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553B1 -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 Google Patents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5553B1 KR102015553B1 KR1020170183104A KR20170183104A KR102015553B1 KR 102015553 B1 KR102015553 B1 KR 102015553B1 KR 1020170183104 A KR1020170183104 A KR 1020170183104A KR 20170183104 A KR20170183104 A KR 20170183104A KR 102015553 B1 KR102015553 B1 KR 1020155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block
- emg
- contact surface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 A61B5/049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 접촉면의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근전도 신호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 연계되면서 근전도를 감지 및 접촉면에 면접되도록 케이스 일면에 노출되는 전극부가 마련되어 접촉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하면서 노이즈를 감쇄하도록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케이스 표면의 일면에 이격된 한 쌍의 전극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의 생체신호에 대한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근전도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부에 단속 결합되도록 일면 중앙에 결합부가 형성되면서 타면 전체가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형성하는 부착패치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마련된 전극부들 사이에 구비되도록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이 형성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힌지홈에 대응되는 일단 양면을 관통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축에 결속되며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단부에 “ㄱ”형의 걸림편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접촉면과 면접되는 상면이 경사진 형태와 하면은 수평 형태를 가지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고정핀에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에 접촉면의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근전도 신호를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에 연계되면서 근전도를 감지 및 접촉면에 면접되도록 케이스 일면에 노출되는 전극부가 마련되어 접촉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하면서 노이즈를 감쇄하도록 제공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전도 센서는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근래에 근전도 센서를 활용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563530호는 근전도 및 동작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근육의 피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상인과 환자군의 관절 각도와 근력의 상관관계를 비교할 수 있으며 감지 장치를 신체 전신의 관절에 부착함으로써, 다양하고 복잡한 동작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근전도 및 동작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등록특허 1009222호는 무선 근전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근전도 감지모듈에 무선송신모듈을 구비하고, 근전도 단말기에 무선수신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서, 근전도 감지모듈은 근전도 단말기로 근전도 신호를 무선송신할 수 있으므로, 잦은 사용으로 인한 케이블 손상이 방지되고 피시험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종래 기술들의 경우, 근전도 센서의 특정 활용 방안에 대해 제안할 뿐, 다양한 신체 특성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근전도 센서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근전도 센서를 실질적으로 적용함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착용자의 자세, 움직임 및 피로도 등에 의한 오차를 반영하지 못하여 정확한 동작의 인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면과 대응되는 케이스의 일면에 양측 전극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 전극부와의 동일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밀착구조를 가져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특성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도 별다른 체결수단 없이 용이하게 근전도감지기를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움직임과 자세를 반영하여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동작의 인식이 가능하면서 피로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여,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케이스 표면의 일면에 이격된 한 쌍의 전극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의 생체신호에 대한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근전도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부에 단속 결합되도록 일면 중앙에 결합부가 형성되면서 타면 전체가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형성하는 부착패치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마련된 전극부들 사이에 구비되도록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이 형성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힌지홈에 대응되는 일단 양면을 관통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축에 결속되며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단부에 “ㄱ”형의 걸림편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접촉면과 면접되는 상면이 경사진 형태와 하면은 수평 형태를 가지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고정핀에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접촉부가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분할되는 블록으로 구획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록 중 상호 이웃하는 일측 블록과 타측 블록에서 타측 블록의 타면에 면접하는 일측 블록의 일면 그리고 타측 블록의 일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된 내측 양측으로 수평 확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일측 블록의 일면에 면접하는 타측 블록의 타면 그리고 일측 블록의 타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가이드홈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도록 돌출된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블록 하면에 고정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에 결속되는 탄성부가 마련되거나 상기 분할된 블록 중 힌지축에 연결되는 블록이 시작 블록이라면 마지막 블록 하면에 고정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에 