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441A -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441A
KR20160114441A KR1020150040954A KR20150040954A KR20160114441A KR 20160114441 A KR20160114441 A KR 20160114441A KR 1020150040954 A KR1020150040954 A KR 1020150040954A KR 20150040954 A KR20150040954 A KR 20150040954A KR 20160114441 A KR20160114441 A KR 20160114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nit
user
measuring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936B1 (ko
Inventor
최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투모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투모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투모로
Priority to KR1020150040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9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eur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피부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피부 상태에 따라 프로브 유닛의 동작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여 서로 다른 상태의 피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명령 입력부;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부; 상기 피부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와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피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판단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저주파를 출력하는 프로브 유닛; 및 상기 피부 판단부에서 판단된 피부 상태에 따라 상기 프로브 유닛의 저주파 출력값을 제어하는 저주파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Ion injector having a function of skin measurements and determination}
본 발명은 이온 도입기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피부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피부 상태에 따라 프로브 유닛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피부를 관리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이온 도입기는, 비타민 C 등과 같이 수용액 상태에서 (+) 극과 (-) 극의 성질을 갖는 이온화 물질을 피부 내층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피부 미용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온 도입기는, 본체, 전기선 손전극, 그리고 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데, 사용자는, 상기 손전극을 한 손으로 쥔 상태에서, 다른 나머지 한 손을 사용하여, 상기 롤러를 이마와 같은 특정 부위의 피부 표면에 접촉시킨 후 마사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전극은, (+) 극이 되고, 상기 롤러는, (-) 극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이마와 같은 특정 부위의 피부 표면에 도포된 물질이, 피부 내층으로 침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온 도입기는, 휴대하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전극을 쥐고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 본인이 혼자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므로, 예를 들어, 미용실 또는 피부 관리실 등과 같은 영업장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시술해주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하기에 편리한 휴대용 이온 도입기가 개발 출시되고 있는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이온 도입기의 경우, 상면에 (-) 극성을 구비하고, 하면에 (+) 극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감싸 쥐는 손바닥에 (+) 극성이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마와 같은 특정 부위에, (-) 극성을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본인이 혼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은 휴대용 이온 도입기는, 사용자 본인만이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용 이온 도입기를 손으로 감싸 쥐는 순간, 사용자의 손바닥 부분에 (+) 극성이 형성하기 때문에, 상면의 (-) 극성을 다른 사람의 이마에 접촉시키더라도, 결국 (-) 극과 (+) 극이 분리되므로, 이온 도입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 극성을 형성하는 부위(예: 손바닥)와 (-) 극성을 형성하는 부위(예: 이마)의 이격 거리가 멀어질 경우, 이온 물질의 침투 효과가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7903호에는 양극형 프로브 헤드가 구비된 이온 도입기가 개시되었다.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양극형 프로브 헤드가 구비된 이온 도입기는, 예를 들어, 전도성 금속 재질인 제1 프로브와 제2프로브가, 절연링을 사이에 두고 하나로 조립된 양극형 프로브 헤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제1 프로브와 제2프로브에, 직류 전압, 직류 펄스, 교류 펄스 등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 극과 (+) 극, 또는 (+) 극과 (-) 극을 가까운 거리 내에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이온 도입기는,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거나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마다 다른 피부 상태에 따라 최적의 제어상태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로브가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 전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7903호(2013년04월17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피부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피부 상태에 따라 프로브 유닛의 동작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여 서로 다른 상태의 피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카메라부 및 화면 표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 피부를 촬영하여 표시함으로써 기기 사용전,후의 사용자 피부를 비교 모니터링할 수 있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피부와 접촉하는 프로브 단부에 면봉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줄이고, 상기 면봉을 교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전도 효율을 상승시키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명령 입력부;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부; 상기 피부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와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피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판단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저주파를 출력하는 프로브 유닛; 및 상기 피부 판단부에서 판단된 피부 상태에 따라 상기 프로브 유닛의 저주파 출력값을 제어하는 저주파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측정부는, 사용자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사용자 피부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분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피부 판단부는 상기 2개의 임피던스값을 입력을 받아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연령별 수분, 유분 및 거칠기 값을 기준으로 비교 판단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피부 판단부는, PH 평균치 기준은 5로 정하고, 기준 연령이 높을수록 감소되며, 연령별 판정 구간은 총10개 구간에 대하여 평균값 대비 20%씩 증감치를 적용하여 판단하되, 남자의 경우 여자 보다 PH 값을 낮게 설정한다.
