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334A - 가로수 지지대 - Google Patents

가로수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334A
KR20160114334A KR1020150040681A KR20150040681A KR20160114334A KR 20160114334 A KR20160114334 A KR 20160114334A KR 1020150040681 A KR1020150040681 A KR 1020150040681A KR 20150040681 A KR20150040681 A KR 20150040681A KR 20160114334 A KR20160114334 A KR 20160114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frame member
frame members
upper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500B1 (ko
Inventor
윤정현
Original Assignee
윤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현 filed Critical 윤정현
Priority to KR102015004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5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수를 지지해 보호하면서 가로변의 경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수 주변의 정보를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가로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가로수의 기둥부 둘레 외측 지면에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고정되고, 2개의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 서로 마주하는 끼움홈에 끼워져 하부 프레임부재들 사이에 고정되고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가로수 주변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하부 프레임부재를 도시미관에 어울리게 장식하는 장식부재; 및 가로수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부 프레임부재에 장착되면서 내측에 배치되는 기둥부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로수 지지대{DEVICE FOR SUPPORTING ROADSIDE TREE}
본 발명은 가로수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수를 지지해 보호하면서 가로변의 경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수 주변의 정보를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가로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의 식재 시에는 식재된 가로수의 뿌리가 활착되는 동안의 기간에 가로수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하여 전도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가로수가 곧바로 자랄 수 있도록 지주 등과 같은 지지대가 설치된다.
전술한 종래 가로수 지지대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20-0268514 호(등록일자: 2002년 03월 05일, 명칭: 가로수 보호용 밴드 체결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20-0395960 호(등록일자: 2005년 09월 18일, 명칭: 각도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수목 보호용 지지구)",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0986012 호(등록일자: 2010년 09월 30일, 명칭: 공압식 수목 보호 지지대)"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가로수 지지대들은 기존의 단순한 삼발이 형상의 프레임구조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도시미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그로 인해 가로변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로수 지지대는 인광물질, 축광물질, 또는 형광물질과 같은 식별수단이 장착되어 보행자가 야간에 가로수 지지대를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종래의 식별수단은 빛의 밝기가 약할 뿐만 아니라 빛의 밝기를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가로수 및 가로수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주변 상가들의 간판 등을 가리기 때문에 상가들의 영업에 지장을 주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로수를 지지해 보호하면서 가로변의 경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수 주변의 정보를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가로수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로수 지지대는, 가로수의 기둥부 둘레 외측 지면에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고정되고, 2개의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 서로 마주하는 끼움홈에 끼워져 하부 프레임부재들 사이에 고정되고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가로수 주변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하부 프레임부재를 도시미관에 어울리게 장식하는 장식부재; 및 가로수의 기둥부를 감싸도록 하부 프레임부재에 장착되면서 내측에 배치되는 기둥부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를 포함한다.
끼움홈은 하부 프레임부재의 외측면 상에서 중심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면서 하부 프레임부재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하부 프레임부재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나의 하부 프레임부재에 형성되는 2개의 상기 끼움홈은 하부 프레임부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의 내각과 동일한 사이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홈은 하부 프레임부재를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T"홈, 또는 더블테일형 홈 형상을 가진다.
각각의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의 하단에는 말뚝부재가 장착되며, 말뚝부재는, 하부 프레임부재의 하단 측에 장착되는 연결편; 및 연결편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부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첨단부;를 포함하며, 연결편의 상부에는 하부 프레임부재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연결봉이 일체로 형성되고, 첨단부는 연결편의 하부에서 연결편의 하부 외측으로 뾰족하게 연장되되, 첨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가 첨단부의 상단 측에서부터 첨단부의 하단 측으로 나선형상을 가지며 연장된다.
상부 프레임부재들은 단부가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제공되고, 서로 끼워 맞춰진 상부 프레임부재들의 단부에는 하부 프레임부재를 관통한 연결봉에 끼워지며, 연결봉에 끼워진 상부 프레임부재들의 단부는 연결봉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재의 상단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가로수의 기둥부를 감싸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들의 상부에는 그물망이 덮어지며,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부재의 하부에는 조명수단이 장착된다.
게다가, 각각의 상부 프레임부재에는 상부 프레임부재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장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이동장공에는 기둥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장착되며, 지지부재는, 머리부가 상부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걸쳐지고 나사부가 이동장공을 관통하여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볼트;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지지볼트를 상부 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너트; 및 지지볼트의 머리부 측에 장착되고 가로수의 기둥부에 밀착되는 지지편;을 포함하며, 지지편과 지지볼트의 머리부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장착된다.
