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650A - 웨어러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650A
KR20160115650A KR1020150118207A KR20150118207A KR20160115650A KR 20160115650 A KR20160115650 A KR 20160115650A KR 1020150118207 A KR1020150118207 A KR 1020150118207A KR 20150118207 A KR20150118207 A KR 20150118207A KR 20160115650 A KR20160115650 A KR 2016011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ctronic device
wearable electronic
various embodimen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호
조성욱
이승민
이재혁
조성제
조재걸
정선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279B1/ko
Priority to PCT/KR2016/003056 priority patent/WO2016153313A1/en
Priority to US15/081,084 priority patent/US10874335B2/en
Priority to EP16769131.0A priority patent/EP3273849A4/en
Priority to CN201680018118.4A priority patent/CN107405113B/zh
Publication of KR2016011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non-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8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61B5/1508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short range, e.g. between console and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77Arrays of piercing elements for simultaneous piercing
    • A61B5/150984Microneedles or micro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61B2560/045Modular apparatus with a separable interface unit, e.g. for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3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linear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회로부; 및 신체에 접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부에 탈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 장치 {WEAR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련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혈액 속에 포도당(glucose) 등 다양한 바이오마커(biomarker)가 존재한다. 바이오마커는 신체에 나타내는 증상이나 현상을 측정할 수 있는 체내 물질을 의미한다.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 중에 탄수화물은 소화작용을 거쳐 포도당 등으로 분해된다. 이러한 포도당은 신체의 기본적인 에너지 공급원으로, 뇌, 근육 및 지방 등과 같이 여러 조직에서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신체의 혈액을 통해 여러 조직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혈액 속의 포도당을 혈당이라고 하며, 식후에 혈당의 수치가 높아지고, 공복에 혈당의 수치가 낮아진다. 이러한 혈당의 수치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글루카콘 등 호르몬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혈당의 수치가 높아지면, 인슐린은 간에서 포도당의 새로운 생산을 억제하고, 근육 또는 지방 조직에서 포도당의 사용을 증가시켜 혈당의 수치를 낮춘다. 반대로, 혈당의 수치가 낮아지면, 글루카곤 분비를 증가시켜 간에서 새로운 포도당의 생산을 증가시켜 혈당의 수치를 높인다.
이러한 혈당의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혈당의 수치가 높아지는 것을 대사질환의 일종인 당뇨병이라 정의한다. 당뇨병 환자는 높은 혈당 수치에 의해 소변의 양이 늘어나는 다뇨증, 물을 많이 마시는 다음증, 감염에 쉽게 노출되고, 미세 혈관 합병증에 의한 시력 이상, 신장기능이상, 말초신경염, 족부 궤양, 자율신경계의 기능이 저하되어 소화기계, 비뇨생식계, 심혈관계 관련 증상을 겪게 된다. 이러한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슐린 분비 촉진제 등의 경구용 약물이나,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접 신체의 내부로 인슐린을 투입한다. 경구용 약물이나 인슐린의 양은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에 따라 조절된다. 그리고,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당뇨병 환자는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혈당 수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이러한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편리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혈당 측정기의 소형, 경량화, 휴대에 적합한 디자인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를 위한 혈당 측정기는 채혈침(lancet)을 이용하여 손가락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스트립 센서와 리더기로 이용하여 채취된 혈액의 혈당을 측정한다. 이러한 자가혈당 측정이 요구되는 당뇨병 환자들은 하루 수회 이상 채혈침의 통증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채혈침의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동안 신체의 피부에 부착하면서 수십 마이크로(μm) 직경의 니들(needle)을 체내에 삽입하여 체액을 추출하는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혈당 측정 패치가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혈당 측정 패치에는 채취된 혈액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부와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혈당 측정 패치는 마이크로 니들의 내구성의 한계에 의해 사용 수명이 경과한 마이크로 니들뿐만 아니라 회로부와 배터리 전체까지 폐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이크로 니들 등 교체가 필요한 부분과 회로부와 배터리 등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부분이 서로 탈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혈당 측정뿐만 아니라, 젖산, 체온, 혈압 등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센서가 교체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 가능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회로부;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신체에 접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부에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센서부가 바디부에 탈착됨에 따라, 사용 수명이 지난 센서부를 새로운 센서부로 교체하면서 바디부에 장착되는 회로부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센서부가 바디부에 탈착됨에 따라,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에서 체온 등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회로부, 센서부 및 배터리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회로부, 센서부 및 배터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회로부, 센서부 및 배터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회로부, 센서부 및 배터리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3 바디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3 바디부에 수용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팔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귀 밑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가이드부에 센서부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가 접속 패드에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이 접속 홈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 중 일부가 접속 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이 접속 패드에 접속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 중 일부가 접속 패드에 접속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과 접속 패드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작동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바디부(101) 및 센서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1)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101)의 후면에 구비되는 패드(10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드(104)는 점착제를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101)가 상기 신체에 착용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01)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1)는 회로부(미도시)가 장착되는 제1 바디부(111),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는 제2 바디부(112) 및 상기 센서부(105)가 장착되는 제3 바디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부(113)에는 상기 제3 바디부(113)의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부(103)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바디부(113)에는 상기 커버부(103)를 작동시키는 버튼(13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바디부(113)는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 바디부(113)에 장착된 센서부(105)가 상기 바디부(10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5)가 상기 바디부(10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105)의 외측으로 상기 패드(104)가 둘러싸게 되어 상기 센서부(105)가 안정적으로 신체의 피부에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105)는 상기 바디부(101)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센서부(105)는 신체에 접하여 바이오마커를 검출하거나 바이오마커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기 신호를 생체 신호라 통칭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105)는 