상기 프로브 유닛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전방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한쌍의 튜브; 상기 튜브의 단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 및 (-) 전극을 형성하는 면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 유닛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전방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한쌍의 튜브; 상기 튜브의 단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 및 (-) 전극을 형성하며, 각각 그 저면이 둥글고 납작한 면으로 형성되는 주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봉 또는 상기 주걱부의 저면에 영양 물질 또는 치료용 약물을 포함하는 리프트겔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 내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면봉 또는 주걱부가 상기 튜브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주걱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에는 금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측정부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를 저주파 출력 전,후 화면으로 분리하여 비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 표시부에는 시술관련 동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에 의하면,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피부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피부 상태에 따라 프로브 유닛의 동작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여 서로 다른 상태의 피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 및 화면 표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 피부를 촬영하여 표시함으로써 기기 사용전,후의 사용자 피부를 비교 모니터링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피부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와 접촉하는 프로브 단부에 면봉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줄이고, 상기 면봉을 교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걱 모양의 단부 구조로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전도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온 도입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휴대용 이온 도입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면 표시부에 시술전,후 사진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는, 사용자명령 입력부(700), 피부 측정부(100), 피부 판단부(200), 프로브 유닛(400) 및 저주파 출력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사용자명령 입력부(70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한다.
피부 측정부(100)는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부(700)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를 측정한다.
피부 판단부(200)는 상기 피부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와 메모리부(600)에 미리 저장된 기준 피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한다.
프로브 유닛(40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저주파를 출력한다.
저주파 출력 제어부(300)는 상기 피부 판단부(200)에서 판단된 피부 상태에 따라 상기 프로브 유닛(400)의 저주파 출력값을 제어한다.
상기 피부 측정부(100)는, 사용자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110) 및 사용자 피부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11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분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피부 판단부(200)는 상기 2개의 임피던스값을 입력을 받아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메모리부(600)에 미리 저장된 연령별 수분, 유분 및 거칠기 값을 기준으로 비교 판단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한다.
아래의 표 1은 상기 메모리부(600)에 미리 저장된 연령별 수분, 유분 및 거칠기 값을 나타낸 표이다.
임피던스 수분 유분 거칠기
1.29MΩ이상 -5 -4 -5
550KΩ~1.28MΩ -4 -4 -4
330KΩ~520KΩ -3 -4 -3
230KΩ~320KΩ -2 -2 -2
155KΩ~220KΩ -1 0 -1
91KΩ~154KΩ 0 1 0
46KΩ~89KΩ 0 1 0
27KΩ~45KΩ 1 5 1
7.3KΩ~21KΩ 2 5 2
3.1KΩ~7.2KΩ 3 5 3
1.9KΩ~3.0KΩ 4 4 4
1.4KΩ~1.8KΩ 5 3 5
1.3KΩ이하 5 2 5
아래의 표 2는 상기 표 1의 임피던스 기준값을 참조한 나이에 따른 유분 기준표를 나타낸다. 여기서, 중앙 0값 주변의 "A" 부분은 표준 상태를 나타내고, 좌우 양측의 "B" 부분은 주의 상태를 나타낸다.
나이 -5 -4 -3 -2 -1 0 1 2 3 4 5
16~25 B B B B A 0 A A B B B
26~30 B B B B A 0 A A B B B
31~40 B B B A A 0 A A B B B
41~50 B B B A A 0 A A B B B
51~65 B B A A A 0 A B B B B
65이상 B B A A A 0 A B B B B
또한, 아래의 표 3은 상기 표 1의 임피던스 기준값를 참조한 나이에 따른 수분 및 거칠기 기준표를 나타낸다. 여기서, 중앙의 "A" 부분은 표준 상태를 나타내고, 좌측의 "B" 부분은 주의 상태를 나타낸다.
나이 -5 -4 -3 -2 -1 0 1 2 3 4 5
16~25 B B B B B A A A A
26~30 B B B B B A A A
31~40 B B B B A A A A
41~50 B B B B A A A
51~65 B B B A A A A
65이상 B B B A A A
따라서, 피부 판단부(200)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110)의 2개의 임피던스값을 입력을 받아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메모리부(600)에 미리 저장된 연령별 수분, 유분 및 거칠기 값을 기준으로 비교 판단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부 판단부(200)는 PH 평균치 기준은 5로 정하고, 기준 연령이 높을수록 감소되며, 연령별 판정 구간은 총10개 구간에 대하여 평균값 대비 20% 씩 증감치를 적용하여 판단하되, 남자의 경우 여자 보다 PH 값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측정부(100)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130)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를 저주파 출력 전,후 화면으로 분리하여 비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500)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면 표시부에 시술전,후 사진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 및 화면 표시부(130)(500)를 사용하여 화면을 2개의 창으로 분할하고, 한쪽 창에는 기기 사용전(Before)의 사용자 피부 상태를 표시하고, 이와 대칭되는 다른 한쪽 창에는 기기 사용후(After)의 사용자 피부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피부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 및 비교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피부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 표시부(500)에는 시술관련 동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시술과정을 따라서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 유닛(400)은, 손잡이부(410); 상기 손잡이부(410) 전방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한쌍의 튜브(411); 상기 튜브(411)의 단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 및 (-) 전극을 형성하는 면봉(412)을 포함한다.