이때, 기둥부와 맞닿는 지지편의 내측에는 완충패드가 장착된다.
그리고 지지볼트의 나사부는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프레임부재의 폭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면 상에는 지지너트가 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이동장공을 따라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는 너트체결홈이 형성된다.
한편 장식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끼움홈들에 끼워지면서 장식판 또는 안내판을 포함하며, 장식판 또는 안내판의 양단에는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끼움돌기가 끼움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장식부재는 하부 프레임부재 사이에는 장식판, 또는 안내판이 끼워져 고정되거나, 또는 장식판과 안내판이 함께 끼워져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는 가로수의 기둥부 둘레 외측 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들 사이에 장식판, 또는 안내판이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가로변의 경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수 주변의 정보, 특히 가로수에 의해 가려진 상점들의 정보를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는, 상부 프레임부재의 하부에 조명수단이 장착되기 때문에 어두운 야간에 안내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수 주변을 밝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는 상부 프레임부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수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수의 기둥부 형상, 즉 곧게 자라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진 기둥부도 용이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는 지지부재가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행자들의 옷자락 등이 걸리지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관을 미려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말뚝부재의 연결봉에 하부 프레임부재 및 상부 프레임부재가 연결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가 뒤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는 상부 프레임부재에 그물망이 덮어지기 때문에 가로수 지지대 내부로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로수 지지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대에 장식부재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는 가로수(10)의 기둥부(12) 둘레 외측 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110)와, 하부 프레임부재(110)들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가로수(10) 주변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하부 프레임부재(110)를 도시미관에 어울리게 장식하는 장식부재(130), 및 가로수(10)의 기둥부(12)를 감싸도록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장착되면서 내측에 배치되는 기둥부(12)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140)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 프레임부재(110)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지면서 다수 개가 기둥부(12)를 중심으로 기둥부(12)의 둘레 외측 지면에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고정된다.
예를 들어, 3개의 하부 프레임부재(110)가 제공될 경우 3개의 하부 프레임부재(110)는 평면에서 봤을 때 기둥부(12)를 중심으로 기둥부(12)의 둘레 외측에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4개의 하부 프레임부재(110)가 제공될 경우 4개의 하부 프레임부재(110)는 평면에서 봤을 때 기둥부(12)를 중심으로 기둥부(12)의 둘레 외측에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3개 및 4개로 제공되는 하부 프레임부재(110)들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하부 프레임부재(110)를 3개 또는 4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하부 프레임부재(110)는 5개 이상이 제공되어 다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4개로 제공된 하부 프레임부재(11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부재(110)들은 후술하는 장식부재(130) 및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호환성을 위해 정다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하부 프레임부재(110)에는 2개의 끼움홈(112)이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외측면 상에서 중심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면서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형성된 2개의 끼움홈(112)은 기둥부(12)를 중심으로 기둥부(12)의 둘레 외측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부재(1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의 내각과 동일한 사이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3개의 하부 프레임부재(110)가 기둥부(12)의 둘레 외측에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경우 각각의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형성되는 2개의 끼움홈(112)은 60도의 사이각을 가진다. 그리고 4개의 하부 프레임부재(110)가 기둥부(12)의 둘레 외측에 정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경우 각각의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형성되는 2개의 끼움홈(114)은 90도의 사이각을 가진다.
이때, 어느 하나의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형성된 끼움홈(112)들은 끼움홈(112)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또는 다른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끼움홈(112)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즉, 서로 마주하는 끼움홈(112)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하면 하부 프레임부재(110)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의 변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서로 마주하는 끼움홈(114)에는 후술하는 장식부재(130)가 끼워진다.
바람직하게는 끼움홈(112)은 하부 프레임부재(110)를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T"홈, 또는 더블테일(dovetail)형 홈 형상을 가진다.
한편, 각각의 하부 프레임부재(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12)의 둘레 외측에 배치되면서 지면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서 각각의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하단에는 말뚝부재(114)가 장착된다.
말뚝부재(114)는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장착되는 연결편(122)과, 연결편(122)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부재(110)를 지면에 고정되게 하는 첨단부(118)를 포함한다.
연결편(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하단 측에 밀착된다. 이때 연결편(122)은 연결편(122)을 관통하여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체결되는 통상의 나사 등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장착된다.
그리고 연결편(122)의 상부에는 연결편(122)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결봉(124)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연결봉(124)은 하부 프레임부재(110)를 수직하게 관통하며, 하부 프레임부재(110)에는 연결봉(124)이 관통되는 제 1 관통공(126)이 끼움홈(112)들에 간섭되지 않게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연결편(122)의 상부와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하단은 연결봉(124)을 제 1 관통공(126)에 삽입시킴으로써 서로 밀착되고, 이렇게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밀착된 연결편(1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나사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장착된다.
