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934B1 - 상지 재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지 재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934B1
KR101571934B1 KR1020130158014A KR20130158014A KR101571934B1 KR 101571934 B1 KR101571934 B1 KR 101571934B1 KR 1020130158014 A KR1020130158014 A KR 1020130158014A KR 20130158014 A KR20130158014 A KR 20130158014A KR 101571934 B1 KR101571934 B1 KR 101571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unit
sensor
arm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234A (ko
Inventor
이양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9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은, 구름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구름요소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장착된 손잡이부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어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지 재활 시스템{REHABILITATION SYSTEM FOR ARM}
본 발명은 상지 재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비된 팔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stroke)은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는 병이다. 뇌졸중이 발생한 후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치료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뇌졸중이 발생한 후대부분의 환자에서(80% 이상) 한쪽 팔다리가 마비되는 편마비 증상이 나타난다. 때로는, 한쪽 팔이나, 다리에만 마비가 나타나는 단마비(monoparesis)의 형태로 마비가 나타나기도 하고 양측 하지에만 마비가 나타나기도 한다.
마비가 심하여 마비된 팔을 전혀 움직일 수 없거나 아주 조금밖에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로봇 상지 훈련기가 사용되지만 높은 가격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편마비가 있는 환자는 반대편 팔을 이용하여 마비된 팔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훈련을 하는 동안에는 마비된 팔의 약한 움직임이 있더라고 그 움직임이 있는지를 알 수 없다. 반대편 팔의 도움을 받더라도 마비된 팔이 얼마나 움직이는 지를 환자에게 피드백해줄 수 있다면 환자는 마비된 팔을 더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마비 증세가 나타나는 환자들을 위한 재활 장치에 대하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07년 9월 20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제2007-0095675호에서는 상지 근력 보조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마비된 팔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마비된 팔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및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손잡이부와 팔받침부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과 팔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은, 구름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구름요소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장착된 손잡이부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어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는, 한쪽 팔이 지지되는 제1 이동 플레이트 및 다른 쪽 팔이 지지되는 제2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는 동일 평면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는 연결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요소는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 및 제2 이동 플레이트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동부 상에 돌출되어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동부 상에 돌출되고, 손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며,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 또는 손등과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동부 상에 돌출되어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된 제1 부재 및 상기1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에서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부재에서 손등과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 상에는 팔받침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팔받침부에서 전박부의 내측 및 외측에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는, 팔이 지지되는 상부 이동 플레이트, 상기 상부 이동 플레이트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이동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팔의 마비 상태 또는 팔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 또는 판단된 내용이 실시간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시스템은 게임 및/또는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세계와 상호작용하도록 게임 서버에 접속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압전 센서를 포함하는 힘 센서 또는 압력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에 의하면 마비된 팔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마비된 팔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간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에 의하면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및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에 의하면 손잡이부와 팔받침부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과 팔이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다른 형태의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또 다른 형태의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에서 다른 형태의 이동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는 다른 형태의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3은 또 다른 형태의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에서 다른 형태의 이동부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10)은 이동부(100), 손잡이부(200), 팔받침부(300) 및 센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00)에는 바퀴 또는 롤러와 같은 구름요소가 구비되어, 이동부(100)는 구름요소에 의해 자유자재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00)는 