신체의 피부로 침습하는 마이크로 니들(151, micro needle)을 구비하여 체액을 채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이 상기 피부로 침습한 경우, 상기 체액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의 내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105)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은 전도성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체액과 화학 반응을 진행하는 효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폴리머 재질의 마이크로 니들(151)는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효소와 상기 바이오마커가 서로 화학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은 상기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 즉, 전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마커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액은 글로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5)는 채취된 체액 중 글로코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105)는 글로코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체액 중 젖산 등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검출하거나 상기 바이오마커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 즉,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05)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생체 신호값 별도의 전자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별도의 전자 장치(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전자 장치(10)는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송신 받은 생체 신호값을 저장하거나 상기 생체 신호값을 이용하여 별도의 알고리즘 또는 계산을 거쳐 해석한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내 포도당. 즉, 혈당이라는 바이오마커에 의해 센서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값은 혈당 수치라는 생체 신호값에 해당하고 상기 혈당 수치를 표준 수치 등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지, 낮은 지를 나타내는 고혈당, 저혈당이 생체 신호를 해석한 생체 정보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별도의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바이오마커의 농도, 예를 들면, 사용자의 혈당의 농도 또는 상대적인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로부터 송신받은 바이오마커에 의한 생체 신호값들을 그래프 또는 통계로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시간 또는 날짜별로 바이오마커의 농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센서부(105)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센서부(105)를 고정하는 커버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3 바디부(113)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105)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5)는 상기 제3 바디부(113)의 전면을 향하여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센서부의 후면의 일부분,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이 배치된 부분이 상기 제3 바디부(113)의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 및 상기 센서부(105)의 후면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105)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부(11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상기 제3 바디부(113)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이 상기 제3 바디부(113)의 후면에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3a)은 상기 제3 바디부(113)에서 상기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개구의 일부분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3a)의 후면은 상기 패드(104)의 후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안착부(113a)의 후면은 상기 패드(104)의 후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진 않는다.
상기 센서부(105)는 상기 제3 바디부(113)의 전면을 통해 상기 안착부(113a)에 안착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3 바디부(113)의 후면에 돌출되어 신체의 피부에 침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제3 바디부(113)의 전면을 덮으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센서부(10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3)의 전면은 상기 제1 바디부(111) 및 상기 제2 바디부(112)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제3 바디부(113)와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132)를 구비하여 상기 제3 바디부(113)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힌지부(1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부의 전면을 덮거나 상기 수용부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3)가 회동하여 상기 제3 바디부(113)의 전면을 개방하면, 상기 센서부(105)는 상기 바디부(113)의 전면을 통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수용부에서 분리되어 다른 센서부(105)로 교체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커버부(103)가 회동하여 상기 수용부의 전면을 덮게 되면,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센서부(105)의 전면을 누르면서 상기 센서부(105)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커버부(103)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131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3)는 상기 걸림부(131a)가 삽입되는 걸림홈(133b)이 형성된 버튼(13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31a)는 상기 걸림부(131a)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수용부의 전면을 덮은 상태로 상기 제3 바디부(113)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바디부(113)는 상기 버튼(133a)과 상기 제3 바디부(113)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4), 예를 들면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133a)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부(131a)가 상기 걸림홈(133b)에서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커버부(103)가 상기 제3 바디부(113)와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수용부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센서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135)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135)들은 상기 센서부(105)의 접속 패드(153)들에 각각 접속하여 상기 센서부(105)로부터 측정된 바이오마커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회로부로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접속 단자(135)들과 상기 회로부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적인 신호가 흐르는 제1 회로 기판(138)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105)는 상기 접속 패드(153)들, 상기 접속 단자(135)들, 상기 제1 회로 기판(138)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135)들은 상기 회로부로부터 상기 센서부(105)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단자(135)들은 상기 접속 단자(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 단자(135)는 포그핀(pogo pin)일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135)들은 상기 커버부(103)가 상기 수용부를 덮는 상태로 상기 제3 커버부(113)에 결합되면, 상기 센서부(105)의 접속 패드(153)에 접하면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 단자(135)의 길이는 줄어들게 되면서 상기 접속 패드(153)와 접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센서부(105)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부(103)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기 센서부(105)가 상기 커버부(103)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사용 수명이 다한 센서부(105)를 상기 바디부에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5)는 상기 바디부에서 교체됨에 따라, 상기 바디부에 구비된 회로부와 배터리는 교체된 센서부(105)와 함께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회로부, 센서부 및 배터리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회로부, 센서부 및 배터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회로부, 센서부 및 배터리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회로부, 센서부 및 배터리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기 회로부(106)와 연결되는 제2 회로 기판(139)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회로부(106)는 메인 칩셋, 통신 모듈, 전력공급부, 저장부 등 각종 전자 부품(161)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칩셋은 상기 센서부(105)로부터 측정된 바이오마커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05)는 상기 통신 모듈, 전력 공급부 또는 저장부 등 각종 전자 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메인 칩셋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바이오마커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 즉, 생체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생체 신호에 의한 수치. 