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213A - 손가락 아령 - Google Patents

손가락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213A
KR20160115213A KR1020150042433A KR20150042433A KR20160115213A KR 20160115213 A KR20160115213 A KR 20160115213A KR 1020150042433 A KR1020150042433 A KR 1020150042433A KR 20150042433 A KR20150042433 A KR 20150042433A KR 20160115213 A KR20160115213 A KR 2016011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weight
dumbbell
center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근
Original Assignee
이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근 filed Critical 이덕근
Priority to KR102015004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213A/ko
Publication of KR2016011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아령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목과 팔뚝 및 어깨의 근육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손목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운동이 가능하도록 된 손가락 아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손가락 아령(1000)은, 중량을 갖는 무게추(1200)와 무게추(1200)를 연결하는 제1손잡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는, 상기 무게추(1200)의 무게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되,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의 외측면에는 엄지손가락에 의해 파지되는 손가락파지부(1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의 내측면에는 검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4개의 손가락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손가락걸림부(1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가락 아령{A FINGER DUMBBELL}
본 발명은 손가락 아령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팔목과 팔뚝 및 어깨의 근육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손목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운동이 가능하도록 된 손가락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기본적으로 어깨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서 가운데 손잡이 겸용 중심축이 존재하고, 중심축의 양 사이드에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무게추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무게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자신에 적합한 무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양한 동작에 의해서 운동을 하면 팔이나 어깨의 근력과 지구력등을 키울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령은 단순히 팔을 들고 내리는 운동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실증을 쉽게 느낄 수 있어 장시간 아령으로 운동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즉, 현재까지의 아령은 단순히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팔이나 어깨를 흔드는 동작밖에 없으므로 쉽게 실증을 느낄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아령을 구입후에 잘 이용하지 않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실용 제20-0418008호로 고안의 명칭 "악력운동 겸용 아령구조"가 공지되어 있는바, 일측이 오픈된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측 공간부를 통해 탄성 스프링이 결합되며, 반대측으로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로 곡선형태의 요철이 반복되는 악력기용 손잡이와; 악력기용 손잡이의 양측이 삽입결합되도록 양측에 스토퍼기능을 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 하단 공간부로 악력기용 손잡이의 돌기부가 삽입되어 악력기용 손잡이가 상하로 유동하는중에 손잡이 겸용 지지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 구조의 바 형태의 손잡이 겸용 지지축과; 악력기용 손잡이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작용을 하며, 사용자가 악력기용 손잡이를 끌어당기면 압축되며, 손잡이를 놓으면 재자리로 돌아가 부풀어 오른 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 스프링과; 상기 손잡이 겸용 지지축의 양 사이드에 부착되어 일정한 무게의 중량을 제공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무게추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악력운동과 아령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의 효과를 배가시키도록 하고 아울러 다양한 운동을 일개의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증나지 않고 장시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실용 제20-0384396호로 고안의 명칭 "편심아령"이 공지되어 있는바, 중량을 제공하는 추와 추를 연결하는 손잡이봉을 포함하는 아령으로서, 상기 손잡이봉이 추의 무게중심의 편심 위치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아령으로 운동을 할 때 손잡이봉을 중심으로 추의 무게중심이 있는 쪽이 아래로 회전하려는 모멘트가 작용하여 손목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러나 등록실용 제20-0418008호와 제20-0384396호는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아령으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욕구에 의해 실증을 느낄 수 있어 장시간 운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실용 제20-0418008호로 고안의 명칭 "악력운동 겸용 아령구조"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실용 제20-0384396호로 고안의 명칭 "편심아령".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팔목과 팔뚝 및 어깨의 근육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손목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운동이 가능하도록 된 손가락 아령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손가락파지부재에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가락걸림홈과 손가락파지부가 구비되어 손가락파지부재의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손가락 아령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아령은, 중량을 갖는 무게추와 무게추를 연결하는 제1손잡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손잡이부재는, 상기 무게추의 무게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되, 상기 제1손잡이부재의 외측면에는 엄지손가락에 의해 파지되는 손가락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는 검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4개의 손가락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손가락걸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와 무게추의 무게중심에 제2손잡이부재가 더 연결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게추와 무게추의 무게중심에서 제1손잡이부재와 반대쪽 편심된 위치에 제3손잡이부재가 더 연결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가락파지부와 손가락걸림부는 요홈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는 지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아령에 의하면, 팔목과 팔뚝 및 어깨의 근육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손목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손가락 아령에 의하면, 손가락파지부재에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가락걸림홈과 손가락파지부가 구비되어 손가락파지부재의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아령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1손잡이부재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아령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제1손잡이부재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아령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손가락 아령(10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량을 갖는 무게추(1200)와 무게추(1200)를 체결부재(1300)로 연결하는 제1손잡이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는, 상기 무게추(1200)의 무게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되,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를 구성하는 파지부재(1110)의 외측면에는 엄지손가락에 의해 파지되는 손가락파지부(1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의 내측면에는 검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4개의 손가락을 각각 안착시킬 수 있도록 손가락걸림부(1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를 구성하는 파지부재(1110)의 양측면에 체결부재(1300)로 체결되는 나사홈(1120)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무게추(1200)와 체결부재(1300)로 체결될 때 회전되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끼움돌기(1130)가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1200)의 내측면에는 끼움돌기(1130)가 끼워지는 홈(12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가락파지부(1140)에 엄지손가락을 밀착하고 손가락걸림부(1150)에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밀착시켜 제1손잡이부재(1100)를 파지한 상태로 팔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가 돌아가지 않으면서 각각의 손가락에 상기 무게추(1200)의 중량이 모두 걸려서 매우 만족스러운 손가락 근육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팔목과 팔뚝 및 어깨의 근육운동이 가능함과 더불어, 손목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손가락파지부(1140)와 손가락걸림부(1150)는 본 실시예에서는 요홈의 형태로 구비되어,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게 되어 있으나,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 요홈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게추(1200)는, 원판형의 무게부재(1210)와, 이 무게부재의 무게중심의 편심된 위치이면서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관통형성된 관통구멍(1220)과, 이 관통구멍의 외측면에 체결부재(1300)의 머리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안착홈(1230)과, 상기 무게부재(1210)의 내측면에 관통구멍을 사이에 두고 상기 끼움돌기(1130)가 끼워지는 일정깊이의 홈(12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를 구성하는 파지부재(1110)의 양측면에 무게부재(1210)를 각각 체결부재(1300)로 파지부재(1110)가 회전하지 않도록 체결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무게추(1200)와 무게추(1200)의 무게중심에 제2손잡이부재(1400)가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가 체결되는 것과 같이 체결부재(1300)가 무게추(1200)에 형성된 관통구멍(1250)과 안착홈(1260)으로 더 연결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손잡이부재(1400)의 축중심에는 나사홈(1410)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300)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손잡이부재(1400)를 손바닥으로 잡고 일반적인 아령과 같이 팔목과 팔뚝 및 어깨의 근육운동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무게추(1200)와 무게추(1200)의 무게중심에서 제1손잡이부재(1100)와 반대쪽 편심된 위치에 제3손잡이부재(1500)가 더 연결 조립되되, 상기 체결부재(1300)가 무게추(1200)에 형성된 관통구멍(12700)과 안착홈(1280)으로 연결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3손잡이부재(1500)의 축중심에는 나사홈(1510)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300)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3손잡이부재(1500)를 손바닥으로 잡고 일반적인 아령과 같이 운동하게 되면 손목의 근육운동에 매우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의 내측면에는 지압부(116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압부(1160)는 지압용 패드가 될 수 있고, 또 제1손잡이부재(1100)의 내측면에 돌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운동하는 사람이 아령을 할 때 손가락으로 지압부(1160)를 잡고 운동을 하게 되면 손가락에 지압이 되어 운동의 효과가 배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재(1100)와 무게추(1200) 및 제2손잡이부재(1400)와 제3손잡이부재(1500)의 각각이 실리콘 재질로 외면이 코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손가락 아령 1100: 제1손잡이부재
1110: 파지부재 1120: 나사홈
1130: 끼움돌기 1140: 손가락파지부
1150: 손가락걸림부 1160: 지압부
1200: 무게추 1210: 무게부재
1220: 관통구멍 1230: 안착홈
1240: 홈 1300: 체결부재
1400: 제2손잡이부재 1500: 제3손잡이부재