한쪽 팔이 지지되는 제1 이동 플레이트(110) 및 다른 쪽 팔이 지지되는 제2 이동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플레이트(110)가 왼팔을 지지한다면, 제2 이동 플레이트(120)는 오른팔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110)와 제2 이동 플레이트(120)는 동일 평면 상에서 사용자의 팔이 이동되는 대로 자유자재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00)는 연결요소(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요소(130)는 제1 이동 플레이트(110)와 제2 이동 플레이트(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요소(130)의 일단은 제1 이동 플레이트(110)에 힌지 연결되고 연결요소(130)의 타단은 제2 이동 플레이트(12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요소(130)는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제1 이동 플레이트(110)와 제2 이동 플레이트(1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이동 플레이트(110)와 제2 이동 플레이트(120) 사이의 거리가 원상 복귀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요소(130)가 구비된 형태 또는 연결요소(13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 이동 플레이트(110)와 제2 이동 플레이트(120)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 또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이에 의해,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10)은 책상 위에 이동부(100)를 위치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부(100)를 위치시킬 수 있다면 어디서든지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한쪽 팔만 마비되고, 다른 한쪽 팔은 정상적인 경우, 처음에는 정상적인 팔을 사용하게 되겠지만, 이동부(100)가 양팔에 장착되므로, 자연스럽게 마비된 팔을 사용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요소(130)에 의해 제1 이동 플레이트(110)와 제2 이동 플레이트(120)가 연결되어, 마비되지 않은 팔을 이용하여 마비된 팔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00) 상에는 손잡이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 플레이트(110) 및 제2 이동 플레이트(120)에는 손잡이부(20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사용자의 손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는 이동부(100) 상에 돌출 되어 사용자가 잡기에 용이하도록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손잡이부(200)는 측면으로 기울어진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200)를 손으로 잡음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고정될 수 있고, 손잡이부(200)는 손바닥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에는 이동부 상에 돌출되고, 손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홈(202)에 손을 끼움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손잡이부(200)의 홈(202)은 손바닥과 손등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홈(202)이 손목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손을 손잡이부(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는 제1 부재(204) 및 제2 부재(20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204)는 이동부(100) 상에 돌출되어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부재(206)는 제1 부재(20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재(206)는 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부재(204)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이 제1 부재(204)와 제2 부재(206) 사이에 손이 끼워지게 되고, 제1 부재(204)는 손바닥에 의해 접촉되고, 제2 부재(206)는 손등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손잡이부(200)들이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플레이트(110) 상에는 도 1과 같이 손잡이부(200)가 마련되고, 제2 이동 플레이트(110) 상에는 도 2와 같이 손잡이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마비된 팔 측에는 도 3과 같이 손잡이부(200)가 마련되고, 정상적인 팔 측에는 도 1과 같이 손잡이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00)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손을 끼워서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팔 근력이 약한 환자 또는 노인들에게 이로울 수 있다.
또한, 이동부(100) 상에는 팔받침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팔받침부(300)는 팔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박부(또는, 전완부)의 내측과 외측와 접하도록, 평행하는 두 개의 평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팔받침부(300)에 의해 이동부(100) 상에서 사용자의 팔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팔을 팔받침부(300)에 얹음으로써 팔을 고정시킬 수 있어, 쉽게 팔을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 장치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부(100), 손잡이부(200) 및 팔받침부(300)에는 각각 센서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는 제1 센서(410) 및 제2 센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410)는 이동부(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420)는 이동부(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세기는 이동부(100)를 누르는 힘 또는 체중 부하를 의미하고, 이동부(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세기는 이동부(100)를 앞뒤로 밀거나, 좌우로 이동시키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400)는 다음과 같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410)는 이동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410)는 이동부(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410)에 의하여, 사용자가 이동부(100) 상에서 얼마만큼의 힘으로 누르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420)는 손잡이부(200) 또는 팔받침부(3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부(200)가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에 제2 센서(42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에 홈(202)이 형성된 경우,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 또는 손등과 접촉하는 면에 제2 센서(42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는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에만 제2 센서(420)가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홈(202)의 