즉, 생체 신호값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메인 칩셋의 제어를 받아 상기 센서부(105)에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메인 칩셋의 제어를 받아 상기 생체 신호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106)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 기판(139)는 상기 회로부(106)와 상기 배터리(107)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107)의 전력을 상기 회로부(106)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로 기판(139)은 상기 제1 회로 기판(138)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회로 기판(138)과 연결된 접속 단자들을 통해 상기 센서부(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작 방법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5)가 상기 회로부(106)와 상기 배터리(107)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회로부(106), 상기 센서부(105), 상기 배터리(107)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 회로 기판(139)를 준비할 수 있다.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작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부(111)는 상기 회로부(106)를 감싸고, 상기 제2 바디부(112)는 상기 배터리(107)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는 상기 회로부(106) 및 상기 제2 바디부(112) 각각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부(106)에 장착된 스위치(163)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63) 상에 배치된 제1 바디부(111)를 가압하는 경우, 고무 재질의 제1 바디부(111)를 통해 사용자의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온/오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제1 회로 기판(138)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커버부(103)는 상기 제1 회로 기판(138)를 안착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함께 상기 제1 회로 기판(138)을 감싸는 제2 커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3 바디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바디부(113)는 상기 커버부(103)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부(111)는 상기 제2 바디부(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부(112)는 상기 제1 바디부(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바디부(113)는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 각각을 감싸게 되어 상기 제1 바디부(111)와 상기 제2 바디부(112) 각각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바디부(111)는 상기 제3 바디부(113)에 의해 상기 제2 바디부(112)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3 바디부에 수용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바디부(113)는 상기 센서부(105)를 수용하는 수용부(11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3b)는 상기 제3 바디부(113)의 후면을 감싸면서 상기 센서부(105)를 안착하는 안착부(113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3b)는 볼트(113c)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3 바디부(113)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104)는 상기 센서부(105)가 돌출되는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 2, 3 바디부(111, 112, 113)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센서부는 마이크로 니들(151a)들, 이동부(152a) 및 케이싱(105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a)들은 신체의 피부로 침습하여 체액, 예를 들면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상기 체액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a)의 내부를 통해 상기 이동부(152a)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52)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a)들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105a)으로 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5a)은 상기 이동부(152)부터 이송받을 수 있고, 작동 전극과 카운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액은 상기 작동 전극과 상기 카운터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액의 혈당은 상기 작동 전극과 상기 카운터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량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a)은 전도설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체액과 화학 반응을 진행하는 효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폴리머 재질의 마이크로 니들(151)는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효소와 상기 바이오마커가 서로 화학 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151)은 상기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 즉, 전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마커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중 다른 하나에 따른 센서부(105c)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배열되는 마이크로 니들(151c)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105c)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마이크로 니들의 배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마리크로 니들의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다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바디부(211, 212, 213), 커버부(203) 및 센서부(205a, 205b, 205c)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상기 센서부들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들은 제1 센서부(205a), 제2 센서부(205b) 및 제3 센서부(20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205a)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205b)는 체액 중 젖산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센서부(205c)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신체의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 3 센서부를 예시하여 설명할 뿐, 센서부들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들은 체내에 존재하는 콜레스테롤, 미네랄, 사이토카인, 호르몬, 바이러스 및 세균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들은 체내의 존재하는 단백질, 디엔에이(DNA), 알엔에이(RNA), 대사 물질 등을 측정하여 암 등 질병을 알아내는 바이오마커(biomarker)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들 중 어느 하나는 체온을 측정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들 중 어느 하나는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5a, 205b, 205c)들 중 어느 하나는 안착부(237)에 안착되면서 수용부(236)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03)는 상기 제3 바디부(213)와 회동하여 상기 센서부(213)를 은폐하면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센서부는 상기 커버부(203)에 장착된 접속 단자(2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05a, 205b, 205c)들 중 다른 하나도 상기 수용부(236)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05a, 205b, 205c)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205a, 205b, 205c)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237)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센서부(205a, 205b, 205c)들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여 혈당 측정에 사용하고, 센서부(205a, 205b, 205c)들 중 다른 하나로 교환하여 장착하여 젖산, 혈압 등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300)는 바디부(361), 커버부(303),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 및 복수의 수용부(336a, 336b, 336c, 336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의 상기 수용부(336a, 336b, 336c, 336d)들은 제3 바디부(313)에 구비되며, 각각의 안착부(337a, 337b, 337c, 338d)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수용부(336a, 336b, 336c, 336d)들은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 각각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센서부들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은 복수의 상기 수용부(336a, 336b, 336c, 336d) 각각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303)는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을 은폐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03)는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 각각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335a, 335b, 335c, 335d)들을 구비하여,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과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은 동일한 바이오마커, 예를 들면, 혈당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복수의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로부터 전달받은 