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404A -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404A
KR20160116404A KR1020150043978A KR20150043978A KR20160116404A KR 20160116404 A KR20160116404 A KR 20160116404A KR 1020150043978 A KR1020150043978 A KR 1020150043978A KR 20150043978 A KR20150043978 A KR 20150043978A KR 20160116404 A KR20160116404 A KR 20160116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lay panel
installation space
vehic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인
Original Assignee
김차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인 filed Critical 김차인
Priority to KR102015004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404A/ko
Publication of KR2016011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21Y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안전표시장치에 비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고 강풍에 영향을 받더라도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그리고 기존 안전표시장치에 비해 타 차량 운전자에게 해당 문제 차량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다양하고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 차량운전자가 해당 신호를 육안으로 명확히 인지하여 그에 맞게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또한 기존 안전표시장치에 비해 먼 거리에서도 위험신호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타 차량 운전자가 최대한 빨리 이를 인지하여 그에 맞는 안전 운전이 가능하기 위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표시장치{Safety display device of the road}
본 발명은 차량이 도로 상에서 사고 등으로 인해 도로 상에 정차한 상태에서 타 차량운전자에게 해당 차량의 사고 상태를 알리기 위한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기존 안전표시장치에 비해 타 차량 운전자가 해당 사고차량의 존재를 먼 거리에서도 명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전표시장치의 안정적인 설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행 중 차량 사고나 차량 고장이 발생하여 해당 차량을 갓길들에 세워두게 되고, 이러한 비상상황 발생 상태를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전표시장치가 의무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기존의 안전표시장치는 일명 '삼각대'라 불리는 것으로 삼각형 모양의 판재 일측면을 따라 반사패드가 부착된 구조이고, 후측면에 형성된 지지판을 이용해 해당 차량 주변 지면 상에 안착시키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운행 중인 타 차량의 운전자는 지면에 놓여져 있는 안전표시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전방에 문제 차량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게되어 안전운전을 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안전표시장치는 단순히 판재 형태로 후측 하단에 형성된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 상에 세워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강한 바람 등이 불 경우 쉽게 넘어져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또한 단순히 일측면에 형성된 반사패드만을 이용해 안전표시장치의 위치를 알리기 때문에, 그나마 야간에는 타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반사패드에 반사되어 육안 확인이 쉬울수는 있지만 주간에는 반사패드가 제역할을 하기 힘들어, 결국 타 차량 운전자에게 사고나 고장 차량 존재에 대한 신호전달이 명확하게 전달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과 달리,
기존 안전표시장치에 비해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고 강풍에 영향을 받더라도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그리고 기존 안전표시장치에 비해 타 차량 운전자에게 해당 문제 차량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다양하고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 차량운전자가 해당 신호를 육안으로 명확히 인지하여 그에 맞게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또한 기존 안전표시장치에 비해 먼 거리에서도 위험신호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타 차량 운전자가 최대한 빨리 이를 인지하여 그에 맞는 안전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설치공간 외부로 인출 가능한 표시부재;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발광램프;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표시부재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발광램프;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이고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된 제1, 2슬릿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부재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슬릿홈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전측단부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서 힌지축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위쪽으로 회동 시 전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상기 제1슬릿홈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전측단부에서 후측단부로 갈수록 위쪽을 향해 들어 올려져 전체적으로 사선형태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제1표시판;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2슬릿홈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전측단부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서 힌지축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여 아래쪽으로 회동 시 전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상기 제2슬릿홈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전측단부에서 후측단부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사선형태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제2표시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발광램프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발광램프는 상기 제1표시판과 제2표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표시판과 제2표시판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2표시판과 동일하게 기울어진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후측단부 부근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발광할 수 있으며, 간격을 두고 배열되되 특정 문자를 따라 배열되어 있고 발광 시 해당 문자를 표시하게 되는 제3발광램프; 상기 본체 후측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시간 간격을 섬광을 발산하는 섬광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바아 형태이고 상단부가 상기 본체 중간지점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형태인 지주바아; 상단부가 상기 지지바아 하단부 부근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바아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지지편; 상기 지주바아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흡착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고 또는 고장 차량 주변에 위치되되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제1발광램프와 표시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제2발광램프의 전기적 발광에 의해 해당 위험신호가 전달되므로 기존에 비해 타 차량의 운전자가 해당 위험신호를 먼 거리에서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표시판과 제2표시판이 본체와 회동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평소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본체 내부 설치공간에 수용된 상태가 되고 사용 시 회동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며, 지지부 또한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회동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그리고 제1표시판과 제2표시판이 본체 외부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제2발광램프와 제1발광램프가 발광할 경우 제1발광램프와 제2발광램프의 발광 경로가 마치 화살표를 형상화하기 때문에 보다 명확한 신호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3발광램프와 섬광램프가 더 구비되되, 제3발광램프는 발광 시 "위험" 등의 특정 안내 문자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더 명확한 신호전달이 가능하고 제4발광램프가 시간 간격을 두고 섬광을 발산함에 따라 주간에도 타 차량 운전자가 먼거리에서도 쉽게 위험신호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주바아가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와 연결되고 텔레스코픽구조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설치지점의 주변환경 등에 따라 안전표시장치의 설치 높이는 물론 본체 및 표시판의 설치 각도 조절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지편과 흡착판에 의해 지면이나 차량 표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 안정된 설치 및 설치상태 유지가 가능하다.