결속되는 탄성부가 마련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면과 대응되는 케이스의 일면에 양측 전극부 사이에 구비되어 양측 전극부와의 동일 간격을 가지면서 접촉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밀착구조를 가져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특성을 갖는 사용자에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도 별다른 체결수단 없이 용이하게 근전도감지기를 적용함으로서,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의 생체신호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는, 접촉부에 의해 감지부에 연계되는 기준전극을 유도하여 사용자의 접촉면에 기준전극의 작동으로 감지부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로부터 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동작을 예측하거나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예측되거나 인식된 동작으로부터 사용자가 의도하는 다양한 명령 내지 동작을 보조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근육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도 즉, 신체활동 또는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값을 보정할 수 있어 보다 신뢰도 높고 정확한 근전도감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부 결합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부 배면에 구비된 탄성부 구조도(a)와 결합 구조도(b).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전극부에 결합된 부착패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다수 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접촉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다수 개로 분할된 블록간의 결합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블록의 정면사시도(a), 배면사시도(b) 및 저면도(c).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부 결합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부 배면에 구비된 탄성부 구조도(a)와 결합 구조도(b).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근전도감지기의 전극부에 결합된 부착패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다수 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접촉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다수 개로 분할된 블록간의 결합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에서 블록의 정면사시도(a), 배면사시도(b) 및 저면도(c).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케이스(100) 표면의 일면에 이격된 한 쌍의 전극부(13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13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의 생체신호에 대한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근전도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200)로 전송하는 감지부(110)와 상기 감지부(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0)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부(130)에 단속 결합되도록 일면 중앙에 결합부(301)가 형성되면서 타면 전체가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접착면(302)을 형성하는 부착패치(30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마련된 전극부(130)들 사이에 구비되도록 케이스(100) 일면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102)이 형성되는 수용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01)에 수용되어 힌지홈(102)에 대응되는 일단 양면을 관통하는 연결공(141)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축(103)에 결속되며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42-1)과 상기 지지편(142-1)의 단부에 “ㄱ”형의 걸림편(142-2)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142)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접촉면과 면접되는 상면이 경사진 형태와 하면은 수평 형태를 가지는 접촉부(140)와, 상기 접촉부(140)의 고정핀(142)에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탄성부(150)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110)는 케이스(100)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전극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면의 근전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극부(130)는 크게 피부 접촉면을 통해 피부의 전류를 감지하는 표면 전극과 선 또는 바늘을 삽입하는 삽입 전극을 포함하며, 이때 본 발명은 표면 전극을 사용하여 설명하며, 두 개의 전극을 이용하는 쌍극(bipolar)으로 구성되는 전극부(130)를 구비한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0)에 연계되면서 케이스(100) 일면에 노출되는 형태의 전극부(130)는 후술되는 부착패치(300)의 결합부(301)에 결합되어 부착패치(300)의 결합부(301)가 수결합부라면 상기 전극부(130)는 암결합부로 형성되어 상호 탈부착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10)는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는 전극부(130)를 구비하는 근전도 센서(111)와 상기 근전도 신호의 생체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의 동작, 힘의 방향, 힘의 크기 및 에너지 분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동작 정보의 변화를 감지 또는 예측하는 제어부(112)와 상기 제어부(112)의 생체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200)로 전달하는 통신부(113)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감지부(110)의 작동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200)는 수신한 근전도 신호 및 동작 신호에 대응하는 감지 데이터를 출력하며,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와 연관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평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평가 데이터 및 기초 생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평가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부(130)에 끼움 결합되는 부착패치(300)는 일면 중앙, 즉, 하면 중앙에 결합부(301)가 형성되어 전극부(130)와 부착패치(300)가 탈부착되도록 사용되며, 상면 전체에는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탁되도록 전도성 소재를 가진 접착면(302)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140)와 탄성부(150)로 결합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140)는 케이스(100)의 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전극부(130)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때 상기 접촉부(140)를 수용하도록 케이스(100) 일면 중앙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102)이 형성되는 수용홈(101)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01)에 결속되어 수용되게 된다.