바이오마커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값들을 비교하여 각각의 바이오마커의 측정값들의 편차가 큰 경우 재측정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등 바이오마커의 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상기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서로 다른 바이오마커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05a, 105b, 105c, 105d)들이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300)에 함께 장착되어 동시에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는 바디부(411, 412, 413), 커버부(405) 및 센서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바디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디부(411, 412, 413)는 상기 회로부가 장착되는 제1 바디부(411),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는 제2 바디부(412) 및 상기 센서부(405)가 장착되는 제3 바디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411)와 상기 제2 바디부(412)에는 상기 커버부(403)의 양단(431)을 각각 가이드하는 커버 가이드부(411a, 4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03)의 양단(431)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커버 가이드부(411a, 411b)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03)의 양단(431)이 상기 커버 가이드부(411a, 411b)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403)는 상기 제3 바디부(413)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03)의 일단은 상기 커버 가이드부(411a, 411b)에 구속되어 상기 커버부(403)가 상기 제3 바디부(413)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03)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면, 상기 센서부(405)가 상기 제3 바디부(413)에서 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405)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403)가 상기 제3 바디부(405)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403)가 상기 센서부(405)를 상기 수용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403)에는 상기 센서부(405)의 접속 패드(453)와 연결되는 제1 접속 단자(4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5)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403)가 상기 제3 바디부(413)상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접속 단자(435)가 상기 접속 패드(4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03)의 양단(431)에는 제2 접속 단자(4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 단자(433)는 상기 제1 접속 단자(4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가이드부(411a, 411b)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접속 단자(433)와 연결되는 제2 접속 패드(4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 패드(413)는 상기 제1 바디부(411)에 구비된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03)의 양단(431)이 상기 커버 가이드부(411a, 411b) 각각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한 후, 상기 제2 접속 단자(433)가 상기 제2 접속 패드(4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부(405)는 상기 제1 접속 단자(435), 상기 제2 접속 단자(433) 및 상기 제2 접속 패드(413)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회로부(4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속 단자(433)는 상기 제2 바디부(412)에 구비된 배터리와 연결된 제2 접속 패드(413)와 연결되어 상기 회로부와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500)는 바디부(501, 502), 배터리(507) 및 센서부(503)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501, 502), 상기 배터리(507) 및 상기 센서부(50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부(501, 502)는 상기 센서부(503)를 장착하는 제1 바디부(501), 회로부(506)가 장착되는 제2 바디부(502) 및 상기 센서부(503)와 상기 회로부(506)를 연결하는 접속 단자(50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팔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면, 팔에 착용되는 밴드(509)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귀 밑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 및 도 3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500)는 사용자의 귀 밑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500)는 상기 제1 바디부(501), 상기 제2 바디부(502) 및 상기 배터리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신체에 접속하는 면적을 줄이면서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가이드부에 센서부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600)는 바디부(601), 커버부(603) 및 센서부(6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상기 센서부(605)가 상기 커버부(605)에 탈착되는 구조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부(603)는 상기 센서부(605)의 양단에 대응되는 센서 가이드부(6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 가이드부(631)는 상기 센서 가이드부(63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센서부(605)의 후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돌출부(63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5)는 상기 센서 가이드부(63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603)는 제3 바디부(613) 상에서 회동하여 상기 센서부(605)를 수용부(636)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36)는 상기 센서부(605)가 삽입된 상기 센서 가이드부(631)에 대응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5)는 상기 센서 가이드부(631)에 삽입되거나 상기 센서 가이드부(631)에서 분리됨에 따라, 사용 수명이 다한 센서부가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600)에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5)는 접속 패드(653)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가이드부(631)는 상기 상기 접속 패드(6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6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5)가 상기 센서 가이드부(631)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되면, 상기 접속 단자(633)가 상기 접속 패드(65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가 접속 패드에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센서 가이드부(711)는 접속 단자(712, 713)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들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접속 단자(712)들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712)들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접속 단자(713)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714)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접속 패드(715)들 및 상기 제1 접속 패드(716)들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접속 패드(716)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14)가 상기 가이드부(7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 단자(712)들은 상기 제2 접속 패드(716)들과 접하여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상기 센서부(714)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714)가 상기 센서 가이드부(711)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제1 접속 단자(712)들은 상기 제1 접속 패드(715)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713)들은 상기 제2 접속 패드(716)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단자(712, 713)들과 상기 접속 패드(714, 715)들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714)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접속 패드(714, 715)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센서부(714)가 상기 센서 가이드부(711)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 단자(712, 713)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되며, 상기 회로부는 각각의 접속 단자(712, 713)의 전기적인 연결 여부에 따라 센서부(714)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가이드부(711)에 장착되는 상기 센서부(714)의 종류는 상기 접속 패드(715, 716)들의 존재 여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39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이 접속 홈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 중 일부가 접속 홈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724)는 접속 홈(724a, 724b)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 홈들은 제1 접속 홈(724a) 및 제2 접속 홈(724b)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접속 홈을 예시하고 있을 뿐, 접속 홈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커버부(721)는 접속 단자(721a, 721b, 721c)들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721)는 상기 센서부(724)를 