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490A -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490A
KR20160116490A KR1020150044273A KR20150044273A KR20160116490A KR 20160116490 A KR20160116490 A KR 20160116490A KR 1020150044273 A KR1020150044273 A KR 1020150044273A KR 20150044273 A KR20150044273 A KR 20150044273A KR 20160116490 A KR20160116490 A KR 20160116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funnel
space
water
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230B1 (ko
Inventor
유영준
정두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4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2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4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in locomotives; in road vehicles; in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미에 평행한 펀넬장치를 설치하게 되어 화물적재공간을 확보하여 선적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메인배기관에 연결되는 펀넬 배기관과. 상기 펀넬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주입하는 배기가스 주입장치와,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저장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와, 상기 공간부에 외부공기배관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공간부 내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배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STERN FUNNEL APPARATUS FOR BAY ADD ENSURING OF CONTAINER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미에 평행한 펀넬장치를 설치하게 되어 화물적재공간을 확보하여 선적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 자동차, 컨테이너, 석유 등의 화물을 운반하는 경우, 수송비용, 수송시간 등의 운송 효율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한다.
선박이 이동하기 위해선 추진장치가 필요한데, 프로펠러가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며, 상기 프로펠러와 샤프트로 연결된 디젤 엔진이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시킨다.
그런데, 상기 디젤 엔진의 작동 시에는 배기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선박으로 화물을 운송할 경우, 통상적으로 대양을 가로지르게 되므로 소요되는 시간이 수개월 이상이다.
따라서, 선박의 승선자들은 수개월간 선박 내에서 숙식을 해결하여야 한다. 숙식을 해결하기 위해선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가 필요하고, 상기 발전기의 작동 시에는 배기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의 선미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선미부의 하부에는 엔진룸(10)이 위치하고 있고, 엔진룸(10)의 상부에는 어퍼 데크(11)가 위치하고 있다. 선박의 승선자들이 거주하는 거주구(12)는 어퍼 데크(11) 위에 위치하고 있다.
거주구(12)는 최상부에 위치하며 선박의 진행 방향이 조종되는 휠 하우스(13)를 포함해서 총 6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후미에 위치하는 화물창(15)의 선미측 격벽이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선미쪽으로 연장되게 위치한다.
휠 하우스(13)의 상부에는 외부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레이더 마스트(14)가 위치하고 있는데, 레이더 마스트(14)는 접힘이 가능하다. 이는 선박이 교량 등을 통과할 때 선박의 높이를 낮추기 위함이다.
그리고 거주구(12)의 선미쪽 측면에는 엔진룸 케이싱(16)이 위치하는데 엔진룸 케이싱(16)의 내부에는 보일러 및 배기장치 등 여러 가지 장비가 위치할 수 있다.
엔진룸 케이싱(16)의 상부에는 펀넬 케이싱(20)이 위치하고 있고 펀넬 케이싱(20)의 상부에는 선박의 엔진룸(10) 내부에 위치하는 전력 공급 발전기 및 디젤 엔진(또는 스팀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펀넬(funnel,21)이 위치한다. 펀넬(21)은 수직하게 위치하지 아니하고 선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펀넬(21)이 선미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것은 첫째로, 배기가스가 최대한 거주구(12) 및 휠 하우스(13)에 도달하지 아니하게 하여 승선자들의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고 조타수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둘째로, 선박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어 선박이 교량 등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종래의 펀넬은 선박의 선체 상부 중간 또는 중간에서 선미 측에 약간 치우친 쪽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 경우 펀넬이 배기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선체 상부로 높게 설치되어짐에 따라 펀넬이 설치된 공간은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없게 되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4818호(2009.06.01.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7153호(2014.02.11.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펀넬을 선미 외측으로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 종래에서처럼 선체 상부에 펀넬이 설치되지 않게 되어 컨테이너 적재 공간을 늘려 선적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미 외측으로 펀넬장치를 설치하고 해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배출된 배기가스의 선체 내 유입 방지는 물론 해수가 유입되어도 배기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해가스를 배출시키는 펀넬장치에 있어서,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메인배기관에 연결되는 펀넬 배기관과. 상기 펀넬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주입하는 배기가스 주입장치와,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저장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와, 상기 공간부에 외부공기배관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공간부 내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배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는 펀넬 배기관과 공간부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공간부로 불어넣게 되며, 공기나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는 물의 유입 및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와 공간부 사이에는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물의 유입을 컨트롤러에서 제어하여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수밀개폐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선미 수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되 