도1은 제1, 2표시판이 본체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 단면도
도3은 제1, 2표시판이 본체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4는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은 제1, 2표시판이 본체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정 단면도이며, 도3은 제1, 2표시판이 본체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4는 사용 전 상태, 즉 보관을 위해 크기가 최소화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 전원공급부(5), 제1발광램프(7), 표시부재(8), 제2발광램프(11), 지지부(14)를 포함한다.
본체(1)는 안전표시장치의 전체 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양단부가 막혀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바아 형태이다.
본체(1)는 원형 바아나 각형 바아 중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의 상부면에는 제1슬릿홈(3)이 본체(1)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 내부의 설치공간(2)은 제1슬릿홈(3)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본체(1)의 하부면에는 제2슬릿홈(4)이 본체(1)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 내부의 설치공간(2)은 제2슬릿홈(4)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의 내부 설치공간(2)의 전측 지점에는 힌지축(5)이 좌우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에는 전원공급부(5)가 연결된다.
전원공급부(5)는 후술할 제1발광램프(7)와 제2발광램프(11), 제3발광램프(12), 섬광램프(13)가 발광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전원케이블 형태이고 단부에는 차량용 시거잭(6)이 구비된 형태이다.
따라서 시거잭(6)을 차량의 시거잭소켓에 삽입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체에는 각 발광램프와 전원공급부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pcb기판(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별도 전원발생부와의 연결기능을 갖는 구조 외에 배터리 형태로 구현되어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도 적용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본체(1)에는 제1발광램프(7)가 설치된다.
제1발광램프(7)는 후술하는 제2발광램프(11)와 더불어 위험신호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LED램프 등 전기를 이용해 발광 되는 형태이고 전원공급부(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의 일측면에 본체(1)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일렬 배열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각 제1발광램프(7)는 전체가 동시에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형태이거나 일측방향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1발광램프(7)는 하나의 바아 형태로 제작되어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본체(1)에는 표시부재(8)가 설치된다.
표시부재(8)는 본체(1)와 제1발광램프(7) 및 후술하는 제2발광램프(11)와 더불어 화살표 표시 기능을 하기 위한 것으로, 제1표시판(9)과 제2표시판(10)으로 구성된다.
제1표시판(9)은 본체(1)의 제1슬릿홈(3)의 좌우 폭 이하의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본체(1) 내 설치공간(2)에 수용된 형태로 설치된다.
제1표시판(9)의 전측단부는 본체(1)의 힌지축(5)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힌지축(5)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1표시판(9)은 전체가 설치공간(2)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힌지축(5)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제1슬릿홈(3)을 통해 본체(1)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제1표시판(9)은 후측단부로 갈수록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인출된다.
제2표시판(10)은 제1표시판(9)과 동일한 형상과 모양 및 크기를 갖는 판재 형태이고, 본체(1) 내 설치공간(2)에 수용된 형태로 설치된다.
제2표시판(10)의 전측단부는 본체(1)의 힌지축(5)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힌지축(5)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2표시판(10)은 전체가 설치공간(2)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힌지축(5)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제2슬릿홈(4)을 통해 본체(1) 아래쪽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제2표시판(10)은 후측단부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인출됨에 따라 제1표시판(9)과 상하 대칭 형태가 된다.
