게 장치부(10), 하우징부(30), 커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부(10)는 후술할 하우징부(30) 내측으로 인입되어 안착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하우징부(30) 내부에 포함되는 것이며,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액상 물질을 기화시키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의 결합부를 말하는데, 도시된 내용은 상기 장치부(10)를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하였지만,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장치부(10)가 후술하는 하우징부(30)에 인입되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하우징부(30) 내측의 크기 및 형태와 장치부(10) 외측의 크기 및 형태를 동일하게 하여 잉여공간 없이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포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장치부(10)의 외부 어느 일면에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조작부(11)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도시된 내용과 같이 제1조작부(111), 제2조작부(112)를 장치부(10) 일면에 나란히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면에 복수 개의 조작부(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부(30)는 상기 장치부(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포함된 장치부(10)를 보호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 내측에 인입되도록 어느 일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내용은 하우징부(30)의 상측과 하측이 모두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와 다르게 상기 장치부(10)가 인입되는 방향의 일면만을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반대면은 개방되지 않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도 12 참고). 후술하겠지만 상기 하우징부(30) 외부에는 기다란 형상의 구멍인 슬롯부(3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롯부(31)는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될 때, 인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상기 돌출된 조작부(11)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낸 것으로, 상기 구멍의 형상은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도 8 및 도 9 참고).
상기 커버부(50)는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를 외측에서 덮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를 덮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내용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하우징부(30)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부(50)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다른 디자인의 형태를 가진 커버부(50)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자담배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하우징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부(30)는 슬롯부(31), 고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부(31)는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될 때 장치부(10) 상에 돌출된 제1조작부(111)와 제2조작부(112)가 하우징부(30)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소정 길이로 뚫려 있는 부분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구간, B구간, C구간에서 각기 다른 폭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형상의 장치부(1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서, A구간의 슬롯부(31) 폭은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에 의해 정해지고, C구간의 슬롯부(31) 폭은 제1조작부(111)의 슬라이더(151)의 최대너비에 의해 정해지며, B구간은 C구간에서 A구간으로 변화하는 부분으로 제2조작부(112)의 형상과 동일하게 정해질 수 있다. 결국 상기 슬롯부(31)는 조작부(11)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에 걸리는 것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32)는 고정돌기수용홀(321)과 고정홀(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수용홀(321)은 후술할 커버부(50)의 고정돌기(541)가 관통되어 상기 장치부(10)의 고정돌기수용홈(131)에 안착됨으로써 장치부(10), 하우징부(30) 및 커버부(50)를 고정하는 구성이고, 상기 고정홀(322)은 상기 장치부(10)와 하우징부(30)를 일체화시키는데 사용하는 볼트 등의 긴결재가 인입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볼트 등이 결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의 외측 나사선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하우징부의 슬롯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 형상은 상기 장치부(10)에 돌출 형성된 제1조작부(111)와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에 의해 결정됨을 도시한 것으로, 도 8의 (a)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될 때, 장치부(10)상의 돌출된 조작부(111)가 상기 하우징부(3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장치부(10)의 제1조작부(111)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우징부(30)에 슬롯부(31)를 만들기 시작하는 과정을 굵은 선을 통해 도시한 것이며, 도 8의 (b)는 더 깊게 인입된 장치부(10)로 인하여 제1조작부(111)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롯부(31)가 하우징부(30) 일면에 길게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c)는 장치부(10)의 제1조작부(111)와는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가진 제2조작부(112)를 통과시키기 위해 좀더 큰 폭을 가진 슬롯부(31)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8의 (d)는 돌출된 조작부(11)가 포함된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하는데 필요한 슬롯부(31)를 굵은 선을 통해 표시한 것이다.