형상에 따라 손등과 접촉하는 면에도 제2 센서(420)가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00)가 두 개의 부재(204, 206)로 마련된 경우, 제1 부재(204)에서는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에 제2 센서(420)가 장착되고, 제2 부재(206)에서는 손등과 접촉하는 면에 제2 센서(4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200)에서 손바닥 또는 손등과 접촉하는 면에 제2 센서(420)가 장착되어,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을 미는 힘 또는 손등과 접촉하는 면을 미는 힘과 같이 이동부(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420)가 팔받침부(30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420)는 팔받침부(300)에서 전박부의 내측 및 외측에 접촉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받침부(300)가 평행하는 두 개의 평판으로 마련된 경우, 하나의 평판에서는 전박부 내측에서 작용되는 힘의 세기가 측정되고, 다른 하나의 평판에서는 전박부 외측에서 작용되는 힘이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팔받침부(300)에서 전박부의 내측 및 외측과 접촉하는 면에 제2 센서(420)가 장착되어, 팔받침부(300)를 미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팔받침부(300)를 미는 힘 또한 이동부(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10)에서 이동부(100)는 상부 이동 플레이트(140), 하부 이동 플레이트(150) 및 지지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60)의 일단은 상부 이동 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지대(160)의 타단은 하부 이동 플레이트(15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6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지지대(160)에는 센서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지지대(160)에는 이동부(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제1 센서(410)가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대(160)에는 이동부(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센서(4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160)에 장착된 센서부(400)에 의하여 이동부(100)에 대한 수직방향의 힘 또는 수평방향의 힘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손잡이부(200) 또는 팔받침부(300)에는 센서부(400)가 구비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상지의 재활 운동에 의한 수직방향의 힘 또는 수평방향의 힘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00)는 압전 센서를 포함하는 힘 센서 또는 압력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지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센서(410)와 제2 센서(420)는 동일하거나 다른 종류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40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팔의 마비 상태 또는 팔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100)가 이동될 때, 제1 센서(410)에 의해서 측정된 힘의 세기가 소정의 수치보다 큰 경우, 이동부(100) 상에 사용자의 체중 부하가 가해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의 체간 조절 능력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센서(410)에 의해서 측정된 힘의 세기가 소정의 수치보다 작은 경우, 이동부(100) 상에 사용자의 체중 부하가 적게 가해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의 체간 조절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2 센서(420)에 의해 측정된 힘이 소정의 수치보다 작게 측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부(100)가 이동된 경우, 제어부에서는 사용자가 팔을 이용해서 이동부(100)를 이동시킨 것이 아니라, 몸을 이용하여 이동부(100)를 이동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팔은 정상적이고 다른 팔은 마비된 경우, 양쪽의 센서부(4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마비된 팔의 사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어부에서 분석 또는 판단된 내용이 실시간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진 또는 사용자 재활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숫자 또는 문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게임 및/또는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세계와 상호작용하도록 게임 서버에 접속될 수 있어, 재활 치료를 하면서 재미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재활 치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재활 운동에 따라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게임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는 흥미를 갖고 재활 운동에 임할 수 있다.
게다가, 타인과 함께 하는 게임의 경우, 경쟁심을 유도하여 적극적으로 재활 운동에 참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시스템은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및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마비된 팔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마비된 팔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상지 재활 시스템
100: 이동부
110: 제1 이동 플레이트
120: 제2 이동 플레이트
130: 연결요소
140: 상부 이동 플레이트
150: 하부 이동 플레이트
160: 지지대
200: 손잡이부
202: 홈
204: 제1 부재
206: 제2 부재
300: 팔받침부
400: 센서부
410: 제1 센서
420: 제2 센서

Claims (13)

  1. 구름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구름요소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장착된 손잡이부;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어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동부 상에 돌출되고, 손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며,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 또는 손등과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는 상지 재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한쪽 팔이 지지되는 제1 이동 플레이트; 및
    다른 쪽 팔이 지지되는 제2 이동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이동 플레이트는 동일 평면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연결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요소는 상기 제1 이동 플레이트 및 제2 이동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상지 재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동부 상에 돌출되어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는 상지 재활 시스템.
