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917A -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 Google Patents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917A
KR20160116917A KR1020150045337A KR20150045337A KR20160116917A KR 20160116917 A KR20160116917 A KR 20160116917A KR 1020150045337 A KR1020150045337 A KR 1020150045337A KR 20150045337 A KR20150045337 A KR 20150045337A KR 20160116917 A KR20160116917 A KR 20160116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up
hole
hand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328B1 (ko
Inventor
이호찬
Original Assignee
이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찬 filed Critical 이호찬
Priority to KR102015004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3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6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essentially defining a completely closed surface together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내부에 매설되는 공지의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를 작동하기 위하여 도어 외면에 설치하는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에 있어서,
상기 실외컵핸들(10)은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하는 컵케이스(101)와; 상기 컵케이스(101)에 결합하는 브라켓(102)과; 상기 브라켓(102)에 결합하는 키뭉치(103)와; 상기 컵케이스(101)에서 회전하는 외부회전체(104)와;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외부에 끼워서 결합하는 발광링(105)과; 상기 외부회전체(104)에 설치하는 손잡이(106)와; 상기 외부회전체(104)에 의해 회전하는 내부회전체(107)를 구비함으로써 잠금 및 해정이 가능케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야간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조명이 없는 것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Cup-shaped handle door locks of the handle cup outdoor}
본 발명은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동성과 조립성을 개선한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대형 쇼핑몰, 대형 오피스 빌딩과 같은 대형 건축물은 건축법, 소방법 등에 의하여 비상경보설비와 자동화재탐지설비는 물론 배전계통의 보호설비, 감시제어설비 등을 설치한 전기 설비실이나 점검실, 기관실 등(이하, '관리 제어실'이라 함) 건물 내부의 각 층에 배치하게 되는데, 건물 내 상주 인구의 동선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로 건물의 각층 복도에 상기 관리제어실을 배치하게 된다.
그런데 대형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해당 건물의 복도에는 상주 인구의 이동이 빈번한 경우에 있는데, 이러한 건물의 복도에 관리제어실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관리제어실 등의 도어에 일반적인 돌출형 도어 핸들을 가진 도어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돌출된 도어 핸들이 복도를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복도의 폭이 좁은 경우에 돌출된 도어 핸들만큼 도어의 개폐 가능 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공간 이용이 비효율적이고, 물건의 반입 또는 반출시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초고층 주상 복합 아파트와 같은 고층 아파트가 많이 건설되면서, 화재에 따른 대피를 위하여 아파트의 세대와 세대가 접하는 베란다 일측 벽체에 비상탈출문을 설치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베란다의 비상탈출문을 통해 옆집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비상탈출문에 일반적인 돌출형 도어 핸들을 가진 도어 개폐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돌출된 도어 핸들이 베란다를 이용하는 세대 내 입주민에게 불편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돌출된 도어 핸들만큼 베란다 활용 가능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간 이용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들의 이동이 빈번한 복도 등에 주로 배치되는 관리제어실 등의 도어나 아파트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비상탈출문 등에는 사람들의 통행이나 공간 활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일반적인 돌출형 도어 핸들을 가진 개폐장치를 대신하여 도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컵에 핸들을 설치하여 도어 표면에서 돌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한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를 설치하는 예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은 