이렇게 제1표시판(9)과 제2표시판(10)이 상호 대칭 형태로 사선방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본체(1)와 제1표시판(9), 제2표시판(10)은 전체적으로 화살표 형태가 된다.
제1표시판(9)과 제2표시판(10)에는 제2발광램프(11)가 설치된다.
제2발광램프(11)는 제1발광램프(7)와 더불어 제1표시판(9)과 제2표시판(10) 및 본체(1)의 화살표 형상을 강조함과 동시에 위험신호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발광램프(7)처럼 LED램프 등 전기를 이용해 발광 되는 형태이고 전원공급부(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표시판(9)과 제2표시판(10)의 일측면에 제1표시판(9) 및 제2표시판(10)의 각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일렬 배열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각 제2발광램프(11)는 전체가 동시에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형태이거나 일측방향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2발광램프(11)는 하나의 바아 형태로 제작되어 제1표시판(9) 및 제2표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체(1)에는 제3발광램프(12)가 더 설치된다.
제3발광램프(12)는 제1발광램프(7) 및 제2발광램프(11)와 별개의 위험신호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역시 LED램프 등 전기를 이용해 발광 되는 형태이고 전원공급부(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의 후측 단부 부근 외부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3발광램프(12)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되되 특정 문자를 따라 배치되어, 점등 시 특정 문자가 점등되는 형태가 된다.
즉 각 제3발광램프(12)가 "위험"이라는 문자를 따라 배열될 경우, 점등 시 "위험"이라는 글자가 발광되어 표시된다.
이와 함께 본체(1)에는 섬광램프(13)까 설치된다.
섬광램프(13)는 추가적인 위험신호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 야간은 물론 주간에도 위험신호를 먼 거리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섬광램프(13)는 전원공급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본체(1) 후측단부에 위치되며 플레쉬(flash)처럼 순간적으로 강한 불빛이 시간 간격을 두고 점등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섬광이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발생 됨에 따라, 먼 거리에서도 해당 섬광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섬광의 특성상 야간은 물론 주간에도 쉽게 육안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본체(1)에는 제1발광램프(7)와 제2발광램프(11), 제1표시판(9), 제2표시판(10)를 통해 화살표 형태의 점등이 이루어져 먼거리에서 해당 화살표를 확인할 수 있고, 더불어 제3발광램프(12)를 통해 특정 신호 문구를 표시할 수 있어 타 운전자의 육안확인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되며,
섬광램프(13)를 통해 신호전달효율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주간에도 원활한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에는 지지부(14)가 연결설치된다.
지지부(14)는 본체(1)를 지면이나 차량 상에 안적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바아(15), 지지편(16) 및 흡착판(17)을 포함한다.
지주바아(15)는 안전표시장치의 기둥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바아 형태이되 텔레스코픽(telescopic)구조로 이루어져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지주바아(15)는 상단부가 본체(1)의 중간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하단부는 지면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본체(1)는 지주바아(15)의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시소 형태로 회동이 가능하며 180도 각도로도 회동될 수 있다.
지주바아(15)의 하단부 부근에는 지지편(16)이 설치되는데, 지지편(16)은 지주바아(15)가 지면 등에 세워졌을 때 지주바아의 쓰러짐이나 기울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막대 형태이고 지주바아(15)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결되며, 상단부가 지주바아(15)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각 지지편(16)이 지주바아(15)와의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회동하면 사선 방향으로 위치되고 이 상태가 지주바아(15)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 상태에서 각 지지편(16)의 하단부가 지면 등에 안착되면 지주바아(15)를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지지편(16)이 회동 가능함에 따라, 평소에는 각 지지편(16)이 지주바아(15)와 수평을 이루도록 접혀진 상태가 되므로 공간소모율이 최소화된다.
지주바아(15)의 하단부에는 흡착판(17)이 연결된다.