한편, 첨단부(118)는 연결편(122)의 하부에서 연결편(122)의 하부 외측으로 뾰족하게 연장된다. 이렇게 형성된 첨단부(118)에는 말뚝부재(114)가 용이하게 지중으로 파고 들어갈 수 있도록 나선형 돌기(120)가 형성된다. 나선형 돌기(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118)의 상단 측에서부터 첨단부(118)의 하단 측으로 나선형상으로 가지며 연장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부재(110)들 사이에는 장식부재(130)가 끼워지며,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는 가로수(10)의 기둥부(12)를 감싸도록 상부 프레임부재(140)들이 고정된다.
장식부재(130)는 하부 프레임부재(110)들 사이에 끼워지는 장식판(132), 또는 안내판(134)을 포함한다.
장식판(132) 또는 안내판(1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끼움홈(112)들에 끼워지는데, 이를 위해서 장식판(132) 또는 안내판(134)의 양단에는 끼움홈(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끼움돌기(136)가 끼움홈(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끼움홈(112)에 끼워진 끼움돌기(136)는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장식판(132)에는 가로변의 경관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도시미관에 어울리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판(134)에는 가로수(10)에 의해 가려진 상점의 상호 및 로고, 또는 가로수(10) 주변의 정보, 예를 들어 가로수(10) 주변의 주요지점까지의 거리 및 방향 등을 알려주는 문양 및 문자 등이 표시된다.
여기서, 하부 프레임부재(110) 사이에는 장식판(132) 또는 안내판(134) 만이 단독으로 끼워져 고정되거나, 또는 장식판(132)과 안내판(134)이 함께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장식판(132)은 가로수(10) 주변에서 식재된 덩굴식물 등이 장식판(132)을 타고 오를 수 있도록 격자무늬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부재(140)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지면서 다수 개가 가로수(10)의 기둥부(12)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부재(140)는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되는데,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140)는 단부가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부재(140)는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일단에는 또 다른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타단이 끼워 맞춰지는 키홈(142)이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타단에는 또 다른 상부 프레임부재(140)에 형성된 키홈(1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키돌기(1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끼워 맞춰진 상부 프레임부재(140)들의 단부들은 각각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장착되는데, 이때 서로 끼워 맞춰진 상부 프레임부재(140)들의 단부에는 하부 프레임부재(110)를 관통한 연결봉(1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 2 관통공(1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봉(124)에 끼워진 상부 프레임부재(140)들의 단부들은 연결봉(124)의 연장단에 체결되는 체결너트(128)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서 연결봉(124)의 연장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체결너트(128)의 암나사부에 대응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하부에는 어두운 야간에 안내판(134)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가로수(10) 주변을 밝힐 수 있게 하는 조명수단(164)이 장착된다. 조명수단(164)은 통상의 LDE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조명수단(164)의 장착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각의 상부 프레임부재(140)에는 상부 프레임부재(140)들의 내측에 배치된 가로수(10)의 기둥부(12)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148)가 장착된다.
지지부재(148)는 다양하게 기울어져 자라는 기둥부(10)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각각의 상부 프레임부재(140)에는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장공(146)이 형성된다.
지지부재(148)는 머리부(152)가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내측에 걸쳐지고 나사부(154)가 이동장공(146)을 관통하여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볼트(150)와,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외측으로 연장된 지지볼트(150)의 나사부(154)에 체결되어 지지볼트(150)를 상부 프레임부(146)에 고정시키는 지지너트(156), 및 지지볼트(150)의 머리부(152) 측에 장착되고 가로수(10)의 기둥부(12)에 밀착되는 지지편(158)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편(158)과 지지볼트(150)의 머리부(152) 사이에는 지지편(158)을 항상 가로수(10)의 기둥부(12)에 밀착시키는 코일스프링(160)이 장착된다. 즉 코일스프링(160)의 일단은 지지볼트(150)의 머리부(152)에 용접 등을 통해 장착되며, 코일스프링(160)의 타단은 마찬가지로 지지편(158)에 용접 등을 통해 장착된다.
여기서 코일스프링(160)의 코일 평균 지름 및 코일선의 굵기는 가로수(10) 기둥부(12)의 굵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기둥부(12)와 맞닿는 지지편(158)의 내측에는 기둥부(1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패드(162)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수(10)의 기둥부(12)를 감싸도록 배치된 상부 프레임부재(140)들의 상부에는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물망(170t; 도 1 참조)이 덮어질 수 있다.