등록특허공보 제10-0832354호의 '키 뭉치가 내설된 컵 핸들 개폐장치'와 같이 유동걸쇠(3)가 내설된 걸쇠박스(4)를 중심으로, 그 걸쇠박스(4)의 일측면(실외측)과 타측면(실내측)에 컵핸들(1, 1')을 연계 결합시켜 구성한 컵 핸들 개폐장치에 있어서, 유동걸쇠(3)를 간섭하도록 삽입공(13)이 형성된 회동 단속구(14)와, 상기 회동 단속구(14)의 양측에는 한 쌍의 컵 핸들(1, 1') 간에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공(15)이 형성된 걸쇠박스(4)와; 상기 걸쇠박스(4)의 양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컵 핸들(1, 1') 중 도어(5)의 실외측에 위치하는 컵 핸들(1)은 내주면에 일측 끝단이 수평하게 고정되어 걸쇠박스(4)의 회동 단속구(14)에 형성된 연결공(15)으로 삽입되어 도어(5)의 실내측에 형성된 컵 핸들(1')에 밀착하는 체결봉(12)과, 상기 도어(5)의 실외측에 위치하는 컵 핸들(1)의 중앙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키 뭉치 삽입공(8)에 체결돌기(11)가 형성되고, 외주면 양단에는 고리타입의 손잡이(6)가 일체로 체결되어 함께 회동하는 회전체(7)와, 상기 회전체(7)의 키 뭉치 삽입공(8)에 삽입되는 키 뭉치(2)는 양측에 체결홈(9)이 형성되어 체결돌기(11)와 맞물리고, 키 뭉치(2)의 선단에는 작동편(10)이 돌출되어 회동 단속구(14)의 삽입공(13)으로 삽입되는 작동편(10)으로 구성된 컵 핸들(실외측)(1)과; 상기 컵 핸들(실외측)(1)과 대응하게 도어(5)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컵 핸들(1')은 내주면에 컵 핸들(실외측)(1)에서 돌출된 체결봉(12)의 끝단이 밀착되어 볼트(16)체결되는 볼트공(20)과, 상기 컵 핸들(실내측)(1')은 작동바(17)를 삽입할 수 있도록 중앙에 작동바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 삽입공의 양단에는 고리타입의 손잡이(6)가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하는 회전체(7')와, 상기 회전체(7')에 형성된 작동바 삽입공(21)으로 삽입되어 회전체(7')와 일체로 회동하는 작동바(17)와, 상기 작동바(17)의 외주면은 회동 단속구(14)의 삽입공(13)과 맞물리도록 대응하는 형상이고, 내측 끝단은 결속홈(18)이 형성되어 회동 단속구(14)의 삽입공(13)으로 삽입되어 타측 회동 단속구(14)의 삽입공(13)으로 삽입된 작동편(10)의 결속홈(18)으로 삽입되어 맞물려 키 뭉치(2)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작동바(17)를 포함하는 컵 핸들(실내측)(1')로 구성되어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컵핸들에 접힌 채 투입된 고리타입의 손잡이(6)를 외부로 펼친 후, 회전시킴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가능케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3235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657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은 고리타입의 손잡이(6)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걸쇠박스(4)가 작동하여 도어의 개폐가 가능케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에 있어서, 걸쇠박스(4)를 작동하기 위하여 회전 동작하는 고리타입의 손잡이(6)는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컵핸들(1)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된 금속재 회전체(7)에 조립되며, 상기 회전체(7)의 내측면은 상기 컵핸들(1)의 요입부 내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손잡이(6)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금속재로 된 회전체(7)의 내측면과 컵핸들(1)의 요입부 내면 간의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재로 된 회전체(7)와 컵핸들(1)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컵핸들(1)의 내부에 긁힌 자국이 남게 되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도어 내부에 매설되는 공지의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를 작동하기 위하여 도어 외면에 설치하는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에 있어서,
외측면의 요입홈(101a) 중심부에 설치공(101b)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101b) 둘레에 호형장공(101c)을 형성한 컵케이스(101)와;
중심부에 제1결합공(102a)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공(101b)에 끼워 결합하는 브라켓(102)과;
상기 제1결합공(102a)에 끼워 결합하며, 키의 동작에 의해 돌몰하는 잠금돌편(103a)을 키뭉치(103)와;
중앙에 형성된 중심공(104a)으로 상기 키뭉치(103)가 노출되게 하고, 한 쌍의 돌편(104b)을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호형장공(101c)으로 투입한 후, 돌편(104b)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공(104c)에 탄편(108)을 끼워서 요입홈(101a)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한 외부회전체(104)와;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내측면과 상기 요입홈(101a) 간에 위치하는 걸림턱(105a)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05a)에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외부에 끼워서 결합하고, 양 측면에는 연결공(105b)을 형성한 야광(축광)소재로 된 발광링(105)과;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롤러(106a)를 설치하고, 각 롤러(106a)의 회전축을 상기 연결공(105b)을 통해 외부회전체(104)에 결합하여 외부회전체(104)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 손잡이(106)와;