Claims (5)

  1. 중량을 갖는 무게추와 무게추를 연결하는 제1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아령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재는, 상기 무게추의 무게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되,
    상기 제1손잡이부재의 외측면에는 엄지손가락에 의해 파지되는 손가락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는 검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4개의 손가락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손가락걸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아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와 무게추의 무게중심에 제2손잡이부재가 더 연결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아령.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와 무게추의 무게중심에서 제1손잡이부재와 반대쪽 편심된 위치에 제3손잡이부재가 더 연결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아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파지부와 손가락걸림부는 요홈의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아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재의 내측면에는 지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아령.
KR1020150042433A 2015-03-25 2015-03-25 손가락 아령 KR20160115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33A KR20160115213A (ko) 2015-03-25 2015-03-25 손가락 아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33A KR20160115213A (ko) 2015-03-25 2015-03-25 손가락 아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213A true KR20160115213A (ko) 2016-10-06

Family

ID=5716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433A KR20160115213A (ko) 2015-03-25 2015-03-25 손가락 아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2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037A (ko) * 2021-10-21 2023-04-28 이덕근 등척성 운동용 아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7037A (ko) * 2021-10-21 2023-04-28 이덕근 등척성 운동용 아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6122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190314672A1 (en) Ergonomic Handle for an Exercise Machine
US7285079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US7758437B1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5141478A (en) Hand exerciser
US7635308B2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20060073946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252099B2 (en) Portable opposably mounted pull up device
JP2012523892A (ja) 手、手首及び前腕を複数の運動平面内で調節可能な抵抗で運動させるための改良された汎用多方向運動器具
US20090264267A1 (en) Exercise Rod and Exercise Methods
US20210154546A1 (en) Grips for a Handle on a Hockey Stick
CA2675537A1 (en) Exercise grip device
KR101687768B1 (ko) 악력 및 손목운동용 재활장치
US88015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ercise mechanism
US7241251B2 (en) Hand-held exercise device assembly incorporating a variable stability strength overload distribution system
US20220219042A1 (en) Flexible Resistance Articles, Systems, Kits, and Methods
US9993679B2 (en) Exercise device with spring loaded arm support
KR20160115213A (ko) 손가락 아령
KR101571934B1 (ko) 상지 재활 시스템
EP3162412B1 (en) Training module
US9855455B1 (en) Supple exerciser
KR20160119666A (ko) 발 아령
JP6675815B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PL213973B1 (pl) Stanowisko do ćwiczeń manipulacyjnych ręki
JP7465423B1 (ja) ゴルフトレーニング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