향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721a, 721b, 721c)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721a, 721b, 721c)들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예: 포그핀(135))일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들은 제1 접속 단자(721a), 제2 접속 단자(721b) 및 제3 접속 단자(721c)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접속 단자를 예시하고 있을 뿐, 접속 단자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부(721)가 상기 센서부(724)를 향하여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제1 접속 단자(721a)가 상기 제1 접속 홈(724a)가 삽입되고, 상기 제2 접속 단자(721b)가 상기 제2 접속 홈(724b)에 삽입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3 접속 단자(721c)는 대응되는 접속 홈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접속 홈(721a, 721b)들에 삽입되는 상기 접속 단자 또는 상기 접속 단자(724a, 724b, 724c)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로부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 단자(721a)와 상기 제2 접속 단자(721b)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접속 홈(724a)과 제2 접속 홈(724b)를 구비하는 센서부가 혈당 측정하는 것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 접속 단자(721a)과 상기 제3 접속 단자(721c)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접속 홈(724a)과 제3 접속 홈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가 혈압을 측정하는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홈(724a, 724b)들 각각은 상기 접속 단자(721a, 721b)들 각각과 전기적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접속 단자들 각각이 상기 접속 홈들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이 접속 패드에 접속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 중 일부가 접속 패드에 접속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속 단자들과 접속 패드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 내지 도 4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버부(731)는 접속 단자(731a, 731b, 731c)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단자들은 제1 접속 단자(731a), 제2 접속 단자(731b) 및 제3 접속 단자(731c)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2, 3 접속 단자를 예시하고 있을 뿐, 접속 단자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센서부(734)는 상기 접속 단자들 중 적어도 한 쌍의 접속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패드(735)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3의 ①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패드(735)는 상기 제1 접속 단자(731a)과 상기 제2 접속 단자(73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734)가 혈당을 측정하는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3의 ③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속 단자(731b)와 제3 접속 단자(731c)가 접속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734)가 혈압을 측정하는 것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3의 ②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 단자(731a)와 상기 제3 접속 단자(731c)가 상기 접속 패드를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작동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중에 하나(90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901)는 다양한 전자 장치(902, 903, 904)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서버,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 (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 (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 (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 (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 (체내 물질 분석 장치, 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 (event data recorder), FDR (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 (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 (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 (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 (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 (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 (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 (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 (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901)로 지칭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900) 내의 전자 장치(901)가 기재된다. 상기 전자 장치(901)는 버스(905), 프로세서(906), 메모리(907), 센서부(920) 및 통신 인터페이스(911)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901)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스(905)는,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905-911)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06)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06)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907)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907)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907)는 상기 바이오마커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907)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908)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908)은, 예를 들면, 커널(913), 미들웨어(91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915,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9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널(913), 미들웨어(914), 또는 API(91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널(913)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914), API(91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16))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905), 프로세서(906), 또는 메모리(907)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913)은 상기 미들웨어(914), 상기 API(915),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16)에서 상기 전자 장치(9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914)는, 예를 들면, 상기 API(915)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16)이 상기 커널(913)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914)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16)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916)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901)의 시스템 리소스 (예: 버스(905), 프로세서(906), 또는 메모리(907)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 (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915)는,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916)이 상기 커널(913) 또는 상기 미들웨어(914)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20)는 상기 체액으로부터 바이오마커(예: 혈당)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920)는 상기 바이오마커에 의한 생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생체 신호(예: 심전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911)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902))의 통신 설정, 예를 들면,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근거리 통신(198)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198)을 통해 상기 바이오마커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값. 