유입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는 배출구로 유입되는 물이 외부공기배관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컨트롤러에서 제어되어 개폐되는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에는 물의 유입 및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선미 외측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펀넬장치를 설치하며 컨테이너선의 화물적재공간을 확보하여 선적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를 가지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에 따르면, 종래에서처럼 선체 상부에 펀넬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선미 외측의 수면에 근접하게 수평방향으로 펀넬장치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선체 상에 컨테이너선의 화물적재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선적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펀넬장치를 선미 외측으로 설치함에 따라 배기가스가 선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선미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펀넬장치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펀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선미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펀넬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펀넬장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펀넬장치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선박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펀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선미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펀넬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펀넬장치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미 펀넬장치는, 펀넬 배기관(200)과, 배기가스 주입장치(300)와, 공간부(400)와, 배출구(500)와,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펀넬 배기관(200)은, 엔진(11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엔진(110)에 연결되는 메인배기관(120)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펀넬 배기관(200)은 선미(100) 외측으로 해수면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의 펀넬 배기관(200)은 메인배기관(120)에 연결되면서 배기가스를 유입시켜 배출구(50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선미(100) 외측에 설치되어 펀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만큼 선체 상에 컨테이너(800)의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300)는, 상기 펀넬 배기관(20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펀넬 배기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주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300)는 펀넬 배기관(200)에 설치되면서 하기에 설명될 공간부(400)와 펀넬 배기관(200) 사이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300)는 펀넬 배기관(20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공간부(400)로 불어넣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300)는 공기나 물이 펀넬 배기관(200) 쪽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공간부(400)는 배기가스 주입장치(300)와 연결되어 펀넬 배기관(200)을 통해 배기가스 주입장치(300)로 주입되는 배기가스를 모아 놓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공간부(400) 내에는 배출구(500)를 통해 공간부(400)로 흘러드는 물의 유입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S)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S)는 컨트롤러(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센서(S)에서 감지된 신호를 컨트롤러(700)에서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400)의 측부에는 배출구(500)로 유입되는 물이 외부공기배관(610)을 통해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로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은 압력센서(S)에서 배출구(500)를 통해 공간부(400) 내로 유입되는 물의 양 및 압력을 감지하여 수량 및 압력이 높으면 컨트롤러(700)로 감지신호를 보내 컨트롤러(700)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을 폐쇄하여 외부공기배관(610)으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구(500)는 공간부(400)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구(500)는 선미(100) 외측에 설치되면서 수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500)는 물이 유입되어도 자연적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즉, 상기 배출구(500)가 수면과 평행을 이루지 않고 아래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내부로 파도에 의해 물이 유입되어질 때 유입된 물이 배출구(500)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구(500)에는 물의 유입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S)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500)와 공간부(400) 사이에는 압력센서(S)에서 감지된 물의 유입 및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수밀개폐문(510)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수밀개폐문(510)은 배출구(500)로 유입되는 물의 량과 압력이 높게 되면 압력센서(S)에서 배출구(500)로 유입되는 물의 량과 압력을 감지하여 컨트롤러(700))에서 압력센서(S)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수밀개폐문(510)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는 공간부(400)와 외부공기배관(610)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는 공간부(400)에 연결되면서 컨트롤러(700)의 제어에 따라 공간부(400) 내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배출구(50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400)에 공기를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700)의 제어에 따라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이 열리고 상기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가 작동되면서 외부공기배관(610)을 통해 외부 공기가 공간부(400)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는 배출구(500)에 물이 차 있는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공간부(400)에 배기가스가 압축되고 있는 상태가 지속될 수 있어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를 작동시켜 공간부(400)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게 된다.