결국 상기 슬롯부(31)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도 8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한 부분)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A구간의 슬롯부(31) 폭은 제2조작부(112)의 최대 너비인 W2가 되고, C구간의 슬롯부(31) 폭은 제1조작부(111)의 최대 너비인 W1이 되며, B구간은 제2조작부(112)의 형상에 따라 제1조작부(111)의 최대 너비에서 제2조작부(112) 최대 너비로 변화하는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국 제1조작부(111) 및 제2조작부(112)의 형상 및 최대 너비에 따라 슬롯부(31)의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도 8의 (d)를 참고하면, 도시된 빗금 친 부분은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되는 과정에서 제1조작부(111)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인바, 상기 빗금 친 영역은 슬롯부(31)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도 8의 (e)는 상기 빗금 친 영역에도 구멍을 뚫어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면, 장치부(10)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만들 수도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도 8의 (d)보다 제작이 용이한 슬롯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e)와 같은 슬롯부(31)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부(30)의 장치부(10)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한다면(도 7 참고), 재단한 평판을 접는 것만으로도 하우징부(30)를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부의 슬롯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도 8과 동일한 장치부(10)를 갖지만,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의 하측에서부터 인입된다는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가(W2)가 제1조작부(111)의 최대너비(W1)보다 크기 때문에(도 8 참고), 제2조작부(112)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롯부(31)가 형성되면 뒤따라 들어오는 제1조작부(111)의 최대너비(W1)가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W2)보다 작아 이미 만들어진 슬롯부(31)의 형상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될 때까지 장치부(10)가 인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제2조작부(112)를 통과시키기 위한 슬롯부(31)가 만들어질 수 있다.
도 9의 (a)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면서 상기 장치부(10)의 제2조작부(112)가 슬롯부(31)를 만들기 시작하는 과정을 굵은 선을 통해 도시한 것이며, 도 9의 (b)와 도 9의 (c)는 더 깊게 인입된 장치부(10)로 인하여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W2)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슬롯부(31)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으로, 도 8과 달리 제1조작부(111)가 하우징부(30) 내로 인입되어도 제1조작부(111)의 최대너비(W1)가 제2조작부(112)의 최대너비(W2)보다 작기 때문에 슬롯부(31) 형상에 영향을 주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도 9의 (d)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형성된 슬롯부(31)를 굵은 선을 통해 표시한 것이다.
도 9의 (d)를 참고하면, 도시된 빗금 친 부분은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되는 과정에서 제2조작부(112)가 통과하지 않는 영역인바, 상기 빗금 친 영역은 슬롯부(31)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도 9의 (e)는 상기 빗금 친 영역에도 구멍을 뚫어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면, 장치부(10)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만들 수도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도 9의 (d)보다 제작이 용이한 슬롯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e)와 같은 슬롯부(31)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부(30)의 장치부(10)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한다면, 재단한 평판을 접는 것만으로도 하우징부(30)를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도 8과 도 9를 비교해 본다면, 동일한 장치부(10) 일지라도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로 인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부(31)의 형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부의 슬롯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도 8 및 도 9에서는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면서 제1조작부(111)와 제2조작부(112)에 의해 슬롯 형상이 정해지는 과정을 도시했다면, 도 10에서는 하우징부(30)의 상측 및 하측이 모두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의 상측으로 인입될 수도 있고, 하측으로 인입될 수도 있는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를 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제1조작부(111)의 최대 너비를 W1이라 하고, 제2조작부(112)의 최대 너비를 W2하고 할 때, W2의 길이가 W1의 길이보다 크다면, 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의 너비를 W3라고 하여, W2의 길이 이상으로 상기 W3의 길이를 정해, 하우징부(30) 일면의 상하를 관통하는 동일한 폭을 가진 슬롯부(31)를 만들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5의 커버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커버부(50)는 조작부수용홀(51), 상판(52), 하판(53), 고정부(54), 조작부수용판(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수용홀(51)은 제1조작부수용홀(511)과 제2조작부수용홀(5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작부수용홀(51)의 개수는 상기 장치부(10)의 조작부(11)의 개수에 영향을 받고, 그 위치 및 형상 역시, 상기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이 되고 커버부(50)가 하우징부(30) 외측에 덮일 때, 대응되는 위치상에, 조작부(11)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란, 조작부(11) 외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커버부(50) 상에, 전술한 홀이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된 조작부(11)가 커버부(50)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말한다.