즉, 생체 신호값을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902)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902)는 네트워크(917)에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903) 또는 서버(904)에 상기 바이오마커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911)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901)와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903), 또는 서버(904))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911)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917)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 (예: 제2 외부 전자 장치(903) 또는 서버(904))와 통신하여 상기 검출된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측정한 생체 신호값을 상기 외부 장치 (예: 제2 외부 전자 장치(903) 또는 서버(904))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917)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902, 903) 각각은 상기 전자 장치(9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90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9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902, 903), 또는 서버(904))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9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상기 전자 장치(901)는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 (예: 전자 장치(902, 903), 또는 서버(904))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예: 전자 장치(902, 903), 또는 서버(904))는 상기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전자 장치(90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9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자 장치(9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31)의 블록도(930)이다. 상기 전자 장치(931)는, 예를 들면, 도 44에 도시된 전자 장치(902, 903)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31)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932, AP: application processor), 통신 모듈(945),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946), 메모리(933), 센서 모듈(934), 입력 장치(935), 디스플레이(936), 인터페이스(937), 오디오 모듈(938), 카메라 모듈(939), 전력 관리 모듈(942), 배터리(943), 인디케이터(940), 및 모터(9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932)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932)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932)는 체액으로부터 검출된 바이오마커에 의한 생체 신호값들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계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932)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932)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932)는 도 4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945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AP(932)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945)은, 도 44의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9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945)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945A), WIFI 모듈(945B), BT 모듈(945C), GPS 모듈(945D), NFC 모듈(945E) 및 RF(radio frequency) 모듈(945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945A)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945A)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946))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93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945A)은 상기 AP(932)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셀룰러 모듈(945A)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945B), 상기 BT 모듈(945C), 상기 GPS 모듈(945D) 또는 상기 NFC 모듈(945E)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945A), WIFI 모듈(945B), BT 모듈(945C), GPS 모듈(945D) 또는 NFC 모듈(945E)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 (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945F)는, 예를 들면, 통신 신호 (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945F)는,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945A), WIFI 모듈(945B), BT 모듈(945C), GPS 모듈(945D) 또는 NFC 모듈(945E)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946)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933)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933A) 또는 외장 메모리(9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933A)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933B)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933B)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931)과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934)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93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934)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934A), 자이로 센서(934B), 기압 센서(934C), 마그네틱 센서(934D), 가속도 센서(934E), 그립 센서(934F), 근접 센서(934G), color 센서(934H) (예: RGB (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934I), 온/습도 센서(934J), 조도 센서(934K), 또는 UV (ultra violet) 센서(934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934)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934)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931)는 AP(932)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934)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AP(932)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934)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935)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935A, touch panel), (디지털) 펜 센서(935B, pen sensor, 키(935C, 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935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935A)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935A)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패널(935A)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935B)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935C)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입력 장치(935D)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931)에서 마이크 (예: 마이크(938D))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936)는 패널(936A), 홀로그램 장치(936B), 또는 프로젝터(936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936A)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flexible), 투명하게 (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 (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936A)은 상기 터치 패널(935A)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장치(936B)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936C)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93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936)은 상기 패널(936A), 상기 홀로그램 장치(936B), 또는 프로젝터(936C)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937)는, 예를 들면, HDMI(937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937B, universal serial bus), 광 인터페이스(937C, optical interface), 또는 D-sub(937D, D-subminia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937)는, 예를 들면, 도 44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911)에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937)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938)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938)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상기 오디오 모듈(938)은, 예를 들면, 스피커(938A), 리시버(938B), 이어폰(938C), 또는 마이크(938D)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939)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942)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93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관리 모듈(942)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943)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943)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940)는 상기 전자 장치(931) 혹은 그 일부(예: AP(932))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941)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장치(93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 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951)의 블록도(950)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951)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 (OS))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951)은 커널(952), 미들웨어(953), API (954,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또는 어플리케이션(9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951)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가능하다.