상하단부에는 결합부(107a)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돌편(104b)과 함께 탄편(108)으로 결합하고, 중심부에는 삽입공(107c)을 형성하여 상기 키뭉치(103)의 내측 단부를 삽입하되, 상기 삽입공(107c) 일측에는 걸림공(107d)을 형성하여 상기 키뭉치(103)의 잠금돌편(103a)이 선택적으로 걸림공(107d)에 투입 가능케 하며, 상기 삽입공(107c)의 내측면에는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를 작동하는 작동편(107e)을 결합한 내부회전체(107)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야간시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동성과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은 잠금 및 해정을 가능케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도어잠금장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그에 따른 유지 관리도 용이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야광(축광) 기능을 부여하여 야간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조명이 없는 것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기계적 마모를 최소화하고, 필요한 소음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작동성이 우수하고, 제조 과정에서 조립 편의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통행자가 많은 통로 또는 공간 활용이 필요한 베란다 등의 도어에 설치되어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도어를 잠금, 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성과 공간활용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회전체와 손잡이, 발광링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정 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를 설명하면, 케이스 일측 단부에서 설치한 래치볼트(301)의 돌몰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내부에 슬라이더(303)와 회동체(302)를 구비하여 도어의 일측면 내부에 매설되는 통상의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를 중심으로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하여 래치볼트(301)의 잠금과 해정이 가능케 한 실외컵핸들(10)과,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하여 래치볼트(301)의 해정이 가능케 하는 실내컵핸들(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10)은 도어의 외측면에 설치하는 컵케이스(101)와; 상기 컵케이스(101)에 결합하는 브라켓(102)과; 상기 브라켓(102)에 결합하는 키뭉치(103)와; 상기 컵케이스(101)에서 회전하는 외부회전체(104)와;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외부에 끼워서 결합하는 발광링(105)과; 상기 외부회전체(104)에 설치하는 손잡이(106)와; 상기 외부회전체(104)에 의해 회전하는 내부회전체(107)를 구비한다.
상기 컵케이스(101)은 외측면에 원형으로 된 요입홈(101a)을 형성하고 그 중심부에는 설치공(101b)을 형성하며 설치공(101b) 둘레에는 상하 대칭으로 된 한 쌍의 호형장공(101c)을 형성한다. 상기 설치공(101b)은 정원이 아닌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서 설치공(101b) 둘레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통공(101d)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2)은 중심부에 다각형으로 된 제1결합공(102a)을 형성하고, 내측 단부의 외형을 상기 설치공(101b)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설치공(101b)에 끼워서 결합하되,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통공(101d)으로 투입되는 별도의 결합돌부(102b)를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뭉치(103)는 외관을 상기 브라켓(102)에 형성된 다각형으로 된 제1결합공(102a)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결합공(102a)에 끼워서 결합하고, 일측에는 키홀(103b)에 삽입되는 키의 동작에 의해서 돌몰하는 잠금돌편(103a)을 구비한다.
상기 키뭉치(103)의 구체적인 구성과, 잠금돌편(103a)의 돌몰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가 보편적으로 인지하고, 실시 가능한 공지된 기술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외부회전체(104)는 중앙에 형성된 중심공(104a)으로 상기 키뭉치(103)가 노출되게 하고, 한 쌍의 돌편(104b)을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컵케이스(101)에 형성된 호형장공(101c)으로 각각 투입한 후, 돌편(104b)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공(104c)에 탄편(108)을 끼워서 요입홈(101a)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고 호형장공(101c)을 따라서 회전 가능케 설치한다.