상기 면봉(412)의 저면에 영양 물질 또는 치료용 약물을 포함하는 리프트겔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영양 물질과 치료용 약물 등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키기 위해 전기의 직류 전류를 이용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으로 음극과 양극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 방법은 같은 극 끼리 밀어내는 원리로, 물질마다 고유한 극성을 지니고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음극을 띠고 있으며, 음극의 직류를 물질에 전달시켜 피부 속으로 전달되게 하는 원리이며, 반대로, 양극의 극성을 띠면 양극의 직류 전류를 전달시켜 피부 속으로 도입하게 만든 장치를 이온토포레시스라고 한다.
상기 튜브(411) 내측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면봉(412)이 상기 튜브(411)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면봉(412)의 몸체 부분은 나무로 형성되고, 단부는 면소재가 둥글게 감싸여진 형태이다. 따라서, 튜브(411)에 면봉(412)의 나무 몸체 부분이 삽입되어 면봉 끝의 둥근 부분이 튜브 선단에 밀착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와 접촉하는 프로브 단부에 면봉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면봉을 교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프로브 유닛(400)은, 손잡이부(420); 상기 손잡이부(410) 전방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한쌍의 튜브(421); 상기 튜브(411)의 단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 및 (-) 전극을 형성하며, 각각 그 저면이 둥글고 납작한 면으로 형성되는 주걱부(422)를 포함한다.
상기 주걱부(422)의 저면에 영양 물질 또는 치료용 약물을 포함하는 리프트겔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421) 내측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주걱부(422)가 상기 튜브(421)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주걱부(422)는 전도성 금속 재질인 제1 및 제2 프로브가 근접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는 인체에 무해한 동일한 금속 재질이 사용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금속 재질이 조합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브와 제2 프로브는, 알루미늄과 티타늄,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스테인레스와 티타늄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이종의 금속 재질들이 조합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주걱부(42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에는 금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브를 한쌍으로 형성하고,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전도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를 동일한 시간 내 넓은 면적에 작용함으로써 시술 시간의 단축이 기대된다. 또한, 주걱 모양의 금속 기구물에 금 코팅을 함으로써 전기전도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에 침투하고자 하는 물질의 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로서, 미백제, 보습제, 그리고 안티에이징과 같은 화장품 물질이, 피부 내층으로 침투하는 이온 도입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피부 측정부 110 : 임피던스 측정부
120 : PH 측정부 130 : 카메라부
200 : 피부 판단부 300 : 저주파 출력 제어부
400 : 프로브 유닛 410, 420 : 손잡이부
411, 421 : 튜브 412 : 면봉
422 : 주걱부 500 : 화면 표시부
600 : 메모리부 700 : 사용자명령 입력부

Claims (11)

  1.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명령 입력부;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를 측정하는 피부 측정부;
    상기 피부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피부와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기준 피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피부 판단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저주파를 출력하는 프로브 유닛; 및
    상기 피부 판단부에서 판단된 피부 상태에 따라 상기 프로브 유닛의 저주파 출력값을 제어하는 저주파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측정부는,
    사용자 피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
    사용자 피부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분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피부 판단부는 상기 2개의 임피던스값을 입력을 받아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연령별 수분, 유분 및 거칠기 값을 기준으로 비교 판단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판단부는,
    PH 평균치 기준은 5로 정하고, 기준 연령이 높을수록 감소되며, 연령별 판정 구간은 총10개 구간에 대하여 평균값 대비 20%씩 증감치를 적용하여 판단하되, 남자의 경우 여자 보다 PH 값을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전방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한쌍의 튜브;
    상기 튜브의 단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 및 (-) 전극을 형성하는 면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유닛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전방에 일정길이로 돌출된 한쌍의 튜브;
    상기 튜브의 단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 및 (-) 전극을 형성하며, 각각 그 저면이 둥글고 납작한 면으로 형성되는 주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7.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면봉 또는 상기 주걱부의 저면에 영양 물질 또는 치료용 약물을 포함하는 리프트겔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8.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내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면봉 또는 주걱부가 상기 튜브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걱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저면에는 금코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측정부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피부를 저주파 출력 전,후 화면으로 분리하여 비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시술관련 동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KR1020150040954A 2015-03-24 2015-03-24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KR101667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54A KR101667936B1 (ko) 2015-03-24 2015-03-24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954A KR101667936B1 (ko) 2015-03-24 2015-03-24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441A true KR20160114441A (ko) 2016-10-05