상기 상판(52)은 후술할 조작부수용판(55) 상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의 상측을 덮는 기능을 하는바, 그 형상이 하우징부(30)의 상측 형상과 일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53)은 후술한 조작부수용판(55) 하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장치부(10)가 인입된 하우징부(30)의 하측을 덮는 기능을 하는바, 그 형상이 하우징부(30)의 하측 형상과 일치함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도 12 및 도 13 참고), 상기 커버부(50)의 상판(52)과 하판(53)은 하우징부(30)의 개방된 부분에 따라 상기 커버부(50)에 포함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는데, 하우징부(30)가 상측과 하측이 모두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면, 상판(55)과 하판(56) 모두가 상기 커버부(50)에 포함되고, 하우징부(30)의 상측은 개방된 형상을 가지나 하측이 막힌 형상을 가진다면 상판(55)만, 하우징부(30)의 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측이 막힌 형상을 가진다면 하판(56)만이 상기 커버부(5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4)는 고정돌기(541), 고정홀(542), 긴결재수용홈(5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541)는 커버부(50)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전술한 하우징부(30)의 고정돌기수용홀(321)을 지나 장치부(10)의 고정돌기수용홈(131)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장치부(10), 하우징부(30), 커버부(5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돌기(541)는 도시된 내용과 달리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위치와 형태가 변함에 따라 이와 연결되는 고정돌기수용홀(321)과 고정돌기수용홈(131)의 위치 및 형태도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542)은 볼트 등의 긴결재가 인입되는 부분을 말하며, 그 위치와 개수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커버부(50) 상에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볼트 등이 결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의 외측 나사선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긴결재수용홈(543)은 상기 장치부(10)와 하우징부(30)를 결합고정할 때 사용한 긴결재의 돌출된 헤드 부분을 수용하는 곳으로, 그 위치는 하우징부(30)의 고정홀(322)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수용판(55)은 전술한 조작부수용홀(51)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부가(10)가 포함된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를 덮는 구성으로, 도시된 내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전자담배 외관의 심미성을 일으키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부수용판(55)은 상기 조작부수용홀(51)을 포함할 수 있는 일정크기 이상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다른 실시예로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상판을 가진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전술한 하우징부(30)는 상측과 하측이 모두 뚫려있는 형상을 하고 있지만(도 6 및 도 7 참고), 본 실시예는 장치부(10)가 인입될 하우징부(30)의 상측만 뚫려 있는 것으로, 도 6에서 상기 커버부(50)가 하우징부(30)의 상측과 하측을 덮는 상판(52)과 하판(53)를 포함하고 있었다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 면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부(30)의 하측을 덮을 필요가 없기에, 상기 커버부(50)는 하우징부(30)의 상측을 덮는 상판(52)만을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도 8의 (d)에서 도시한 빗금 친 영역을 슬롯부(31)에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지만, 도시된 것과 달리 빗금 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어,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형성하여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만들 수 있다(도 8의 (e) 참고).
도 13은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하판을 가진 커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도 12와 달리 하우징부(30)의 상측이 막혀있고 하측이 뚫려 있는 것으로, 장치부(10)는 하우징부(30)의 하측을 통해 인입되며, 도 12와 동일한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인입되더라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부(10)의 인입을 위해서는 다른 형태의 슬롯부(31)가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 면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부(30) 상측을 덮을 필요가 없기에, 상기 커버부(50)는 하우징부(30)의 하측을 덮는 하판(53)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 9의 (d)에서 도시한 빗금 친 영역을 슬롯부(31)에 포함하지 않은 것이지만, 도시된 것과 달리 빗금 친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멍을 뚫어,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만들 수 있다(도 9의 (e) 참고).