  5. 삭제
  6. 구름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구름요소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장착된 손잡이부;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어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이동부 상에 돌출되어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된 제1 부재; 및
    상기1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고, 손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에서 손바닥과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부재에서 손등과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되는 상지 재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제2 센서;
    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 상에는 팔받침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팔받침부에서 전박부의 내측 및 외측에 접촉하는 면에 상기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
  9. 구름요소가 마련되고, 상기 구름요소에 의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 상에 장착된 손잡이부; 및
    상기 이동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되어 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이동부는,
    팔이 지지되는 상부 이동 플레이트;
    상기 상부 이동 플레이트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이동 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팔의 마비 상태 또는 팔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 또는 판단된 내용이 실시간으로 피드백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게임 또는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세계와 상호작용하도록 게임 서버에 접속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전 센서를 포함하는 힘 센서 또는 압력 센서로 마련될 수 있는 상지 재활 시스템.


KR1020130158014A 2013-12-18 2013-12-18 상지 재활 시스템 KR101571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14A KR101571934B1 (ko) 2013-12-18 2013-12-18 상지 재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014A KR101571934B1 (ko) 2013-12-18 2013-12-18 상지 재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234A KR20150071234A (ko) 2015-06-26
KR101571934B1 true KR101571934B1 (ko) 2015-11-26

Family

ID=5351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014A KR101571934B1 (ko) 2013-12-18 2013-12-18 상지 재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058B1 (ko) * 2016-05-31 2017-11-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능동형 상지 운동 보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22319A1 (ko) * 2021-08-17 2023-02-23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5656A (zh) * 2019-06-12 2019-09-10 东北大学 一种基于云边融合的上肢智能康复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325A (ja) 2006-01-13 2007-07-26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上肢リハビリテーション訓練システム
KR101317906B1 (ko) * 2012-09-14 2013-10-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재활 훈련용 마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325A (ja) 2006-01-13 2007-07-26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上肢リハビリテーション訓練システム
KR101317906B1 (ko) * 2012-09-14 2013-10-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재활 훈련용 마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058B1 (ko) * 2016-05-31 2017-11-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능동형 상지 운동 보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22319A1 (ko) * 2021-08-17 2023-02-23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234A (ko) 2015-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zée et al. The effects of digital anesthesia on force control using a precision grip
US10478370B2 (en) Actuated glove orthosis and related methods
US20180177666A1 (en) Power Assistive Device For Hand Rehabilitatio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Huang et al. Motion analysis of throwing Boccia ba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P2011516915A (ja) モーションコンテンツベースの学習装置及び方法
Prange-Lasonder et al. Applying a soft-robotic glove as assistive device and training tool with games to support hand function after stroke: Preliminary results on feasibility and potential clinical impact
KR101571934B1 (ko) 상지 재활 시스템
Kim et al. Arm motion analysis of stroke patient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asks: A preliminary study
Attygalle et al. Low-cost, at-home assessment system with Wii Remote based motion capture
Oña et al. Towards a framework for rehabilitation and assessment of upper limb motor function based on serious games
EP2996551A1 (en) Game-based sensorimotor rehabilitator
GB2489704B (en) ECG mat
Endo et al. Haptics in between-person object transfer
CN208678266U (zh) 一种静态平衡训练装置
KR100723433B1 (ko) 신경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훈련 장치
Garcia et al. Assessing the Kinect’s capabilities to perform a time-based clinical test for fall risk assessment in older people
KR101578609B1 (ko) 하지 근력 측정 시스템
KR101595288B1 (ko) 기능성 노인용 지팡이
US10426998B1 (en) Portable device for movement and resistance training of the lower extremities
Hoda et al. Predicting muscle forces measurements from kinematics data using kinect in stroke rehabilitation
Duff et al. A portable, low-cost assessment device for reaching times
KR101024084B1 (ko) 2인이 함께하는 균형 감각 재활 훈련기기
Jeong et al. Reliability of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for measuring the gluteus maximus muscle at rest and during contraction
Sanjaya et al. THE INFLUENCE OF LATERALITY ON DIFFERENT PATTERNS OF ASYMMETRICAL FOOT PRESSURE AND MUSCLEACTIVATION DURING A GAIT CYCLE IN MANUAL PUSHING
Adamovich et al. Design of a virtual reality-based system for hand and arm rehabil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