한편, 지지볼트(150)의 나사부(154)는 나사부(154)의 연장단이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폭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외측면 상에는 지지너트(156)가 지지볼트(150)의 나사부(154)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이동장공(146)을 따라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는 너트체결홈(166)이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의 설치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로수(10)의 기둥부(12) 둘레 외측 지면에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110)들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면에 고정된 하부 프레임부재(110)들 사이로 장식판(132), 또는 안내판(134), 또는 장식판(132)과 안내판(134)을 함께 끼움 결합시킨다. 여기서 장식판(132)과 안내판(134)은 작업자의 의해 고정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되며, 고정 위치가 결정된 장식부재(130)는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외측에서 끼움홈(112)에 끼워진 장식부재(130)의 끼움돌기(136) 측으로 체결되는 나사 등에 의해서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부재(10)들 사이로 장식부재(130)가 끼움 결합되면, 조명수단(164)이 장착된 상부 프레임부재(140)들 단부를 끼워 맞춘 후, 끼워 맞혀진 각각의 단부를 각각의 하부 프레임부재(110)의 상단에 올려놓은 상태 하에서 나사를 이용해 상부 프레임부재(140)를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부 프레임부재(110)에 장식부재(130) 및 상부 프레임부재(140)가 고정되면, 지지부재(148)의 지지편(158)이 가로수(10)의 기둥부(12)에 밀착되도록 이동장공(146)을 통해 지지부재(148)를 이동시킨 후, 지지부재(148)를 상부 프레임부재(140)에 고정시켜 가로수 지지대(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는 가로수(10)의 기둥부(12) 둘레 외측 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110)들 사이에 장식판(132), 또는 안내판(134)이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가로변의 경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수(10) 주변의 정보, 특히 가로수(10)에 의해 가려진 상점들의 정보를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는,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하부에 조명수단(164)이 장착되기 때문에 어두운 야간에 안내판(134)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로수(10) 주변을 밝힐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는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수(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8)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로수(10)의 기둥부(12) 형상, 즉 곧게 자라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진 기둥부(12)도 용이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는 지지부재(148)가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행자들의 옷자락 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부 프레임부재(14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말뚝부재(114)의 연결봉(124)에 하부 프레임부재(110) 및 상부 프레임부재(140)가 연결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가 뒤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지지대(100)는 상부 프레임부재(140)에 그물망(170)이 덮어지기 때문에 가로수 지지대(100) 내부로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가로수 지지대(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가로수 지지대 110 : 하부 프레임부재
112 : 끼움홈 114 : 말뚝부재
130 : 장식부재 132 : 장식판
134 : 안내판 136 : 끼움돌기
140 : 상부 프레임부재 146 : 이동장공
148 : 지지부재 164 : 조명수단

Claims (11)

  1. 가로수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가로수 지지대는,
    가로수의 기둥부 둘레 외측 지면에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고정되고, 2개의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프레임부재;
    서로 마주하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들 사이에 고정되고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상기 가로수 주변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를 도시미관에 어울리게 장식하는 장식부재; 및
    상기 가로수의 상기 기둥부를 감싸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장착되면서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기둥부를 받쳐 지지하는 다수의 상부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가로수 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의 외측면 상에서 중심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하나의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에 형성되는 2개의 상기 끼움홈은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각형의 내각과 동일한 사이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가로수 지지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를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T"홈, 또는 더블테일형 홈 형상을 가지는 가로수 지지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의 하단에는 말뚝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말뚝부재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의 하단 측에 장착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이 장착된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연결봉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는 상기 연결편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편의 하부 외측으로 뾰족하게 연장되되, 상기 첨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기가 상기 첨단부의 상단 측에서부터 상기 첨단부의 하단 측으로 나선형상을 가지며 연장되는 가로수 지지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들은 단부가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제공되고,
    서로 끼워 맞춰진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들의 단부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를 관통한 상기 연결봉에 끼워지며, 상기 연결봉에 끼워진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들의 단부는 상기 연결봉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는 가로수 지지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수의 상기 기둥부를 감싸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들의 상부에는 그물망이 덮어지며,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하부에는 조명수단이 장착되는 가로수 지지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수평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동장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이동장공에는 상기 기둥부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머리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내측에 걸쳐지고 나사부가 상기 이동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볼트;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볼트를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너트; 및
    상기 지지볼트의 상기 머리부 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로수의 상기 기둥부에 밀착되는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과 상기 지지볼트의 상기 머리부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장착되는 가로수 지지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와 맞닿는 상기 지지편의 내측에는 완충패드가 장착되는 가로수 지지대.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볼트의 상기 나사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폭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면 상에는 상기 지지너트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장공을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부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는 너트체결홈이 형성되는 가로수 지지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끼움홈들에 끼워지면서 장식판 또는 안내판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판 또는 상기 안내판의 양단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끼움돌기가 상기 끼움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로수 지지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재 사이에는 장식판, 또는 안내판이 끼워져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장식판과 상기 안내판이 함께 끼워져 고정되는 가로수 지지대.