또한 도 12 및 도 13에서 도시한 내용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할 것이 아니라, 도 12에서 커버부(50)에 하판(53)을 포함하여, 면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부(30)의 하측을 덮을 수도 있고, 도 13에서도 커버부(50)에 상판(52)을 포함하여, 면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부(30)의 상측을 덮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자동차리모컨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전자담배에 관한 실시예 이외에 자동차리모컨에 전자기기를 슬림화할 수 있는 상기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상기 자동차리모컨은 장치부(10), 하우징부(30), 커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장치부(10)는 문을 개폐하는 등의 제어기능을 가진 돌출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인입할 때 상기 조작부가 하우징부(30)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30)에 돌출된 조작부가 그대로 통과할 수 있는 슬롯부(31)를 포함하여, 장치부(10)에 돌출된 조작부까지 고려하여 하우징부(30) 내측의 크기를 정할 필요가 없게 되고,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되면 하우징부(30) 외면을 덮는 커버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좀더 슬림한 자동차리모컨을 만들 수 있음은 물론, 하우징부에 절개선을 만들지 않아 내구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외관상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자동차리모컨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레이저포인터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슬림화할 수 있는 상기 기술을 레이저포인터에 적용한 것으로, 상기 레이저포인터는 장치부(10), 하우징부(30), 커버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를 발산하는 장치부(10)는 레이저의 발산 또는 발산 형태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돌출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인입할 때 상기 조작부가 하우징부(30)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30)에 돌출된 조작부가 그대로 통과할 수 있는 슬롯부(31)를 포함하여, 장치부(10)에 돌출된 조작부까지 고려하여 하우징부(30) 내측의 크기를 정할 필요가 없게 되고,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완전히 인입되면 하우징부(30) 외면을 덮는 커버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좀더 슬림한 레이저포인터를 만들 수 있음은 물론, 하우징부에 절개선을 만들지 않아 내구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외관상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레이저포인터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돌출된 조작부를 가진 장치부(10)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10)를 보호하기 위해 이를 하우징부(30)에 인입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상기 기술을 적용하여, 측면에 절개선을 만들지 않으면서 전자기기의 두께를 얇게 하고, 또한 다양한 형태의 커버부(50)를 별도로 제작, 판매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자기기를 구성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기기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원 발명은 슬롯부 형성단계(S1), 장치부 삽입단계(S2), 커버부 부착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S1)는, 상기 장치부(10)를 하우징부(30)에 인입하는 과정에서 돌출된 조작부(11)가 상기 하우징부(30)에 걸리지 않도록 하우징부(30) 일면에 상기 슬롯부(31)를 형성하는 단계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S1) 이전에 돌출된 조작부(11)를 가지는 장치부(10)와 이를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는 하우징부(30)와, 상기 장치부(10)가 포함된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를 덮는 커버부(50)를 제조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S1)는 상기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소정 길이로 뚫려있는 슬롯부(31)를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조작부(11)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슬롯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장치부(10)의 돌출된 조작부(11)가 하우징부(20)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10)가 하우징부(30)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11)가 하우징부(30)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슬롯부(31)를 형성하여 조작부(11) 형상에 따른 슬롯부(3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롯부(31)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10)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30)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31)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다 제작이 용이한 슬롯부(31)를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S1)에서는 상기 슬롯부(31)가 포함되는 하우징부(30)의 상기 장치부(10)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재단한 평판을 접는 것만으로도 하우징부(30)를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상기 장치부 삽입단계(S2)는, 돌출된 조작부(11)를 가지는 장치부(10)를 상기 하우징부(30) 내측으로 인입하는 단계로, 장치부(10)의 삽입은 상기 하우징부(3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 부착단계(S3)는, 상기 커버부(50)를 하우징부(30)의 슬롯부(31) 상면에 덮는 단계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부(31)에 포함된 돌출된 조작부(11)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돌출된 조작부(11)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11)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51)을 가진 조작부수용판(55)을 포함하는 커버부를 만드는 단계를 상기 커버부 부착단계(S3) 이전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부(10)가 인입되는 하우징부(30)의 개방된 일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부(50)의 조작부수용판(55)을 중심으로 상측에 상판(52)을 포함하거나, 하측에 하판(53)을 포함할 수 있고, 상하측 모두에 상판(52)과 하판(53) 모두를 포함하는 커버부(50)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단계를 상기 커버부 부착단계(S3) 이전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장치부 11:조작부 30:하우징부