상기 커널(952)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52A)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9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52A)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952A)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952B)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953)는,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955)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955)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API(954)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955)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들웨어(953)는 런타임 라이브러리(953Z), 어플리케이션 매니저(953A, application manager), 윈도우 매니저(953B, window manager), 멀티미디어 매니저(953C, multimedia manager), 리소스 매니저(953D, resource manager), 파워 매니저(953E, power manager), 데이터베이스 매니저(953F, database manager), 패키지 매니저(953G, package manager), 연결 매니저(953H, connectivity manager), 통지 매니저(953I, notification manager), 위치 매니저(953J, location manager), 그래픽 매니저(953K, graphic manager), 또는 보안 매니저(352, security manag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런타임 라이브러리(953Z)는,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955)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런타임 라이브러리(953Z)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953A)는,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955)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매니저(953B)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매니저(953C)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 (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매니저(953D)는 상기 어플리케이션(9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파워 매니저(953E)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매니저(953F)는 상기 어플리케이션(955)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매니저(953G)는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매니저(953H)는,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통지 매니저(953I)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매니저(953J)는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매니저(953K)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보안 매니저(3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상기 미들웨어(953)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953)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953)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953)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API(954)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 (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955) 은, 예를 들면, 홈(955A), 다이얼러(955B), SMS/MMS(955C), IM (955D , instant message), 브라우저(955E), 카메라(955F), 알람(955G), 컨택트(955H), 음성 다이얼(955I), 이메일(955J), 달력(955K), 미디어 플레이어(955L), 앨범(955M), 또는 시계(955N), 건강 관리 (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 (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955)은 상기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 상,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병원, 보건소 등 의료기관과 연동되어 의사에게 바이오마커에 의한 생체 신호 또는 생체 신호값을 해석한 생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의사는 상기 생체 신호 또는 생체 정보를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의사의 진단 내용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955)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속성으로서, 전자 장치의 종류가 모바일 의료 기기)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955)은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902, 903, 도 4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955)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951)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모듈(951)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951)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AP(932))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951)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회로부;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신체에 접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부에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센서부를 고정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디부에 힌지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로부가 장착되는 제1 바디부;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는 제3 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양단을 각각 가이드하는 커버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 가이드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센서부의 후면의 일부분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 및 상기 센서부의 후면의 다른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센서부의 양단에 대응되는 센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커버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에는 복수 개의 센서부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는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들이 동일한 바이오마커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회로부에 바이오마커에 의한 생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들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를 통해 상기 바이오마커의 농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들은 서로 다른 바이오마커를 검출하거나 서로 다른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 센서와 젖산 센서 등 서로 다른 바이오마커들을 측정하는 센서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체온 측정을 위한 광센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접속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접속 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접속 홈들에 삽입된 상기 접속 단자 또는 상기 접속 단자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들은 동종의 생체 신호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들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단자들 각각이 상기 접속 홈들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상기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접속 단자들 중 적어도 한 쌍의 접속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패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접속 단자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회로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상기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마이크로 니들(micro needle)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포도당(Glucose), 젖산(lactic acid), 체온, 혈압, 피부의 전도도, 심장박동수 및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전자 장치 100: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1: 바디부 103: 커버부
105: 센서부

Claims (15)

  1.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신체에 착용 가능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회로부;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신체에 접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바디부에 탈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센서부를 고정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바디부에 힌지결합하여 회동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로부가 장착되는 제1 바디부;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는 제3 바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양단을 각각 가이드하는 커버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 가이드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센서부의 후면의 일부분이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 및