상기 접촉부(140)는 수용홈(101)의 내측에 면접하는 하면이 수평면을 형성하면서 케이스(100) 일면 상부로 노출되는 상면은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상기 수용홈(101)의 힌지홈(102)에 대응되는 일단 양측을 관통하는 연결공(141)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홈(102)과 연결공(141)을 상호 힌지축(103)으로 연결하여 회동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140)의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42-1)과 상기 지지편(142-1)의 단부에 내측으로 “ㄱ”형의 걸림편(142-2)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142)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50)는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140)의 고정핀(142)에 형성된 걸림편(142-2)에 상단이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코일형태의 스프링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근전도감지기(10)의 전극부(130)에 부착패치(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접촉부(140)의 경사면이 사용자의 접촉면 즉, 피부에 면접되며, 사용자의 피부가 곡면 또는 돌출된 형태일 경우 상기 접촉부(140)의 경사면이 접촉면과 긴밀히 밀착하면서 이때 사용자의 동작변화에 의해 근육의 이완과 팽창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접촉부(140)가 탄성을 가져 밀착력을 증대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접촉부(140)가 일체형의 구조를 가져 근육의 이완 또는 팽창에 대한 변화되는 방향의 위치를 정밀하게 밀착되면서 탄성을 가지도록 이러한 근력 변화에 대한 접촉부(140)의 부분적 동작만을 수행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140)가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분할되는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으로 구획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 중 상호 이웃하는 일측 블록(140-2)과 타측 블록(140-3)에서 타측 블록(140-3)의 타면에 면접하는 일측 블록(140-2)의 일면 그리고 타측 블록(140-3)의 일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된 내측 양측으로 수평 확장되는 가이드홈(144)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44)이 형성된 일측 블록(140-2)의 일면에 면접하는 타측 블록(140-3)의 타면 그리고 일측 블록(140-2)의 타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가이드홈(144)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가이드홈(144)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도록 돌출된 삽입가이드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 하면에 고정핀(142)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142)에 결속되는 탄성부(150)가 마련되거나 상기 분할된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 중 힌지축(103)에 연결되는 블록(140-4)이 시작 블록이라면 마지막 블록(140-1) 하면에 고정핀(142)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142)에 결속되는 탄성부(150)가 마련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10)의 접촉면 증대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접촉부(140)는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분할된 블록들(140-1, 142-1, 140-2, 140-3,..., 140-n)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과 블록 사이가 상호 결합되면서 각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의 개별적인 상하이동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140)에서 블록(140-2)의 일면에는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된 내측 양측으로 수평 확장되는 가이드홈(144)이 형성되며, 타면에는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수직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탭(143-1)과 상기 돌출탭(143-1) 단부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수평 돌출된 단속탭(143-2)이 형성되는 삽입가이드부(14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44)의 내부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진 삽입가이드부(143)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블록(140-2)의 가이드홈(144)에 이웃하는 블록(140-3)의 삽입가이드부(143)가 슬라이드로 결합되는 결합구조로 상기 각각의 블록들(140-1, 142-1, 140-2, 140-3,..., 140-n)이 결합되어 일체의 접촉부(14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140-1, 142-1, 140-2, 140-3,..., 140-n) 일면의 상단까지 가이드홈(144)과 삽입가이드부(143)가 형성되지 않음은 각각의 블록들(140-1, 142-1, 140-2, 140-3,..., 140-n)이 이탈을 방지하면서 복원시 접촉부(140)의 상면이 경사면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140)에 결속된 탄성부(150) 하단과 감지부(110)가 연계되어 접촉부(140)가 기준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탄성부(150)의 소재가 도전성 물질로서 상기 탄성부(150)의 하단에 면접되는 수용홈(101)의 내측에 도전판(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도전판(미도시)은 