31:슬롯부 50:커버부 51:조작부수용홀
S:공간 I:인서트

Claims (18)

  1. 외면에 돌출된 조작부를 가지는 장치부와,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장치부를 내측에 포함하여 장치부의 외면을 감싸는 하우징부와, 상기 장치부가 하우징부로 인입될 때,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걸리지 않도록 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상기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소정 길이로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하우징부의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가진 조작부수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상판 및/또는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하우징부 일면 상에 슬롯부를 형성하는 슬롯부 형성단계와, 돌출된 조작부가 있는 장치부를 상기 하우징부에 삽입하는 장치부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소정 길이로 뚫려 있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조작부의 최대너비 이상의 폭을 가지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장치부가 하우징부에 삽입되는 방향에서부터 형성되어, 장치부가 하우징부 내에 안착 될 때까지, 돌출된 조작부가 하우징부 일면 상을 이동하게 될 자취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롯부의 일단을 연장 형성하여 장치부가 인입된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까지 하우징부 일면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슬롯부가 포함되는 하우징부의, 상기 장치부가 인입되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반대면도,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가 포함된 하우징부의 슬롯부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덮는 커버부를 부착하는 커버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장치부의 돌출된 조작부와 동일한 위치상에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수용홀을 가진 조작부수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상판 및/또는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제조방법.
KR1020150045520A 2015-03-31 2015-03-31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 KR10169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520A KR101696366B1 (ko) 2015-03-31 2015-03-31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520A KR101696366B1 (ko) 2015-03-31 2015-03-31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993A true KR20160116993A (ko) 2016-10-10
KR101696366B1 KR101696366B1 (ko) 2017-01-13

Family

ID=5714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520A KR101696366B1 (ko) 2015-03-31 2015-03-31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3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188Y1 (ko) * 2005-10-14 2006-01-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무선 단말기 케이스
KR200412623Y1 (ko) * 2006-01-05 2006-03-29 송태성 슬라이드형 휴대폰 보호커버
KR20070074185A (ko) * 2006-01-06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20080097270A (ko) * 2007-05-01 2008-11-05 주식회사 이제로테크 멀티탭 및 멀티탭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188Y1 (ko) * 2005-10-14 2006-01-2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무선 단말기 케이스
KR200412623Y1 (ko) * 2006-01-05 2006-03-29 송태성 슬라이드형 휴대폰 보호커버
KR20070074185A (ko) * 2006-01-06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개폐장치
KR20080097270A (ko) * 2007-05-01 2008-11-05 주식회사 이제로테크 멀티탭 및 멀티탭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366B1 (ko) 2017-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448B1 (ko)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
US9167850B2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KR101262912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2044470B1 (ko) 외부 장치 삽입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US9968169B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with retractable home button protective cover
US8546694B1 (en) Cord management device
JP2005538559A (ja) 外部から見えないストラップホルダーを有する電子装置
CN106839590A (zh) 冰箱
US10511342B1 (en) Cell phone case with card storage capability
KR101696366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제조방법
JP6637684B2 (ja) 携帯機器
WO2009047922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JP2008130616A (ja) 電気機器及び表示装置
US8727170B2 (en) Cover lock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382006Y1 (ko) 슬라이드형 핸드폰 케이스
WO2016061950A1 (zh) 移动终端的外壳和具有其的移动终端
JP5971696B2 (ja) 電子機器の筺体及び電子機器の筺体用化粧パネル
KR200421546Y1 (ko) 휴대기기용 핸드스트랩
CN205880753U (zh) 手持式电子设备
KR101780384B1 (ko) 방수팩
KR20140065085A (ko) 후면커버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JP3200537U (ja) スマートフォン収納ケース
US8779289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101357323B1 (ko)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
JP3141699U (ja) 掛け布団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