    상기 센서부의 후면의 다른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센서부의 양단에 대응되는 센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커버부에 결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복수 개의 센서부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는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들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들은 동종의 생체 신호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센서부들로부터 전달받은 생체 신호를 비교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센서부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접속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접속 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접속 홈들에 삽입된 상기 접속 단자 또는 상기 접속 단자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들 각각이 상기 접속 홈들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상기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접속 단자들 중 적어도 한 쌍의 접속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패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접속 단자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회로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상기 센서부의 종류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마이크로 니들(micro needle)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포도당(Glucose), 젖산(lactic acid), 체온, 혈압, 피부의 전도도, 심장박동수 및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0150118207A 2015-03-25 2015-08-21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160115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37A KR102492279B1 (ko) 2015-03-25 2016-01-26 웨어러블 전자 장치
PCT/KR2016/003056 WO2016153313A1 (en) 2015-03-25 2016-03-25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5/081,084 US10874335B2 (en) 2015-03-25 2016-03-25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16769131.0A EP3273849A4 (en) 2015-03-25 2016-03-25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201680018118.4A CN107405113B (zh) 2015-03-25 2016-03-25 可穿戴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38086P 2015-03-25 2015-03-25
US62/138,086 2015-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650A true KR20160115650A (ko) 2016-10-06

Family

ID=571645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207A KR20160115650A (ko) 2015-03-25 2015-08-21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0160009537A KR102492279B1 (ko) 2015-03-25 2016-01-26 웨어러블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37A KR102492279B1 (ko) 2015-03-25 2016-01-26 웨어러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73849A4 (ko)
KR (2) KR20160115650A (ko)
CN (1) CN1074051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61B1 (ko) * 2020-07-13 2021-03-25 지종완 생체신호 감지 패치, 이를 가지는 부착형 생체신호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91B1 (ko) 2017-05-22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바이오 센서의 제조방법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2030090B1 (ko) 2017-09-18 2019-10-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사용이 가능한 생체정보 측정용 비침습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5553B1 (ko) * 2017-12-28 2019-08-28 (주)리라이브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CN112074229A (zh) * 2018-03-02 2020-12-11 日东电工株式会社 可穿戴生理装置和设备
CN108634947A (zh) * 2018-04-03 2018-10-12 阿木(深圳)新科技有限公司 用于服装上的信号处理器安装装置
CN112236079B (zh) * 2018-06-06 2024-02-06 普和希控股公司 人体装配型传感器装置、传感器插入装置以及传感器插入方法
CN109464149A (zh) * 2018-10-19 2019-03-15 南京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无线电感应器
TWI724340B (zh) * 2018-10-29 2021-04-11 巧連科技股份有限公司 生理檢測模組及穿戴式電子裝置
KR102396379B1 (ko) * 2019-05-24 2022-05-10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센서 모듈의 탈착이 가능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2905B1 (ko) * 2020-09-11 2023-05-17 쥬빌리바이오텍 주식회사 마이크로 니들 패치
FR3132835A1 (fr) * 2022-02-18 2023-08-25 Pkvitality Capteur à microaiguilles comprenant une base, au moins un module élémentaire de support de microaiguill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72524B1 (en) * 1994-11-04 1997-04-23 Elan Med Tech Analyte-controlled liquid delivery device and analyte monitor
US6607509B2 (en) * 1997-12-31 2003-08-19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for an insertion s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IE970443A1 (en) * 1997-06-16 1998-12-16 Elan Corp Plc Methods of calibrating and testing a sensor for in vivo¹measurement of an analyte and devices for use in such¹methods
WO1998058250A2 (en) * 1997-06-16 1998-12-23 Elan Corporation, Plc Methods of calibrating and testing a sensor for in vivo measurement of an analyte and devices for use in such methods
US7381184B2 (en) * 2002-11-05 2008-06-03 Abbott Diabetes Care Inc. Sensor inserter assembly
WO2004052192A1 (en) * 2002-12-11 2004-06-24 Mcinnis, Patricia Physiological condition monitor
EP1584291A4 (en) * 2003-01-17 2009-04-29 Panasonic Corp 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CONSTITUENT
JP4963849B2 (ja) * 2006-03-13 2012-06-2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微細孔形成システム
JP2007244736A (ja) * 2006-03-17 2007-09-27 Toshiba Corp 生体成分測定装置及び生体成分測定方法
JP4916748B2 (ja) * 2006-03-30 2012-04-18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分析装置および分析方法
JP5025159B2 (ja) * 2006-04-28 2012-09-1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生体成分測定装置
EP1972267A1 (de) * 2007-03-20 2008-09-24 Roche Diagnostics GmbH System zur in-vivo Messung einer Analytkonzentration
WO2011001916A1 (ja) * 2009-06-30 2011-01-0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連続分析装置および試料成分制御システム
US20120172693A1 (en) * 2011-01-05 2012-07-05 Varun Boriah Pump Arrangement in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JP2014533523A (ja) * 2011-09-02 2014-12-15 ザ レ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バイオセンシングおよび薬剤供給のためのマイクロ針アレイ
CN104518273B (zh) * 2013-10-01 2017-06-23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穿戴式电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361B1 (ko) * 2020-07-13 2021-03-25 지종완 생체신호 감지 패치, 이를 가지는 부착형 생체신호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5113B (zh) 2021-05-04
EP3273849A4 (en) 2018-08-15
CN107405113A (zh) 2017-11-28
KR20160115689A (ko) 2016-10-06
EP3273849A1 (en) 2018-01-31
KR102492279B1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279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11576747B2 (en) Sensor module and wearable body composition analyzer including same
US10874335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10192383B (zh)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463383B1 (ko)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착용형 전자 장치
KR102313898B1 (ko) 웨어러블 전자장치
KR102240512B1 (ko) 혈당 측정 장치, 혈당 측정 방법 및 혈당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38643B1 (ko)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80096295A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US10973424B2 (en) Charging method using external electrode switching between biometric sensor and charg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3106085A1 (en) Method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102393683B1 (ko)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165978B2 (en) Method for measuring human body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80090507A (ko) 생체 정보 인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28872A (ko) 지문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58189B1 (ko) 건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건강 정보 생성 장치, 전자 장치 및 건강 정보 생성 방법
KR20170077714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114930A (ko) 모듈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70025069A (ko) 생체 신호 취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67579A (ko) 수면 상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0423B1 (ko) 전자 장치
KR201700002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온도 판단 방법
KR20170045584A (ko)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