KR101667936B1 KR101667936B1 (ko) 2016-11-11

Family

ID=5715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954A KR101667936B1 (ko) 2015-03-24 2015-03-24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92B1 (ko) * 2019-02-26 2019-12-09 박세환 휴대용 피부미용기의 이온도입부를 이용한 피부 수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781B1 (ko) * 2020-08-20 2023-09-22 애터미주식회사 뷰티 디바이스 및 뷰티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2413789B1 (ko) * 2021-07-16 2022-06-29 주식회사 새롬바이오텍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개선된 피부확인이 가능한 피부관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51Y2 (ja) * 1990-07-24 1994-04-13 日栄電機産業株式会社 低周波美顔マッサージ器に用いる綿棒
JP2002224049A (ja) * 2001-02-06 2002-08-13 Tadashi Goino 携帯端末装置、アドバイスシステム、肌診断評価方法、肌診断評価用プログラム、化粧アドバイス提供方法及び化粧アドバイス提供用プログラム
KR20110085066A (ko) * 2010-01-19 2011-07-27 박성준 휴대용 피부 수분 자동 측정 장치 그 방법
KR20130037903A (ko) 2011-10-07 2013-04-17 (주)휴비딕 양극형 프로브 헤드가 구비된 이온 도입기
KR20140137860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케이헬쓰웨어 이온토포레시스 투약 장치 및 투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3751B2 (ja) * 2012-03-29 2016-10-25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垢形成防止用液体口腔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51Y2 (ja) * 1990-07-24 1994-04-13 日栄電機産業株式会社 低周波美顔マッサージ器に用いる綿棒
JP2002224049A (ja) * 2001-02-06 2002-08-13 Tadashi Goino 携帯端末装置、アドバイスシステム、肌診断評価方法、肌診断評価用プログラム、化粧アドバイス提供方法及び化粧アドバイス提供用プログラム
KR20110085066A (ko) * 2010-01-19 2011-07-27 박성준 휴대용 피부 수분 자동 측정 장치 그 방법
KR20130037903A (ko) 2011-10-07 2013-04-17 (주)휴비딕 양극형 프로브 헤드가 구비된 이온 도입기
KR20140137860A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케이헬쓰웨어 이온토포레시스 투약 장치 및 투약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992B1 (ko) * 2019-02-26 2019-12-09 박세환 휴대용 피부미용기의 이온도입부를 이용한 피부 수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0175842A1 (ko) * 2019-02-26 2020-09-03 박세환 휴대용 피부미용기의 이온도입부를 이용한 피부 수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936B1 (ko)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6534B2 (ja) ユーザの皮膚の抵抗率に基づいて電圧を変更する手段を有する電気刺激装置および/またはイオン導入装置
JP4728235B2 (ja) 物質の界面動電輸送を用いた爪甲真菌症治療の方法、器具、およびキット
Keller et al. Electrodes for transcutaneous (surface) electrical stimulation
EP2152358B1 (en) Skin permeation device for analyte sensing or transdermal drug delivery
US118500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internal electrical impedance of a biological object
KR101667936B1 (ko) 피부 상태 측정 및 판단 기능을 갖는 이온 도입기
JP2005137416A (ja) 経皮的分析物抽出システム及び経皮的分析物分析システム
US20190083781A1 (en) Iontophoretic systems, kit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cosmetic agents
JP2021514208A (ja) 皮膚用指先取付微小電流装置
Rai et al. Iontophoresis in dermatology
US202202023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electrode monitoring of internal electrical impedance of a biological object
GB2578712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ansdermal delivery of active agents
Zhang et al. An ocular iontophoretic device using PEDOT electrode for local drug delivery
EP2561906A1 (en) Pain sensory nerve stimulation apparatus
JP5397974B2 (ja) 薬物投与装置
KR102256172B1 (ko) 일렉트로포레이션 장치 및 일렉트로포레이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Nobile et al. A home-based eyebrows lifting effect using a novel device that emits electrostatic pulses containing RF energy, resulting in high frequency, low level transdermal microcurrent pulsations: double blind, randomized clinical study of efficacy and safety
Martinsen et al. Cutaneous perception of electrical direct current
Sha et al. The effect of the impedance of a thin hydrogel electrode on sensation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JP2024510045A (ja) インピーダンスの経皮測定を行う方法及び装置
CN208865038U (zh) 一种用于疼痛治疗的便携式经颅直流电刺激系统
Moscicka-Studzinska et al. Mathematical modelling of buccal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US20220370796A1 (en) Iontophoresis administration device
KR101227534B1 (ko) 기능성 화장품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피부 마사지기
JP6739833B2 (ja) プローブ、表皮電位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