상기 발광링(105)은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내측면과 상기 요입홈(101a) 간에 위치하는 걸림턱(105a)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결합홈(104c)과 이어지는 연결공(105b)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05a)에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외부에 끼워서 결합한다. 또한, 상기 발광링(105)은 야광(축광) 기능을 가진 내마모성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함으로써 외부회전체(104)와 함께 회전하면서 컵케이스(101) 내면과 마찰할 때,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빛이 없는 장소에서도 식별이 가능케 한다.
상기 손잡이(106)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롤러(106a)를 설치하되, 상기 롤러(106a)의 회전축을 상기 발광링(105)의 연결공(105b)을 통해 상기 외부회전체의 결합홈(104c)에 끼워서 설치함으로써 손잡이(106)를 회전시켜 외부회전체(104)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손잡이(106)와 외부회전체(104)가 회전할 때, 상기 롤러(106a)가 상기 컵케이스(101)의 요입홈(101a) 내측면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손잡이(106)와 외부회전체(104)의 회전이 원활하게 한다.
상기 내부회전체(107)는 상하단부에는 제3결합공(107b)을 구비한 결합부(107a)를 형성하여 상기 탄편(108)이 제3결합공(107b)으로 투입되어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돌편(104b)과 함께 결합함으로써 손잡이(106)에 의해 회전하는 외부회전체(104)에 의해 외부회전체(104)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중심부에는 삽입공(107c)을 형성하여 상기 키뭉치(103)의 내측 단부를 삽입하되, 상기 삽입공(107c) 일측에는 걸림공(107d)을 형성하여 상기 키뭉치(103)의 잠금돌편(103a)이 선택적으로 걸림공(107d)에 투입 가능케 하여 잠금돌편(103a)에 의해 상기 내부회전체(107)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삽입공(107c)의 내측면에는 장공(107f)을 형성하여 머리부는 상기 삽입공(107c) 내부에 위치하고, 몸통부가 상기 장공(107f)을 관통하여 실내컵핸들(20)에 설치된 작동관(201)과 결합하도록 작동편(107e)을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은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통행하는 대형 건축물의 각층 통로 등에 배치된 관리제어실 등의 도어나 아파트 베란다의 비상탈출문 등에 설치한다.
즉, 상기 도어의 일측면 내부에는 케이스 일측 단부에서 설치한 래치볼트(301)의 돌몰이 가능하도록 케이스 내부에 슬라이더(303)와 회동체(302)를 구비한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의 케이스를 매설하여 도어의 외표면으로는 래치볼트(301)만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는 실외컵핸들(10)을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실내컵핸들(20)을 설치하되, 상기 실외컵핸들(10)에는 작동편(107e)을 구비한 내부회전체(107)를 설치하고, 상기 실내컵핸들(20)에는 상기 작동편(107e)과 결합하는 작동관(201)을 구비한 내부회전체(107)를 설치하며, 상기 작동관(201)은 상기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의 슬라이더(303)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상기 회동체(302)와 결합함으로써 실외컵핸들(10)이나 실내컵핸들(20)에 설치된 고리형 손잡이(106)를 회전시키면, 내부회전체(107)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그 회전력은 작동관(201)으로 전달되어 회동체(302)를 회전시킴으로써 회동체(302)가 래치볼트(301)를 돌몰시키는 슬라이더(303)를 작동시켜 래치볼트(301)가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의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어 도어의 열림이 가능케 되고, 손잡이(106)에 가하는 회전력을 해소하면,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의 작용에 의하여 래치볼트(301)가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면서 문틀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투입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래치볼트(301)를 구비한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의 기계적 구성과 그에 따른 작동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가 보편적으로 인지하고, 실시 가능한 공지된 기술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실외컵핸들(10)의 단면도로서 도면과 같이 실외컵핸들(10)의 중심부에는 키뭉치(103)가 설치되어 키를 상기 키뭉치(103)의 키홀(103b)에 삽입한 후 회전시켜 잠금 설정을 하면, 키뭉치(103)의 일측에 구비된 잠금돌편(103a)은 키뭉치(103)에서 최대한 돌출되면서 잠금돌편(103a)이 내부회전체(107)의 걸림공(107d)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키뭉치(103)는 도어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컵케이스(101)의 중심부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102)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회전체(107)는 상기 컵케이스(101)의 요입홈(101a)에서 손잡이(106)에 의해 회전 가능케 설치된 외부회전체(104)와 결합된 상태이므로, 회전 불가능케 설치된 키뭉치(103)에서 돌출된 잠금돌편(103a)이 회전 가능케 설치된 내부회전체(107)의 걸림공(107d)에 끼워지면, 잠금돌편(103a)에 의해 내부회전체(107)의 회전이 불가능해지므로, 실외컵핸들(10)에 설치된 손잡이(106)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손잡이(106)에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손잡이(106)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키를 소지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의 외부인에 의한 도어의 개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의 해정 상태를 나타낸 실외컵핸들(10)의 단면도로서 도면과 같이 상기 키뭉치(103)의 키홀(103b)에 삽입한 후 회전시켜 해정 설정을 하면, 키뭉치(103)의 일측에 구비된 잠금돌편(103a)이 키뭉치(103) 내부로 최대한 투입되면서 내부회전체(107)의 삽입공(107c) 내에 위치함으로써 내부회전체(107)의 회전을 억제하는 고정력이 해소된다.