감지부(110)에 연계되고, 이때 감지부(110)에는 임피던스 신호를 검출하는 임피던스검출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임피던스라 함은 생체 임피던스를 의미하며, 일 예로 사람의 몸을 하나의 도체로 가정하여, 두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류를 유입시키고, 전류 유입 전극의 내부에서 또 다른 전극을 이용하여 전압 양단의 전압 강하를 측정하여 인체 내부의 전기적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전극부(130)가 전류 전극이라면 상기 접촉부(140)가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검출 전극으로 수행하여 임피던스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이에, 근육이 수축 또는 이완하게 될 경우 근육의 단면적과 생체조직의 단면적 변화로 인해 임피던스가 변화하게 되며, 일정 시간간격으로 기 측정한 임피던스 기준값을 기초하여 임피던스 신호를 정규화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에 대한 개인 데이터가 개인에 일반적 생활환경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미리 측정함으로써 얻어지고, 개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에 대한 기준값이 얻어질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스마트 근전도감지기를 이용하여, 팔 동작을 추정할 수 있으며, 팔 동작에 대한 기준값을 얻을 수 있다. 이때, 팔 동작의 편안한 상태(no motion, R)에서 측정한 임피던스 값이 기준값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와 같이 기준값을 얻고, 그 후에 동작에 따라 측정하는 임피던스 데이터를 개인에 대한 기준 값에 비교를 하여 임피던스를 정규화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개인에 대한 평균데이터는 개인에 대한 신체 동작을 정확하게 판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전도의 신호 또는 임피던스의 신호에 대한 초기 시작 기준값을 정해지도록 상기 탄성부(150) 하단에 면접되는 수용홈(101) 내측면 사이에 압력센서(미도시)를 마련하여 상기 압력센서(미도시)의 작동으로 신호의 기준값이 되는 감지 데이터가 수집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근전도감지기 10 케이스 100 감지부 110
근전도 센서 111 제어부 112 통신부 113
베터리 120 전극부 130 접촉부 140
고정핀 142 가이드홈 143 삽입가이드부 144
탄성부 150 수신부 200 부착패치 300
근전도 센서 111 제어부 112 통신부 113
베터리 120 전극부 130 접촉부 140
고정핀 142 가이드홈 143 삽입가이드부 144
탄성부 150 수신부 200 부착패치 300
Claims (3)
- 사용자의 접촉면에 대응되는 케이스 표면의 일면에 이격된 한 쌍의 전극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전극부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근육 변화의 생체신호에 대한 근전도를 감지하면서 감지된 결과에 대응되는 근전도 신호를 외부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부에 단속 결합되도록 일면 중앙에 결합부가 형성되면서 타면 전체가 사용자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형성하는 부착패치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마련된 전극부들 사이에 구비되도록 케이스 일면에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 양면에 각각 힌지홈이 형성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힌지홈에 대응되는 일단 양면을 관통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축에 결속되며 타단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단부에 “ㄱ”형의 걸림편이 형성되는 일체의 고정핀이 이격된 다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사용자의 접촉면과 면접되는 상면이 경사진 형태와 하면은 수평 형태를 가지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고정핀에 결속 고정되어 하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다수 개의 등간격으로 분할되는 블록으로 구획되게 연결되며, 상기 블록 중 상호 이웃하는 일측 블록과 타측 블록에서 타측 블록의 타면에 면접하는 일측 블록의 일면 그리고 타측 블록의 일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내측으로 절개되면서 절개된 내측 양측으로 수평 확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일측 블록의 일면에 면접하는 타측 블록의 타면 그리고 일측 블록의 타면에 각각 상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단까지 가이드홈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로 결합되도록 돌출된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블록 하면에 고정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에 결속되는 탄성부가 마련되거나 상기 분할된 블록 중 힌지축에 연결되는 블록이 시작 블록이라면 마지막 블록 하면에 고정핀이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핀에 결속되는 탄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 결속된 탄성부 하단과 감지부가 연계되어 접촉부가 기준전극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탄성부의 소재가 도전성 물질을 가지면서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면접되는 수용홈의 내측에 도전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3104A KR102015553B1 (ko) | 2017-12-28 | 2017-12-28 |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3104A KR102015553B1 (ko) | 2017-12-28 | 2017-12-28 |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572A KR20190080572A (ko) | 2019-07-08 |