즉, 일정 시간 이상 수밀개폐문(510)이 안 열릴 경우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를 작동시켜 외부 공기를 빠르게 공간부(400)로 보내 압력을 높여 공간부(400) 내 배기가스를 배출구(500)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엔진(11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펀넬장치를 선미(100) 외측으로 수면과 평행되게 설치하고 펀넬 배기관(200) 쪽으로 공기 및 물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배기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선체 상에 컨테이너 적재공간을 최대화하여 선적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배기가스의 선체 내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를 가지는 선박에 적용된다.
즉, 상기 선미(100)의 하부 외측으로 펀넬장치를 설치하되 메인배기관(120)에 펀넬 배기관(200)을 연결하고 펀넬 배기관(200)에 배기가스 주입장치(300)로 주입되는 배기가스를 모으게 되는 공간부(400)가 설치되며 상기 공간부(400)에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배출구(500)를 설치하면서 공간부(400)와 배출구(500)에 각각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과 수밀개폐문(510)을 설치하여 압력센서(S)의 감지에 따라 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에서 공기가 공간부(400)로 주입되면서 배기가스를 선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고 선체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되지 않아 승무원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는 모든 선박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배출구(500) 쪽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밀개폐문(510)은 열려 있고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은 닫혀 있게 되어 엔진(11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메인배기관(120)을 통해 펀넬 배기관(200)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300) 및 공간부(400)를 통해 배출구(500)로 배출되어 선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구(500)로 물이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배출구(500) 내에 압력이 발생되지 않아 배기가스 주입장치(300)와 공간부(400)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면서 막힘 없이 원활하게 배출구(500)를 통해 배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500)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질 때에는 상기 배출구(500)에 설치된 압력센서(S)가 물의 유입을 감지하여 컨트롤러(700)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수밀개폐문(510)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밀개폐문(510)이 폐쇄되어도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주입장치(300)를 통해 공간부(400)로 계속 유입되면서 공간부(400)에 배기가스가 압축되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 수밀개폐문(510)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500)가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배출구(500)로 유입된 물이 자연적으로 다시 빠져 나가면서 압력센서(S)에서 물이 빠졌음을 감지하게 되면 컨트롤러(700)의 제어에 따라 수밀개폐문(510)이 열려 공간부(400)에 압축된 배기가스가 배출구(500)를 통해 정상적으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500) 내부에 물이 잠겨있을 때에는 배출구(500)에 설치된 압력센서(S)가 물의 유입을 감지하고 컨트롤러(700)의 제어에 따라 수밀개폐문(510)은 폐쇄되며, 상기 수밀개폐문(510)이 폐쇄된 상태에서 펀넬 배기관(200)으로 나오는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주입장치(300)를 통해 공간부(400)로 계속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났음에도 배출구(500)에 물이 가득 차있다면 공간부(400)의 압력을 높여 배기가스를 밀어내고자 한다.
또한, 상기 수밀개폐문(510)은 폐쇄된 상태에서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은 개방하여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의 작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공간부(400) 내로 강하게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의 작동으로 외부공기가 공간부(400) 내로 유입되어짐에 따라 공간부(400) 내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부(400) 내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공간부(400) 내에 설치된 압력센서(S)가 공간부(400) 내의 압력을 감지하고 배출구(500)에 설치된 압력센서(S)가 배출구(500) 내의 압력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700)에서 각각의 압력센서(S)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면서 공간부(400)와 배출구(500) 내의 압력을 서로 비교하여 공간부(400) 내의 압력이 배출구(500) 내의 압력보다 높게 되면 수밀개폐문(510)을 개방하게 된다.