따라서 상기 컵케이스(101)의 요입홈(101a) 내부에 설치된 외부회전체(104)와 결합한 손잡이(106)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은 외부회전체(104)에 의해 내부회전체(107)로 그대로 전달되고, 내부회전체(107)의 회전력은 내부회전체(107)의 내측 단부에 설치된 작동편(107e)에 의해 실내컵핸들(20)에 설치된 작동관(201)으로 전달됨으로써 작동관(201)이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의 회동체(302)를 회전시키고, 회동체(302)가 래치볼트(301)를 돌몰시키는 슬라이더(303)를 작동시켜 래치볼트(301)가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의 하우징 내부로 투입됨으로써 도어의 열림이 가능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의 외부회전체(104)에는 야광(축광)소재로 된 발광링(105)을 설치함으로써 빛이 없는 장소에서도 식별이 가능하여 빛이 없는 야간의 긴급 상황 발생시에 야간시인성을 보장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링(105)은 손잡이(106)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금속재로 된 외부회전체(104)가 금속재로 된 컵케이스(101)의 내면과 직접 마찰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금속재간 마찰에 따른 작동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 작동을 보장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도어 10: 실외컵핸들
101: 실외컵 101a: 요입홈
101b: 설치공 101c: 호형장공
102: 브라켓 102a: 제1결합공
103: 키뭉치 103a: 잠금돌편
103b: 키홀 104: 외부회전체
104a: 중심공 104b: 돌편
104c: 제2결합공 104c: 결합홈
105: 발광링 105a: 걸림턱
105b: 연결 106: 손잡이
106a: 롤러 107: 내부회전체
107a: 결합부 107b: 제3결합공
107c: 삽입공 107d: 걸림공
107e: 작동편 108: 탄편
20: 실내컵핸들 201: 작동관
30: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 301: 래치볼트
302: 회동체 303: 슬라이더

Claims (1)

  1. 도어 내부에 매설되는 공지의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를 작동하기 위하여 도어 외면에 설치하는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에 있어서,
    외측면의 요입홈(101a) 중심부에 설치공(101b)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101b) 둘레에 호형장공(101c)을 형성한 컵케이스(101)와;
    중심부에 제1결합공(102a)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공(101b)에 끼워 결합하는 브라켓(102)과;
    상기 제1결합공(102a)에 끼워 결합하며, 키의 동작에 의해 돌몰하는 잠금돌편(103a)을 키뭉치(103)와;
    중앙에 형성된 중심공(104a)으로 상기 키뭉치(103)가 노출되게 하고, 한 쌍의 돌편(104b)을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호형장공(101c)으로 투입한 후, 돌편(104b)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공(104c)에 탄편(108)을 끼워서 요입홈(101a)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한 외부회전체(104)와;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내측면과 상기 요입홈(101a) 간에 위치하는 걸림턱(105a)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05a)에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외부에 끼워서 결합하고, 양 측면에는 연결공(105b)을 형성한 야광(축광)소재로 된 발광링(105)과;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롤러(106a)를 설치하고, 각 롤러(106a)의 회전축을 상기 연결공(105b)을 통해 외부회전체(104)에 결합하여 외부회전체(104)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 손잡이(106)와;