흡착판(17)은 지주바아(15)가 안정적으로 지면 등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능과 안전표시장치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흡착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 중간지점이 지주바아(15)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흡착판(17)을 지면이나 차량(18) 표면에 부착시키면 흡착력에 의해 지주바아의 쓰러짐이나 기울어짐 현상이 방지되며 강풍이 불더라도 안전표시장치의 위치가 이동되는 등의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1표시판(9)과 제2표시판(10)을 회동시켜 제1슬릿홈(3) 및 제2슬릿홈(4)을 통해 설치공간 내부에 위치시키고, 각 지지편(16)을 회동시켜 지주바아(15)와 수평 상태로 위치시킨 뒤 지주바아(15)의 길이를 축소 시킨 후 회동시켜 본체(1)일측에 밀착시킨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안전표시장치는 본체의 면적 및 폭을 벗어나지 않는 크기로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보관 등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에 신호송신기를 구비시키고 차량사고 발생으로 인해 안전표시장치를 사용할 때 해당 신호송신기를 자동시키면 현재 본인의 사고 상태가 보험회사 등으로 전달되어 그에 따른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1 : 본체 2 : 설치공간
3 : 제1슬릿홈 4 : 제2슬릿홈
5 : 힌지축 19 : 전원공급부
6 : 시거잭 7 : 제1발광램프
8 : 표시부재 9 : 제1표시판
10 : 제2표시판 11 : 제2발광램프
12 : 제3발광램프 13 : 섬광램프
14 : 지지부 15 : 지주바아
16 : 지지편 17 : 흡착판
18 : 차량

Claims (2)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설치공간 외부로 인출 가능한 표시부재;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발광램프;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표시부재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발광램프;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이고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된 제1, 2슬릿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부재는,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슬릿홈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전측단부가 상기 설치공간 전측 내부에서 힌지축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위쪽으로 회동 시 전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상기 제1슬릿홈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전측단부에서 후측단부로 갈수록 위쪽을 향해 들어 올려져 전체적으로 사선형태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제1표시판;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2슬릿홈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되고 전측단부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서 힌지축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여 아래쪽으로 회동 시 전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상기 제2슬릿홈 외부로 노출되되 상기 전측단부에서 후측단부로 갈수록 아래쪽을 향해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사선형태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제2표시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발광램프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이있고,
    상기 제2발광램프는 상기 제1표시판과 제2표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표시판과 제2표시판이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2표시판과 동일하게 기울어진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KR1020150043978A 2015-03-30 2015-03-3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KR20160116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78A KR20160116404A (ko) 2015-03-30 2015-03-3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78A KR20160116404A (ko) 2015-03-30 2015-03-3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404A true KR20160116404A (ko) 2016-10-10

Family

ID=5714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978A KR20160116404A (ko) 2015-03-30 2015-03-30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4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3191A1 (en) * 2019-06-17 2022-11-17 Ki Sup Lee Portabl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3191A1 (en) * 2019-06-17 2022-11-17 Ki Sup Lee Portabl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11865972B2 (en) * 2019-06-17 2024-01-09 Ki Sup Lee Portabl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89906B (pt) Triangulo de aviso para veiculos automoveis
KR20150110986A (ko) 차량 안전 삼각대
KR101348694B1 (ko) 안전 삼각대
KR20120000560U (ko) 차량 부착형 경고 표시판
KR101251037B1 (ko) 차량용 실내 안전 삼각대
KR20160116404A (ko) 차량용 안전표시장치
KR101656441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와 그를 포함한 자동차용 자동 안전 삼각대 세트
KR101596731B1 (ko)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102015079B1 (ko) 간이형 램프
KR20170085669A (ko) 다양한 설치구조와 표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위험 알림장치
KR101418559B1 (ko)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KR200470482Y1 (ko) 농기계용 경광등
KR20150077879A (ko) 견인차량의 경광등 회동 구조
KR101646758B1 (ko) 차량 부착용 사고 표시 장치
KR100647534B1 (ko) 자동차용 지능형 안전 표지판
KR101531285B1 (ko) 지면 설치 가능한 램프 점등용 안전 표시구
KR101653949B1 (ko) 고장차량 표시용 도로 비상상태 발광 안전교통표지판
KR20180031563A (ko) 차량용 자동 펼침 긴급 알림 장치와 그 방법
KR100907565B1 (ko) 광섬유 발광형 도로표지판의 광섬유 컷팅장치
CN106347237A (zh) 用于车辆的自行车运输架装置
JP3159243U (ja) バックミラー警告指示装置
JP2007303114A (ja) 車止め装置
CN203849952U (zh) 全天候自动发光警示牌
KR200352298Y1 (ko) 이동식 발광 안내표지판
CN219032992U (zh) 一种夜间闪动提示的警示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