KR1020150040681A 2015-03-24 2015-03-24 가로수 지지대 KR10170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81A KR101700500B1 (ko) 2015-03-24 2015-03-24 가로수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681A KR101700500B1 (ko) 2015-03-24 2015-03-24 가로수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34A true KR20160114334A (ko) 2016-10-05
KR101700500B1 KR101700500B1 (ko) 2017-01-26

Family

ID=5715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681A KR101700500B1 (ko) 2015-03-24 2015-03-24 가로수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0634A (zh) * 2019-05-29 2019-07-26 黄俊成 一种绿植防倾角的种植用辅助支护保护结构
CN111436329A (zh) * 2019-01-17 2020-07-24 宁波团团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连接在树干上的支架
KR102261923B1 (ko) * 2021-01-06 2021-06-04 김철태 휴대용 나무 안정지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736A (ja) * 1991-10-04 1993-04-20 Ichiro Yamashita 樹木の固定方法および可変支持装置
KR100525748B1 (ko) * 2005-08-04 2005-11-03 (주)천일기술단 도로의 가로수보호장치
KR20070037599A (ko) * 2007-03-09 2007-04-05 신희수 광고판을 가진 가로수 보호대와 이의 제작설치방법
KR200470104Y1 (ko) * 2013-05-15 2013-11-28 (주) 고려인삼해가림 지주용 파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5736A (ja) * 1991-10-04 1993-04-20 Ichiro Yamashita 樹木の固定方法および可変支持装置
KR100525748B1 (ko) * 2005-08-04 2005-11-03 (주)천일기술단 도로의 가로수보호장치
KR20070037599A (ko) * 2007-03-09 2007-04-05 신희수 광고판을 가진 가로수 보호대와 이의 제작설치방법
KR200470104Y1 (ko) * 2013-05-15 2013-11-28 (주) 고려인삼해가림 지주용 파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6329A (zh) * 2019-01-17 2020-07-24 宁波团团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连接在树干上的支架
CN110050634A (zh) * 2019-05-29 2019-07-26 黄俊成 一种绿植防倾角的种植用辅助支护保护结构
CN110050634B (zh) * 2019-05-29 2021-07-02 厦门鹭恒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绿植防倾角的种植用辅助支护保护结构
KR102261923B1 (ko) * 2021-01-06 2021-06-04 김철태 휴대용 나무 안정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500B1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500B1 (ko) 가로수 지지대
KR100851532B1 (ko) 도로 표시장치
KR100948665B1 (ko) 경관조명 가로등 지주
KR20090078603A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방음 펜스
KR20080051781A (ko) 광고기능을 갖는 화분블록
KR101022212B1 (ko) 수목정보안내 표시판
KR101227656B1 (ko) 광고물 부착 방지 및 안내광고판 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기구
KR101998183B1 (ko) 용접철망 펜스
KR200378407Y1 (ko) 가변형 수목 보호대
KR101243870B1 (ko) 도로안내 표시장치
KR101064111B1 (ko) 가로수용 조명등장치
US20230151631A1 (en) Pole cover assembly for a street pole, sign and other objects for improving visibility and aesthetic appeal
KR20100064354A (ko) 안전펜스
KR101271661B1 (ko) 조경용 엘이디 조명기구
CN211080021U (zh) 一种交通隔离护栏
KR200492048Y1 (ko) 식재 간판
KR100881550B1 (ko) 지주대에 결합하여 장식과 감전을 예방할 수 있는 조각장식물
KR100736179B1 (ko) 버스 표지판
KR101476269B1 (ko) 수직 기둥의 녹화장치
KR20100052032A (ko) 도로 미관 및 안전을 위한 휀스
KR200389254Y1 (ko) 가로등용 장식링
CN207284464U (zh) 一种新型苗木装饰围栏
KR200373979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측방조명 수단을 갖는 보안등 지주구조
KR200426514Y1 (ko) 등을 내장한 화분대 겸 옥상조형물 겸 핸드레일
KR200294289Y1 (ko) 장식을 겸한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