KR102015553B1 true KR102015553B1 (ko) | 2019-08-28 |
Family
ID=6725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3104A KR102015553B1 (ko) | 2017-12-28 | 2017-12-28 |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55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87143A (zh) * | 2020-12-29 | 2021-04-02 | 江苏正心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传感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9222B1 (ko) | 2008-12-30 | 2011-01-19 | 주식회사 비솔 | 무선 근전도 측정 시스템 |
KR101501661B1 (ko) | 2013-06-10 | 2015-03-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착용형 근전도 센서 시스템 |
KR101555602B1 (ko) | 2015-01-15 | 2015-09-24 | 박호동 | 심전도계용 전극 및 전극 모듈 |
KR101563530B1 (ko) | 2014-03-14 | 2015-10-27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근전도 및 동작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US20160206215A1 (en) | 2015-01-20 | 2016-07-21 | Seiko Epson Corporation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
KR101685013B1 (ko) | 2015-12-17 | 2016-12-09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근진동 측정 센서를 이용한 전기자극기 및 전기자극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34192A1 (de) * | 2010-08-12 | 2012-02-16 | Capical Gmbh | EKG-Handgerät |
KR20160115650A (ko) * | 2015-03-25 | 2016-10-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웨어러블 전자 장치 |
KR20170027646A (ko) * | 2015-09-02 | 2017-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착 패드 및 그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3104A patent/KR1020155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9222B1 (ko) | 2008-12-30 | 2011-01-19 | 주식회사 비솔 | 무선 근전도 측정 시스템 |
KR101501661B1 (ko) | 2013-06-10 | 2015-03-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착용형 근전도 센서 시스템 |
KR101563530B1 (ko) | 2014-03-14 | 2015-10-27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근전도 및 동작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KR101555602B1 (ko) | 2015-01-15 | 2015-09-24 | 박호동 | 심전도계용 전극 및 전극 모듈 |
US20160206215A1 (en) | 2015-01-20 | 2016-07-21 | Seiko Epson Corporation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
KR101685013B1 (ko) | 2015-12-17 | 2016-12-09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근진동 측정 센서를 이용한 전기자극기 및 전기자극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572A (ko) | 2019-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15972B1 (en) | Apparatus for the automated measurement of sural nerve conduction velocity and amplitude | |
US11116473B2 (en) | Stethoscope | |
US7270580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electrical current | |
US2007018540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operable stimulus intensity for nerve conduction testing | |
US20170112444A1 (en) | Bio-signal sensor | |
TWI705796B (zh) | 用於監測一個人之肌肉活動之醫療裝置 | |
EP3536231B1 (en) | Sensor types and sensor positioning for a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 |
CN106470602B (zh) | 医疗电极 | |
CN111035363A (zh) | 具有多传感器阵列的神经肌肉感测装置 | |
JP2015534495A (ja) | 監視デバイス | |
CN103281957A (zh) | 生理参数的姿势诱发变化 | |
CN109431495A (zh) | 一种心电检测系统 | |
KR102015553B1 (ko) | 스마트 근전도감지기의 접촉면 증대구조 | |
EP3485805A1 (en) | Reducing noise levels associated with sensed ecg signals | |
KR101555602B1 (ko) | 심전도계용 전극 및 전극 모듈 | |
US10004419B2 (en) | Electrode for measuring living body signal | |
KR101237308B1 (ko) | 생체신호 측정용 다채널 전극 어셈블리 | |
WO2021100452A1 (ja) | 携帯型心電装置 | |
CN117224843A (zh) | 穿戴式除颤系统 | |
CN211131064U (zh) | 一种带有刺激电流调节开关的手持式柔性无线神经刺激器 | |
CN113017612B (zh) | 腰椎关节活动度监测装置 | |
CN215534394U (zh) | 腰椎关节活动度监测装置 | |
CN218304923U (zh) | 一种脑机头环及系统 | |
KR20190067596A (ko) |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 |
CN219021213U (zh) | 心电传感组件及心电传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