    상하단부에는 결합부(107a)를 형성하여 상기 외부회전체(104)의 돌편(104b)과 함께 탄편(108)으로 결합하고, 중심부에는 삽입공(107c)을 형성하여 상기 키뭉치(103)의 내측 단부를 삽입하되, 상기 삽입공(107c) 일측에는 걸림공(107d)을 형성하여 상기 키뭉치(103)의 잠금돌편(103a)이 선택적으로 걸림공(107d)에 투입 가능케 하며, 상기 삽입공(107c)의 내측면에는 도어용 래치 어셈블리(30)를 작동하는 작동편(107e)을 결합한 내부회전체(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KR1020150045337A 2015-03-31 2015-03-31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KR10166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337A KR101668328B1 (ko) 2015-03-31 2015-03-31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337A KR101668328B1 (ko) 2015-03-31 2015-03-31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917A true KR20160116917A (ko) 2016-10-10
KR101668328B1 KR101668328B1 (ko) 2016-10-21

Family

ID=5714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337A KR101668328B1 (ko) 2015-03-31 2015-03-31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358B1 (ko) 2020-06-22 2021-10-19 전병화 잠금수단이 구비된 컵 핸들형 도어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052A (ja) * 1994-04-20 1995-11-07 Miwa Lock Co Ltd ドア錠
JPH084370A (ja) * 1994-06-17 1996-01-09 Kitajima Diecast Kogyosho:Kk 鍵付きハンドル
KR20000018224U (ko) * 1999-03-11 2000-10-16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386657Y1 (ko) 2005-03-17 2005-06-17 김재식 컵핸들용 출입문 개폐장치
KR100832354B1 (ko) 2007-04-16 2008-05-26 주식회사 봉영 키 뭉치가 내설된 컵 핸들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052A (ja) * 1994-04-20 1995-11-07 Miwa Lock Co Ltd ドア錠
JPH084370A (ja) * 1994-06-17 1996-01-09 Kitajima Diecast Kogyosho:Kk 鍵付きハンドル
KR20000018224U (ko) * 1999-03-11 2000-10-16 김대영 현관용 도어록의 잠금해지장치
KR200386657Y1 (ko) 2005-03-17 2005-06-17 김재식 컵핸들용 출입문 개폐장치
KR100832354B1 (ko) 2007-04-16 2008-05-26 주식회사 봉영 키 뭉치가 내설된 컵 핸들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328B1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6643C (en) Pick resistant sash lock
WO2010095831A2 (ko) 도어락
KR20140035041A (ko) 룸 사용 알림과 사용시 열림 방지 기능을 가진 도어록 장치
KR101668328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의 실외컵핸들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200447937Y1 (ko) 강제해정 방지수단이 마련된 내측 손잡이
US20190323261A1 (en) Improved door lock
KR101583997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KR101849097B1 (ko) 미닫이 창호용 안전 크리센트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100426019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0706762B1 (ko) 멀티볼트를 갖는 모티스 락
KR101912128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갖춘 출입문 구조
KR100709147B1 (ko) 미서기 잠금장치의 보조 손잡이
KR10091039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KR102064641B1 (ko) 환기 및 방범 기능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
KR101035949B1 (ko) 미닫이창문의 개폐제어용 고정장치
JP2001349155A (ja) 建具用手摺り
KR100473617B1 (ko) 자동문 로킹장치
KR10231435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컵 핸들형 도어록
TW202202717A (zh) 防盜鐵窗之鎖扣結構
KR101011977B1 (ko) 미닫이문 고정장치의 레버작동용 작동줄 안내장치
KR20040061660A (ko) 도어락의 이중잠금장치
KR19990037075U (ko) 침입자출입방지용출입문잠금장치
JPS623387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