이에 상기 수밀개폐문(510)의 개방에 따라 공간부(400) 내의 압력에 의해 배기가스를 압력으로 배출구(500) 쪽으로 밀어내서 선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 배출구(500)를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되면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을 닫아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공간부(400) 내의 압력과 배출구(500) 내의 압력 차이가 없어지면 상기 배출구(500)로 다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배출구(500)에 설치된 압력센서(S)가 물의 유입을 감지하여 다시 수밀개폐문(510)을 닫고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410)을 개방하여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600)의 작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공간부(400) 내로 유입시키며 상기 공간부(400) 내의 압력이 배출구(500) 내의 압력보다 높게 되면 수밀개폐문(510)을 개방하여 높은 압력으로 배기가스를 배출구(500)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500)로 다시 물이 유입되는 상황이 아니라면 상기 수밀개폐문(510)을 닫지 않고 개방한 상태에서 평소처럼 운용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선미
110 : 엔진
120 : 메인배기관
200 : 펀넬 배기관
300 : 배기가스 주입장치
400 : 공간부
410 :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
500 : 배출구
510 : 수밀개폐문
600 :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
610 : 외부공기배관
700 : 컨트롤러
800 : 컨테이너
S : 압력센서

Claims (8)

  1.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펀넬장치에 있어서,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메인배기관에 연결되는 펀넬 배기관;
    상기 펀넬 배기관에 연결되어 펀넬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주입하는 배기가스 주입장치;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저장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 및
    상기 공간부에 외부공기배관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공간부 내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배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흡입 및 송풍장치;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주입장치는 펀넬 배기관과 공간부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가스를 공간부로 주입시키고 공기나 물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물의 유입 및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공간부 사이에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물의 유입을 컨트롤러에서 제어하여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밀개폐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선미 수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되 유입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물의 유입 및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에는 배출구로 유입되는 물이 외부공기배관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컨트롤러에서 제어되어 개폐되는 역류방지용 수밀개폐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미 펀넬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를 가지는 선박.
KR1020150044273A 2015-03-30 2015-03-30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101686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273A KR101686230B1 (ko) 2015-03-30 2015-03-30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273A KR101686230B1 (ko) 2015-03-30 2015-03-30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490A true KR20160116490A (ko) 2016-10-10
KR101686230B1 KR101686230B1 (ko) 2016-12-13

Family

ID=5714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273A KR101686230B1 (ko) 2015-03-30 2015-03-30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407B1 (ko) * 2018-06-21 2020-04-06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443A (ja) * 1999-12-08 2001-06-26 Outboard Marine Corp 船用エンジンの空冷式排気システム
KR100822385B1 (ko) * 2007-10-04 2008-04-16 (주)해안기계산업 소형고속정의 수평배기관 적외선 감쇠장치
KR20090054818A (ko) 2007-11-27 2009-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연소가스 배기 펀넬구조
KR20140017153A (ko) 2012-07-31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장치
KR20140145290A (ko) * 2013-06-13 2014-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443A (ja) * 1999-12-08 2001-06-26 Outboard Marine Corp 船用エンジンの空冷式排気システム
KR100822385B1 (ko) * 2007-10-04 2008-04-16 (주)해안기계산업 소형고속정의 수평배기관 적외선 감쇠장치
KR20090054818A (ko) 2007-11-27 2009-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연소가스 배기 펀넬구조
KR20140017153A (ko) 2012-07-31 2014-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장치
KR20140145290A (ko) * 2013-06-13 2014-12-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230B1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6607B (zh) 内设利用管道的自动压载系统的船舶
KR101498586B1 (ko) 환기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490537B1 (ko) 선박의 안티 힐링 제어장치
CN209382205U (zh) 一种敞口集装箱船
KR101686230B1 (ko)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090054818A (ko) 선박의 연소가스 배기 펀넬구조
KR20100084435A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CN109937957A (zh) 一种快速陆海活鱼驳运船
KR101710920B1 (ko) 이중 격벽 내부의 배기탱크를 이용한 펀넬 장치, 방법 및 이를 가지는 선박
JP2011178250A (ja) イナートガス貯蔵・供給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KR100802584B1 (ko)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KR101850000B1 (ko)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KR20090089069A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KR20170011813A (ko) 풍향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선미 펀넬 장치.
WO2017078445A9 (ko) 선박의 평형수 자동관리장치와 그 작동방법
KR200482000Y1 (ko)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102498287B1 (ko)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210110911A (ko) 벤트 마스트
KR102021324B1 (ko)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선박 엔진룸용 환기시스템
KR101802203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오일 배출 기능을 구비한 시일 포트 시스템
KR20170011814A (ko) 링브로워를 이용한 선미 수중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102498284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WO2001014205A1 (en) Ventilation systems for water-borne vessels
KR102455873B1 (ko) 보조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